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河東鎬 소장 고문헌 자료의 성격과 가치

        유춘동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2 No.-

        한국 근현대문학(近現代文學) 분야 서지(書誌) 연구의 독보적 존재였던 하동호(河東鎬) 교수는 생전에 수집했던 한국문학 전적(典籍) 및 관련 자료, 5만 5천여 점을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했다. 기증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임시 목록을 보면 한국 고문헌 자료는 대략 2,752책이다. 이 연구는 하동호 교수 소장본을 조사하고 그 자료적 특징과 가치를 살펴본 것이다. 하동호 소장 고문헌 자료의 가장 큰 특징은 방각본과 같은 상업출판물이나 출판 및 유통 관계 자료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친 근대 생활문화사(生活文化史)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도 많다. 이것은 하동호 교수 생전의 수집 경향과 면모를 그대로 보여준다. 국어학과 근현대문학, 그리고 신소설 분야의 자료를 집중적으로 수집하면서, 자신이 판단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고문헌을 수집한 것이다. 하동호 교수가 수집했던 고소설은 300여 종이다. 그는 고소설을 상당히 다채롭게 수집했다. 이 과정에서도 수집한 고소설은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글 필사본의 경우, 필사 시기가 대부분 융희(隆熙) 연간이나 대정(大正) 연간이다. 둘째, 방각본 소설의 경우, 대부분 경판이나 완판 방각본 소설이며, 안성판본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셋째, 세책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넷째, 필사한 신소설과 신작 고소설이 다소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Professor Ha Dong-ho, who was a leading figure in the bibliograph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donated 55,000 pieces of Korean literature to the National Literature Museum. According to a temporary list based on donated materials, there are approximately 2,752 Korean ancient documents. The biggest feature of Ha Dong-ho’s ancient documents is that there are many commercial publications such as Banggak copies and materials related to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materials to look at the history of modern life and culture that spanne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hows the collection trends and aspects of Professor Ha Dong-ho’s life. While intensively collecting material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and new novels, he collected ancient texts that he thought were important. Professor Ha Dong-ho collected more than 300 kinds of accusations. He collected the rumors of the complaint in considerable variety. The accusations he collected can identify several feature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manuscripts, most of the transcription periods are in the Junghui Year or Daejeong Year. Second, in the case of Banggakbon novels, most of them are Gyeongpan or Wanpan Banggakbon novels, and Anseong version is hard to find. Third, there are three books. Fourth,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ncludes a new novel written in manuscript and some rumors of a new novel.

