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적 인과의 과잉결정 문제와 반사실 조건문: 원치욱 교수의 논변들에 대한 반론들

        선우환 철학연구회 2024 哲學硏究 Vol.- No.145

        심적 인과의 과잉결정 문제에 대해서 대응하는 유력한 두 입장은 모두반사실 조건문을 중요하게 사용한다. 첫째는 과잉결정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 반사실조건문을 사용할 경우 심적 인과가 과잉결정 사례가 아니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는 입장이고, 둘째는 인과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 반사실 조건문적 의존 개념을 사용할 경우 심적 인과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원치욱 교수는 그 두 입장 모두에 대해서 각각 비판하는 논변들을 제시했다. 첫째, 인과는 내재적인 특성을 가진다는 직관에 비추어 볼 때, 과잉결정 개념은 반사실 조건문을 통해서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 인과 개념을 반사실 조건문적 의존을 통해서 정의할 경우에, 과잉결정 개념이 정합적 개념으로 주어질 수 없고 심적 인과 문제는 진술 될 수조차 없으므로, 그렇게 이해된 인과 개념은 문제를 지니고 심적 인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필자는 원치욱 교수의 논변들 중에서 특히 둘째 논변에 대한 반론들을 중심적으로 제기하면서, 반사실 조건문적 의존을 통한 인과 개념 즉 의존적 인과 개념을 옹호한다. 우선 의존적 인과 개념에서 특정 이론적인 과잉결정 개념을 정식화할 수 없다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다른 한편 의존적 인과 개념에서도 이론 중립적인 전(前) 이론적 과잉결정 개념을 받아들이는 것은 가능하다. 의존적 인과 개념은 과잉결정에 대한 우리의 직관과 상당 부분에서 잘 부합한다. 또한 의존적 인과 개념이 과잉결정에 대한 우리 직관에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의존적 인과 개념을 우리의 유일한 인과 개념으로 주장하는 입장에 대해서는 반론이 될 수 있지만, 우리가 산출적 인과 개념뿐만 아니라 의존적 인과 개념도 가진다는 이론에 대한 반론이 되지는 못한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심적 인과의 과잉결정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필자는 첫째 논변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한다. 의존적 인과 개념에서도 이론 중립적인 과잉결정 개념은 받아들여질 수 있으므로, 산출적 인과 개념을 전제했을 때 과잉결정 개념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분석이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만으로는 그런 분석이 언제나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Two important proposals to solve the overdetermination problem of mental causation raised by Jaegwon Kim essentially employ counterfactual conditionals. The first is that mental causation is not a case of overdetermination insofar as one can define the notion of overdetermination in terms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s. The second is that the overdetermination problem of mental causation does not arise insofar as one defines the concept of causation in terms of counterfactual dependence. Chiwook Won presented arguments against each of these two proposals. First, in light of the intuition that causation has intrinsic natures, the notion of overdetermination cannot be defined in terms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s. Second, the overdetermination problem of mental causation cannot even be stated if the concept of causation is defined in terms of counterfactual dependence, and hence the concept of causation so understood does not help solve the overdetermination problem of mental causation. My main aim in this paper is to raise objections to the second argument among Won’s two arguments and defend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First of all, it is not a problem that a particular theoretical notion of overdetermination cannot be formulated under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formulate the pre-theoretical and theory-neutral notion of overdetermination under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coheres with much of our intuition about overdetermination. Also, even if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conflicts with some of our intuition about overdetermination, it can only be an objection to the position that insists on the dependency concept of causation as our only concept of causation. However, it is not an objection to the position that one can accept the dependency concept of causation as well as the production concept of causation. With that alone, we have no problem solving the overdetermination problem of mental causation. I raise an objection to Won’s first argument as well. Since the theory-neutral notion of overdetermination can be accepted even under the dependency conception of causation,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counterfactual analysis of overdetermination is always unsuccessful just because it is unsuccessful under the production conception of causation.

