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Caused by Delay and Relationship of Semantic Stimulus

        ( Young Chang Lee ),( Hye Young Bang ),( Jin Seon Kwak ),( Boseong Kim ),( Yoon Ki Min ) 한국감성과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

        Previous researches that relate to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have not provided consistent results. It means that many factors (unsuccessful retrieval attempt, characteristics of memory material, and final retrieval period) affect to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caused by previously mentioned factors (unsuccessful retrieval attempt, characteristics of memory material, and final retrieval period). To do this, the word-pair learning test was conducted on two groups (only reading group and unsuccessful retrieval group). Memory materials that used in word-pair learning test were selected by relational level between words (20 pairs of high level and 20 pairs of low level). All participants followed the same procedures (1) learned word-pairs, 2) immediately recall test, and 3) final recall test). As a result, main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relationship of word-pairs, delay, and group)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ratio of correct recall was high in the following conditions: retrieval attempt group, high relationship of word-pairs, immediately recall.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ree independ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It suggest that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could be changed by the relationship of memory materials and delay period of final recall test.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5S1A5A2A01010872).

      • KCI등재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한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보다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초등학교 5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복습 집단보다 더 높은 지연 기억검사 점수가 확인된 반면,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간에는 지연 기억검사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 집단과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 집단 간에 지연 기억검사 결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연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 수준과 학습 방법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내용에 대한 학습 전에 사전인출을 통해 새로 배울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인출하게 한 다음,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고, 배운 내용에 대해 사후인출을 하는 방법 또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prior to learning can greatly maximizing students ’ memory. To extend the testing effect which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benefit of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both prior and post to learning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delayed memory of the learning material than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only post to learning. Results from that data of 282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engaged in either prior or post retrieval performed better in delayed memory than students who only reviewed the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layed memory in between prior and post retrieval attempts Second, a combination of prior and post retrieval practices has no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 delayed memory compared to a repeated retrieval post to learning.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achievement level and retrieval strategies to enhancing delayed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 with insights on effective retrieval strategies on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attempts to retrieve information before students learn the materials and let them to retrieve afterward the learning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aximizing students memory.

      • KCI등재

        자극의 인출난이도와 연합강도가 기억억제에 미치는 효과

        정윤재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1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iculty level of retrieval practice and the association strength of categories and stimuli within categories on memory inhibition. Most of the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inhibition was occurred by manip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strength, emotion value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on-retrieval practice words within the retrieval practice categor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how inhib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retrieval stimuli during retrieval practice. The difficulty of retrieval was manipulated into three levels: difficult condition, normal condition, and easy condition through the degree of present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of words during retrieval learning. Additionally,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categories was manipulated. In previous studie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occurred under conditions where the association strength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the categories was strong. On the other hand, retrieval-induced forgetting did not occur under conditions where the association strength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the categories was weak. The present study, if the inhibition process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retrieval,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was explor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with the categ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ndition of strong association strength,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observed under normal and difficult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s. Wherea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not observed under conditions of easy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 In the condition of weak association strength, retrieval-induced forgetting tended to occur under difficult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s. Wherea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not observed under conditions of normal and easy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mory inhibition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retrieval. 본 연구는 인출 연습의 난이도 수준과 범주와 범주 내 자극의 연합강도가 기억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인출 연습 범주 내 비 인출 연습 단어의 연합강도나 정서가, 물리적 특성 조작을 통해 같은 인출 연습 동안 떠오르는 정도를 조작해 억제가 이루어지는지 연구되었다. 따라서 인출 연습 시 인출 자극의 인출 정도의 난이도가 달라질 때 어떻게 억제가 발생되는지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인출의 난이도는 인출 학습 시 제시되는 떠올려야 하는 단어의 자음과 모음의 제시 정도를 통해 어려운 조건, 보통 조건, 쉬운 조건의 세 수준으로 조작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조작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강한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된 반면,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약한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출 난이도에 따라 억제 과정이 다르게 나타날 경우 범주와의 연합강도에 따라 기존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올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의 연합강도가 강한 조건에서는 인출 난이도가 어려운 조건과 보통 조건에서 인출 유도 망각이 관찰된 반면, 인출 난이도가 쉬운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연합 강도가 약한 조건에서는 인출 난이도가 어려운 조건에서 인출 유도 망각의 경향성을 보인 반면, 난이도가 보통 조건과 쉬운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출 난이도에 따라서 기억 억제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시사된다.

