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광역수준 지역평생교육체제화의 분석과 발전과제

        권인탁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es for improving local lifelong education after analyzing on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s at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 level. It is analyzed on the national lifelong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practice of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the function of metropolitan city/province for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s at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 level are sugges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orming visions and directions for local lifelong learning, (2) activating metropolitan city council for lifelong education, (3) division between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operating a lifelong education implement organization, (4) building a linkag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dminstration between metropolitan city and city/county/district, (5) supporting establishment and business events of lifelong education improvement institute attached at metropolitan city/province, (6) expanding programs for improving lifelong education of metropolitan city/province, (7) support for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city in the city/county/district. (8) placement through cultivating professional lifelong educators and reinforcing their competence, (9) building local resource development system, (10) forming lifelong learning operation system leaded by people, (11) building system for activating study circles, (12) supporting network system for activating local lifelong education, and (13) operating lifelong learning information system a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 KCI등재

        지역고용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15개 광역시·도 및 152개 시·군을 중심으로

        서준교,이성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8 대구경북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establishing and performing the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index, to weight and calculate the loc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in order to analyze the loc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5 metropolitan cities & provinces which were targeted in the period of 2000 - 2015 and 152 cities & counties cities & counties which were targeted in the period of 2008 - 2015. By using the factor analysis as research methodology, there are two main results as below. Firstly, it is local competitiveness of metropolitan city & province. Employment competitiveness of Seoul and Gyeonggi-do where population, industry, and economy in South Korea are concentrated turned out excellent. The rise of employment competitiveness in Chungcheong-do is remarkable. Secondly, employment competitiveness of big cities was clearly influenced by population inflow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and the metropolitanization of employment in an analysis of loc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of city & county.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cities, Gumi where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and Asan where many population inflows are active along with Cheonan in Chungcheongnam-do showed high employment competitiveness. In the year of 2015, Naju, Eumseong, Jincheon, and Wanju were ranked a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espectively regarding small cities. In the case of extremely small cities, Seongju and Goryeong, namely urban and rural complex cities where the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rather than regions heavily relying on agriculture showed high loc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It is hoped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authorities shoul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ocal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s on a regular basis and make consistent efforts to draw the policy prior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고용경쟁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역고용경쟁력을 구성하는 지표를 도출하고,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역별 고용경쟁력을 산출한다. 연구대상은 15개 광역시·도와 광역도 산하 152개 시·군이고, 광역시·도는 2000-2015년 시·군은 2008-2015년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지역고용경쟁력 분석은 요인분석을 활용한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광역시·도 고용경쟁력이다. 우리나라의 인구·산업·경제 등이 밀집해있는 서울과 경기도의 고용경쟁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청권의 고용경쟁력 상승이 가시적이다. 둘째, 시·군 지역고용경쟁력 분석에서는 대도시의 고용경쟁력은 신도시 건설과 일자리 광역화로 인한 인구유입 등에 뚜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는 국가산업단지가 입지한 구미, 충남에서 천안과 함께 인구유입이 가장 활발한 아산 등의 고용경쟁력이 높았다. 소도시는 2015년 기준 1-4위는 나주, 음성, 진천, 완주이다. 과소도시는 도농복합도시 즉, 농업에만 치중된 지역보다 산업단지가 입지한 성주와 고령 등이 지역고용경쟁력이 높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고용 실태와 특성을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도권 주민의 행복과 영향요인 탐색 연구

        민보경(Min, Bogyeong) 인천연구원 2021 도시연구 Vol.-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거주 주민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회미래연구원의 2020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체 응답자 중 수도권 거주자 5,702명을 중심으로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거주 주민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가족생활 만족도, 여가여건 만족도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행복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건강여건 만족은 인천과 경기 지역에서는 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교육여건은 인천에서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역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한계가 있으며, 추후 지역의 행복영향 요인에 대한 해석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지역 통계와 행복조사 문항을 활용한 다층모형 분석이 후속연구로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cusing on 5,702 resid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data from the 2020 Korean Happiness Survey of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Seoul metropolitan area residents’ happiness wer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nd the region’s leisure condition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certain factors impacted happiness differently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For instance, satisfaction with health condition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ncheon and Gyeonggi. Though regional education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happiness in Incheon, no substantial influence appeared in the other cities. Study limitations include the fact that the study did not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Henc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multi-level model analysis using regional statistics and happiness survey questions as a follow-up study for in-depth discussions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happines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광역시도별 야간 인공조명 강도의 시공간 변화