      • KCI등재

        Mental Causation and Causation as Something Physical

        ( Sungsu Kim ) 한국과학철학회 2016 과학철학 Vol.19 No.1

        The debate over mental causation in the physical world is concerned not only with mental phenomena but also with caus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of causation with regard to the mental causation debate. If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is assumed, the exclusion argument becomes conclusive, and as reductive physicalists claim, mental causation requires the mind-body identity. The psychoneural identity is the best candidate currently available for the mind-body identity. In particular, neural mechanisms frequently include omissions as their causal components, but omissions in physical process conception cannot be causes. Reductive physicalists, who implicitly or explicitly accept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require some ``translation`` to be consistent with the neuroscientific practice, in which omissions are treated as causal.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ductive physicalist translation is inadequate.

      • KCI등재

        Mental Causation and Causation asSomething Physical

        김성수 한국과학철학회 2016 과학철학 Vol.19 No.1

        The debate over mental causation in the physical world is concerned not only with mental phenomena but also with caus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of causation with regard to the mental causation debate. If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is assumed, the exclusion argument becomes conclusive, and as reductive physicalists claim, mental causation requires the mind-body identity. The psychoneural identity is the best candidate currently available for the mind-body identity. In particular, neural mechanisms frequently include omissions as their causal components, but omissions in physical process conception cannot be causes. Reductive physicalists, who implicitly or explicitly accept the physical process conception, require some ‘translation’ to be consistent with the neuroscientific practice, in which omissions are treated as causal.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ductive physicalist translation is inadequate.

      • KCI등재후보

        심신과 인과성 : 반사실적 조건문을 중심으로

        김완종 ( Kim Wan J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29 No.-

        현실 세계에 몸담고 있는 존재자 전체는 단 하나(univocal)의 개별자도 아니며 각기 다른(equivocal) 개별자도 아니며 유사한(analogical) 개별자로 시공간에서 살고 있다. 이 존재들은 시공간 속에서 생성 소멸하며 이 과정 속에서 그것들이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통속적인 어떤 원인과 결과의 연쇄 속에 있다. 일반적(통설적으로)으로 우리는 이것을 인과관계, 인과성, 인과, 원인과 결과 등등으로 부른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들은 통속적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인정할 것이다. 모든 존재자들이 어떤 인과관계 속에 얽혀서 살고 있다면 인과적 관계는 존재자들에게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가? 필연성은 아니더라도 어떤 인과적 법칙들이 존재자들 사이에는 있을 수밖에 없는가? 또한 법칙은 있지 않더라도 일정한 형식은 있을 수 없는가? 그리고 인과성은 시공간 속에 있는 존재자들 간에만 적용될 수 있는 원리인가? 다시 말하면 물질적이고 신체적인 측면에서만 고려 될 수 있는 인과성이란 말인가? 비물질적이고 비시공간적인 것, 즉 정신, 영혼, 심적인 것(실체)등은 인과성 속에 포섭될 수 없는 것인가? 만약 포섭될 수 없다면 이런 것들은 없는 것인가? 정신적인 것 또는 심적인 것에 인과성이 있다면 물질적인 것과 연결해서만 인과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인가? 물질적인 것이 원인은 될 수 있지만 심적인 것은 원인이 될 수 없으며 혹 되더라도 물리적 것이 수반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물질적인 것을 배제하고 심적인 것들끼리도 인과적 관계(심심인과)를 지닐 수는 없는 것인가? 물질적인 것과 인과적 관계를 맺는 것은 물질적인 것뿐인가(인과 폐쇄성)? 이런 모든 의문들은 결국 인과성이 무엇인지와 관련이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심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물질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심적인 것과 심적인 것 간의 인과적 고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인과성은 배제하지 못할 것이다. 다만 그 인과성에 법칙성이 있는지 아니면 그저 우연적이고 개연적인 것인지가 문제이다. 필자는 본 글에서 심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 물리적인 것과 심적인 것, 심적인 것과 심적인 것간의 인과성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인과성이 있다면 이런 종류의 인과성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런 인과성은 필연적인지 아니면 법칙적인지 그렇지 않으면 개연적이고 우연적인 것인지에 대한 인과적 측면을 살펴보려고 한다. 필자는 본 글에서 인과성이 심신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반사실적 조건문(counterfactual)에 근거한 인과성 분석이 모든 인과성을 설명할 수 없지만 대표적 성격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주로 반사질적 조건문에 근거한 인과를 살피고 어떤 인과성이든지 난제와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을 모색할 것이다. If all beings are intertwined with what causality, is causality necessary for them? What causal laws, if not necessary, must exist among the beings? Also, can't there be a certain form, even if there is no law? And is causality a principle that can only be applied between beings in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causality, which can only be considered in terms of material or physical property? Can non-material and non-visual, i.e., the mind, soul, mental (substance), etc. not be involved in causality? If they can't be involved, are there none of these? If there is causality in the mental or the psychological, is it inevitable to have causality only by linking it to the material? The physical may be the cause, but the mental cannot be the cause, and should it be supervened by physical property? Or can't we have causality (mental-to-mental causation)between mental property and mental property, excluding the material? Is it only physical (the causal closure) to have causal relations with physical? I think all these questions have to do with what causality is after all. Therefore, causality will not be exclud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ausal link between the mental and the physical, the material and the physical, the mental and the mental.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usality is nomological or just accidental and probabl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causal aspects of how you can understand this kind of causality if it is causality,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mological, or it is probable and accidental, rather than the causality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physical. In this article, I will look at what causality is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nteraction. Therefore, I think that causality analysis based on a counterfactual statement cannot explain all causality, but can have a representative character, so I will look mainly at causality based on a counterfactual and explore that any causality has challenges and problems.

