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의 12-14권에서 지식과 지혜의 관계

        이은선(Eun-Seon Lee)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Augustine discusses the image of God, knowledge and wisdom, and the recovery of the Trinity as the eternal image of God in Trinity 12-14. Because mankind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the form of Trinity was placed in a man’s mens, which is high part of reason. And this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was used to communicate with God at the time of creation. However, the form of Trinity inside of mankind has been tainted as people became corrupted with greater love for wealth than for God. As a result, human beings who is downgraded to the status of animal must go forward with knowledge of faith to wisdom which is God’s worship. Faith is mandatory for the knowledge to transfer to the wisdom. Given that the faith is the knowledge which belongs to time, we take ourselves into the wisdom with the faith in Christ through the knowledge of faith. Transfer from the knowledge to the wisdom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faith in the Christ’s person who has a union of divinity and humanity. When we go forth to God with the faith in Christ, the image of God is recovered in our mens that we become able to remember, understand, and love God. Though the image of God which is placed in place of high part of human reason became unable to communicate with God due to human beings’ corruption, it recovers its ability to remember, understand, and love God through the faith in redemption of Christ. This wisdom further grows as the wisdom to worship God. Accordingly, the eternal Trinity of God placed in the image of God gets recovered as the knowledge transfers into the wisdom through the faith. Augustine wanted people’s hearts to believe in and understand the Trinity of God by training their hearts in this way. Of course, visio Dei (seeing the actual God with our eyes) would be only possible after death. Augustine discusses the image of God, knowledge and wisdom, and the recovery of the Trinity as the eternal image of God in Trinity 12-14. Because mankind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the form of Trinity was placed in a man’s mens, which is high part of reason. And this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was used to communicate with God at the time of creation. However, the form of Trinity inside of mankind has been tainted as people became corrupted with greater love for wealth than for God. As a result, human beings who is downgraded to the status of animal must go forward with knowledge of faith to wisdom which is God’s worship. Faith is mandatory for the knowledge to transfer to the wisdom. Given that the faith is the knowledge which belongs to time, we take ourselves into the wisdom with the faith in Christ through the knowledge of faith. Transfer from the knowledge to the wisdom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faith in the Christ’s person who has a union of divinity and humanity. When we go forth to God with the faith in Christ, the image of God is recovered in our mens that we become able to remember, understand, and love God. Though the image of God which is placed in place of high part of human reason became unable to communicate with God due to human beings’ corruption, it recovers its ability to remember, understand, and love God through the faith in redemption of Christ. This wisdom further grows as the wisdom to worship God. Accordingly, the eternal Trinity of God placed in the image of God gets recovered as the knowledge transfers into the wisdom through the faith. Augustine wanted people’s hearts to believe in and understand the Trinity of God by training their hearts in this way. Of course, visio Dei (seeing the actual God with our eyes) would be only possible after death.

      • KCI등재후보

        칼빈의 영성-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서 경건

        김윤태 ( Youn Tae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8 조직신학연구 Vol.28 No.-

