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맥락적 도덕성에 관한 검증적 연구

        이옥형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rend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general morality reasoning and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2. Wa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lation context(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riends and teachers)? And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situation context(home and scho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first and third grad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ral Orientation Scale Using Dilemmas' and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Scale' were used for this research .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major finding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Care-oriented morality was higher than justice-oriented morality in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Specially female students' car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ustice-oriented morality and care-oriented morality of general morality reasoning. 2.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different among relation context. That is, justic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the highest at relation with teachers, the other hand it was the lowest with relation of friends. Car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almost same level high at relation with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riends. The other hand it was the lowest at relation with teac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ituation context(home and school)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일반적 도덕성과 맥락적 도덕성이 도덕지향성(정의지향성, 배려지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맥락적 도덕성은 맥락(관계맥락, 상황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밝힘으로서 우리나라 중학생의 맥락적 도덕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과 3학년 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Kohlberg 식의 가상적 사태의 ‘일반적 도덕지향성 검사’와 중학생이 경험하는 실제적 사태의 ‘맥락적 도덕지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증, 변량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도덕성은 정의지향성과 배려지향성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맥락적 도덕성은 정의지향성보다 배려지향성을 더 높게 나타냈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배려지향성을 나타냈다. 둘째, 맥락적 도덕성의 도덕지향성은 관계맥락(부모·형제·친구·교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친구와의 관계에서 가장 낮았다. 맥락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은 부모·형제·친구와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높았고, 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배려지향성이 맥락적 도덕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배려지향성 연구는 가상적 사태의 ‘일반적 도덕지향성 검사’보다 실제적 사태의 ‘맥락적 도덕지향성 검사’가 좀 더 적절함을 제안했으며, 성별 및 학년별 차이가 적게 나타난 결과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리학에서의 도덕적 추론의 성격

        김철호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Neo-confucianism includes two model of moral reasoning. One is deductive reasoning, the other is coordinate reasoning. Deductive reasoning is a useful device for the normal situation. However, we admit into our reflection the instability of the world, we need to adopt a different perspective by seeing moral rules as needing constant adjustment to the changing scenes of life. Coordinate reasoning isn't described linearly. The descriptive nature of Jen cannot be spelled out in advance of the actions and efforts of the agen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ideal. In this reasoning, therefore, moral agent uses a number of logically independent factors or premises, cooperatively, in producing a non-logically compelling yet reasoned conclusion. These two models are complementary in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In normal situations, deductive reasoning functions chiefly, in exigent situations coordinate reasoning does. 이 연구는 성리학에서 나타나는 도덕적 추론의 유형과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에서 도덕적 추론은 연역적 추론과 조합적 추론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연역적 추론은 성인의 언행을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중시되어온 도덕적 표준들을 대전제로 삼는 추론이다. 이러한 추론은 도덕적 판단이 보편적 표준에서 도출되었을 경우에만 정당화된다는 점에서 ‘상향적, 수직적’ 사고패턴을 보인다. 조합적 추론은 기존의 표준이 없거나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예외적 상황에서 행해지는 추론이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독립된 다수의 요소들과 전제들을 협응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평적, 개방적’ 사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일상적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행위자의 자율성이 문제되고 후자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판단의 객관성이 문제될 수 있다. 이처럼 양자는 대조적 측면을 지니지만, 상보적 측면을 지니기도 한다. 기존의 표준들은 도덕에 대한 통찰력의 보고로서 개방적 추론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추론의 결과는 공동체의 검토를 거쳐 연역적 추론에서 대전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에는 양자를 별개의 것으로 보기보다는 전자는 도덕성 발달의 초보적 수준에서, 후자는 도덕성 발달의 성숙한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성리학에서의 도덕적 추론의 성격

        김철호 ( Cheol Ho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Neo-confucianism includes two model of moral reasoning. One is deductive reasoning, the other is coordinate reasoning. Deductive reasoning is a useful device for the normal situation. However, we admit into our reflection the instability of the world, we need to adopt a different perspective by seeing moral rules as needing constant adjustment to the changing scenes of life. Coordinate reasoning isn`t described linearly. The descriptive nature of Jen cannot be spelled out in advance of the actions and efforts of the agen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ideal. In this reasoning, therefore, moral agent uses a number of logically independent factors or premises, cooperatively, in producing a non-logically compelling yet reasoned conclusion. These two models are complementary in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In normal situations, deductive reasoning functions chiefly, in exigent situations coordinate reasoning does.