      • KCI등재

        신규 빈곤진입과정에서의 정신건강 변화

        이종하,김윤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changes of poverty and mental health through a longitudinal approach based on social causation. For this purpose, 622 new poverty entrants and 10,061 persistently non-poor individuals were sampled using the data us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1st-13th waves). The analysis method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subjects' depression was recovered over time. Second, the new poverty group showed high depression over time. Third,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between the new and persistent non-poverty groups was found to be consist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women in the new poverty group and those with drinking problems were more vulnerable to mental health problems than the persistent non-poverty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tronger social intervention on mental health access of the poverty subjects should be made, and anti-poverty policies based on the resilience of poverty are needed. 본 연구는 사회원인론에 입각하여 빈곤과 정신건강과의 역동적인 변화 양상을 종단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13차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규빈곤진입집단 622명, 비빈곤유지집단 10061명을 추출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우울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복되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신규빈곤집단은 시간이 지나도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규빈곤집단과 비빈곤유지집단의 우울감 차이는 지속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신규빈곤집단에 속한 여성과 음주문제가 있는 경우가 비빈곤유지집단보다 정신건강문제에 더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빈곤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접근에 관한 보다 강화된 사회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고, 빈곤의 회복력에 기반한 탈 빈곤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Does Consciousness-Collapse Quantum Mechanics Facilitate Dualistic Mental Causation?

        ( Alin Christoph Cucu )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2020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21 No.3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if not the most serious challenge) for interactive psycho-physical dualism (henceforth interactive dualism or ID) is the so-called ‘interaction problem’. It has two facets, one of which this article focuses on, namely the apparent tension between interactions of non-physical minds in the physical world and physical laws of nature. One family of approaches to alleviate or even dissolve this tension is based on a collapse solution (‘consciousness collapse/CC) of the measurement problem in quantum mechanics (QM). The idea is that the mind brings about the collapse of a superposed wave function onto one of its eigenstates. Thus, it is claimed, can the mind change the course of things without violating any law figuring in physical theory. I will first show that this hope is premature because energy and momentum are probably not conserved in collapse processes, and that even if this can be dealt with, the violations are either severe or produce further ontological problems. Second, I point out several conceptual difficulties for interactionist CC. I will also present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but it will become clear that those solutions come at a high cost. Third, I shall briefly list some empirical problems which make life even harder for interactionist CC. I conclude with remarks about why no-collapse interpretations of QM don’t help either and what the present study has shown is the real issue for ID: namely to find a plausible integrative view of dualistic mental causation and laws of nature.

