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 창의성 연구를 위한 생애사 방법론 고찰

        김형숙,문지원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造形敎育 Vol.0 No.44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life-history research, which has become a significant metho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ts implications as a method in art education. A life-history is a history of one's experiences and is categorized as a personal document: autobiography, biography, diary, letter and so on, for it reveals one's perspective, circumstances, and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life-history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life-history itself by the reint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a researcher based on the personal documents. In addition, life-history research simultaneously deals with the subjective aspect of one's life experience and the objective aspect of the society through the person's life. Therefore, a life-history is a method utilized not only to study one's life, but to analyze society based on one's point of view.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of creativity.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life-history research. Third, the previous study of life-history research and its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re discussed in order to study the process of creativity development.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eativity system model by Mihaly Csikszentmihalyi,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xt, social context, and the individual in the creative process. Finally, this study maintains that life-history research allows a reinterpretation of social phenomena through the shift in perspective from that of the subject to that of the researcher. The life-history research method can be a new research method in art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life-history research can suggest a new counterplan for other art education researches.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K씨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 연구 : 슛제(F. Schütze)의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오은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4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K씨의 삶을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자의 시각에서 재구성함으로써 개인의 생애 발달 측면뿐 아니라 사회생활 경험 및 인간관계를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로 자료수집 후, 슛제(F. Schütze) 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인생 진행의 과정구조’, ‘이야기 재구성’, ‘개인 및 사회자원’으로 삶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K씨의 인생은 용기 있는 선택이 삶을 변화시켰다. 이는다시 개인 자원인 ‘도전하는 용기, 인내력, 타인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는 태도’와 사회자원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도움과 학교 친구와 직장동료 지원’이 결합하여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발현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K씨의 생애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조명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K씨의 구체적인 생애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남편과 시 가족을 위한 결혼이주여성 이해 교육 프로그램 마련, 부모초청제도 보완, 직업인으로서 기회의 공정성 확보’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fe of a marriage migrant woman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life development but also focusing on social life experiences and human relationships by reconstructing the life of a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an, K, through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from the researcher’s 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collecting data through narrative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F. Schütze’s life history analysis method. This method reconstructs life into “process structure of life progression”, “narrative reconstruction,” and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K’s life progressed through courageous choices. It was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personal resources such as “courage to challenge, perseverance, and an attitude of self-reflection through others” and social resources such as “support fro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chool friends, and workplace colleagues” facilitated he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and highlights the life of a marriage migrant woman through the life story of K, a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an. Furthermore, based on K’s specific adaptation experiences revealed in this study, it proposes discussions related to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for understanding marriage migrant women for husbands and in-laws, supplementing the parent invitation system, and ensuring fairness of opportunities as a professional.”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민성은 ( Min Sungeun ),최성호 ( Choi Sungho ),김영천 ( Kim Youngch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적 활용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생애사 연구 방법의 전체적 과정을 하나의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생애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구체적이고 모범적 적용 사례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애사 연구 문제 진술의 형태는 `삶의 전체 여정 묘사`, `개인적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원인`, `특정경험의 개인적 의미 형성 이해`, `특정 단체나 인물의 특징 개념화` 등 4가지로 영역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애사 연구의 주된 방법으로 생애사 면담, 보조적 방법으로 참여 관찰과 문서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세 번째, 생애사 자료 분석은 `연대기적 시간 순서로 분석하기`, `인간관계형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공간 및 소속집단 중심으로 분석하기`, `가치관과 비전 중심으로 분석하기`, `삶의 대응 방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사회적/역사적 맥락 중심으로 분석하기` 등 6가지관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 번째, 생애사 연구의 결과 표현 및 글쓰기 방법에는 연대기적 글쓰기, 중요한 사건 혹은 일화 중심 글쓰기,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글쓰기, 호소적 언어사용을 통한 글쓰기, 표를 활용한 글쓰기 등이 있다. 이러한 생애사 연구 과정에 대한 개념적 모형에 대한 논의는 생애사 연구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지침과 안내자로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ceptual model of life history research in overall way. The concret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research problem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scription of overall life journey`, `the concrete aspects and causes of individual change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meanings on specific experi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rai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personality`. Second, life history interview acts as a main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act as subsidiary research method. Moreover, developing a interview guide would be necessary for effective life history interview. Third, the frames of data analysi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to analyze chronologically`, `to analyze based on modes of human relations`, `configurations of interaction`, `to analyze based on place and affiliated groups`, `to analyze based on personal sense of values and vision`, `to analyze based on changing life attitudes`, and `to analyze based on social/historical context`. Fourth, there are manifold writing methods in life history research including `to write chronologically`, `to write based on critical event of anecdote`, `to write utilizing visual images`, `to write through emotional appealing languages`, `to write utilizing the tables`. These overall outline on life history research can be beneficial to especially life history novice as a guidance to research.

