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KCI등재

        문학교육의 학제적 접근 : 지리학과 지리교육이 문학에 접근하는 방식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7 No.-

        Geography and literatur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writing about places. Because of this, geography have had interests in litera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how literary geography to approach to literatures and looked into the various case studies. These attempts will contribute to the evolving relationship of literatures, geography and the education of geography. First, the types that literary geography has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can be divided in two. One type is that geography regards literary works as recording places, the other type is that geography regards literary works as making places. Secondly, one type as recording places in turn can be classified in three approaches, that is, positivistic, humanistic, structural. The other type as making places focuses on the phenomena that popular literary works become to have a power to change geographical worlds. The literary works having such a power can make the specific gazes on the place or, maybe and can change the physical characters of the places. Also the education of geography has come to use the literary works, because the literary works can enhance the sense of place and can be rich sources of learning material about regions. The literary works are utilized as learning materials to teach the topics of school geography lessons effectively and as models of geographical writing. But so far the education of geography could not take full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literary works. Therefore in future the education of geography seems to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rich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literature and the educa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교감 과정과 성과

        박은희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This paper introduces the selection process of collation's manuscript and copy of 『Sinjŭng Tongguk yŏjisŭngnam』 and the selection process of materials from other editions.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principles of collation and examples of collation by typ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collation work in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treatise on geography. In presenting the achievements of collation, it was first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eography, people, and literary works. Geography is further divided into (1) geographical names or natural topographical names, (2) general descriptions related to geography, and (3)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and institutions.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1) the name of the person, (2) the character's career, family relations, and descriptions related to his actions. Literary works was divided into (1) the author or source of literary works, (2) the title of the literary works and (3) the verse of the literary works. By presenting the errors and differences in each item by dividing them into corrected comments, reference comments, and estimated comment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aspects of errors or differences that occur in treatise on geography, including 『Sinjŭng Tongguk yŏjisŭngnam』, in detail. Regarding geography, various cases of collation were presented, and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geographical names or natural topographical names were often changed to similar letters in the process of being passed down, settled in letters, and transcription or engraving, and that there were many errors or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stances. Regarding the person, various examples of collation were presented not only for errors and differences in the human name itself, such as names, alternative name, posthumous name, and taboo character, but also for the career and relations of the person. Regarding literary works, it also presented various cases of collation, and specifically revealed that this book serves as a kind of storage for the literary works not selected for 『Dongmunseo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ack of the literary works in Goryeo and early Joseon. 본고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교감의 저본 및 이본 선정 과정과 타교자료 선택 과정을 소개하고 아울러 교감 원칙과 교감성과 사례를 유형별로 제시함으로써, 지리지를 비롯한 고전 문헌 교감작업의 디딤돌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감성과를 제시함에 있어서는 먼저 지리ㆍ인물ㆍ시문의 세 부류로 나누었다. 지리는 다시 (1) 지명이나 자연지형명, (2) 지리 관련 일반적인 서술, (3) 역사적인 사건 및 제도 관련 서술로 나누었고, 인물은 (1) 인명, (2) 인물의 官歷, 가족관계, 행적 관련 서술로 나누었으며, 시문은 (1) 시문의 작자나 출전, (2) 시문 제목, (3) 시문 구절로 나누었다. 각 항목의 오류 및 차이를 수정주, 참조주, 추정주로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차이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지리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교감 사례를 제시하고, 특히 지리지의 지명이나 자연지형명이 입으로 전해지고 문자로 정착되고 또 傳寫나 板刻되는 과정에 발음이나 형태가 비슷한 글자로 바뀌는 경우가 많음을 밝혔으며, 또 距離數 등의 숫자에도 오류나 차이가 적지 않음을 밝혔다. 인물과 관련해서는 姓名, 字號, 諡號, 避諱 같은 인명 자체에 대한 오류와 차이뿐만 아니라 인물을 둘러싼 행적과 관계 등에 대한 다양한 교감 사례를 제시하였다. 시문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교감 사례를 제시함은 물론, 고려와 조선 초기의 시문집이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본서가 『동문선』에 선발되지 않은 시문들의 일종의 저장고 역할을 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소설의 인문지리 연구 -『 십오만원 사건』과 금각만 중심으로-

