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영(Hye-Young Park),최인덕(Induck Choi),오세관(Sea Kwan Oh),우관식(Koan Sik Woo),윤순덕(Soon Duck Yoon),김현주(Hyun-Joo Kim),심은영(Eun-Yeong Sim),정석태(Seok Tae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s-18이 92.3 g, 69.4 g, 63.8 g을 나타냈고, 흰찰쌀보리 그룹인 Hcs-6, Hcs-14, Hcs-20은 62.3 g, 42.2 g, 32.2 g을 나타내 도정률과 품종 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P<0.05), 주박함수율은 도정률 증가에 비례하였다. 한편 Ss-8, Sdj-8의 주박량은 19.0 g, 7.7 g으로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냈다. 원료 도정률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은 증가, 그 외 성분은 감소하였고, 그중 회분은 막걸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pH, 총산 함량, 아미노산도는 도정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정 정도를 달리하는 원료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과 함유된 영양성분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알코올 함량은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종 간 차이를 보였고 보리 막걸리는 10.7~11.8°Brix, 14.07~15.07%로 쌀 막걸리 12.0~12.2°Brix, 17.27~17.77%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도정에 따른 원료곡의 색차이는 막걸리의 색도에도 영향을 주어 도정률 증가에 따라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발효와 관련한 유산균수는 Ss-4, Ss-12, Ss-18이 7.21, 6.99, 6.67 log CFU/mL였고, Hcs-6, Hcs-14, Hcs-20은 6.14, 5.39, 5.65 log CFU/mL로 도정률 증가에 따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효모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막걸리의 주요 품질로 현탁안정성이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여 도정률 조정으로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ivar and milling degree of barle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barley Makgeolli and rice Makgeolli. Saessal-bori groups (Ss-4, Ss-12, and Ss-18) showed dry lees contents of 92.3 g, 69.4 g, and 63.8 g, respectively, whereas Huinchalssal-bori groups (Hcs-6, Hcs-14, and Hcs-20) showed contents of 62.3 g, 42.2 g, and 32.2 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milling degrees and cultivars (P<0.05). The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raw materials decreased with elevated milling degree. Especially, ash content of raw materials had a direct effect on Makgeolli. The pH, total acidity, and amino acidity milling with elevated decreased degre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sugar or alcohol content in Makgeolli according to milling degree of barley,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ivars. Barley Makgeolli showed total sugar and alcohol contents of 10.7∼11.8°Brix and 14.07∼15.07%,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12.0∼12.2°Brix and 17.27∼17.77% in rice Makgeolli (P<0.05). Differences in colors of raw barley according to milling degree had effects on chromaticity of Makgeolli; as milling degree increased, L and b values increase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were 7.21, 6.99, and 6.67 log CFU/mL in Ss-4, Ss-12, and Ss-18, respectively, as well as 6.14, 5.39, and 5.65 log CFU/mL in Hcs-6, Hcs-14, and Hcs-20, which suggests significant reductions with increased milling degree (P<0.05). The same trend was observed in yeast as a key quality of Makgeolli. Suspension stability differed depending on milling degree, so it is expected that suspens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milling degree.