      • KCI등재

        문학관 협력망 구축 및 운 방안 연구 ─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채근병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and operation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106 local literature Museum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support center as a core organization of the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Using the existing administrative district, the whole country can be divided into nine regions. The number of literature museums cooperation Network support center included in each area is summarized, Seoul・Gyeonggi area (23 places), Gangwon・ Chungcheong area (32 places) Yeongnam area (30 locations), Honam・ Jeonju area (22 locations). The functions and roles of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support center are as follows. First, literary heritage management and facilities field(supporting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local literature museum,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of the local literature museum, operates the joint library of regional literature centers by region, supporting operation of literary creation space) Second, expert management field(supporting the utilization literature museum expert, training programs for local literature museum worker, training literature museum commentator) Third, program operation filed(supporting local literature museum joint exhibition and tour program, special program tour operation , supporting various programs) Fourth, linking with the National Literature Center of Korea filed(building integrated data management system of the local literature museum, producing and distributing reprinted books of local literature museum) Fifth, system filed(Institutionalization of literature museum professional qualifications, literature museum enrollment activ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support center to 13 regional literature museum in Gyeonggi and Incheon, Proven Education Experience Program(“Story Puzzle” of Hwang Sun-won Munhakchon) and special exhibition(“Modern Bestseller” of The Museum of korean literature), It is expected that the museum will be able to provide various support so that it can operate at other regional literary centers as well.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institutional devices for independent activities of literature museum cooperation Network support center and horizontal relations with local literature Museum are essential. More specific and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ocal literature museum across the country. 본고는 전국에 산재한 106개 지역문학관의 활성화를 위한 문학관 협력망 구축 및 운 방안을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문학관 협력망의 핵심 기구로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의 설립을 제안하고 그 위상 및 역할 등을 논의하고 자 한다. 이는 국립한국문학관의 건립 및 지역문학관과의 연계 등이 명문화 된 문학진흥법의 입법 취지의 현실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행정구역을 활용하면 전국은 총 9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다시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 담당 권역으로 편제하고 각 권역에 포함되는 지역문학관의 개수를 정리하면, 서울경기권역(23개소), 강원충청권역(32개소), 남권역(30개소), 호남제주권역(22개소) 등이다.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의 기능은 첫째, 문학 자료 관리 및 시설 분야(지역문학관 소장 자료 보존 및 관리 지원, 지역문학관 소장 자료 DB 구축 지원, 권역별 공동 수장 고 운, 문학 창작공간 조성 및 운 지원) 둘째, 전문인력 운용 분야(문학관 전문인력 활용 지원, 지역문학관 종사자 연수 프로그램, 문학관 해설사 양성 및 교육 사업) 셋째, 프로 그램 운 분야(지역문학관 공동전시 및 순회전시 지원, 특별기획 프로그램 순회 운, 각 종 프로그램 지원) 넷째, 국립한국문학관 연계 분야(지역문학관 소장 자료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지역문학관 소장 귀중본 복각판 제작 및 보급 지원) 다섯째, 법·제도 분야 (문학관 전문인력 자격제도화 방안, 문학관 등록 활성화 지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의 운을 경기·인천에 소재한 13개 지역문학관 에 적용해본 결과, 사업성과가 검증된 교육체험프로그램(황순원문학촌의 “이야기 퍼즐”)이나 기획전시(인천근대문학관의 “소설, 애니메이션이 되다”)를 여타 지역문학 관에서도 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다른 분야에도 적용한다면 문학관 협력망은 다양한 사업 을 공유하는 동시에 성공적인 사업 운에 필요한 요소들을 지역문학관에 제공함으로써 지역문학관 전체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관 협력망 지원센터의 독립적 활동을 위한 재정 및 인 력의 지원과 그에 대한 법제화, 그리고 지역문학관들과의 수평적 관계 설정 등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 KCI등재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문학관 네트워크 조직 및 운영 방안 연구

        채근병 한국지역문화학회 2020 지역과 문화 Vol.7 No.2

        문학관 네트워크는 <문학진흥법>의 입법 취지를 현실화하고 전국 지역문학관의 균형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와 거점문학관을 권역별로 선정하여 운영하 고자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에서는 국립한국문학관을 정점으로 하는 지역문학관 간 협력 사업을 전담하고, 거점문학관에서는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가 기획하는 각종 사업을 시범 운영하여 파생적인 콘텐츠 창출을 꾀하거나 문학관 근무인력의 교육 등의 업 무를 담당한다. 기존의 광역 단위 행정구역을 활용해 권역을 구성한다면 전국은 총 4개 권역으로 편제 할 수 있다. 서울경기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23개소), 강원충청문학관 네트워크(지역 문학관 32개소), 영남문학관 네트워크(지역문학관 30개소), 호남제주문학관 네트워크(지역 문학관 22개소) 등이 그것이다. 각 권역별로 1개소의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를 설립하 고 1개소의 지역문학관을 거점문학관으로 선정한다. 문학관 네트워크 지원센터는 문학 자료의 수집 및 관리,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대외협력 등을 맡는다. 거점문학관은 콘텐츠 및 프로그램 시범 운영, 문학관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공동수장고 운영 등을 맡는다. 이 사업들은 국립한국문학관 내 설치된 문학 관 네트워크 운영위원회를 통해 감독받도록 한다. 문학관 네트워크의 구조적 체계와 효율 적인 운영은 궁극적으로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의 동력과 공공성이 담보된 문화거버넌스 형성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오창은(Oh, Chang-eun)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국립근대문학관이 ‘시간을 기억하는 체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고려해야 한다. 국립 근대문학관이 ‘자료의 보존’과 ‘자료의 향유’가 동시에 이뤄지는 곳이다. 국립근대문학관은 △ 근대문학유산 보존 및 향유 △ 근대문학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 한국근대문학 연구와 대중화 △ 문학생산을 위한 창조의 장 △ 문학교육의 공간이라는 5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근대문학 유산이 보존되면서도 2) 그 보존 방식이 밀폐된 장소에 격리된 상태로 전시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적으로 친숙하게 향유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안될 수 있다. 더불어 3) 활력 넘치는 생활문화 공간 4) 문학유산의 재생산의 토대가 되도록 다른 장르와 융복합하는 예술생산공간 5) ‘과거를 현대화하는 디지털문학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국립근대문학관의 복합공간적 성격과 관련해 미국 텍사스 대학의 메건 윈젯(Megan Winget)이 제안한 ‘라키비움(Larchiveum)’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라키비움’은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s), 박물관(Museum)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지식 정보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 창작과 재가공 및 교육이 가능하도록 공간 배치가 이뤄져 있다는 측면에서 국립 근대문학관의 공간 구성에 적극 고려할 수 있다. 국립 근대문학관은 구체적 공간으로 1) 근대문학 도서관 2) 근대문학지도 전시실 3) 아카이브 기록관 및 상설ㆍ기획 전시실 4) 야외문학공원 5) 국제회의실 및 문학 강좌 세미나실(문학교육센터) 6) 문인의 집(문인창작센터) 7) 근대문학연구소(문학연구센터) 8) 미래문학관 9) 국립 근대문학관 운영실 10) 문학기념품점 및 문학카페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국립 근대문학관은 문학유산을 네트워크화해 관리하고, 희귀자료는 복각본(復刻本) 제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대중이 향유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국립 근대문학관의 자료들이 자유롭게 활용될 때, ‘한국 근대정신’의 안주처일 수 있다. 그 정신의 고향은 근대문학 도서관이자 아카이브이고, 문학박물관이자 문화적 휴식공간일 때 의미가 있다.