        칼빈에게 기독교 영성에 해당하는 적합한 단어는 경건이다. 칼빈의 신학과 삶 전체는 경건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칼빈의 영성으로서 경건 이해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첫 째는 ‘앎’의 요소로서 우리를 위하신 하나님과 그 하나님의 뜻을 지성적으로 아는 것과, 둘째는 ‘삶’의 요소로서 그러한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을 앎으로 신자의 삶에서 나타나는 그 지식의 역동적 효과가 그것이다. 비록 이 두 요소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의 경건 이해에 더 우선적 중요성을 갖는 것은 첫 번째 요소인 하나님과 그의 뜻을 아는 지식이며, 이 지식은 두 번째 요소의 기초인 동시에 신자의 생명력 있는 역동적인 삶을 이끌어 가는 것이다. 칼빈의 우리를 위하신 하나님과 그의 뜻을 아는 지식을 살피기 위해서는 칼빈의 신학에 나타나는 논리적 사고의 순서와 구조를 살필 필요가 있다. 기독교강요에서 칼빈의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을 아는 지식은 이중적으로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과 더불어 그러한 나타난 뜻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적으로 성취되는 숨겨진 하나님의 뜻을 아는 삼중적 구조 속에 전개되고 있다. 곧 기독교강요 1권이 창조와 섭리를 통해 모든 사람들에게 차별없이 나타나는 하나님의 뜻을 아는 지식에 관한 것이라면, 2권은 율법과 복음이 증거하는 그리스도를 통해 믿는 자들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아는 지식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3권은 앞선 두 개의 나타난 하나님의 뜻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적으로 성취되는 하나님의 뜻으로서 하나님의 나라에 감추어진 예정을 아는 지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칼빈의 신학 구조는 이후 발전된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행위언약’, ‘은혜언약’, 그리고 ‘구속언약’과 상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칼빈의 하나님과 그의 뜻을 아는 지식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칼빈의 사고 속에 있는 사고의 논리적 순서와 구별된 시각들, 그리고 영역의 구별들을 잘 살필 필요가 있다. 칼빈의 신학에는 ‘주변적인(peripheral) 것’에서 ‘중심적인(central) 것’으로 이동하는 논리적 사고의 순서가 있으며, ‘밑으로부터의 시각’(a posteriori perspective)과 ‘위로부터의 시각’(a priori perspective)이 있다. 또한 서로 구별되지만 그러면서도 상관적으로 통일을 이루고 있는 원뿔형 구조의 세 구별된 영역들이 나타나는데, 그것은 ‘세상’과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로 불려질 수 있다. For Calvin, the proper word for Christian spirituality is ‘piety.’ Piety is the very word that can properly summarize Calvin’s entire theology and life. There are two factors in Calvin’s understanding of piety as spirituality. The first factor is ‘knowing’ that is the intellectual knowledge of God for us and of His will. The second factor is ‘living’ that is the dynamic effect of the knowledge appearing in the believer’s life. However, the intellectual knowledge of God and of His will is the main part of piety and it i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life which is the effect of the knowledge. The two factors are closely connected, but nonetheless the knowledge of God and His will has greater importance to the dynamic practical Christian life. The former is the bases of the latter and leads to the latter. In order to examine Calvin’s knowledge of God for us and His will, we need to look at a certain order and structure of logical thinking that appears in Calvin’s theology, specially in his Institutes . In the Institutes, there appears a triple structure of the knowledge of God and His will, that is, the knowledge of God and His will revealed to His creatures into twofold manner together with the knowledge of God and His will hidden in heaven. The knowledge of God for us is revealed in twofold manner: one is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which is revealed to all humanity indiscriminately through the creation and the providence(Institutes vol. I), the other is the knowledge of God the Redeemer which is revealed to all believers through the Mediator(Christ) in the Scripture(Institutes vol. II). Together with this twofold knowledge of God revealed, there is another knowledge of God which is hidden in the Kingdom of God(Institutes vol. III).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knowledge of God is known over a threefold realms of ‘the World’, ‘the Church’ and ‘the Kingdom of God’. This threefold knowledge of God is to be coincided with the threefold Reformed covenant scheme, that is, the covenant of works, the covenant of grace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 In understanding Calvin’s theological thinking, there are some patterns to be considered: certain logical order, two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ree distinguished realms. The logical order is from ‘peripheral’ to ‘central’,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are a posteriori perspective and a priori perspective, and the three realms are the ‘World’, the ‘Church’, and the ‘Kingdom of God’ which are distinguished but perichoretically united in a conical structure.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론 연구