        김민호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2

        The COVID-19 has recently entered into global pandemic era, which impacted on the shrinkage of world econom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 movement limit and local-level lockdown. The province-level distinction of nighttime light (NTL) change, associated with COVID-19 pandemic, was reported by previous research for China and Ind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NTL change for provinces of South Korea. To do so, it utilized Day/Night Band (DNB) March images of 2019, 2020 and 2021, which were collected by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sensor onboard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NPP) satellite. The considerable dimming of NTL was observ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whose cumulative COVID-19 confirmed cas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Province-level NTL changes between pre-pandemic and pandemic periods of this communicable disease were also confirm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It would be required to perform time-series statistical analysis, incorporating other the other variables potentially related to NTL change, in future study.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전 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국가 간 이동제한 및 지역봉쇄에 따라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는 야간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인공조명 세기 변화의 지역별 차이가 발생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2020년, 2021년 3월 SNPP VIIRS DNB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과 맞물린 야간 인공조명의 광역시도별 시공간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큰 폭의 야간 조도 감소가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시기 간 광역시도별 빛합계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야간 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포함한 시계열 모형 기반 분석의 수행 필요성이 제기된다.

      • 사회통합 지표 개발 및 16개 광역시도별 사회통합 수준 평가

        김준영,김혜영(Kim, Joon-young,Kim, Hye-You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12 복지행정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시·도의 사회통합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사회통합 지표를 구성하고, 지역 간의 사화통합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학계, 공무원 등 전문가들의 협의를 거쳐 사회통합 지표를 구성하였다. 사회통합 영역과 관련된 개별 사회통합 지표들은 지표의 이용가능성, 계량화 가능성, 객관성을 고려하여 통계청의 국가정보통계포털을 자료를 활용하였고, 16개 광역시도별 분석이 가능한 사회통합 지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도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통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 시도별 사회통합 양상의 특징은 대부분의 광역시도들의 사회통합 수준은 각 영역별로 일치된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각 사회통합 영역별로 상반된 점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뚜렷하게 높거나 낮은 사회통합 수준을 보여주는 광역시도는 없고, 어느 한 영역에서 높은 통합수준을 보이면 다른 영역에서는 낮은 통합 순위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사회통합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통합 수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지역별 상이한 현안과제를 도출하고, 지역 현안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정책의 개발 및 추진 방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out a social cohesion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hen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 of social cohesion. The social cohesion index was worked out through consulting with experts in academic circles and public servants,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circumstances. As for the individual social cohesion indices, which were related to the areas of social cohesi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portal for national information statistics was used as data by taking the usability, quantifiability and objectivity of indices into account, and such social cohesion indices that were possible to be examined by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analyz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Megacity’s social cohesion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areas in general.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social cohesion modality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as that the social cohesion level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seemed to proceed not to corresponding directions by areas but show conflicting scores by social cohesion areas. In other words, there was no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of which level of social cohesion was distinctively high or distinctively low in all the areas. When one area’s social cohesion level was high, that of other areas seemed to be low. This study is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via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social cohesion and the difference of social cohesion level, study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working out the strateg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ocial policies, in order to find out and settle regionally different urgent problems.

      • KCI등재

        광역시·도별 임금격차 실증분석

        문영만(Moon, Young Ma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연구 Vol.21 No.1

        This study estimated the wage differentials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ased on the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OE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OLS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wage premium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existed. In particular, the average monthly wage in Uls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en the human capital that affected wages was not controlled. However, when the human capital was controlled, the wage level of Ulsan in terms of net wage differentials was lower than those of Gyeonggi, Incheon and Seoul. When decomposing wage differentials by using Oaxaca decomposition,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the labor market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 was estimated to be 8.15%. The biggest factors that affected wage differentials were education and career variables. The wage discrimination by gender was more serious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th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체육단체 통합에 따른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 하부조직의 법적 지위 고찰

        손석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5 스포츠와 법 Vol.18 No.4

        본 고에서 체육단체 통합에 따른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하부조직의 현황 및 법적 지위를 재조명하고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통합의 시너지효과를 높이고 원만한 통합추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서 이론적 배경으로서 현재의 통합 추진진행 과정을 개관하고, 양단체 하부조직의 현황 및 단체를 규율하고 있는 관련법규를 고찰하여 하부조직의 법적 지위를 살펴보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재조명하였다. 양 단체의 하부조직으로서 대한체육회의 시·도체육회와 가맹경기단체 그리고 국민생활체육회의시·도생활체육회와 종목별 연합회를 대상으로 법적 지위를 살펴 본 결과, 통합 전 시·도체육회는지부, 시·도생활체육회와 경기단체 및 종목별 연합회는 회원단체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통합 이후에도 큰 차이는 없으나 통합된 시·도체육회와 시·도생활체육회는 지부, 통합된 경기단체와 종목별연합회는 회원단체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여진다. 현 지원체재를 유지한다고 볼 때, 향후 체육단체의 자율권 확보를 위해서는 시·도통합체육회도회원단체의 지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which can help to promote integration sports organizations and to increase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integrated sports organiz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take a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and legal status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Korean Olympic Committee(KOC) and the Korea Council of Sports for All(KOCOSA). As a subordinate organization of the KOC, metropolitan city·province Sports Council, athletics organization, there are overseas Korean Sports Organization. And as a subordinate organization of the KOCOSA, metropolitan city·province Council of Sports for All, each event sports associations and cooperation organizations, registration organization. In the case of pre-integration, metropolitan city·province Sports Council has a branch of KOC, and the rest(metropolitan city·province Council of Sports for All, athletics organization, each event sports associations) have the status of member organizations of KOC & KOCOSA. After integration,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 Sports Council and Council of Sports for All have branch, each event sports associations and athletics organization have the status of member organizations of Integrated Sports Associ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부동산업의 성장 특성 분석 -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이용하여 -