      • KCI등재후보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도덕적 추리 ― 헤어의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 도덕 추리론 ―

        류지한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1 No.-

        이 글은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 도덕 추리론에 대해 고찰한다. 헤어는 자연주의와 직관주의에 대한 전통적 비판과 실존주의의 결단주의를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비합리주의를 거부한다. 그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 분석에 기초해서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적 도덕 추리론을 전개한다. 헤어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도덕과 유관한 사실’을 결합하여 도덕 추리 체계를 구성한다. 헤어에 의하면 도덕적 개념의 논리는 규정성과 보편화 가능성이고, 도덕과 유관한 사실은 사람들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다. 도덕적 개념의 논리는 ‘보편적 규정 가능성’의 요구를 도덕적 추리의 규준으로 제시함으로써 도덕적 추리를 형식적으로 규제하고, 도덕과 유관한 사실은 관련된 당사자들의 선호 또는 규정을 알려줌으로써 도덕적 추리를 실질적으로 규제한다. 따라서 보편적 규정주의의 도덕 추리 방법은 우리가 우리 자신과 타인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알고 있는 경우에도, 보편적 속성이 동일한 모든 경우에 대해서 기꺼이 보편적으로 규정하고자 의욕할 수 있는 원리를 도덕 원리로 채택할 것을 요구한다. 헤어에 의하면 보편적 규정주의 도덕 추리 방법은 공리주의를 산출한다. 왜냐하면 도덕 추리체계를 구성하는 ‘규정성 논제’와 ‘보편화 가능성 논제’ 그리고 ‘완전한 표상의 논제’는 추리의 과정에서 서로 결합하여 관련된 당사자들의 선호에 평등한 비중을 줄 것을 요구하는데, 그럴 경우 우리가 기꺼이 보편적으로 규정하고자 의욕할 수 있는 도덕 원리는 관련된 당사자 모두를 위해서 전체적으로 선호 만족을 극대화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헤어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사실에 기초해서 황금률 논법을 발전시킴으로써 자연주의의 오류와 직관주의의 순환 논증의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 도덕 추리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헤어의 방법은 도덕적 추리의 중립성과 객관성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헤어의 중요한 성취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studies the universal prescriptivist theory of moral reasoning in R. M. Hare. Agreeing the traditional criticisim against naturalism and intuitionism, Hare developes the anti-intuitionist and non-naturalist theory of moral reasoning on the basis of the logical analysis of moral concepts. Hare attempts to construct a system of moral reasoning. According to Hare, a system of moral reasoning is compounded of two necessary ingredients. The first requisite is the logical apparatus provided by the logic of moral concepts; prescriptivity and universalizability. The second requisite is morally relevant facts. He proposes the likely effects of possible actions on preference-satisfaction of people as candidates for morally relevant facts. According to Hare, the logic of prescriptivity and universalizability restricts moral reasoning formally by providing canons of moral reasoning, i.e., the requirements of universal prescribability. Morally relevant facts restricts moral reasoning substantially by informing of preference or prescription of affected parties. Therefore, the universal prescriptivist method of moral reasoning requires that we adopt the principle which we can be willing to prescribe universally for all situations identical in their universal properties, even if we are in full cognizance of morally relevant facts. Hare argues that this method of moral reasoning generates utilitarianism. According to his argument, the moral principle that we can be willing to prescribe universally for all situations identical in their universal properties, is the principle that maximizes the preference-satisfaction, in sum, of all those affected. Hare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moral philosophy by means of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theory of moral reasoning which can avoid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the circular argument of intuitionism on the basis of logic and facts alone.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생의 도덕민감성과 도덕판단력의 비교 연구

        이지혜(Ji Hye Lee),문용린(Yong Lin Moon),김지영(Ji Young Kim),손희정(Hee Jung Son),홍경표(Kyung Pyo Hong) 한국의학교육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traits of moral sensitivity and reasoning over six years of medical school.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17 first to sixth-year medical students of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Korea. Essay type questionnaire was used for evaluating moral sensitivity and the Korean-Defining Issues Test (KDIT) was used for evaluating moral reasoning.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edical students’ sensitivity of ‘public welfare’, ‘prospective result’ and ‘role-taking as a doct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e-medical students’. Moral sensitivity increased in the 3rd and the 4th years but decreased in the 5th and the 6th years. Moral reasoning decreased in the 3rd and the 4th years but increased in the 5th and the 6th year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reasoning (r=0.033). Developmental trends of moral sensitivity and reason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year of medical school.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edical school curriculum tends to impct students moral sensitivity. This school has implemented the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into the 3rd and the 4th yea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student’s morality when developing an effective medical ethics program.