      • SCOPUSKCI등재

        전자눈 및 백도 분석을 이용한 쌀의 도정도 판별

        홍지화(Jeehwa Hong),최경후(Kyung-Hu Choi),홍성희(Sunghie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에서는 전자눈 및 백도 분석을 이용하여 현미 및 도정분도가 다른 쌀을 대상으로 도정도 판별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수집된 벼 95점을 대상으로 M·E 시약처리를 통해 시약 반응을 확인한 후 전자눈 장비를 이용하여 285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총 4,096개의 칼라 코드 중 도정도의 판별에 우수한 식별능을 나타내는 색깔 코드 28개를 선발하였다. 28개의 칼라 코드를 이용하여 쌀 도정 분도별 판별식을 작성한 결과 현미, 5분도,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의 시료 모두가 정확하게 분류되는 적중률은 86%로 나타났다. 판별식 작성에 활용되지 않은 95점의 미지시료(285개 이미지)를 이용하여 판별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현미는 100%의 정확도로 판별이 되었으나, 5분도는 78.95%, 7분도는 80.70%, 10분도는 94.74%, 12분도는 61.40%의 정확도로 5개 집단의 평균 판별 정확도는 83%이였다. 특히 5분도 및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 간에는 판별되는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190점 샘플에 대하여 도정도가 다른 570개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도정도 판별식의 실용적인 활용 체계 구축을 위하여 전자눈 분석에 사용된 시료를 이용하여 백도를 분석한 결과, 도정도가 다른 5개 그룹 간에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현백율과 백도의 회귀식 결정계수값은 0.955로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었고 상관계수 값은 0.977로 현백율 수치가 높을수록 백도 값은 낮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자눈 판별식과 백도 데이터를 이용한 도정도 판별 방법은 향후 도정도 판별 시 기준이 되는 객관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thods for discriminating the milling degree of rice using an electronic eye and whiteness. A total of 95 samples of different degrees of rice were used to develop the discriminant. After the rice was treated with methylene blue and, eosin Y, an electronic eye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egree of milling of the rice. Among the 4,096 color codes of the electronic eye, 28 color codes were selected to develop the discriminant of the milling degree. The classification rate by milling degree was 86 %. To verify the developed discriminant, 95 new samples were applied, the discrimination accuracy was an average of 83 % and ranged between 61.4 and 100 % depending on the degree of mill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illing degree and whiteness was found to be 0.977. The discriminant developed with the electronic eye and whiteness data will be useful as an objective tool to determine the milling degree of rice.

      • SCOPUSKCI등재

        전자코를 이용한 도정 및 저장에 따른 쌀의 휘발성분 패턴 판별

        한현정(Hyun Jung Han),동혜민(Hyemin Dong),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2

        쌀의 도정도에 따른 휘발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코 분석을 시행하여 보았다. 그 결과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대조구인 공기와 DF1의 거리가 가까워져 적은 휘발성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정도를 전자코로 판별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도정도에 따른 쌀의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휘발 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쌀을 저장 하였을 경우 지방의 산패가 일어나게 되고 이는 곧 이취로 이어지게 되기 때문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휘발 성분이 많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latile compounds in rice under various milling degrees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Less volatile component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rice with a lower milling degree. Milling degree resulted in a shift of DF1 to the left side of the DFA plot. This indicated that the DF1 scores were correlated with the milling degree of rice. Brown rice was found to have more volatil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milling degree. Thus, rice prepared at different milling degrees could be effectively discriminated with electronic nose analysis. Moreover, more volatile components were detected with an increase in storage time. A slight change in volatile components was found with an increase in the milling degree. The electronic nose could predict the milling degree and storage time of rice.

      • KCI등재

        도정도에 따른 쌀의 침지 특성 및 쌀입국의 발효 특성

        이석준(Lee, Seok-Jun),공태인(Kong, Tae-In),정철(Cheong, 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논문의 목적은 청주의 원료인 쌀의 도정도가 고두밥 및 쌀입국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쌀도정에 따른 수분흡수량 및 입국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연구기간은 8개월 소요되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도정미의 단백질 성분구성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질 및 회분 성분은 20% 도정시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 그 이상 도정시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도정미의 침지시 도정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으며 최대 수분흡수율도 높았고, 침지 초기에는 수온이 높을 때 수분흡수가 빨랐으나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수온이 낮을 때 수분흡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최대흡수율도 높아졌다. 입국 발효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10% 입국시료가 16.3-16.9%(v/v)으로 다른 도정도 입국시료의 17.1-17.5%(v/v)인 것에 비해 낮은 알코올함량을 보였고 침지시간은 영향이 없었다. pH는 도정도 10% 입국이 다소 높았으며 그 외엔 유사하였다. 총산함량은 도정도 10%가 0.71-0.76%로 다른 도정도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도정도 30%인 시료가 0.93-0.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쌀의 도정도는 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고두밥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lling degrees of rice on characteristics of the steamed rice and fermentation of rice koji as a raw material of cheongju. It was studied for 8 months about ratio of water absorption and koji charateristics according to milling degrees. The The more increasing rice milling, the less the protein contents of milled rice was continuously decreased and th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sharply decreased to until the milling degrees 20%,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hen steeping the milled rice, higher milling degrees raised rapid water asorption and higher maximum water asorption, lower water temperature raised gradual water absorption and higher maximum absorption. The longer steeping time, the steamed rice milling degrees 40%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and springness than others. Alcohol contents of the fermented mash with rice koji milling degrees 10% was lower with 16.3-16.9%(v/v) than other sample's 17.1-17.5% (v/v). The total acid contents showed that the milling degrees 10% indicated the lowest content(0.71-0.76%) and the milling degrees 30% indicated highest content(0.93-0.99%). Within the same milling degrees, As the steeping time increases, the total acid contents imcrease. In conclusion, the milling degrees influenced on physicochemical chatacteristics of rice and steamed rice condition.

