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tribution of Learning Readiness to Group Discussion in University English Flipped Classroom

        Kyong-Hyon Pyo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9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6 No.4

        The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whether learning readiness contributes to university students’ group discussion in English in a flipped classroom.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Is there a change in learning readiness before and after flipped learning?; 2) Is there a change in students’ participation in group discussion before and after flipped learning?; and 3) Does learning readiness contribute to participation in group discussion? A total of 5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 survey questionnaires and quizze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for repeated measure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atistical analys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readiness and group discussion; and 2) learning readiness and quizzes greatly contributed to group discussion. These findings corroborated the previous research that learning readiness is essential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a successful flipped classroom. This suggests that teachers devise ways to help students engage in online activities for greater learning readiness.

      • KCI등재

        한국어교육학 전공 학부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이론과 실습 과목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박현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3 언어와 문화 Vol.19 No.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ducation major. In particular, this paper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ory classes and the practicum, which are essential requirements to obtain the certification as a teacher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rty-two students enrolled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ducation classes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a four-year Korean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rty items of the scale developed by Fisher, King, and Tague (2001) were used to measure th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ults show an average of 3.27 for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with the factors with the highest average being in order desire for learning,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RQ1).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ndividual scale items and factor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19 items and three sub-factors (RQ2). Lastl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um and th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is higher (RQ3).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student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is positive (higher than 3 points) and that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have a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acticum.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적응지원을 위한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 개발

        최효선(Hyoseon Choi),연은경(Eunkyoung Yeon),남나라(Nara Nam),주형선(Hyungson Ju)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국내외 원격대학에서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대학생활 준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학습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 및 사례 분석,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영역, 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전문가, 대학 실무담당자, 원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성인학습자로서의 준비’, ‘원격학습자 역량’, ‘대학생활 알아보기’ 등 3개 영역 총 8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타당성 분석 결과, 진단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하여 진단도구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단도구에 대한 학습자 반응 역시 대체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는 원격대학 학업적응을 지원함으로써 여러 학습자의 학업지속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distance learning, it is gradually getting attention to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distance learners by using learning readiness tools as a way to support learner’s distance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that can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the distance learners. Th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analysis of learner’s learning process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As a result, the area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of the distance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preparation as an adult learner’, ‘competencies of a distance learner’, and ‘learning students’ life’. The results of the three-phase validations for experts, college practitioners, and distance learners showed that the developed learning readiness tool was reliable and valid enough to be used as a learner support tool. It is expected that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tool for distance learners can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by supporting distance learning adaptation.

      • KCI등재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황순희,최금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5

        학습포트폴리오는 자기조절학습, 자기주도학습에 효과적인 도구로 1990년대 중반부터 교육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 왔으나, 학습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에 대한 검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목적은 교양교과목에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하여, 그 효과를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향상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인 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총 226명을 대상으로 각각 학습포트폴리오 참여집단과 미참여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수업 전후 측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포트폴리오 활동은한국인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학습포트폴리오 활동은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earning portfolios have garnered attention in education since the mid-1990s. Despite this,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ir effect, particularly regarding their affective factor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course using learning portfolios in general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ego-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e research involved a total of 226 Korean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rom one Korean university. They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portfolio cour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ego-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both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group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learning portfolios significantly enhanc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ego-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Korean undergraduates. Conversely, these activities had no notable impa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ego-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ntegrating learning portfolio activities into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의학용어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촉진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채유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could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as investigated among 63 first-year Medical Terminology undergraduates in the C area. A repeat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creased from 177.3 to 180.8 for those under 18 years of age, and 192.9 to 196.5 for those over 19 years of age (p<0.05). After the team activity, the overal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as improved, and both high- and low-achieving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p<0.05). The environment surrounding learner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when given the right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ppropriate feedback.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form basic foundation material for professors and class designers who want to draw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from memorizing subjects.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지,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 지역 4년제 보건행정학과 1학년 ‘의학용어’ 수강생 63명을 대상으로 팀활동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 적용 후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조사하여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는 2016년 9월 6일 1차, 12월 6일 2차로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선형모형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8세 이하군은 수업 전 177.3점에서 180.8점, 19세 이상군은 192.9점에서 196.5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수업 후 전반적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으며 학업 성취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다(p<0.05). 회귀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관련 변수들의 모델 설명력은 41.1%로 높았으며 연령과 수시시험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학습자를 둘러싼 환경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와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질 때 자기주도학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기과목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이끌어내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유형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김순영,김수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유형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파악하고 학습유형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은 간호학과 1, 2학년 2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유형은 협동형이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학년과 전공만족도, 평균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학습유형 하부 6개 중 참여형, 의존형, 독립형, 회피형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설계와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학습유형을 고려한 자기줃 학습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iming to evaluate a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ed readiness. Moreover, it aims to identify how the learning style affects self-directed readiness. Data obtained with 248 freshmen and sophomore nursing students who have taken a problem based learning.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collaborate learning style in problem based learning was dominant. Learning style by general characteristic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self-directed readiness was differentiated by grade, satisfaction level on major, average score. It showed that among 6 subcategories of learning style, participant, dependent, independent, avoidant style affect self-directed readiness. We consider that it could be suggested a basic data based upon with these results for class design, strategy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readiness. We also suggest teaching strategy development enhancing self-directed readiness considering learning style of students.