      • KCI등재

        노화와 자전적 기억: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김영경,진영선,이장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자전적 기억은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인 기억으로, 주관적인 의식경험이 수반되며 자기도식에 의해 재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인터뷰(Autobiographical Interview: AI)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일화 및 비일화적 요소의 인출 양상에서의 연령차를 인출지지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사상의 정서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회상량의 연령차를 살펴보았다. 노인은 탐문회상에서 청년보다 일화의 회상량이 적었고, 인출지지는 노인과 청년 모두에게 일화 및 비일화의 회상을 촉진시켰는데, 인출지지로 인해 증가한 일화기억의 범주유형 중 시간, 지각, 사고/정서에서 연령차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일화 회상에서는 연령과 회상유형 간 상호작용이 없었고, 자전적 기억의 회상에서 정서의 이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특성과 연령에 따른 기억체계의 변화, 정서와 기억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as people get older, the episodic information in our auto biographical memory should be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emantic aspect of it. To examine the 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probed retrieval performances of young and old group i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using a technique called, Autobiographical Interview(AI). It was also examined if the probed retrieval was in any way effected by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vents recalled.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as clear age deficits in episodic memory but not in semantic memory. (2) Retrieval support helped young adults more in recalling episodic memories than older adults and this trend was quite visible in the category of time, perception and thought/emotion. (3)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advantage in recalling the emotional events in both episodic and semantic aspec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4) The recall for negative events in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rehearsal. It can be safely argued that the nature of tools and techniques administered to study cognitive aging will determine the level of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 KCI등재

        인출연습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

        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reasons for test-enhanced learning effect based on recent brain imaging endeavors. This study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features of episodic memory? What brain activitie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practice process? Whether identical brain loci are involved in encoding and retrieval process? In the beginning, this study introduced an ISP model regarding various systems of memory and its processes. Retrieval practice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episodic memory system and its process. Various brain imaging studies delved into an interaction process of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via reinstatement and recapitulation in the specific locus of hippocampus and cortex during those processes. Due to these processes being deeply interrelated, educational effect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and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framework can be validated by the research of brain imaging 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testing effect via retrieval practice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of various associated cognitive processes among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 The interactions among specific brain areas associated with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result in a memory enhancing process. Based on this study, the educational suggestions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re that: A good encoding process is required, early initial testing is recommended, and both the situation and process of encoding and retrieval should be similar.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년간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일관되게 입증된 인출연습활동, 즉 시험치기 학습활동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를 제시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세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인출연습활동의 대상이 되는 삽화기억의 성격은 어떠한가? 삽화기억은 어떤 종류의 기억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억내용들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삽화기억을 약호화하고 인출하는 과정인 인출연습활동은 어떤 뇌활동을 수반하고 있는가? 인출연습활동의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이 과연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상호 복원과 재현의 과정을 거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인출연습활동 동안 이루어지는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뇌 부위가 일치하는가? 뇌영상 연구를 통해 두 과정에 관여하는 뇌 부위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인출연습활동의 효과가 약호화과정 그리고/또는 인출과정과 연합된 여러 뇌부위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기억이 증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뇌영상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출연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최초의 약호화과정에서 비교적 완전학습수준에 이르도록 학습할 것, 둘째, 학습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인출연습을 수행할 것(초기시험효과), 셋째, 약호화상황과 인출상황을 일치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호화(Encoding)와 인출(Retrieval)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선(Kim, Yu–,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복습전략으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일으키는 인출은 좋은 학습 전략이지만 풍부한 스키마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는 부호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총 179명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3주 동안 2반씩 한 그룹 으로 총 3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학습 후 20 문항의 빈칸 채우기 평가결과를 통해 세 그룹으로 나누고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일주일 후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을 투입하였다. 집단별로 20 분간 학습을 마치고 바로 자아 효능감과 사후 기억력 평가를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방법으로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전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단순 인출 전략 그리고 인출 후 피드백이 주어지는 전략 중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인출 후 피드백을 통해 부호화하는 전략이 단순 인출 전략보다 기억력을 향상시켰다. 시험 전 단순 인출 전략보다 부호화 전략 또는 부호화를 포함한 인출 전략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 째,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을 통한 복습집단,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과 피드백을 통한 복습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인출은 학습 전략으로 효과적이지만 그 전에 충분한 부호화가 선행되거나 인출 후 충분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기억력 향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충분한 부호화는 인출을 통한 복습보다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testing effect can effectively be used as students’ review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schema encoding, only retrieval, and retrieval and feedback strategies on memory and self-efficac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enrol 179 Year 5 students in one primary school in South Korea and divide them into a total of three groups, each one composed of two classes. After a learning sess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olve 20 fill-in-the-blank questions, the results of which were used to divide them into three groups and test the homogeneity of them. And a week later, three review strategies were introduced. After twenty minutes of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on their self-efficacy and post-hoc memory.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NOVA and post-hoc test, resulting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rategies of spending sufficient time encoding learning materials before a test and of receiving feedback after retrieval and then encoding the information led to a better memory than that of only retrieval, proving that the encoding strategy and the retrieval strategy involving encoding are more effective than the only retrieval strategy; and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respectively and another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and feedback respectively. This study proved that, while retrieval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it impacts memory improvement when sufficient encoding is preceded or when learning through sufficient feedback is followed and that sufficient encoding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an retrieval.