      • KCI등재

        도정도가 흑미밥의 기계적 및 관능적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세헌,서한석,이광락,이성희,이준영,이지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5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lling degree on the instrumental and sensory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black rice. Methods: Commonly consumed black glutinous rice cultivars (Sinnongheugchal and Heukhyangchal 1) and black non-glutinous rice cultivars (Heugjinju and Sintoheugmi) were milled into three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step 0, 0%; step 1, 4.2%; step 2, 10.5%, w/w), based on the weight percentage of rice layers removed by milling. The effect of milling degree on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black rice was determined. The texture of the cooked white glutinous rice cultivar (Dongjinchal) was compared with the texture of cooked black glutinous rice cultivars. Instrumental textural properties and descriptive sensory analysis of cooked rice samples were performed. The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and sensory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black rice was examined. Results: Among the black non-glutinous rice cultivars, cooked black rice of Heugjinju milled to step 0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level than Sintoheugmi milled to step 0 (p<0.05). Cooked black rice cultivars of Sinnongheugchal and Heukhyangchal 1 milled to step 2 produced similar adhesiveness/hardness to Dongjinchal milled to step 2. Milling degree was found to affect all instrumental and sensory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rice, regardless of black rice cultivars (p<0.01), whereas cultivar was found to affect only limited textural attributes. While hardness measured by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nsory hardness, chewiness, and roughness properties,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nsory springiness, stickiness, and moistness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changes in milling degree of some black rice cultivars improved textural properties, similar to the non-pigmented rice cultivar Dongjinchal.

      • KCI등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 구명

        이점식,박노봉,이종희,조준현,원용재,박향미,천아름,장재기,곽도연,송유천,하운구,이기환,여운상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4

        본 연구는 도정도 5.5%(현백율 94.5%, 7분도)~13.5%(현백율 86.5%, 17분도)별 식미 및 이화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화학특성은 도정을 많이 할수록 백도와 아밀로스함량,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나, 반면 단백질함량, Mg/K 당량비, 지방함량, 취반점도, 밥의 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미관능평가에 의한 식미총평은 도정도 9.5%와 1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현미를 도정하여 남는 쌀의 수율을 고려 할 때 식미총평이 좋은 최적 도정도는 9.5%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론적인 도정도 8%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쌀의 도정도 9% 보다 더 많이 도정한 것이다. 식미와 이화학특성과의 관계는 단백질함량, 아밀로스함량, 취반점도 및 밥의 경도는 부의 상관이, Mg/K 당량비,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식미와 부의 상관이 있는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아밀로스함량은 증가 하는 등 이화학특성들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정도 9.5%~11.5%에서 식미총평이 가장 좋았던 것은 이들 이화학특성들 간에 적정수준의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We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optimal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and minimizing yield los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using five different degree of milling(5.5~13.5%, based on brown rice). With increasing of milling degree, amylose content, breakdown, adhesiveness of cooked rice increased, whereas protein content, Mg/K equivalence ratio, fat content, setback and hardness of cooked rice decreased. In sensory quality test, the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9.5% and 11.5% milling degree. However, considering the yield of milled rice, the optimal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was 9.5%.