        박안토니나 ( Antonina Pak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한국문학의 한 유파로 주목받는 구소련 고려인 소설은 고려인의 다양한 삶의 모습, 꿈과 열망이 담겨 있는 재외 한인 문학의 소중한 유산이다. 그동안 구소련 고려인 소설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본고는 구소련 고려인의 다양한 모습과 지역 공간을 문학적으로 표상하고 창조하고 있는 고려인 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학지리적 전급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구소련 고려인 소설을 대상으로 삼는 이유는 문학지리를 탐구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인 동시에 문학지리적 사유 형식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범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먼저, 인간주의 지리학 중에서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차별성을 밝히고, 문학지리학이 갖는 위상을 간략히 정립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김준의 장편소설 십오만원 사건 과 김기철의 중편소설 금각만 에 반영된 한반도, 중국, 러시아를 배경으로 이념적 심상지리 인식의 변화, 지각과 김정에 집중 그리고 의례행위에 관심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Goryeoin literature, which draws attention as a sect of Korean literature, is a precious heritage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at holds multiple aspects of life, dream, and aspiration of Goryeoin. Research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in literature has developed diversely. This paper is devoted to research on an possibility of literary-geographical approach with focus on the novel “The Incident of 150,000 Won” by Kim, Jun, and the medium-length story “Golden Horn Bay” by Kim, Ki-chul that describe various aspects of Goryeoin in Central Asia, and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 way of literally representing the geographical space, for the two works are considered as the useful reference source to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as well as an examplificative model for reasoning pattern of literary geography. Here I clarify the distinctiveness of literary geography from other parts of humanistic geography, and briefly define the status of literary geography. Furthermore, I depi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maginative space of literary geography, and cultural diversity that are represented on the setting of Korean Peninsular, China, and Russia.

      •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김진영 ( Jean Young Kim ),신정엽 ( Jung 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문학 지리학은 지리학 연구에서 오랜 기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특히, 지역지리, 인간주의 지리학, 급진주의 지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 지리학은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관점에서만 제한적으로 문학 작품을 접근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총제적 의미와 다양한 잠재적인 장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문학이론에서의 공간 논의와 지리학에서의 공간 논의의 차이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학 지리학에 대한 정체성과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 지리학의 발전을 위해 다차원적 공간 요소의 확인, 문학 작품속 공간 구성에 대한 내외 측면 고찰, 역동성을 가진 문학 작품 속의 장소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geography for a long time, and much research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geography, the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radical geography. However, as the literary geography only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in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with the geographic thought and knowledge, it failed to catch the total meanings and various positive potentials of th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ssues of the space in the literature theories and in the geography have been identified, and based on it, the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literary geography were suggested. Nam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ography, the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factors,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literature.

      • KCI우수등재

        Spatial Literary Studies versus Literary Geography?

        Robert T. Tally Jr. 한국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 영문학 Vol.65 No.3

        Scholars have long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pace, place, or mapping, but formal methods or disciplines for such work have only recently come into being. Particularly after what has been called the “spatial tur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ers from various academic and artistic disciplines have developed work in connection to such terms as literary geography, imaginative geography, geocriticism, geopoetics, the spatial humanities, geohumanities, and spatial literary studies, to name a few. Understandably, there would be a great deal of overlapping interest among these emerging practices or subfields, even if the aims and methods of each may vary, and practitioners of one form may find it desirable to distinguish their field from other related ones. Recently, a leading proponent of literary geography has sharply criticized the conflation of that field with spatial literary studies, an ostensible rival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work of Robert T. Tally Jr., among others. In this essay, Tally responds to this criticism, first by explaining his use and understanding of the terms spatial literary studies and literary geography, then by attempting to create a working definition that would delineate the boundaries between these practices while leaving open the possibilities for future collaboration and mutual influence.

