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 - 영화 <조커> 연구 -

        이다운 ( Lee Da-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악의 서사화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일련의 이익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다. 희대의 악으로 캐릭터화된 조커를 다시금 호명한 토드 필립스의 <조커>(2019) 역시 악의 서사화에 동참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 영화다. 특히 <조커>는 슈퍼 히어로인 배트맨에 대적해 온 조커가 왜 빌런(villain)이 되었는지를 재구성하며 전례없던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한다. <조커>는 그동안 미디어가 범죄자를 악의 화신으로 규정하고 그들에게 또 다른 권력을 부여한 수많은 사례를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조커>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하는 이유다. 가해자를 신화화하는 미디어처럼 평범한 인간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광기의 악마로 거듭난다는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하는 <조커>는 조금 더 면밀한 방식으로 탐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대상이다.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빌런은 그들이 왜 악을 추구하게 되었는가보다악을 추구하는 목적과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어 형상화된다. 즉 빌런과 내적 친밀도가 강화될 만한 상황이나 설정을 의도적으로 축약하는 것이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악을 서사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런데 <조커>는 일종의 불문율을 깨고 아서 플렉이 빌런 조커로 각성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자체를 서사의 중심에 놓는다. 중요한 점은 <조커>가 빌런의 기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악이 연민과 환호의 대상일 수 있다는 시선을 견지한다는 사실이다. <조커>는 아서 플렉을 빌런으로 각성케 하는 원인을 개인·가정·사회적 문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아서 플렉을 더할 나위 없는 가련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빌런을 부정한 세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심판하는 프로파간다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조커>는 악을 정당화하고 우상화하기 위해 서사적 패착과 윤리적 위험성 그리고 시리즈물 캐릭터의 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한 영화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of evil holds unique significance because it presents a series of benefits to individuals, the society, and storytelling. The film < Joker >(2019) by Todd Phillips, which pointed to Joker, a character described as a notorious villain, joined in the narrative of evil and stimulated curiosity of the public. In particular, < Joker > reconfigured the story to why Joker, the villain that stood against Batman, a super hero, ended up as a villain and presented a narrative of evil as an unprecedented method. < Joker > is a work of art that recalls on many cases where the media defined villains as the embodiment of the evil and also authorized other powers. This is the reason why a logical analysis about < Joker > is required. Just like how the media mythifies the villains, < Joker > provides a narrative of evil that humans reforms into the crazy devil due to external facto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bject that should be explored with a more in-depth method. In super hero films, the embodied focus is placed on the intention and actions of the villains to pursue the evil rather than why they ended up chasing down the evil. In other words, one of the ways of presenting a narrative of evil in super hero films is by intentionally encompassing the situations or settings that could reinforce the inner level of closeness with the villains. However, < Joker > broke the series of unwritten rules and fixed the focus of the narration to the reason of awakening for Arthur Fleck as Joker and also the progress. The important fact is that < Joker > maintains the perspective that the evil can be the subject of sympathy and accla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villain. < Joker > suggests various personal, family related, and social problems as the cause of turning Arthur Fleck into a villain and concentrates on projecting Arthur Fleck 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end, the film presents a form of propaganda by judging the world for denying the villains. In conclusion, < Joker > is a film that led to the side effects such as narrative failure, ethical risks, and tainted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in order to justify and idolize the evil.