      • KCI등재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 및 연출기법 분석

        김선영(Kim, Sun Young),권병웅(Kwon, Byung Wo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을 대상으로 전시매체와 연출기법에 있어서 매체와 기법의 중요성과 만족도 관계를 실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 및 연출기법의 중요도-만족도 관계 분석은 대응표본 t-test 및 IPA 격자도 분석,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사박물관의 방문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연출기법과 전시매체 보다 전시주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사박물관은 전시매체와 연출기법의 관계에 있어서 전시매체가 연출기법 보다 체험효과를 높이는데 더 우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시구성의 최적화된 연출을 위해서 자연생태에 대한 지식정보와 전시내용의 사실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자연사박물관 전시매체별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시매체별 중요도는 ‘실물전시’(M=4.31), ‘표본전시’(M=4.25), ‘체험전시’(M=4.15), ‘모형전시’(M= 4.0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는 대중들에게 현장 체감형 실물전시가 가장 선호하는 연출기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연사박물관 전시매체 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본전시(β=.252, p<.001), 실물전시(β=.190, p<.01), 패널전시(β=.154, p<.05), 음향전시(β=.141, p<.05)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연사박물관 직접적 체험전시의 연출기법이 전시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작식전시(β=.218, p<.01), 실험전시(β=.180, p<.05), 현장체 감형전시(β=.155, p<.05)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축시 공간구성 및 매체의 선택과 연출기법의 체계적 개발에 도움을 주리라고 기대한다. 장기적으로는 자연사박물관이 대중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서 매체와 표현 그리고 전시기술 R&D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exhibition media and directing method of natural history museum, a platform of sensibility communication based on natural ec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exhibition media and directing method of natural history museum is analyzed by t-test and IPA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und out that exhibition media hold better educational effects than directing method in natural history museum.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hibition directing of natural history museum is reality of knowledge and expression. As the method of delivering exhibition topic and contents, Hands-on method is figured out to be the most adequate method. Life-sized model holds the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in exhibition media. Site experience directing method holds the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in directing methods. Such results mean that Life-sized model with site experience is the most preferred directing media by the mass visiting natural history museum.

      • KCI등재

        국어생활사 교육의 방법과 교재

        김유범 ( Yu Pum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0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way how to teach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n schoo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for the organ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of it. Above all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should be a part of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I suggest the two kinds of teaching and leaning method: one is the way to make use of linguistic elements in Korean and the other is the way to tell the story of somebody showing their affection towards Korean language. I also point out the three regards necessary to organize teaching materials: the problems of 1) the harmony with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2) the selection of data showing Korean`s vivid Korean language life, 3) the way of showing the selected data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

        김주관(Kim Joo-Kwan) 역사문화학회 200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8 No.1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meanings and methods of the construction of archives concerning people’s everyday life histories with the case of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It seems to be necessary to have a common ground for th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so-called microhistoric approaches in order to do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it would be archives preserving various kinds of data from various research sites. The construction of archives in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will be a good example for such a project even though the archives are still being under construction.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has been working for about three years to collect raw data on people’s life histories, and constructing archives to preserve those data. However, the archive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archives in pursuing open archives, which means that the archives are open to informants as well as researchers. It 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which means that the principle of the archives is toward a process-oriented activity. Each datum i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own class number and stored in boxes classified on the basis of media. Each datum has also metadata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digital archives. The class numbers are made by the archival committee of the Group. and the metadata format is adapted from the Doublin Cor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First. how can we define the role of archivists in this kind of archives? Traditionally. archivists are regarded as archival managers. But in the archives of the Group requires archivists to be record managers as well as researchers. The best solution of the problem at this moment is to educate archival techniques to researchers. Secondly, we have to define archival units of data which have the formats of texts and moving pictures. To preserve the vividness and the richness of the data. each datum should be divided into smaller units called paragraphs or sequences. It may be time-consuming and costly task, but it will be solved if we move to digital archives. The third problem is how to produce a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basis of indigenous knowledge in order to make the archives more accessible. We need to adopt the method developed by cognitive anthropologists, folk taxonomy. Though it is not easy to apply the method to such a big domain called people’s everyday life histories, it would not be impossible if we subcategorize it into smaller domains. From the review of the archives of the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nstruction of archives will provide the researcher of microhistory with a good common ground to communicate one another. Furthermore, the archives will be a source of culture contents, and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ies and fulfill popular desires.