      • 국립 한국문학관의 건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

        오창은 (재)한국연구원 2019 한국연구 Vol.0 No.1

        국립한국문학관이 ‘시간을 기억하는 체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고려해야 한다. 국립 한국문학관이 ‘자료의 보존’과 ‘자료의 향유’가 동시에 이뤄지는 곳이다. 국립 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유산 보존 및 향유 △한국문학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 한국문학 연구와 대중화 △문학생산을 위한 창조의 장 △문학교육의 공간이라는 5가지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①한국문학유산이 보존되면서도 ②그 보존 방식이 밀폐된 장소에 격리된 상태로 전시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적으로 친숙하게 향유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안될 수 있다. 더불어 ③활력 넘치는 생활문화 공간 ④문학유산의 재생산의 토대가 되도록 다른 장르와 융복합하는 예술생산공간 ⑤‘과거를 현대화하는 디지털문학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국립 한국문학관의 복합공간적 성격과 관련해 미국 텍사스 대학의 메건 윈젯(Megan Winget)이 제안한 ‘라키비움(Larchiveum)’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라키비움’은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s), 박물관(Museum)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지식 정보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 창작과 재가공 및 교육이 가능하도록 공간 배치가 이뤄져 있다는 측면에서 국립 한국문학관의 공간 구성에 적극 고려할 수 있다. 국립 한국문학관은 구체적 공간으로 ①한국문학 도서관 ②한국문학지도 전시실 ③아카이브 기록관 및 상설·기획 전시실 ④야외문학공원 ⑤국제회의실 및 문학 강좌 세미나실(문학교육센터) ⑥문인의 집(문인창작센터) ⑦한국문학 연구소(문학연구센터) ⑧미래문학관 ⑨국립 한국문학관 운영실 ⑩문학기념품점 및 문학카페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국립 한국문학관은 문학유산을 네트워크화해 관리하고, 희귀자료는 복각본(復刻本) 제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대중이 향유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국립 한국문학관의 자료들이 자유롭게 활용될 때, ‘한국 문학정신’의 안주처일 수 있다. 그 정신의 고향은 한국문학 도서관이자 아카이브이고, 문학박물관이자 문화적 휴식공간일 때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학술사업의 성과와 과제