      • KCI등재

        <천수석>에 나타난 악인의 서사와 서술의식 연구

        최어진(Choe, Ochin)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이 논문에서는 <천수석>에 등장하는 악인의 서사를 통해 작품의 서술의식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양부인‧간옥지‧이초혜의 심리에 주목하여 그 욕망의 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것이 드러나거나 행위로 추구되는 구체적 국면에서 나타나는 서술자의 태도, 주변인물의 시각과 평가, 인물의 최후 등을 종합하여 작품의 서술의식을 살펴보았다. 양부인은 위부 내에서 겪고 있었던 지위불안과 열등감, 이부인에 대한 선망이 위보형의 귀환과 함께 병적으로 자라나 악행을 저지른다. 간옥지는 본래부터 지배적‧폭력적 성향을 지닌 인물로 나타나며, 설옥영을 성적으로 지배하려는 욕망이 위보형‧이극용에 의해 좌절되자 그 수치를 다시 설옥영을 겁탈하는 방식으로 해소하기 위해 악사를 꾸민다. 한편 이초혜는 위보형을 향한 흠모의 마음이 커지자 병을 앓다가 참지 못하고 반복적인 음행을 저지르는데, 그 과정에서 좌절과 모욕을 당하고는 위보형을 잊고 오로지 임금을 미혹하여 권력을 장악하는 데 몰두하게 된다. 이후 이초혜는 자신의 권력에 위협이 되는 인물들을 공격하기 위해 갖은 계교를 꾸민다. 이렇듯 <천수석>은 양부인, 간옥지, 이초혜의 악행을 개개인이 이미 겪고 있었던 심리적 문제나 타고난 기질, 여기에 더해진 외부 사건이 복합적으로 빚어낸 결과로 그려낸다. 따라서 이 세 인물이 저지르는 악행의 의미는 상이하며, 작품의 시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양부인의 욕망은 그 결과가 갖는 폭력성이 서사화 될지언정, 주변인물이나 서술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부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초혜가 위보형을 사모하고 음행을 저지를 때 위보형이 수위 높은 비난을 반복하는 것과 달리 서술자는 이초혜로부터 완전하게 거리를 두지 않는다. 특히 두 인물의 욕망이 행위로 구체화될 때, 작품은 그 이면에 존재하는 내면의 고통과 심리적 문제를 응시하여 독자로 하여금 그들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초혜가 임금을 미혹하고 권력에 집착하면서부터 그의 욕망은 철저히 비난받게 되며, 인간성 전체가 부정되기에 이른다. 이초혜에 대한 시각이 변화함에 따라 양부인도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옥지는 등장부터 짐승에 비견되는 외모와 내면을 지닌 인물로 그려지며, 그의 욕망이나 행위에 대한 이해의 가능성 또한 거의 제시되지 않는다. 서술자는 시종일관 그에게 거리를 둔다. 따라서 간옥지와 이초혜가 같은 최후를 맞이한다고 해서 그들의 욕망과 삶이 같은 수준으로 부정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이초혜의 욕망은 수평적/사적인 것에서 수직적/공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천수석>은 전자에 한해서는 비교적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되, 후자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경계‧부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간옥지와 이초혜, 양부인에 대한 시각 차이를 통해, <천수석>에서는 기질적인 악랄함에 기인한 악행과 심리적인 문제나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악행을 분리해 다룬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질들을 통해 <천수석>에서는 악을 철저히 개별화‧위계화하고, 각각의 의미를 분리해 다루려는 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narrative consciousness in Cheonsuseok, with a special focus on the narrative of the villains. Yang-buin(Mrs. Yang) commits evil because of the anxiety over her status in Wi’s family, inferiority feeling and envy for Lee-buin(Mrs. Lee). Gan Okji is portrayed as a character with dominant and violent disposition. He is obsessed with appeasing his shame caused by Wi Bohyeong and Lee Geukyong by raping Seol Ogyeong, the wife of Wi Bohyeong. Lee Chohye"s love for Wi Bohyeong grows bigger and bigger, and she becomes ill. She, therefore, commits fornication repeatedly and helplessly. However, Wi Bohyeong despises Lee Chohye and refuses her affection. Doing so, he makes her feel insulted. As a result, Lee Chohye totally loses her affection for Wi Bohyung. Instead, she tries to seduce the king and gain the regal power. People around Mrs. Yang and the narrator do not directly criticize Yang-buin in the work, despite her desire leading all to a big tragedy. As Lee Chohye commits immoral acts continuously, Wi Bohyeong criticizes her bitterly many a time. However, the narrator does not keep a distance from her and gives sympathy to her. Since Lee Chohye seduces the king and has obsessed with the royal authority, her desire and whole life have been criticized by the narrator and other characters. Accordingly, Yang-buin is also criticized as well. In contrast, Gan Okji appears as a character with an animal-like appearance and inner self. Any valid excuse for his desire or behaviors is hardly presented in the work. In conclusion, Cheonsuseok evaluates a villain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kind of desire he/she has. Furthermore, the work depicts the meaning of evil acts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drove him/her to become a villain.

      • KCI우수등재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의 빌런 활용 전략 연구 : 시리즈 서사는 어떻게 연장되는가?

