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초기 부적응도식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연구: 적응적 조절 전략과 부적응적 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진이주,김춘경 한국생애학회 2020 생애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psychological maladaption in the subjects of preliminary teachers who were studying in teachers’ college and college of educ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early maladaptive schema in the preliminary teachers, to overcome its negative impact, and to seek more positive measures of emotional regulation so as to assist them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functionally as a preventive measure. The study subjects were 92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Daegu and Busan, North Gyungsang Provin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early maladaptive schema of the preliminary teachers showed negative impact o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hile did positive impacts on the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In additio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e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nd the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did the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in the preliminary teachers, both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the mediating effect.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주연,박경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수치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및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수치심 경험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우울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치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에 비해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치심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치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울은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치심 그리고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데 있어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데 있어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순차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벽주의적인 대학생이 우울감을 경험하는 경우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초점을 둔 개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ladaptive perfectionism, shame exper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tested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s of shame exper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survey was done for this research. We received 550 copie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we constr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Experience of Shame Scal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shame exper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depression. sham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depressi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coping strategies.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hame than adaptive coping strategies. Secon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shame expe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depression. Depression group were found to have higher than concern over mistake, parental criticism, doubt about action than non-depression group.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s of shame exper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적응적 대처전략이 데이트 관계 집착과 갈등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선,김영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on clingy, conflict and satisfaction of dating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518 college students in Cheongju.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nd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punishment of coping strategy had a direct effect on relational clinginess while avoidance of coping strategy had influence directly on relational conflict of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 Second, strategy of avoidance of male students and self-punishment strategy of female students had no direct effects on relational satisfaction whereas avoidance of coping strategy had a direct effect on relational satisfaction of female students. Third, the relational clinginess had a direct effect on relational conflict of female students whereas relational clinginess of male student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relational conflict. Fourth, relational clinginess and conflict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influenced directly on relational satisfaction. Fifth,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voidance of coping strategy had an direct influence on relational satisfaction through relational conflict. For male college students, self-punishment of coping strategy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relational satisfaction through relational clinginess, whereas strategy of self-punis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relational satisfaction through relational clinginess and confli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s of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on clingy, conflict and satisfaction of dating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adaptive coping strategy's effect on thei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대처전략이 데이트 관계 집착과 갈등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 528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경로모형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남자 대학생의 대처전략과 여자 대학생의 자기비난 대처는 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여자 대학생의 회피적 대처는 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 모두 회피적 대처는 관계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비난 대처는 관계 집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관계 집착과 관계 갈등은 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 모두 회피적 대처가 관계 갈등을 통해 관계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남자 대학생은 자기비난 대처가 관계 집착만을 통해 관계만족도에, 여자 대학생은 자기비난 대처가 관계 집착과 관계 갈등 모두를 통해 관계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대처전략이 관계 집착과 갈등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부적응적 대처전략이 데이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 방략 및 공감과의 관계

        장정주 ( Jung Joo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 방략 그리고 공감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 방략 및 공감 변인들이 서로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339명을 대상으로 초기 부적응 도식 단축형 질문지(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YSQ-SF), 정서조절 방략 질문지(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공감 질문지(Empathy Scale: ES)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부적응 도식이 정서조절 방략과 그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인지적 공감과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조절 방략의 하위요인과 인지적 공감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초기 부적응 도식이 초기 부적응 도식과 인지 공감은 정서조절 방략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인지적 공감은 정서조절 방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empathy o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empathy was to make sure that other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9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measured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YSQ-S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ERSQ) and Empathy Scale(ES).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variables and implemented 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s negative correlation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cognitic empath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influence on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ognitic empathy. And the cognitic empathy was significant effect of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서수균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유발에 기여하는 인지 및 대인관계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통합된 이론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수균(2009b)이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를 분노사고가 매개하고 있는 이중인지매개모델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인지매개모델을 보다 정교화하기 위해서 비합리적 신념과 분노사고 사이를 매개하고 있는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이 비합리적 신념과 분노사고 사이를, 분노사고가 부적응적 인지전략/대인관계와 공격성 사이를 매개한다고 가정하였다. 학부 대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신념 및 태도척도, 공격성질문지, 인지정서조절질문지, 대상관계척도, 이차분노사고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적응적 인지전략들 중에서 파국화와 남탓하기가 공격성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2) 부적응적 대인관계양상들 중에서 자아중심성, 불안정애착, 소외가 공격성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3)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은 비합리적 신념과 이차분노사고 사이를 완전매개하였다, 4) 이차분노사고는 부적응적 인지전략/대인관계와 공격성 사이를 완전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적응적 인지대처/대인관계와 분노사고가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공격성에 대한 인지사회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cognitive/interpersonal variables and aggression, and to propose an integrated model. It was hypothesized that maladaptive cognitive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anger-thoughts, and that anger-thought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cognitive-strategies/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ggression.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Aggression Questionnair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and Object Relation Inventory were implemented to 461 college students. Study showed that 1) catastrophizing and blaming among maladaptive cognitive strategies predicted significantly aggression, 2) egocentricity, insecure attachment, and alienation among maladap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edicted significantly aggression, 3) maladaptive cognitive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d fully the associ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condary anger-thoughts. 4) secondary anger thoughts mediated fully the association between maladaptive cognitive strategies/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ggression. Those finding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social model of aggression was supported.