      • KCI등재

        기억재료의 난이도와 연관성에 따른 틀린 인출의 기억촉진효과

        이영창,방혜영,곽진선,민윤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2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difficulty and relatedness between memory materials, on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For this purpose, memory materials, the word pair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difficulty(2) and relatedness(2). The words of pairs have similar frequency of use. Then, participants learned the materials attempting unsuccessful retrieval and the results are measured as Recollection rates. The experiment is designed as between participants for difficulty(2) and relatedness(2), so two-way ANOVA between groups is performed. As a result, main effects of difficulty and relatedness are significant in both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est. Specifically, recollection rates of low difficulty group are better than high group and the rates of high relatedness group are better than low group. In addition, aspects of the rates for difficulty and relatedness are similar both in the immediate and delayed test. It mea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emory materials, difficulty and relatedness, influence on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unsuccessful retrieval, even in delayed test condition. 본 연구는 단어 쌍 자극을 사용하여 기억재료의 양적인 특성인 난이도(음절 수)와 질적인 특성인 연관성(의미적 관계성)이 틀린 인출의 기억촉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빈도가 유사한 단어들을 이용하여 고난이도-고연관 자극, 고난이도-저연관 자극, 저난이도 고연관 자극, 그리고 저난이도-저연관 자극으로 구분하고 틀린 인출시도를 통한 학습을 수행한 후 정확회상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난이도(2)와 연관성(2)에 따른 집단 간 설계로 수행되었으며, 집단 간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모두 난이도와 연관성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고난이도 집단에 비해 저난이도 집단의 정확회상률이 우수했으며, 저연관 집단에 비해 고연관 집단의 정확회상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모두 난이도와 연관성에 따른 정확회상률의 변화경향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억재료의 양적인 특성(난이도)과 질적인 특성(연관성)이 모두 틀린 인출의 기억촉진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시간이 지연된 후에도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Yoonjin Nah(나윤진),Jonghyun Lee(이종현),Sanghoon Han(한상훈)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3