        이용식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of National Gugak Center was established in 1987. However,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Center has conducted from 1970 before the Division was founded.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has conducted various academic research since its establishment which cannot be done by a private researcher. In this sense, the review of the outcomes of the Division at this stage of the 4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can be the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of music research in Korea.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 the reproduction of the old music scores, the translation of the old music literature, the production of music and dance notations, various publications, the oral history, and so forth. The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f the Division have been the provide of the first-hand and second-hand materials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Division has played a grea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The Division has conducted other academic activities such as the research of musical instruments and educational resources. The Division also runs the archive, museum, and library as well. The Division of Music Research has conducted difficult and money-consuming activities that cannot be done by private researchers. It was the role of the Division as a national institution. As the 40th years of the establishment, the man-power, budget, and scale of the Division have grown a lot. The Division should play the key role to lead the Korean musicology with efficient and systematic academic activities in the future. 국립국악원에서는 1970년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집을 발간하는 등 학술사업을 진행해왔다. 이후 1987년에 국악연구실이 설립되면서 개인이나 학계에서는 진행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본격적인 학술사업을 진행하면서 한국음악학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 국악연구실의 학술사업은 논문집 발간, 고악보 영인, 고서적 번역, 각종 악보 및 무보 발간, 해외보급을 위한 영문책자 발간, 구술채록 사업, 국악연감 발간, 총서 발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음악학자료총서는 1970년 제1집(대악후보) 이후 제52집까지 악보, 회화, 사진 등의 영인을 통해 한국음악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생산했다. 한국음악학학술총서는 1991년 제1집(조선왕조실록 음악기사 총색인) 이후 제9집까지 음악학으로 특화된 주제의 충실한 역주를 통해 국악학계의 학문적 역량을 발휘했다. 국악전집과 한국음악은 각각 정간보와 오선보로 우리 음악을 기록한 악보로서 우리 음악의 보존과 전승에 큰 기여를 했다. 궁중무용무보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궁중무용을 기보한 것으로서, 무용학 발전의 토대를 이루었다. 해외보급자료인 Korean Musicology Series는 한국음악의 세계화에 큰 기여를 했다. 국립국악원 구술총서는 기존의 연주자만이 아니라 이론가, 작곡가 등의 구술을 통해 현대 한국음악의 흐름을 이해하는 첩경이 되었다. 국악연감은 현대 음악문화의 통계작업으로서 음악학의 기초가 된다. 한민족음악총서는 북한 음악에 관한 심층연구를 통하여 한국음악학의 영역을 확장했다. 국악원논문집은 1989년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현재까지 35집을 발간하면서 한국음악학 성장에 기여했다. 국악연구실은 학술사업 외에도 2006년 개소한 악기연구소를 통한 악기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 국가기관 주도로 악기의 개량 및 개선 사업을 이루지고 있다. 또한 교육연구사업으로 진행했던 국악용어표준안과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 발간 사업은 국립국악원이 국가기관으로서 국악계의 표준을 제시하여 교육의 확장에 크게 기여한 성취를 이루었다. 국악연구실에는 이외에도 국악 관련 각종 음향 및 동영상 자료, 악기 등을 수장하고 관리하는 아카이브와, 국악박물관, 자료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 고전시가 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시조·가사의 전산화 작업을 중심으로

        하윤섭 (재)한국연구원 2020 한국연구 Vol.0 No.4

        It is also a dream for all researchers to take out materials in the area where they are studying to a satisfactory level and make them easier to use. Pre-schoolers also have such dreams and have done their best in the given conditions to fulfi ll them. In this paper, I revisited such traces, went one step further, and laid down some new dreams, so it is a fact that the condition itself has now changed compared to that time. Computing technology has come a long way, with more people sympathizing with the need for these operations, and above all,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Literature,” which is in charge of managing this work. I’m waiting for good news.

      • 해외 소장 한국 고전문학 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이혜은 (재)한국연구원 2020 한국연구 Vol.0 No.4

        이 논문은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에 따른 한국고전문학 자료구축의 현재와 향후 과제’라는 주제의 일부로 해외에 소장된 한국고전문학 자료들의 현황을 살피고 이에 대한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그동안 국내 학회와 기관들이 수행해 온 해외 전적문화재 조사 사업의 성과를 정리하고 이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 고전문학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을 국가별로 나눠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해외 전적문화재 조사 사업은 매우 포괄적으로 이루어졌고 특히 일본, 중국,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주요 한국학 자료 소장 기관들에 대한 조사는 대부분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해외 전적문화재 중 다량의 고전문학 자료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 자료들은 그동안 서지목록 뿐만 아니라 복사물, 마이크로필름 등으로 입수되고 최근에는 여러 기관들이 디지털화 작업을 통하여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고전문학 자료의 유형은 연구자별로 다양한 시각을 지니고 있으나 고전시가, 고전서사, 한문학으로 나누어 보면 해외 소장 한국 고전문학 자료는 한문학 자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학 자료의 수집과 보존의 중심기관으로서 국립한국문학관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는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 문학 관련 자료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어 종합적인 접근이 어려운 문학 자료를 통합 플랫폼 구축을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공유한다면 한국 문학 연구의 확산과 연구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당한 성과를 이루고 있는 해외 소장 한국고전문학자료는 문학자료 통합 플랫폼 구축을 통하여 2차적인 활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