      • KCI등재

        이효석 문학에서의 지리 인식

        이민부(Minboo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소설가 이효석은 한국 현대 문학에서 지리 인식이 작품에 가장 뚜렷이 반영된 작가이다. 그는 그의 많은 문학작품에서 지리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작품 속에서도 학술적인 지리 용어들을 자주 구사하고있다. 유럽의 문학과 한국의 문학을 비교할 때도 그 지리적인 바탕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가 일생 동안 살았던 지역인 평창, 경성, 평양 등과 여행지였던 하얼빈 등 당시 만주국의 도시들에 대한 지리적인 설명을 많이남기면서 일상 지리학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문학평론가들도 이효석에 대해 향토성과 세계성 측면에서 지리 인식을 언급하고 있다. 이효석 문학의 지리 인식 연구는 문학지리학의 하나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Lee Hyoseok, one of the great authors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mostly reflected the geographical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his many literary works. He particular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gional geography in writing works and used many geographical items for his works. He stressed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European literature. His works present well the geography of daily life about his living places such as the Pyeongchang, Kyeongseong, and Pyeongyang and his tour cities in Manchuria including Harbin. In Korean literary world, the criticisms interpreted geographical identities such as regional localism and globalism for his works. The geographical perception in Lee Hyoseok’s literature maybe suggests a new direction of Korea’s literary geography.

      • KCI등재

        김사량의 소설 『물오리섬』에 대한 문학지리적 연구

        이 동 민(Do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representation of the places and landscapes in Sa-ryang Kim’s novel Muloriseom Island i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geography. It is a significant literary geographical text that describes Korean people’s life and identity by including landscapes of the Daedonggang River and the Muloriseom Is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text of Muloriseom Islandwas analyzed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five themes were drawn. First, the places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were represented as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Korean local identities. Second, the Muloriseom Island represented Korean people’s hope to overcome absurdities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rd, the Muloriseom Island also represented the extremely severe social condition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Fourth, the traces of Mireuk and Soon-yi within the novel represent the possibility that Korean people’s hope for a better life may eventually come true. Finally, the Muloriseom Island was interpreted as the place of patriarchal gender rol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eaningful discussions pertaining to the literary geographical approach toward the literary and social meanings of literature. 본 연구는 김사량의 단편소설 『물오리섬』의 작중 장소와 경관 재현 양상이 갖는 의미를 문학지리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물오리섬』은 일제강점기 말기에 대동강변과 물오리섬의 경관을 문학적으로 재현하여 식민지 조선인의 삶과 애환, 정체성을 표현한 작품으로, 문학지리적으로 중요한 텍스트라고 판단된다. 반 매넌(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평양 인근의 대동강 주변 경관은 조선의 향토적인 문화 경관으로 재현되었다. 둘째, 물오리섬은, 일제강점기라는 부조리한 현실을 차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과 의지를 재현한 장소라는 의미를 가졌다. 셋째, 범람에 취약한 하중도라는 지형적 특성을 가진 물오리섬은, 일제강점기 말기의 엄혹하고 부조리한 사회구조에 대한 은유를 재현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넷째, 물오리섬에 남아 있는 미륵과 순이 부부의 흔적과 대동강은, 일제강점기 말기에도 현실의 극복이 언젠가는 이루어지리라는 희망이 재현된 경관으로서의 성격도 가진다. 마지막으로 물오리섬에는 여성을 외부 세계와 격리시키고 ‘여성적’인 성역할을 부여하는 가부장적인 성역할과 젠더의식 또한 재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학작품의 서사구조와 시대적·사회적 의미에 대한 심층적·비판적 접근이라는 문학지리학의 의의와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한시(漢詩) 속에 들앉은 남해 금산(南海 錦山)의 형상화