        장건익 ( Ch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8 가톨릭철학 Vol.0 No.10

        1.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가 제시하는 신 관념은 궁극적으로 동일하다. 이들이 말하는 신은 ‘스스로 있는 자’(ego sum qui sum), 존재 그 자체(ipsum esse), 우주의 창조자이다. 표현은 다르지만 이 말들이 지시하는 바는 모두 동일하며, 또한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신을 의미한다. 이들의 차이는 각자가 선택한 ‘신에 도달하는 길’과 도구로 이용했던 그리스의 철학에서 발생한다. 2. “주여, 당신을 향하도록 우리를 지으셨으니, 당신 안에서 쉬기까지는 우리 마음에 평안이 없나이다”라는 그의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의 흔적을 자신의 내면에서 찾았다. 그 흔적은 일종의 기억이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기억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기억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신이 새겨 넣은 기록이자 당신 자신에 대한 기억이다. 이 기억 때문에 인간은 신을 그리워하고 갈망하는 것이다. 내면의 불안과 동요는 이러한 기억이 작동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래서 신을 만나기 전까지 인간의 마음에는 쉼이 없는 것이다. 이처럼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신에 대한 존재론적 기억 때문에 촉발된 영혼의 운동이자 여행이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 ‘우리의 내면 가장 깊은 곳’(interior intimo meo)에 계신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신을 발견할 곳도 우리의 내면이라는 것이다. 물론 신을 발견하는 것은 기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성적 사유를 통해서도 아니다. 오히려 그가 자신의 내면여행을 통해 처음 발견한 것은 신이 아니라 자기모순과 분열이었다. 자신이 진정 사랑해야 할 대상을 사랑하지 못하고, 사랑해서는 안 될 것을 사랑하는 자기모순을 통해 그는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는 인간은 신의 은총과 사랑을 통해 신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받아드리게 된다. 이제 그의 여행은 신이 주시는 진리와 사랑을 통해 자신의 분열과 모순을 치료하는 여행이자. 선물로서 행복이 주어지는 여행이 된다. 하지만 이 여행의 온전한 주관자는 자기 자신이 아니라 하느님이라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가 우리에게 말하는 역설이자 신비이다. 3. 토마스는 인간 지성의 적절한 인식대상은 물질유(物質有)의 형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감각과 추상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신이라는 대상은 우리에게 적절한 인식대상이 아니다. 신은 어떤 이미지도 없으며, 추상할 형상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신에게 직접 다가갈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는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다른 길이 있다고 보았다. 그것은 신이 남긴 흔적을 추적하는 길이다. 아우구스티누스와 달리 그는 이 흔적을 우리의 내면에서 찾지 않는다. 그가 발견한 신의 흔적은 바로 그가 창조한 이 세계, 즉 외부세계이다. 그는 ‘밖으로의 길’을 통해 신을 찾아간 것이다. 이 우주가 가지고 있는 존재론적 기억은 신이 존재함을 증언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우주를 통해 신의 존재를 입증하고, 그것을 초월함(유비와 부정의 방법)으로써 신에 대한 인식에 도달하는 철학적 길을 통해 그는 신에게로 나아간다. 토마스는 철학적으로는 이 방법이 신에게 도달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이 부정의 길과 인과적 유비추리의 존재론적 배경이다. 그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비록 불완전하지만 신 인식에 도달한다. 추상이 피조물에 대해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인식인 것에 비해 ,피조물을 통한 부정과 유비는 신에 대해 부정적, 간접적, 제한적 인식이며, 또한 그럴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신은 우리가 직접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며, 우리의 신 인식은 피조물을 통해서만 인식하는 우회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완전성이 허위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그것이 불완전하다 할지라도 그것은 인간의 다른 어떤 앎보다도 고귀하고 가치 있는 것이며,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인식이다. 1. The ideas of God which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propose are ultimately identical. The notions of God which they say are ‘I am Who I am(Ego sum qui sum)’, ‘Being Itself(ipsum esse)’, and ‘Creator of universe’. Although these words are different, their meanings are the same. They refer to the Christian God. Their differences arise from ‘the paths to the God’ that they chose and the Greek philosophies that they used as an instrument. 2. Augustine found the trace of God in his inner self. This trace of God is a kind of memory, but it is an ontological one, not an ordinary one. It is the record that God inscribed and the memory about Himself. Because of this memory, men miss God and long for God. Anxieties and worries in men are the evidences that this memory is working. Thus, men’s mind has no rest before they meet God. As we can see from this, the philosophy of Augustine is the movement and the journey of the Soul, which are caused by ontological memory of God. Also, Augustine says that God exists in our innermost place (interior intimo meo). So he says that the place we should find God is also our inner self. However, it is not through rational thinking that we find God. Rather, what Augustine found through his journey to the inner self was not God, but only self-contradiction and self-division. From the self-contradiction that a man does not love what he should love and love what he should not love, Augustine realized that a man cannot save himself. Thus, he accepted that a man can love God only through His grace and love. Now, it becomes the journey to cure his self-contradiction and self-division through truth and love that God gives and the journey given as a gift. However, the paradox and mystery that Augustine asserts is that the master of this journey is not a man himself but God. 3. Thomas Aquinas says that the proper object of men’s knowledge is the forms of material beings. A man acquires knowledge by abstracting the intelligible from the material and from the sensible. From this point of view, God is not the proper object of a man’s knowledge. It is because we have neither God’s sensible image, nor quiddity. We are unable to approach to God directly. Nevertheless, Thomas insists that there is another way to God. The way he suggests is to investigate the trace of God. Unlike Augustine, he does not look for the way in his inner self. The trace of God he found is the world God created, which is outer world. His way to God is not through ‘inside’ but through ‘outside’. He thought that the ontological memory this Universe has proves that God exists. He proves the existence of God through Universe, and reaches the knowledge of God by transcending it. However, even though a man can have knowledge about God, it will be very limited and imperfect, because the divine otherness and the infinity of God are beyond our understanding. We can only get some passive knowledge about God through the analogy and the negation for the properties of the creatures. Nevertheless, Thomas thought that it is the only way possible to reach God. Also, he says that although a man’s knowledge of God is imperfect, it does not mean that it is false or worthless. On the contrary, it is more valuable and worthwhile than any other human knowledge, and it is the best knowledge a man can ever reach.