      • KCI등재

        386세대 여성 사회운동가의 굴곡진 삶과 자아를 찾는 여정에 관한 구술 생애사 연구

        임현화,문경숙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dividual experiences buried in a macroscopic stream of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by looking at a 386-generation female social activist, Eunhui. To achieve this goal I used oral life history method allowing Eunhui express past experiences freely.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to extract Eunhui’s consistent behavior patter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behavior pattern of Eunhui was categorized into two areas. The cause of these behavior patterns was deeply rooted in the painful relationship with her father when she was young. Eunhui, who has been socialized by accepting the norms and order of her home and schools, has restructured her viewpoints of the world while experiencing new way of thinking when she worked together with other college students sharing social activity together. The entire process of this study was a self-healing process for Eunhui to 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past life experiences through the current viewpoint. This study verifies that an individual’s growth and maturity can happen not only from education and experiencing social institutions like schools and organizations but also through a change of viewpoint on his/her lif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an individual's sociohistorical life can be fully understoo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xt of personal experience and childhood oppression. 이 연구는 386세대 여성 사회운동가인 은희의 삶을 통해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거시적 흐름 속에 묻힌 개인의 경험을 드러내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은희가 그동안 미처 표현하지 못했던 자신의 과거 경험을 자유롭게 풀어내는 구술 생애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차례의 심층면담을 진행해 생성한 자료를 시간에 따른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은희가 일관되게 지속시켰던 행위 양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은희 삶의 전반에 걸친 행위 양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행위 양식은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상처와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어린 시절 가정과 학교에서 강요하는 규범과 질서를 수용하며 사회화된 은희는 대학 동아리에서 만난 학생 운동권들과의 활동에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겪으며 세상에 대한 관점을 재구성해 나갔다. 은희의 과거 경험을 현재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재구성한 이 연구는 은희가 자신의 전 생애를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스스로 치유하는 과정이었다. 이 연구는 인간의 성장과 성숙은 학교나 기관에서의 교육이나 다양한 경험과 같은 사회적 장치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삶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의 변화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 개인의 사회역사적 삶은 그 사람의 개인적 경험이나 유년기의 억압과 같은 삶의 맥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온전히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었다.

      • KCI등재

        평생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질적연구방법 선택 기준 정립에 대한 소고

        윤창국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4

        최근 많은 평생교육학 연구들이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성과를 축적하고 있지만 연구방법의 선택과 활용 등과 같은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체계화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평생교육 연구에 있어서 질적연구방법의 선택기준을 정립하여 연구방법론의 체계화를 위한 논의의 출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기존의 다양한 연구방법 선택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실체적 관심'과 '인식론적 관심'을 포함하는 연구목적이 연구방법의 선택 기준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질적연구방법의 대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현상학, 민속지학, 사례연구, 근거이론, 생애사가 각각 어떠한 고유의 실체적 관심과 인식론적 관심으로 구성된 연구목적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최적화 되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stablish criteria on selecting a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cently, many researchers in lifelong education have adopted qualitative methods in order to explore diverse dimensions of learning in everyday life. However, they tend to ignore systemized methodological issues. To satisfy the purpose,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other discussions about criteria on methodological categories. After that, this study argues that the purpose of study including substantive concerns and epistemic concerns should the criteria on selecting a research method. Also, this study investigate what are substantive and epistemic concerns in phenomenology, ethnography,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life history.