      • KCI등재

        도덕적 자동항법장치와 파일럿: 그린(J. Greene) 이중과정이론의 규범적 함의

        양선모 ( Yang Sun-m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도덕적 판단이 이성과 추론의 전유물이라고 간주하는 합리주의의 전통과는 다르게 많은 경우 일상적 판단은 신속하고 자동적인 감정과 직관에 의존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그린은 도덕적 판단이 직관과 추론의 이중과정을 통하여 도출된다는 이중과정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그는 직관과 추론을 `자동설정과 수동모드`에 비유하는데, 이는 직관의 효율성과 추론의 융통성이라는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비유이다. 그린에 의하면 효율적인 직관은 일상적인 문제의 처리에 적합하지만 유전이나 문화, 개인적 경험 등에 의하여 준비되지 않은 새로운 문제에 관하여는 편향성이나 오류를 드러낸다. 따라서 그린은 직관이 한계를 노정하는 도덕 문제에 관한 한 추론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린의 이론은 현대 사회의 새로운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범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천적으로도 그리고 윤리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 함축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함축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그의 규범적 주장을 뒷받침해 줄 충분한 과학적 증거와 추가적인 윤리학적 논의가 필요하다. 그린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자동항법장치와 파일럿`이라는 직관과 추론에 관한 새로운 비유를 제시한다. 이러한 비유를 통하여 현대사회의 도덕문제를 적절하게 다루기 위한 직관과 추론의 역할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Unlike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which considered moral judgment originated from reason and reasoning, most cases of daily judgments depend on quick and automatic emotion and intuition. Recently, J. Greene suggested dual process theory in these regards that moral judgment is derived from a dual process of intuition and reasoning. He compared intuition and reasoning to `automatic settings and manual mode,` that is, a metaphor to show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efficiency of intuition and flexibility of reasoning. According to J. Greene, though efficient intuition is appropriate to handle daily problems, it would show biases or errors in regard of new problems which would not be prepared for by heredity, culture, and personal experiences. Therefore, J. Greene insisted that reasoning should be applied for new moral issues which moral intuitions are not appropriate to deal with. The theory of J. Green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oral practice and ethics in that it may provide normative guidelines for solving the contemporary new moral problems in global age. But both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s and additional ethical arguements to support his normative argument are required for realizing its implications. Based on J. Green`s argument,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aphor of `the moral autopilot and the moral pilot` about the intuition and reasoning. Through this metaphor, the role of intuition and reasoning to properly deal with moral issues in modern society could be clearer.

      • KCI등재

        도덕 판단에서 이성과 감정의 상보성에 대한 신경과학의 설명과 도덕교육적 함의

        김국현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15 Brain, Digital, & Learning Vol.5 No.3

        This paper discuss relation between reason and emotion in life and functions of emotion and reason in moral judgement and moral motivation. The contrast between reason and emo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moral psychology of the Western ethical tradition. However, if we turn to Wang Yang Myung’s The Records of the Teachings of the Masters, there seems to be no such contrast of comparable importance. Wang does not employ the contrast between reason and emotion to assert the need for the primacy of reason. He does see complimentary relation between reason and emotion in moral cognition and moral motivation. Emotion and feeling have the following functions for moral awareness and moral behavior such as facilitating moral action choices, motivator for moral action, motivator to think, connecting conscious reason to basic biological needs, relating reason as a conscious logical processing to the complex contents and connections held in the subconscious. Through these functions, Emotions are tools of moral recognition and moral motivation. But for the most successful moral functioning, emotions need to be consciously examined by logical moral reasoning. Task of Moral education is an cultivation of moral emotion of students. And so, it is most important to design and implem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reflecting emotion and feeling.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통합

