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 타당화

        성영화 ( Young Hwa Sung ),이지영 ( Ji Young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교사 201명이었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절차는 예비문항 구성과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본 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Cronbach a 계수를 살펴봄으로써,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 결과이다.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의 문항 변별도는 카이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14문항은 문항 변별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다문화적 효능감은 일반 효능감, 수업 효능감, 분위기 효능감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다문화적 효능감과 다문화 신념 간에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이다. 일반 효능감은 .83, 수업 효능감은 .91, 분위기 효능감은 .89로 나타났고, 14문항의 신뢰도 검증 결과 .92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측정하기에 타당하고 신뢰도운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ion of multicultrual efficacy scale for young children`s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young children`s teacher who work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procedure of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validation was consisted of preliminary items, content validation questions,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investigation.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r and Cronbach`s 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is result the validation. The validation about the item of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was investigat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14 items showed that there is a question of discrimination. and result of the construct validity, multicultural efficacy of young children`s teacher was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factor: multicultural general efficacy, multirulc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climate effica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belief of young children`s teacher were correlated. Second,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is result the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Cronbach a of multicultural general efficacy was 83, multirulcural teaching efficacy was .91, multicultural climate efficacy was .89, 14 items were .92. Therefore multicultural efficacy of young children`s teacher were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Kyou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26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92±0.54점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연령(F=4.516, p=.012), 다문화 학생과의 수업경험(t=2.131, p=.034), 외국어 수강경험(t=2.133, p=.034), 외국인 친구(t=2.759, p=.0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개방성(r=.396, p<.001), 다문화수용성(r=.471,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고정관념(r=-.464,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국인 친구(t=2.021, p=.048), 고정관념(t=-6.363, p<.001), 다문화 수용성(t=6.122, p<.001)으로 나타났고, 다문화 효능감을 3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gree of multicultural openness, preoccup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of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ncreased multicultural efficacy. This research involved 299 nursing students in B and Y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8, 2017 to 28.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In results of the study, multiculture efficacy appeared as 3.92±0.5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efficacy with age, experience of clas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experience of other languages class, foreign friend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openness(r=.396, p<.001),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r=.471, p<.001),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preoccupation (r=-.464, p<.0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36.1% of variance i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efficacy can by age, foreign friends, preoccup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this research requires the fellow study to determin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education and program that can enhance multicultural efficacy is requir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송미경,전인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제주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은 다문화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일반생활, 수업기능, 인간관계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모두 유의하게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하위변인 중에서 수업기능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For that purpose, surveys were performed on 300 teachers in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Seoul, Incheon and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PSS 23.0 program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o use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a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hich has three sub factors such as general life teaching efficacy, teaching function efficacy and human relations teaching efficacy mediate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these sub factor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ing function efficacy was the largest. This result should recogniz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재,Kim, Eun Jae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21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Metho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WIN 25 program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multicultural awareness (β=0.30, p<001) and multicultural efficacy (β=0.49, p<.001), and multicultural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model, among the variabl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multicultural efficacy variable had a greater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oth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57.5% (F=59.33, p<.001). Conclusion: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of nursing students ar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broaden acceptance.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

        신혜경,최미영 미래음악교육학회 2019 미래음악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the subject of music.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89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were generally positive; they generall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in the classroom,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and in teacher education. However,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elt burdened by the practical and specific aspects of teachers’ tasks that occur in a multicultural school environment. Second, the music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was higher than average; while teach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 in terms of promot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However, their efficacy was relatively low regarding dealing with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Third,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ccording to school level. However,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l variables except gender. Four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implications for music teach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great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music teachers to develop their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s and efficacy concerning competency in undertaking multicultural tasks. Second,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required. 본 논문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 실태를 분석하여 음악교과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는데 있다. 전국 초・중등학교 음악교과 담당교사 289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 배경 변인에 따른 다문화 교육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다문화 교육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 교사교육의 필요성 등 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태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 변인에 따른 다문화 교육태도는 학교급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실제 업무 역량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 다문화 관련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안은경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30

        다문화대상자에 대한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비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은 문화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필수요소인 다문화 지식의 습득이 필요하며 다문화대상자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수용적인 태도와 다문화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인 다문화 효능감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탐색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83명이며, 2023년 11월 1일~12월 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3.05±0.76), 다문화 수용성(3.88±0.49), 다문화 효능감(58.50±18.66)은 중간정도의 수준이었다. 다문화 지식은 다문화 수용성(r=.33, p<.001), 다문화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r=.61, p<.001)가 있었고,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r=.45, p<.001)가 있었다. 외국인과의 교류경험, 다문화 지식 및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효능감의 45%을 설명하였으며, 다문화 지식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β=.47, p<.001).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을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및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In order to provide nursing services to multicultural clients, nursing students who are prospective nurses must have cultural competen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cquire multicultural knowledge, an accepting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multicultural patients and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egree of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3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from November 1 to December 8, 202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knowledge(3.05±0.76), multicultural acceptance(3.88±0.49), and multicultural efficacy(58.50±18.66) were at a medium level. Multicultural knowledg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r=.33, p<.001) and multicultural efficacy(r=.61,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efficacy(r=.45, p<.001).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foreigner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explained 45% of multicultural efficacy, with multicultural knowledge appearing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β=.47, p<.001). Multicultural efficac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ultural competency of nurses caring for multicultural pati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o acquire specific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ism. However, since research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efficacy is insufficient, future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 KCI등재

        간호사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현주,변은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gree of nurse's multicultural experience,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of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e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ncreased multicultural efficacy. This research involved 270 nurses who were working at 8 general hospital with at least 200 beds in B city and G do.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5, 2015 to July 28. The analyzed by th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The degree of multiculture efficacy with the nurses was 50.51±6.72.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efficacy with variab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perception(r=.621, p<.001), between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ttitude(r=.480, p<.0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40.7% of variance in nurses multicultural efficacy can by experience of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increasing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re required. 본 연구는 간호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B시와 G도에서 200병상 이상의 9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15일부터 2015년 7월 28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다문화 효능감 50.51±6.72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인식(r=.621, p<.001), 다문화 태도(r=.480, p<.001)는 다문화 효능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문화 인식(t=8.956, p<.001), 다문화 태도(t=3.158, p=.002)로 나타났고, 다문화 효능감을 40.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효능감과의 관계

        전미순 다문화건강학회 2022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2 No.2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erception, acceptance,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From April 1st to April 22nd, 2021, data were collected from B nursing college students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from 111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multicultural perception, acceptance,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ere 3.42±0.25, 3.87±0.32, and 4.00±0.4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 acceptance, and 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r =.485, p<.01),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r =.592, p<.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r =.469, p<.01).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s high,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efficacy are improv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rategies need to be continuously evolved and further education planned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y improving their level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cceptance, and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재우(Han Jae Woo),김용기(Kim, Yo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04월 1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 효능감 및 인권의식 상호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은 다문화 교수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모든 하위요인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다문화 교육역량 및 다문화 교육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 awareness, and then it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it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apabilit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pective childr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The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Baron and Kenny’s the three step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look if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 awareness would be appear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mpa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ev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awareness . it mean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Second, human rights awareness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 appeared partial mediating effect vetwe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rest of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directl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However, it also previ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increa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pp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