      • KCI등재

        정약종의 『주교요지』에 나타난 하느님 이해와 신앙교육

        한민택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9 가톨릭신학 Vol.0 No.34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the Chu-Gyo Yo-Ji, Korean catechism written by Jeong Yak-Jong Augustin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undamental theology. On the basis of some recent historical researches comparing the Chu-Gyo Yo-Ji with Chinese catechisms written by Western writers at that time, this essay tries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ity of the Chu-Gyo Yo-Ji but also its catechetical and theological intention. Analyzed from the aspect of ‘knowledge of God’, the two volumes of the Chu-Gyo Yo-Ji seems to be a coherent and unified work. While its first volume explores ‘a knowledge of God in the created world’, its second volume represents ‘a knowledge of faith in the history of salvation’. Instead of approaching the doctrine of the Christian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ogy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e Chu-Gyo Yo-Ji is marked by the intention of explaining the content of faith in connection with the experience of the Chosun people at that time, thus leading them to a true knowledge of God in a concrete way. The first volume starts from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the knowledge of God that man naturally has in the created world, to the moral and eschatological aspects of the knowledge of God by way of the concretization of the object of this knowledge through ‘proofs of the existence of God’ and ‘criticism of other religions’. The second volume considers the object of the knowledge of God in the faith, namely the history of salvation inscribed in particular in the earthly itinerary of Jesus Christ. In this way, this catechism situates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developed in the first volume in a truly Christocentric and paschal perspective. By this, it intends to lead man to an intimate and real encounter with the merciful love of God manifested in Jesus Christ, finally to a faith that gives himself totally following Christ. Jeong Yak-Jong's Chu-Gyo Yo-Ji seems to provide an important vision for the Catholic Church today that wants to carry out its missionary reform. It presents today’s people to experience the way to eternal life and the Kingdom of God ‘here and now’ in a real and intelligible way. 본고는 ‘교우촌 시대의 교리서에 나타난 하느님 이해와 신앙교육’이라는 주제 하에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주교요지』를 기초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한역서학서와 『주교요지』를 비교하는 최근 교회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교요지』의 독창성뿐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교리교육적, 신학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신 인식’의 측면에서 분석할 때, 상편과 하편으로 구성된 『주교요지』는 하나의 일관되고 통일성 있는 작품으로 드러난다. 상편에서 ‘피조 세계 안에서의 신 인식론’을 펼치고 있다면, 하편에서는 ‘구원의 역사 안에서 신앙의 신 인식론’을 펼치고 있다. ‘보유론’의 입장에서 그리스도 신앙 교리에 접근하기보다, 교리 내용을 당시 조선인들의 체험과 연결시켜 설명함으로써, 체험 세계에서 출발하여 진정한 하느님 인식에 이르는 길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편에서는 ‘자연적 신 인식’ 곧 피조 세계 안에서 하느님에 대해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천주존재 증명’과 '타종교 비판'을 통한 그 인식 대상의 구체화를 거쳐 신 인식의 윤리적, 종말론적 측면까지 펼치고 있다. 하편에서는 신앙의 신 인식의 대상인 구원의 역사 특히 그리스도의 지상 여정을 접하게 함으로써, 상편에서 개진한 신 인식론이 보다 그리스도 중심적, 파스카 중심적으로 정향되도록,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아버지의 자비로운 사랑을 만나 그리스도를 따름에 온 삶을 봉헌하는 신앙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정약종의 『주교요지』는 선교적 쇄신을 고민하는 가톨릭교회에 중요한 비전을 제시한다. 곧 이 시대 사람들에게 영원한 생명의 길과 ‘지금 여기서’ 가능한 하느님 나라를, 체험의 영역에서 알아들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 자연법에서 신에 대한 지식의 추구가 제1계명일 수 있는가?