      • KCI등재

        성인애착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이인숙,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Data from 269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n the minor-level NSSI group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nxious attachment, maladaptive-cognitive emotion regulating strategies, and self-injury frequency. In the moderate/severe self-injury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voidant attachmen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injury frequency, as well as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ex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NSSI among the minor NSSI group. In addition, ‘rumination,’ a subtype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NSSI. Finally, ‘self-blam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NSSI among the moderate/severe NSSI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애착이 비자살적 자해(NSSI)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8세 이상 30세 미만의 성인 269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척도, 자해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경도 NSSI집단(201명)에서는 애착불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경도 자해빈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미하였고, 애착회피는 주요변인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중등도/중증도 NSSI집단(68명)에서는 애착회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등도/중증도 자해빈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미하였고, 애착불안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만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경도 NSSI집단의 애착불안이 경도 자해빈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유형이 각각 애착불안과 NSSI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반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중등도/중증도 NSSI집단의 애착회피와 중등도/중증도 자해빈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비난’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근태 ( Kim Geuntae ),박은민 ( Park Eunmin )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전국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기불일치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불일치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과 비교했을 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사회 불안에 대한 개입으로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줄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s of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self-discrepancies on social anxiety. This means that self-discrepancies directly affected social anxiety and also affected social anxiet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self-discrepancies on social anxiet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is means tha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has a smaller impact on social anxiety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elf-inconsiste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interventions in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and interventions to reduce self-discrepanc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crease social support should be made.

      • KCI등재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권은아,조순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J지역 내 남녀 고등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BAS/BIS 척도, 청소년 스마트미디어 중독 자가진단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2.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스마트폰 중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행동활성화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 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심각해지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와 관련하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검증하였으며,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또한, 개인의 기질적 취약성과 관련된 인지적 전략에 대한 청소년 상담 및 치료적 개입에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the caus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se. Moreover, this study is to prove BAS and BIS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thods The total of 464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vulnerable to behavioral addiction participated in measuring Smartphone addiction using Korean version BAS/BI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K-CERQ)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s. Results First,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 Second,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xplain clearl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Las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ully mediates between BA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A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between BI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I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BIS directly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and also it affects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relation to the recent serious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highlighted its importance.

      • KCI등재

        부정 정서강도와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이지영,정지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moderated by distress tolerance. Affect Intensity Measure (AIM), Distress Tolerance Scale(D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were implemented to 546 adults.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negative affect intens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nd negatively with distress tolerance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Distress tolera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nd negatively with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adaptive strategies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maladaptive strategies was not significant. Simple slope analysis supported the moderating role of distress tolerance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adaptive strategies. Low levels of distress tolerance, in the context of elevated levels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were associated with the low levels of adaptive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best suited for growing distress tolerance would be to increase the use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부정 정서강도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546명을 대상으로 정서강도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와 정서조절방략 질문지를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부정 정서강도는 고통감내력 및 적응적 방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부적응적 방략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고통감내력은 적응적 방략과 정적 상관을, 부적응적 방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부정 정서강도와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의 사후검증을 위해 단순 회귀선 기울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통감내력 수준이 높은사람들은 부정 정서강도 수준에 상관없이 적응적 방략을 자주 사용하지만, 고통감내력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서를 강렬하게 느낄수록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부정 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통감내력 수준이 적응적 방략의 사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며, 고통감내력을 증진하는 개입을 통해 적응적 방략의 사용을 증가시킬 수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과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표상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보경,이정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s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temperament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Participants were 862 elementary students (grades 1–3) and their mothers. All of the children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ir mothers (NRI). In addition, the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the child's temperament (K-JTCI), behavioral problems (K-CBCL), maternal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RSQ), and empathy (PEI).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direct effects of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High scores for the child in novelty seeking and high scores for the mother on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child’s score on harm avoid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problems. The indirect effects of the child’s temperament and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also significant. Novelty-seeking temperament in the child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xternalizing problems through the child's negativ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empathy in the mother had negative effects on externalizing problems through the child's positiv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Children with high novelty-seeking scores showed more externalizing problems while children with high harm avoidance scores showed more internalizing problems when their mothers scored high on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ith reference to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기질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표상의 매개 효과와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3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 86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은 어머니에 대한 표상 질문지, 어머니는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 어머니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 공감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극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나고, 아동의 위험회피 성향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나는 직접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은 어머니에 대한 표상을 통해 외현화 문제행동을 증가시키며, 어머니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 공감은 어머니에 대한 표상을 통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가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자극추구 성향이 상승하면 외현화 문제행동이, 아동의 위험회피 성향이 상승하면 내재화 문제 행동이 더 많이 증가하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