      • KCI등재

        조합원의 단체교섭ㆍ단체협약 체결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한 노동조합 대표자의 책임 ― 대법원 2018. 7. 26. 선고 2016다205908 판결 ―

        이용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9 민주법학 Vol.0 No.69

        The representative of the trade union is entitled to collective bargaining with the business owner on behalf of the trade union and to enter into collective agreements. The majority of trade unions require representatives to enter into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greements on the basis of opinions formed by members through the general assembly of members prior to entering into collective agreements. This is based on the right to unite of the workers and to participate in the union of members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al Act and Trade Union Act. If the representative of the trade union disregarded the members’ rights in violation of the union regulations and concluded a collective agreement arbitrarily, it infringed upon the member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trade union. Without special circumstances, the conduct of a trade union representative that infringes on members’ right to participate, is a tort. Therefore, trade union and representatives are jointly responsible for compensating for non-property damages of members. In this case, subject to my review, the court recognized mental damages for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union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assembly by signing a labor-management agreement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in violation of the union regulations. However, the court rejected compensation for property damage caused by members due to the labor-management agreement, citing no adequate causation. In European tort law, the members’ loss of this case is called the “pure economic loss” which is not generally recoverable. Our Supreme Court, which is unfamiliar with the concept of pure economic loss, has also denied compensation, saying it is an “indirect and economic loss.” However, pure economic loss does not always mean that it cannot be compensated. The former British highest court, House of Lords has recognized that the victim is liable for damages caused by a breach of duty to a third party of a lawyer who does not have a direct obligation to the victim. Our court should not replace the reason for the ruling with the empty theory of “adequate causation” and the “ideology of fairness” and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defendant is liable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of the duty of care, the scope of protection and the defendant's breach of duty. Furthermore, if the representatives of the trade unions arbitrarily enters into a labor-management agreement as in the case, thereby infringing upon the rights of the members, causing property damage to the members, and causing huge social losses, we must be able to invalidate this arrangement.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노동조합을 대표하여 사용자와 단체교섭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할 권한이 있다. 대다수의 노동조합은 규약에서 대표자가 단체협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조합원 총회를 통하여 조합원에 의해 형성된 의사에 기초하여 단체교섭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노동자의 헌법상 권리인 단결권과 노동조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조합원의 노동조합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바탕으로 한다. 노동조합의 대표자가 노동조합 규약에 위반하여 조합원의 권리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하였다면, 이는 조합원의 조합의사 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한 것이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동조합 대표자의 행위는 조합원에 대하여 불법행위를 구성하며, 노동조합과 노동조합 대표자는 연대하여 참여의 권리에서 배제된 조합원의 비재산적 손해에 대하여 배상할 책임이 있다. 이 평석의 대상이 되는 사건에서 법원은 노동조합 대표자가 규약에 위반하여 조합원 총회를 거치지 아니하고 노사합의를 체결함으로써 조합원들의 조합의사 형성과정에 참여할 권리를 침해한 것에 대한 정신적 손해배상을 인정하였다. 그렇지만 노사합의의 결과 조합원들에게 발생한 재산적 손해의 배상에 대하여는 상당인과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이를 기각하였다. 외국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손해를 “순수경제손해”라 하여 책임을 부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순수경제손해의 개념이 낯선 우리 법원도 “간접적이고 경제적인 손해”라고 하여 배상을 부정하여 왔다. 그렇지만 순수경제손해라고 하여 모두 손해배상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국법원은 피해자에게 직접적인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변호사의 제3자에 대한 업무상 의무위반으로 피해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였다. 우리 법원도 상당인과관계라는 공허한 이론과 손해분담이라는 공평성 이념 뒤에 숨지 말고, 좀 더 신중하게 주의의무의 위반 여부와 보호범위를 따져서 손해배상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더군다나 노동조합 대표자의 독단적인 노사합의의 결과가 조합원의 절차적 권리침해를 넘어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시키고, 나아가 전 사회적으로 손실을 초래하게 된 이 사건 같은 경우에는 단체협약의 효력에 대하여도 재검토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우수등재

        배제 논변과 베넷

        윤보석(Bo-Suk Yoon) 한국철학회 2007 哲學 Vol.91 No.-

        배제 논변에 대한 여러 반발이 제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베넷의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배제 논변이 던지는 도전의 성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도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찾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배제 논변의 성격에 대한 베넷의 이해는 올바르나, 그렇게 이해된바 배제 논변에 대응하는 적절한 방식으로 베넷 자신이 제시하는 방식이외에 또 다른 방식이 가능하며, 오히려 이 새로운 대안이 배제 논변에 대한 보다 만족스러운 반박을 제공해 준다. There has been an explosion of literature on the Exclusion Argument and how to diffuse the challenge that it presents to the non-reductivists who are concerned with the causal efficacy of the mental. In this paper, I take Karen Bennett's recent proposal as a springboard to find an adequate response to the Exclusion Argument. More specifically, although I agree with Bennett about the nature of the challenge presented by the Exclusion Argument, I do not agree with her about how to meet the challenge. There is an alternative to Bennett's approach that, I think, can help us to deal with the challenge in a more satisfactory way.