        한정호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Kumsan, which is famous for Namhae-gun, Gyeongsangnam-do, is the only mountain park in Hallyeo Sea National Park, which boasts outstanding scenery. In this thesis, we will take a look at the poems that recited Kumsan, which is a precious cultural tourism resource of Nam hae-gun, and try to figure out how the sense of place, place quality, and topophilia of Kumsan are shaped in Chinese poetry. First, the Chinese poetry reciting Kumsan is embodied as a sense of place based on literary people’s place experience, so-called excursion and emotion. As such, many writers are reciting the sense of place according to Kumsan travel on an emotional level. In this regard, Kumsan’s place poems in the form of natural geography are centered on beautiful scenery. As such, the poems that recited Kumsan are reaching original and individual shapes through a sense of place. Second, the Chinese poetry reciting Kumsan shows the place quality of transmission and relationship by connecting the story related to Kumsan. This is nothing more than the humanistic and geographical embodiment of literary people who have learned specially in Kumsan travel, and the place quality of Kumsan com es to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m eaning. Of course, Kumsan’s place poems do not stay in inspiration or praise for the scenery, but express it with a sense of place based on the story of Kumsan. Through this, literary men are adding Kumsan’s place quality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imagerry. Third, the Chinese poetry reciting Kumsan is mainly composed of the topophilia felt in the exploration. In other words, the Kum san’s place poems consistently show the individual topophilia of literary people related to the scenery by taking a part of travel poetry according to the exploration. In particular, he is highlighting the image of a place by intentionally searching for a scenic and meaningful place, trying to reach the state of reflection and sublimation of his life through exploration, as in other travel poetry. This means that the imagerry of Kumsan’s place is biased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tourism geography. 경상남도 남해군의 명산으로 불리는 금산은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유일한 산악공원이다. 이 글에서는 남해군의 소중한 문화관광자원의 몫을 다하고 있는 금산을 읊은 한시들을 챙겨 금산의 장소감 또는 장소성, 그리고 장소애가한시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첫째, 금산을 읊은 한시는 문인의 장소 체험, 이른바 유람과 감동에 바탕한 장소감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만큼 여러 문인들은 금산 탐승에 따른 장소감을 감정적 차원에서 읊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연지리 형상화의 유형에 드는 금산의 장소시들은 아름다운 경관 묘사를 그 중심에 두고 있다. 이렇듯 금산을 읊은 시들은 구체적장소감을 통해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형상화에 이르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금산을 읊은 한시는 금산에 얽힌 이야기를 이음매로 전승과 유대의 장소성을보여주고 있다. 이는 금산 탐승에서 각별하게 터득한 문인의 인문지리적 형상화에 다름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금산의 장소성은 역사⋅문화적 의미로 다가온다. 물론 금산 장소시들은 경물이나 경관에 대한 단조로운 감흥이나 상찬을 되풀이하는 데 머물지않고, 금산에 얽힌 이야기를 중심으로 독창적인 장소감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문인들은 역사⋅문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금산의 장소성을 더해주고 있는 것이다. 셋째, 금산을 읊은 한시는 탐승에서 느끼는 장소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금산 장소시들은 탐승에 따른 기행시의 한 몫을 맡음으로써 경물과 관련된 문인들의 개별 장소애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경치 좋고 의미 있는 곳을 의도적으로찾음으로써 장소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여느 기행시들이 그렇듯이 탐승을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과 승화의 경지에 도달하려고 애쓰고 있는 것이다. 이는금산의 장소 상상력이 실행적 차원의 관광지리적 형상화에 치우쳐 있음을 뜻한다.

      • KCI등재

        디지털 지오포엠의 지리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한국지리 지형 단원을 중심으로-

        이동민,오홍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of digital geo-poems, a synthetic activity of geography-themed poem writing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geographic content using smartphone apps, as a method of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the corresponding author instructed 12th-grade students to construct digital geo-poems on geomorphology themes in Korean geography less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and reflective journals, and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survey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journals. As a result, digital geo-poem meaningfully encouraged the participants. Digital geo-poem helped develop their interests,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learning geography and enhanced their in-depth, contextual, and procedural understanding of geographical concepts. Consequently, most of the participants recognized digital geo-poem as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geography. These results suggest meaningful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geography learning.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글쓰기 앱을 활용하여 지리 주제의 시(詩) 쓰기와 지리 시각자료를 결합하는 형태의 활동인 디지털지오포엠이 지리 수업 방식으로서 갖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진행을 위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형 개념을 주제로 한 디지털 지오포엠을 창작하는 형태의 한국지리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수업 후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지 분석 및 성찰일지의 현상기술학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디지털 지오포엠 활동은 연구참여자들의 지리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 자신감의 향상, 지리 개념에 대한 심층적‧ 맥락적‧ 절차적 이해에 의미 있는 기여를하였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디지털 지오포엠을 유용하고 의미 있는 지리 학습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지리 학습의 개선 및 발전 방안과 관련된 의미 있는 논의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