        안숭범(Ahn, Soong-Beum)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2

        이 연구는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의 캐릭터 운용 전략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시리즈화에 영향을 끼친 결정적 동인을 파악한다.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게임 체인저로서 빌런에 대한 서사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면서 ‘실현된 서사 세계’ 내에 긴장성을 부여한다. 특히 ‘출생의 비밀’과 관련된 트리거 포인트를 시의적절하게 활용해 적극적인 해석 주체를 통해 재구성되는 ‘가능한 스토리 세계’를 점진적으로 중층화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빌런의 성격화, 탈성격화, 재성격화 과정을 중심으로 주동인물군의 대타적 관계망을 끊임없이 재편한다. 먼저 <에피소드 4>는 다스 베이더를 위압적인 절대악으로 위치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는 레드헤링 효과를 견인하기 위한 사전 포석에 해당한다. <에피소드 5>는 다스 베이더의 과거사에 대한 미묘한 정보들을 베풀면서 가면을 쓴 빌런의 은폐된 사연으로 관심을 유도한다. <에피소드 6>는 빌런의 다면적 성격을 확인시킨 후, 다스 베이더를 향한 수용자의 이중구속적 입장을 복합적으로 자극하는 기획을 선보인다. 특히 수용자는 다스 베이더의 절반만 밝혀진 과거사, 절반만 밝혀진 관계망에 관한 해석 가능성에 의존해 기대와 예측의 담론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실현된 서사 세계’와 ‘가능한 스토리 세계’ 사이의 영역, 곧 ‘상상적 대화 공간’의 비약적인 확장을 이끄는 티핑 포인트를 만들어낸다. 본 논문을 시작으로 시리즈화에 성공한 스토리콘텐츠로부터 잠재적 수용자를 유인하는 최초의 입구를 찾아내 그 전략을 밝혀가도록 하겠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that production of a successful series of <Star Wars> was possible through the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characters from the Classic Trilogy. The Classic Trilogy infuses tenseness within the ‘textual narrative world’ 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narrative information on the villain as the game changer. In particular, it progressively builds up layers of the ‘possible story universe’ being recomposed through the assertive interpretation principal by utilizing trigger points associated with the ‘secrets of birth’ in a timely manner. More specifically, the Classic Trilogy ceaselessly reshuffles the exclusive relationship network of the leading characters with the focus on characterization, de-characterization and re-characterization of the villains. First, <Episode 4> employs the strategy of positioning Darth Vader as an absolute coercive evil. This corresponds to the groundwork to induce the red herring effect. <Episode 5> induces the interests of the audience with a hidden story of a masked villain by releasing subtle information on the past history of Darth Vader. <Episode 6>, after having confirmed the multifaceted personalities of the villain, displays the design that complexly stimulates the doubly binding stances of the audience towards Darth Vader. In particular, the audience establishes the venue for anticipatory and predictive discourse by relying on the interpretive possibilities regarding the past history and relation network of Darth Vader that are only half revealed. Accordingly, the Classic Trilogy managed to generate a tipping point that is able to lead the rapid expansion of the domain between the ‘textual narrative world’ and the ‘possible story universe’, that is,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Beginning with this paper, I will strive to find the initial entrance that entices the potential audience with the story contents that have succeeded in the production of the series in order to disclose the strategies underlying such success.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 ICT 인프라 이상탐지를 위한 조건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에 관한 연구

        신병진,이종훈,한상진,박충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ICT 인프라의 이상탐지를 통한 유지보수와 장애예방이 중요해지고 있다. 장애예방을 위해서 이상탐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다양한 이상탐지 기법 중 최근 연구들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오토인코더라를 활용한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오토인코더가 다차원 다변량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학습 시에는 많은 컴퓨터 자원이 소모되지만 추론과정에서는 연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오토인코더에 2가지 요소를 가미하여 이상탐지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먼저 다차원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속성별 특징을 최대한 부각하여 활용하기 위해 멀티모달 개념을 적용한 멀티모달 오토인코더를 적용하였다. CPU, Memory, network 등 서로 연관이 있는 지표들을 묶어 5개의 모달로 구성하여 학습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의 특징을 데이터의 차원을 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조건부 오토인코더(conditional autoencoder) 구조를 활용하는 조건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Conditional Multimodal Autoencoder, CMAE)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CAME 모델은 비교 실험을 통해 검증했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많이 활용된 오토인코더와 비교하여 AUC, Accuracy, Precision, Recall, F1-score의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유니모달 오토인코더(AE)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Multimodal Autoencoder, MAE)의 성능을 상회하는 결과를 얻어 이상탐지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악의 서사에 나타난 악의 의미 변화