      • SCOPUSKCI등재

        품종 및 도정도별 보릿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김은희(Eun Hee Kim),이윤정(Yoon Jeong Lee),이상훈(Sang Hoon Lee),장귀영(Gwi Yeong Jang),김민영(Min Young Kim),윤나라(Nara Yoon),이미자(Mi Ja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는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다한, 흰찰쌀, 흑광, 흑누리 및 보석찰)에 대한 도정도(27, 23, 19 및 15%)별 이화학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7.38-10.09, 8.01-10.58, 9.47-11.62 및 9.03-12.08%(원맥 9.83-12.92%) 범위에서 증가하였다.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도정후의 조지방 함량은 다한이 높았고 조회분은 흰찰쌀이 높았다. 지방산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올레산 및 리놀레산은 증가하였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칼슘, 소듐, 아연, 철 및 망가니즈 순이었다.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도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각 품종별로 강층, 호분층 및 배의 제거정도는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영양학적이나 관능적인 보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도정도를 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el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cultivars (Dahan, Hinchalssal, Heugkwang, Heugnurl and Boseokchal) and with different degrees (15, 19, 23, and 27%) of milling.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with decreasing milling degrees, with content ranges of 7.38-10.09, 8.01-10.58, 9.47-11.62, and 9.03-12.08%, respectively. Further crude lipid and ash content increased with decreasing milling degree. The crude lipid content was highest in Dahan-milled barley, while crude ash content was highest in Hinchalssal-milled barley. As the milling degree decreased, palmitic and stearic acid composition decreased and oleic and linoleic acid composition increased. Major minerals present in the barley powder were Ca, Fe, K, Mg, Mn, Na, and Zn. K and Mg content increased with decreasing milling degre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ptimize the cultivar usage and degree of milling for manufacture of various barley products.

      • SCOPUSKCI등재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보릿가루의 기능성분 함량

        김은희(Eun Hee Kim),이윤정(Yoon Jeong Lee),장귀영(Gwi Yeong Jang),김민영(Min Young Kim),윤나라(Nara Yoon),지영미(Yeong Mi Ji),이미자(Mi Ja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3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에 대한 도정도별 기능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도정도별 총 폴리페놀함량은 도정도가 27, 23, 19, 15%와 원곡으로 감소함에 따라 각각 0.97-1.40, 1.19-1.66, 1.22-1.77, 1.30-1.93과 1.46-2.12 mg/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유색보리인 흑누리와 보석찰이 높았다. 식품섬유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10.79-13.36, 10.78-14.34, 10.34-14.71과 10.47-14.87 g/100 g (원곡 18.21-21.22 g/100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감소하였다. 찰성보리인 흰찰쌀과 보석찰이 식품섬유와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았다. 총 아라비노자일란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GABA 함량은 도정도에 따라 각각 0.33-1.79, 0.33-1.84, 0.48-2.02와 0.55-2.26 mg/100 g (원곡 1.61-4.46 mg/100 g) 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적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품종과 도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functional components of barle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grain varieties (Dahan, Hinchalssalbori, Heukgwang, Huknuri and Boseokchal) and varying milling degrees (27, 23, 19, and 15%).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with content ranges of 0.97-1.40, 1.19-1.66, 1.22-1.77, 1.30-1.93, and 1.46-2.12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s content also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barley powder from Huknuri and Boseokchal grains. Total dietary fiber, arabinoxylan, and GABA content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milling degree. As the milling degrees decreased, β-glucan contents, which was the highest in Hinchalssalbori and Boseokchal, decreased with ranges of 4.98-7.29, 5.26-7.03, 4.84-7.17, 4.84-700, and 4.66-6.33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selection of an appropriate variety and milling degree to achieve a high quality in barley processing.

      • KCI등재

        도정도별 쌀누룩 약주의 품질특성

        최정실(Jeong Sil Choi),여수환(Soo Hwan Yeo),정석태(Seok Tae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7

        도정도를 달리한 쌀누룩이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오대쌀 일반미를 기준으로 도정하여 도정도별(0, 10, 30, 50, 70%) 쌀누룩을 제조하고 그 누룩으로 담근 약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정도별 쌀누룩에 따른 약주의 품질은 처리구 간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약주의 제조 시에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할수록 약주의 pH, 아미노산도, 갈색도, b값 및 색차 ΔE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알코올과 휘발산 함량, 환원당 및 L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의 경우 사과산, 호박산, 젖산이 주를 이루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적인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질소화합물 함량도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아스파르트산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 중 2-페닐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한 약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n-프로판올과 이소 아밀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클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nuruk prepared from r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0, 10, 30, 50, and 70%) on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yakju.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ies of yakju prepared using rice nuruk from r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Specially, pH, amino acidity, brownness, b value, and color differen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degrees of milling increased, whereas contents of alcohol and volatile acid, reducing sugar, and L value were increased. Malic acid,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were the main organic acids in yakju,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malic acid, lactic acid. However, there was no tendency according to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In addition,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and nitrogen compounds showed no tendency according to degrees of milling, whereas the content of aspartic aci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significantly. The content of 2-phenyl alcohol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ignificantly with higher degree of milling of rice nuruk, whereas contents of n-propanol and iso-amyl alcohol tended to decrease significantly.