        양영준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9 不動産學硏究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dustry in each metropolitan citiesand provinces of Korea from 2007 to 2016 using the shift-share analysis and the growth ratedifferential analysis. There were seven regions with th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sales of real estate industry andthe number of employees: Busan, Gwangju, Ulsan,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Theindustrial structure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these region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salesof real estate industry and the number of employees between 2007 and 2016, which probably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in the relevant regions. There were four regions with the competitive disadvantage in the real estate industry: Seoul,Daegu, Incheon, and Jeonbuk. Especially, these regions showed the negative competitive effect andrate part in the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so that the regional competitiveness(influx ofpeople, location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ability, and regional policy and etc.) is relativelylow in the real estate industry.

      • KCI등재

        지역별상대주택가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맹철규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3 집합건물법학 Vol.48 No.-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 부동산 가격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어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집값 안정을 위한 정부의 다주택 보유자에 대한 과세 확대는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 양극화 현상 가속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지역별 부동산 가격 양극화 현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본 연구는 17개 시도 및 산하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4개 주택유형에 대하여, 3가지 주택거래형태를 기준으로, 가칭 ‘지역별상대주택가격지수(RRHPI, Regional Relative House Price Index)’를 산출하고, 전국 단위의 지역별 부동산 상대가격 추이를 관찰하고, 지역 양극화 현상과 관련된 연구수행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in Korea, the polarization of real estate prices by region has deepened, caus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taxation on owners of multiple homes to stabilize housing prices led to the exacerbation of the real estate price polarization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regions. As a methodology for monitoring this phenomenon of real estate price polarization by region, this study is based on 3 house transaction types for 4 house types targeting 17 cities and provinces and affiliated administrative districts, tentatively named 'Regional Relative House Price Index’. The purpose is to calculate the 'RRHPI' for observing trends in relative real estate prices by region at the national level, suggesting brand-new directions for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the regional polarization phenomenon.

      • KCI등재

        시・도교육비특별회계 이월・불용액 발생실태와 개선과제

        송기창,Song. Ki-Ch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시・도교육비특별회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월・불용 액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고, 8개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 교육청 예산담 당자 등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실시하여 실무적 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는 이 월・불용액 발생의 제도적・환경적 원인과 개선의견을 조사한 후, 이월・불용액 발생을 감소시키는 지방교육재정 운용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월・불용액 현황과 원인을 종합해볼 때, 지방교육재정의 이월・불용액 과 다 발생을 방만한 재정 관리와 비효율적 예산집행의 결과로 보는 시각은 문제 가 있으며, 대부분의 이월・불용액은 학교신설사업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제도 적으로는 보통교부금 예정교부제도, 추가경정예산제도, 특별교부금 교부제도, 재정관련 법령 및 지침, 시설비 집행과정의 규제 등이 이월・불용액을 발생시 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환경적으로는 학교 공사의 학기 중 시행 불가, 학교 신설사업의 장기 소요, 지방채에 의한 학교신설 사업비의 계속비 편성 불가 등이 이월・불용액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월・불용액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보통교부금의 예 정교부제도를 폐지하고, 특별교부금을 보통교부금과 함께 교부하며, 추경예산 편성 관행을 시정하고, 간주처리제도를 도입하는 등 제도적인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도교육비특별회계의 이월・불용액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제 도개선 노력과 함께 재정운영을 효율화 하는 실무적 차원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annual figures of the amount of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derived from the management process of the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al expenses of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interviews the directors of budget of the 8 (eight) Educational Offices of Metropolitan Cities; surveys on the causes and the reduction plans for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from their working-level viewpoint; then suggests the resolutions for future local educational finance management to reduce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it cannot be blamed for having a lax management or an inefficient operation; since the most of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are from new school construction projects. In aspect of financial system,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of local finance are derived from the scheduled grant system for general subsidies, the legal articles and guidelines for finance, the regulations towards the operation process of school facilities funding. Also in aspect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peculiarity of the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al expenses of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the factors related with schools are found as causes. The resolutions to reduce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are the followings: first, repealing the scheduled grant system, granting concurrently both special and general subsidies, fixing the common practices of revising supplementary budget, and inducing the regarded process system are demanded. Also, to reduce the carry-over and the unused of the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al expenses of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not only the systematic improvement, also the management efficiency in working level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