      • KCI우수등재

        한국스포츠교육학의 도입과 학회 형성의 과정 탐색: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김승환 ( Kim Seung-hwan ),조미혜 ( Cho Mi-hye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4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교육학의 도입과 한국스포츠교육학회의 형성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뤄졌는지를 역사학적 기록측면에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세대 한국스포츠교육학자 1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생애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와 총 9회의 면담활동을 통해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생애사 연구의 개념적 모형의 틀을 기반으로 구조적 코딩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교육학의 태동 시기는 1960∼1970년대 이다. 당시 스포츠교육학은 전무하였으나 스포츠과학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학교체육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스포츠교육학의 도입과 학회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된 시기는 1980년대 이다. 한국체육학회 학교체육 분과, 학교체육연구회 그리고 86, 88 국제학술대회를 통하여 스포츠교육학 연구가 진행되며 한국스포츠교육학회의 설립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셋째, 한국스포츠교육학회가 창립된 시기는 1990년대 이다. 1992년 한국스포츠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이후 1994년부터 학술지가 발간되는 등 스포츠교육학은 이론적 체계를 적립하며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며 발전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타 학문분야에서도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한 학문의 역사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Korean Sport Pedagogy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was introduced in the aspect of historical recording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first-generation Korean sport pedagogy scholar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s the participants and the life history method was utiliz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nine times of interview in total, and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coding based on the framework of a conceptual model of life history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1960s∼1970s, It is the beginning of the sport pedagogy. During this time there was no sport pedagogy, however, the impact of the cultural m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sports science had been emerged and had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the 1980s, It is a time when the introduction of sport pedagogy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association have emerged. Through the 86th Seoul Asian Games International Sports Science Conference and the 88th Seoul Olympics International Sports Science Conference, Sports pedagogy division were holding the conference independently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KAHPERD, the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ssociation had increased. Third, in the 1990s, It is a time when the association was founded.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was founded, and academic journals were published since 1994. And sport pedagogy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as it own property as the theoretical system had been getting structured. It is judged that this will enable us to penetrate the past and present of Sport Pedagogy and to help set up the indicator that shows the future direction of sport pedagogy and In the follow, the future studies will give us to light and reveal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through the life history method and we believe this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other academic fields.

      • KCI등재

        생애사연구를 통해 본 남성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

        김진숙(Jin Suk Kim),전지형(Ji Hyeong J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남성 알코올 중독 회복자의 생애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알코올 중독자의 삶을 통해 알코올 중독의 원인을 이해하며 그 원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알코올 중독에서 회복하는 경험을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는 10년 이상 회복 중인 남성 알코올 중독 회복자 노인이 참여하였다. Mandelbaum(1973)이 제안한 생애사 기법에 따라 ‘삶의 영역’, ‘전환점’,‘적응’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은 <아버지가 망하던 그날>, <모래 위에 지은 누각과 같았던 젊은 날>, <술병에 갇혀버린 결혼생활>, <막다른 길, 혼자 남겨진 삶>으로 나타났으며, ‘전환점’은 <자살시도, 그리고 인간다운 삶에 대한 욕구>, <하늘에서 내려온 동아줄, 기초생활수급비>, <새로운 문을 열고 복지관에 들어서기> 로, 마지막 ‘적응’은 <중독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선택한 고독>, <무위(無爲)의 시간과 공간 채워나가기>, <돕는 손길과 함께 해내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중독의 회복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 및 정책 차원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 life history of a male recovered alcohol add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ause of addiction of alcoholics in the life of male alcoholics,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use, and aims to understand alcohol-recovery experience. This study included male alcohol addicts recovering for more than 10 years. this study based on life-history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Mandelbaum(1973) on life history and divides the study points into ‘dimension of life,’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mension of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 was divided into several sectors for the analysis including‘the day my father failed’, ‘a young day like a castle bulit on sand’, ‘the married life was locked up liquor bottle’, ‘the dead end, a life left alone . The ‘turning point’ was revealed as ‘attempted suicide, and a desire for desirable life’, ‘a rope came down from the sky, the basic living security patment’, ‘open a new door, go into the welfare center . The ‘adaptation’ was derived from the ‘loneliness chosen to escape from addiction’, ‘fill empty time and space’, ‘overcoming with fairy godmother .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iscussions on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