      • KCI등재

        일품벼와 추청벼의 도정률 차이의 작물학적 요인분석

        김덕수,김선림,송진,허온숙,김정태,이춘기,김재현,김기종,서세정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3

        쌀 수입 개방과 소비량이 감소되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 되면서 소비자는 고품질의 농산물을 추구하게 되었고, 밥맛이 좋은 품종 및 재배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일품벼를 육성하여 농업인에게 보급하였고 밥맛이 좋으면서 단위면적당 쌀수량이 많아서 농업인이 선호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품벼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되는 단계에서 농협 및 지자체에서 쌀을 브랜드화 하면서 대형 미곡종합처리장이 설립되고 시설이 좋아지면서 벼를 산물로 수매하게 되고, 도정률에 의한 차등수매 체제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도정률이 낮은 품종을 미곡종합처리장 에서 수매를 기피하게 (RPC) 되고 이는 농업인이 외면하는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도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일품벼의 도정률을 향상시키고,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이삭당 영화수는 일품벼가 105개, 추청벼가 70개로 일품벼가 35개 많았으며, 지경별로 보면 1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 56.2%, 추청벼 61.4%로 추청벼가 많고, 2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가 43.3%, 추청벼가 37.9%이었다. 2. 등숙정도를 정조의 비중선에 의하여 분류하면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충실도가 낮았는데, 일품벼와 추청벼의 차이는 정선 후에 0.47%, 비중 1.00에서 1.28%, 비중 1.10에서 6.27%, 비중 1.20에서 31.67% 낮았다. 3. 왕겨 1개의 무게는 일품벼 4.16 mg, 추청벼 3.92 mg이었으며, 정조 1 kg의 왕겨 무게는 일품벼 157.36 g, 추청벼 151.31 g으로 왕겨비율은 일품벼는 15.74%, 추청벼는 15.13%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61% 높았다. 4. 도정률은 콤바인 수확 산물벼의 정현비율은 일품벼가 81.22%, 추청벼가 82.52%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1.30% 낮았고, 현백비율은 일품벼가 92.14%, 추청벼가 92.51%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37% 낮았다. 5.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도정률이 1.67% 낮은데 요인별로 분석 하면 왕겨의 무게 0.61%, 현백비율 0.37% 및 등숙정도 0.69%이다. 이는 왕겨무게와 현백비율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극복하기 어렵지만 등숙정도에 영향하는 0.69%는 재배 및 수확 후 관리를 철저히 할 경우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the factor effected by milling rice rate, and to provide the developing rice varieties and cultivation technology. Panicle numbers per spike of Ilpumbyeo and Chucheongbyeo were 105 and 70, respectively. The primary branch panicle rate was Ilpumbyeo 56.2% and Chucheongbyeo 61.4%. The secondary panicle rate of Ilpumbyeo and Chucheongbyeo was 43.3% and 37.9%, respectively. Grain filling rate using specific gravity showed that Ilpumbyeo was the lower filling rate than Chucheongbyeo. Hull weight per one grain was Ilpumbyeo 41.9 mg and Chucheongbyeo 3.92 mg, and hull weight per rough rice 1 kg was Ilpumbyeo 157.36 g and Chucheongbyeo 151.31 g. In milling rate, brown rice ratio by ripening degree of llpumbyeo and Chucheongbyeo with combine harvest was 81.22% and 82.52%. Milled/brown rice ration of llpumbyeo and Chucheongbyeo showed 92.14% and 92.51%. The milling recovery ratio of llpumbyeo was decreased 1.67% then Chucheongbyeo, and the difference was mainly due to the hull weight (0.61%), milled/brown rice ratio (0.37%) and ripening degree (0.69%). Although the varietal differences were found in hull weight and millied/brown rice ratio between llpumbyeo and Chucheongbyeo, the ripening degree was considered as the factor that could be reduced by cultivation technology and post-harves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