      • KCI등재

        실체이원론과 김재권의 짝짓기 문제

        이선형 한국분석철학회 2022 철학적 분석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and evaluate Jaegwon Kim’s argument against Cartesian substance dualism. In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Kim argues that an immaterial soul cannot causally interact with anything, whether it is a material thing or another soul, because souls are not located in space. This is what is called “the pairing problem” or “the pairing argument.” This argument has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implicitly presupposes reductionism about causation. However, in support of Kim, I argue that his pairing argument does not depend on reductionism in any obvious way. And I suggest one possible way of solving the pairing problem. 본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적 실체이원론을 반박하는 김재권의 짝짓기 논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김재권은 그의 저서 『물리주의』에서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이 가정하는 비물리적 실체인 영혼(마음)은 전적으로 공간성을 결여하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인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논증을 제시한다. 이른 바, “짝짓기 문제” 또는 “짝짓기 논증”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짝짓기 논증이 성립하기 위해 김재권이 가정하고 있는 암묵적 가정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인과에 관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의해 짝짓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략을 비판한다. 또한 실체이원론자의 입장에서 짝짓기 논증을 반박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사건동일론은 정신부수현상론을 수반하는가?

        이종왕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Recent discussion about the mental causation(MC) finds its impetus in Davidson. His theory of MC, the so-called “anomalous monism,” induced abundant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explaining how MC is possible. However, it seems to me that he has never provided any concretely systemic definition of the nature of the strict law and any explanation of why causation is tied to the strict law. My main aim in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lthough in explaining MC the nonreductive-based counterfactual account is not strong enough in some sense, it needs not be in need of the thick conception of causation and thus the property identity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counterfactual account, and the productive/generative account, of mental causation that were supported by Donald Davidson and Jaegwon Kim respectively. In so doing, I will argue that a version of event identity theory helps the counterfactual account explain the possibility of MC, which is untimately based on the regularity/nomologicality. Furthermore, my conception of event identity provides the best solution the problem of MC, avoiding both the problems of mental epiphenomenalism and exclusion principle Kim espoused. In this paper, I will not directly examine the well-known supervenience/exclusion argument: Instead I will look into the reason why Kim came to espouse the argument. 데이비슨은 정신인과에 관한 심리철학자들의 본격적인 논의를 촉발시켰지만, 엄격한 법칙이 인과관계를 보증한다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엄격한 법칙의 본성에 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왜 인과가 엄격한 법칙과 함께 묶여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이유도 제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이 후의 심리철학자들의 짐으로 남게 되었다. 이 논문은 주로 데이비슨 스스로도 그가 주장하는 엄격한 법칙이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정신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인과의 접근방법과 이에 대응하는 김재권의 생산적/발생적 인과의 그것 간의 가장 최근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그렇게 하면서 비록 정신인과에 대한 비환원주의에 기초해있는 반사실인과적 설명이 어느 정도의 약점은 있지만, 가장 최근에 김재권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것 때문에 두터운 인과의 개념이 필요하게 되고 그래서 속성동일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오히려 한 바람직한 사건동일론은 반사실적조건문이 궁극적으로 의존해 있는 규칙/법칙에 기초한 정신인과의 설명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며, 이런 인과에 기초한 설명은 김재권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신부수현상론의 덫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 논문은 사건동일론의 핵심논점을 설명하여 만약 비환원주의자들이 이 형이상학적 기초를 선택하다면 김의 배제의 원리가 만들어 놓은 함정을 피할 뿐만 아니라 발생적 인과의 개념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김이 제공하는 것 보다 더 안정적인 형이상학적인 그림이 될 것이다. 논문은 이미 널리 잘 알려져 일반화 되어있는 김재권의 수반논변 또는 배제논변—수반에 의존한 정신인과의 설명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는 논변—을 직접적으로 논의하지는 않는다. 대신 김이 이 원리를 고안하게 된 배경을 논의하면서 그것을 간접적으로 비판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