        안상혁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3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Korean TV dramas is the narrative of evil strategy, which positions the villain as the main character. However, one problem to note is that the narrative of evil, in which the protagonist stands on the axis of evil and punishes social evilsin an evil way,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drama format. In the drama narrative, the phenomenon of curiosity about the fascination with the evil of the villain formingthe narrative of evil makes the traditional problem of good and evil fall into a labyrinth, as the lack of goodness and the imperfection of existence in the classical perception are evil. This is why humans with evil tendencies have been described as deformed beings. The philosophical premise that regards evil as non-reality with such a deficiency continued from Plato to Leibniz. However, after Kant, evil is regarded as an object of reality, and perspectives to understand evil in a modern way are provided. This study initially examin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evil, which has formed the view that evil competes with good, not evil that good excludes, and through thisanalyzes the meaning of evil possessed by the villain who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drama Vincenzo. The phenomenon of a villain who commits private revenge rather delights viewers is tantamount to completely overturning Leibniz's theory of defining evil as a lack of good. In the theories of Kant and Kierkegaard, who regarded evil as an active reality, villains are mere beings who deviate from moral lawbut on the other hand are interpreted as beings that question the symbolic system that reproduces the incorrect customary order of society. This arises because the cartel that became a monster of the Babel group in Vincenzo symbolizes reality, which cannot be punished by laws or systems. 최근 한국 TV 드라마의 한 특징은 빌런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악의 서사화 전략이다. 그런데 주목할 문제는 악의 축에 선 주인공이 악의 방식으로 사회 거대 악을 처단하는 악의 서사가 새로운 드라마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영상서사에서 빌런이 지닌 악의 매혹에 대한 호기심이 악의 서사를 형성한다는 현상은 전통적인 선악의 문제를 미궁에 빠지게 한다. 고전적 인식 속에서 선의 결핍과 존재의 불완전성은 곧 악이었기 때문이다. 악한 성향을 지닌 인간을 기형적 존재로 묘사해 왔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처럼 악을 결핍을 지닌 비실재로 간주하는 철학적 전제들은 플라톤 이후 라이프니츠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칸트 이후부터는 악을 실재성을 지닌 대상으로 간주하며 악을 근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들을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이 배제하는 악이 아닌 선과 경쟁하는 악이라는 관점을 형성해 온 악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 <빈센조>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빌런이 지닌 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적 복수를 자행하는 빌런이 오히려 시청자들을 통쾌하게 하는 현상은 악을 선의 결핍이라고 규정한 라이프니츠의 이론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나 다름없다. 악을 적극적 실재로 간주한 칸트와 키에르케고어의 이론 속에서 빌런은 도덕 법칙을 일탈시키는 존재에 불과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의 잘못된 관습적 질서를 재생산하는 상징체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빈센조>에서 바벨그룹의 괴물화된 카르텔은 법과 제도로 응징하지 못하는 현실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Гэсэрийн туужийн өгүүлэмжийг бүтцийн онолын үүднээс задлан шинжлэх нь

        Dashdejid Sukhbaatar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5

        The renowned “Epic of Geser Khan” is a vital part of Mongolian cultural heritage, woven with captivating folklore and legends. When it gained popularity in Mongolia, it led to various versions like “Peking woodblock printed Geser,” “Nomch Khatan’s Geser,” “Monk Zaya Pandita’s Geser,” “Zamlin Senchin’s Biography,” “Mongolian Lin Geser,” “Story of Tseveen’s Geser,” and “Geser in clear script.” In 1959 and 1960, B. Renchin and Ts. Damdinsuren contributed introductions and published these versions in the ‘Mongolian Memorial Writing Conference’ series, providing concise and detailed summaries in terms of content and size. Scholars believe that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he versions of “Peking woodblock printed Geser,” “Monk Zaya Pandita’s Geser,” “Nomch Khatan’s Geser,” and “Story of Tseveen’s Geser” share the similarity. It is suggested that “Yun Fu Se’s Geser,” published in 1716, is considered the subsequent volume of the “Peking woodblock printed Geser.” Hence, the objective is to scrutinize the narrative patterns within the novels “Yun Fu Se’s Geser” and “Peking woodblock printed Geser”, aiming to clarify and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versions. It is a method of imagining epic events without a specific sequence. When comparing the two volumes, Firstly, it follows a common sequence in Mongolian epics. Time is often emphasized at the start, detailing the hero, his loyal companion, the assisting knight, and sworn oaths. Various obstacles are then introduced in diverse ways. Secondly, despite the Hero’s triumph, a contradiction arises as the seeds of suffering ripen within him. In Geser’s youth, an archenemy seizes his possessions and robs his parents, leading to Geser’s growth into a hero. This recurring pattern shap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ovel. The ensuing analysis employs structural theory to explicate internal connections, detailing how a fixed typology was utilized to iterate and elaborate upon the content of Geser’s novel. Thirdly, the queen gets captured, the hero’s home faces an invasion, and the hero chases and rescues, restores order, defeats enemies, and gains glory. The story of the Mongolian epic revolves around two main themes: the adventure of the hero’s wedding, and the battle against the monster, witch, or the other tribes. Based on these two themes, the new chapters of Geser’s novel, enriched with stories of heroes’ adventures, and heroic battles were created in interaction with oral and written traditions. Chapters XII and XIII of “Yun Fu Se’s Geser” exhibit a similar syntagmatic structure to the battle group featuring Sharaygol’s three kings in “Beijing Tiger’s Geser.” However, in “Yun Fu Se’s Geser” the events unfold on a grand scale, characterized by a high narrative frequency and a rich linguistic composition. Notably, these chapters align more with the tradition of written literature, preserving a distinct emphasis on detailed character descriptions and pronounced event depictions, in contrast to the oral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