        강인구(In-Gu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역할을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판단을 통하여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도덕 심리학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과정과 기능에 대한 논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ohlberg로 대표되는 도덕적 추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성 발달이론으로 이성적 도덕성을 강조하는 Kant의 관점을 바탕으로 도덕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에 최근에 Haidt는 경험론적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제안하면서 도덕 직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도덕적 판단과정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고, 통합적인 관점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인성교육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인성교육에서는 도덕직관에 비해 도덕적 추론을 덜 강조하고 있지만, 최근의 인성교육의 방향이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moral intuition and moral reasoning in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tresses on education for moral behavior by moral judgment. Recently, there is constant controversy concerning the process and function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intuition in moral psychology research. Kohlbergian (moral reasoning approach) based on philosophically Kant’s rational morality. In contrast,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moral intuition approach) based on empiricism. This study attempts to merge the two lines of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common points between moral reasoning approach and moral intuition approach in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propose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ive education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intuition.

      • KCI등재

        추론에 대한 두 가지 관점, 그리고 도덕 추론 발달을 위한 협력적 추론의 필요성

        이인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4 초등도덕교육 Vol.- No.86

        이 연구는 추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상이한 견해를 보이는 두 관점을 메르시에와 모시먼의 주장을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양자가 도덕 추론의 발달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가 보기에 메르시에가 말한 추론은 모시먼이 정의한 사고에 가깝고, 따라서 두 관점은 우리의 도덕적 사고를 보다 높은 수준의 도덕 추론으로 발달시켜야 한다는 발달적 관점으로 수렴될 수 있다. 또한 두 관점 모두 타인과 함께 서로의 도덕적 사고를 조정해가면서 보다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이해를 구성해가도록 하는 협력적 추론이 도덕 추론을 발달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도덕 추론의 발달에 기여하는 협력적 추론이 도덕과 교육에서 보다 강조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I reviewed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reasoning, focusing Hugo Mercier and David Moshman’s theory. And I tr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on moral education. In my view, Mercier's ‘reasoning’ is close to the ‘thinking’ defined by Moshman. Therefore, the two perspectives can converge to a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at our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of reasoning. And collaborative reasoning, which allows one to coordinate one's moral thinking with others and construct a higher level of moral understanding,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argued that collaborative reasoning,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bility,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moral education.

      • Wilson과 Cowell의「대화의 도덕교육」에 나타난 도덕성, 신법, 덕목과 도덕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남궁달화 ( Dal Wha Namkung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도덕교육을 종교교육으로 보는 사람들은 신법이, 덕목교육으로 보는 사람들은 전통적인 성현의 말씀으로 구성된 덕목이, 도덕적 문제 해결능력으로 보는 사람들은 도덕적 추론하기가, 도덕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법과 덕목은 구체적인 내용인데 비해 추론하기는 형식이다. 신법과 덕목의 도덕교육은 권위의 수용과 전달하기에 의존하는데 비해 추론하기는 절차 및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도덕적 이유에 의존한다. 문학작품 등의 ``이야기``는 선ㆍ악의 개념 이해와 사람들의 정서ㆍ감정의 인식을 계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상처를 주는 엄연한 사실적 지식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ㆍ감정의 인식 하에,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타인의 이익고려 원리를 준거로 도덕적 문제를 인식ㆍ사고ㆍ판단하여 행동하기에 이르는 일련의 도덕성 요소들로 구성된 문제해결의 과정은 도덕적 추론하기를 위한 절차와 방법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도덕교육은, 도덕성이 인지ㆍ정서ㆍ행동 영역으로 구성되는 통합체이듯이 각각의 영역에 따른 적절한 방법들이 상호참조 하에 활용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religious education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divine law,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to internalize traditional virtues what are said by saints from olden times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virtues, and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capacity of moral problem solving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moral reasoning. While divine law and virtues are concrete ``content``, moral reasoning is ``form``. Moral education based on divine law and virtues depends on transmitting them to children and accepting authorities, but moral education based on moral reasoning depends on moral justification produced from a set of procedures and methods. Those stories supplied by writers are proper materials to use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good and the evil and recognizing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while the process of moral problem solving consisted of a set of moral components is proper procedures and methods to use for moral reasoning and ``form`` approach. (The moral components are : concern for other people as equals, awareness of feelings and emotions in other people, knowledge of the hard facts relevant to moral situations, and knowing non-propositional skills in dealing with people, noticing, thinking and deciding moral problems, and translating the decisions into action.) However, moral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different methods are, under cross-reference, properly used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 of morality, because morality is an integrative whole consisted of different aspects, that i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