      • KCI등재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윤경(Yunkyo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온라인 환경에서의 수업은 학습자에게 학업에 대한 포기와 학업 성취 저하와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과 함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이러닝 준비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방법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이러닝 준비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을 사용하여 회수된 자료는 SPSS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척도의 요인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들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이러닝 준비도 특성을 조사한 결과 영역별로 응답평균이 3.417에서 3.961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5개영역에 대한 이러닝 준비도 전체 평균은 3.76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다수 학습자가 보통 수준 이상의 역량과 인식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요인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결과를 통해 둘 다 상호간 63.3%의 비중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상호간 78.9%의 정적인 상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앞으로의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해서라도 양질의 온라인 환경의 한국어 교육은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 토대를 위하여 이 연구의 결과가 의미있게 사용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earners in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Methods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five areas and 22 question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relationship, video learning contents, collaboration learning and success factor for class were used to investigate tool. In this study,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 for 6 students,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Result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ults across the five areas of Korean learner recognized an average 3.768 and the majority of learners have a more normal leve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er’s achievement had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 that E-learning readiness factor of Korean learner does the effect on on-line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learning.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n effort to develop high-qualified on-line course in Korean educa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class will be establish as a new course for learners, not only offline class.

      • KCI등재

        취업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구

        박신영,이병준 한국성인교육학회 201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6 No.3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in the areas of Busan, Changwon and Gimha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esteem of the female married immigrant employed, and the result has been produced based on analyzing 161 copies of the survey. Firstly, a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elf-esteem based on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in the 6 sub factors including Love of learning, Self-conviction as a learner, Openness to a challenge, Inquisitive natures of learning, Self-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responsibility in learning, but no difference in Self-esteem. Secondly, as of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only the three factors including Love of learning, Self-conviction as a learner and Awareness of the responsibility in learning, but no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as of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only the three factors including Openness to a challenge, Self-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responsibility in learning. Third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esteem based o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Finally,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esteem, consequently, it was verified that as the readi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got higher, self-esteem also got higher. 본 연구는 취업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를 위해 부산․창원․김해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실력과 직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자아존중감 차이를 보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6개 하위요인인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자로서의 자기확신’, ‘도전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호기심’, ‘자기이해’,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 모두에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력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자로서의 자기확신’,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서, 자녀수는 ‘도전에 대한 개방성’, ‘자기이해’,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연령과 한국거주 기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자아존중감 모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자아존중감 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유아의 학습행동을 통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Lee, Jeong-Min),조재현(Cho, Jae-Hyeon),김영희(Kim, Yeo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유아의 학습행동과 학교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에 소속된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50명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질문지 방식으로 유의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론적 경로모형은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학습지지와 학습압박, 유아의 학습의욕행동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유아의 주의지속행동과 학교준비도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학습지지가 높을수록 남아와 여아 모두 학습의욕행동과 주의지속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습압박이 높아질수록 남아와 여아 모두의 학습의욕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습압박은 남아의 주의지속행동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학습의욕행동은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아의 주의지속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남아와 여아 모두 학습의욕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학교준비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학습지지와 학습압박은 남아와 여아 모두의 학습의욕행동을 통해 학교준비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의 학습의욕행동은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other's academic involvement on learn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5 years old attending 6 kindergartens and 4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The testing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AMOS 7.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learning-related behaviors and children's motivation of learning behavior by gender while attention persistence of learn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Second, mothers'learning-related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motivation and attention persistence of learning behavior for both boys and girls. Additionally, mothers' learning-related pressure had a direct effect on motivation of learning behavior for both boys and girls whereas it did only on boys' attention persistence of learning behavior. Third, children's school readiness was affected by motivation of learning behavior only. Fourth, mothers' learning-related support and pressure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mediated by motivation of learning behavior.

      • KCI등재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석,황미자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3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me effects of the Web Based Project Instruction (WBPI) methods up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the discussion about the effects on behalf of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procedure (factor analysis and t-test), the focus is concentrated on the following 8 internally-structured factor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ove of learning, Challenging exploratory curiosity, Positive self-concept as an effective learner,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Motives oriented to the future, Responsibility for one?s own learning, Creativity in learning skills, Initiative in decision making.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is the Guglielmino?s SDLRS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translated into Korean. It is concluded that WBPI is a very effective means which can strengthen the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especially in the case of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프로젝트 학습(WBPI) 방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요인분석법 및 t 검증에 의한 통계적 가설 검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학습에 있어서 자기주도성의 내적 구조는 다음 8가지 요인에 의해서 설명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에 대한 애정, 도전적 탐구심, 학습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미래지향적 성취동기,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방법의 창의성, 의사결정의 주체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요컨대,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방법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 수단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