        부호화된 사건의 시간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출은 일화기억의 중요한 통제기제 중 하나이다. 기억인출과 관련한 수많은 신경영상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아직 시간적으로 구성된 일화기억의 인출에 관여하는 뇌신경연결망 패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다른 순차적 인출 뇌신경 기제를 구분하기 위하여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다변량 패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시간적 일화기억과제를 수행하였고, 순서대로 부호화된 기억자극을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부분적으로 분류된 국소적 신경네트워크 패턴은 두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지 못한 반면, 기억과 관련된 인지통제 영역과 목표-지향적 인지기제처리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피질-피질하 노드들을 아우르는 전뇌신경네트워크 패턴은 시간적 일화기억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였다. 이 영역들은 측면/내측 전전두엽 영역, 하부 두정엽, 중간 측두회, 선조체 영역 등을 포함하며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에서 높은 분류 예측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화기억의 시간적 인출기제에 관여하는 피질-피질하 여러 영역의 관여를 확인하였고, 대역적 네트워크 패턴의 기능적 연결성이 질적으로 다른 인출기제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는데에 중요성을 갖는다. Retrieving temporal information of encoded events is one of the core control processes in episodic memory. Despite much prior neuroimaging research on episodic retrieval, little is known about how large-scale connectivity pattern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of sequentially organized episodes. Task-related functional connectivity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sequential retrieval.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temporal episodic memory tasks in which they were required to retrieve the encoded items in either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hile separately parsed local networks did not yield substantial efficiency i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large-scale patterns of interactivity across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brain regions implicated in both the cognitive control of memory and goal-directed cognitive processes encompassing lateral and medial prefrontal regions, inferior parietal lobules, middle temporal gyrus, and caudate yielded high discriminative power in classification of temporal retrieval process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nemonic control processes across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re recruited to re-experience temporally-linked series of memoranda in episodic memory and are mirrored in the qualitatively distinct global network patterns of functional connectivity.

      • KCI등재

        대칭화 기억전략이 지적장애아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황정보 ( Hwang Jung Bo ),정화식 ( Jung Hwa Shi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칭화 과제의 반복시연 훈련에 따른 기억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4∼6학년) 지적장애아로 무작위 과제에 할당된 36명과 대칭화 과제에 할당된 31명으로 총 67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기호쓰기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산출된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과제 유형에 따른 기억의 재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아의 반복시연 훈련이 기호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 “무작위 과제”와 “대칭화 과제” 모두에서 기호쓰기 능력은 향상을 보였으나 두 과제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칭화 과제”의 투입정보의 조직화에 따른 기억의 재생은 “무작위 과제”보다 기호의 개수와시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무작위 과제”의 시연은 초두 부분의 수행을 촉진하였지만, “대칭화 과제”의 시연은 이러한 계열위치의 전체적인 수행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대칭화 과제”의 반복시연 훈련이 수평대칭과 수직대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대칭화는 학습과 기억의 재생을 촉진하는 투입정보의 조직화 방법으로 지적장애아의 학습능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학습전략으로 시사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petitive performance training of symmetry tasks on memory retrieval. Sixty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consisting 36 assigned to random tasks and 31 assigned to symmetry tasks. Each of subjects took a symbol writing test, and their test scores were used to compare differences in memory retrieval 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ask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repetitive performance training on the symbol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ound that they made an improvement in the abilities both in "random tasks" and "symmetry task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ypes. The memory retrieval accord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input information in "symmetry tasks" had more significant impacts on the number and time of symbols than "random tasks." Moreover, the performance of "random tasks" facilitated the execution of primacy part, while that of "symmetry tasks" did the execution of entire serial positions. The repetitive performance training of "symmetry task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s on horizontal and vertical symmetries. In summary, a symmetry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as a method to systemize input information facilitating learning and memory retrieval and also as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ffectively.

      • KCI등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design education based on neural mechanisms of memory generation

        위란란,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Education has been the focus of extensive debate related to design. The main reason for this controversy i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design education. In other words, wording used in design education ha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reproduce as images in the brains of trainees who receive them. Most design courses in design disciplines are studio-centered. In other words,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participate in design studios and experience various shapes. The sensory meaning memory obtained from this shape experience is an implicit memory that cannot be consciously used or communic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for information asymmetry in design education and to propose way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desig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memory in the context of the neural activity structure of the brain provided by neurology. First, starting from the memory structur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memory types and learning. Afterwards, the process of memory encoding and retrieval was analyzed for its influence on learning effect. Finally, analyzing the memory styles used in existing design education, explores the impact of visual information encoded and transmitted through semantics in design on learning efficienc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formation educators transmit to students is implicitly encoded in existing design education processes. However, the accuracy and communicability of content encoded through implicit memory are inevitably reduced relative to content encoded through explicit memory. Therefore, a meaningful asymmetry exists between them. Since the method of encoding visual information in language affects memory retrieval, the design knowledge generated in this way also affects its utilization. Efficiency of design education and learning can be improved by matching the encoding contexts for transmission, storage and ext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