        서병창 ( Seo Byeong-cha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신 존재가 자명하게 파악되지 않고 증명되는 것이라면 자연법의 제1계명에 들어있는 신에 대한 지식의 추구가 문제가 된다. 자연법의 제1계명은 이성을 가진 보통 사람들이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신의 존재가 자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면서 자명하게 파악될 수 없는 것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이 문제는 증명된 신과 자명하게 파악된 신의 의미가 같으면서도 다르다고 봄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이성을 가진 보통 사람들이 자명하게 파악하는 신은 일반적이고 혼동된 의미까지 포함한다. 사람에 따라 신을 여럿으로 간주하기도 하고, 궁극 목적을 쾌락이나 세속적 명예로 추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철학에서 증명된 신은 순수현실태이며 궁극적 완전자로서 제1원인자라는 점에서 자명하게 파악되는 신과 다르다. 사람이 자연적 본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철학적 단계에서 신 존재증명과 신에 대한 올바른 규정이 필요하다. 이뿐 아니라 신에 대한 지식이 사람의 자연법 실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묻게 된다. 자연법이나 인정법을 포함한 모든 법은 신의 영원법이라는 기준에 맞아야 하며, 피조물의 모든 존재와 활동도 신의 섭리와 통치의 산물이다. 그래서 신의 영원법을 알면 구체적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옳은지를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신의 본질을 알 수 없으므로 영원법 자체를 모르기 때문에 이런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간접적인 방식을 택하는데, 신적 선이 선자체로서 불변이면서 정신적이라고 규정한다면, 사람이 물질적 가치보다 정신적 가치를, 개별적인 선보다 더 보편적인 공동선를 추구해야한다. 그리고 자연법이나 인정법을 어기는 것이 곧 영원법을 어기는 것이며 신의 명령을 거부하는 것이다. 철학의 차원에서 규정하는 신의 이러한 속성은 사람에게 자연법 실천을 명령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자연법의 제1계명 안에 있는 신에 대한 지식의 추구가 인간본성에 따른 목적의 실현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 If the existence of God is not clearly grasped but proved, the pursuit of knowledge about God in the first precept of natural law becomes a problem. This is because the first precept of the natural law can be grasped by ordinary people of reason. Here, we fall into the contradiction that the existence of God is self-evident and cannot be graspe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seeing that the meaning of the proven God and the self-evident God is the same but different. God that ordinary people of reason clearly grasp includes common and confusing meanings. Depending on the person, God is regarded as many, and the ultimate purpose is sought as pleasure or worldly honor. However, God proved in philosophy is different from God that is clearly grasped in that it is a pure actuality and is the first cause as the ultimate perfectionist. In order for man to realize his natural nature, it is necessary at the philosophical stage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and to define God correctly. In addition to this, we are asked what role knowledge of God can play in man’s practice of natural law. All laws, including natural and human laws, must meet the standard of God’s eternal law, and all beings and activities of creation are the product of divine providence and rule. So, knowing the divine law of eternity can prescribe how it is right to act in specific situations. However, since we cannot know the essence of God, we cannot apply this method because we do not know the eternal law itself. So, if we take an indirect method, and if we define that the divine good is immutable and spiritual as a goodness itself, then a person should pursue a common good, more universal than an individual good, and a spiritual value rather than material value. And to violate the laws of nature or recognition is to violate the law of eternity and to reject God’s command. This attribute of God, defined at the level of philosophy, commands man to practice natural law. In this respect, the pursuit of knowledge of God in the first precept of natural law is considered to play a key function in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 according to human nature.

      • KCI등재

        루터와 칼뱅의 영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김희영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글은 루터와 칼뱅의 영성에 대하여 기독교교육적으로 연구를 한 논문이다. 이 러한 연구를 위해 먼저, 영성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영성의 주 요한 특징이 ‘자기초월’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자기 초월은 자기로부터 벗 어나는 것으로 초월자를 향해 나아가기도 하고, 타인을 향해 나아가기도 하며,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영성의 특징으로 루터와 칼뱅의 영 성을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 나와 이웃과의 관계로 범주화하여 그들의 신학저술을 통 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는 하나님 중심적이며, 나와 이웃과의 관계는 칭의의 열매로서 선을 행하는 것으로 알게 되었다. 루터의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십자가의 신학이 특별히 두드러지는데, 십자가는 고 난, 부끄러움과 무력함을 보여주지만, 이러한 고난과 약함의 커튼 뒤에 하나님의 은혜 와 자비가 있다. 믿음은 이러한 하나님의 모습을 발견하게 하며, 십자가의 시련 속에 서도 승리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커튼 뒤에 계신 하나님을 발견하게 한다. 칼뱅에게 있어서 하나님 지식과 경건은 신학과 영성형성에 핵심 요소이다. 하나님 지식은 경건과 연결이 되는데, 하나님을 아는 것은 경건을 일으키고, 경건한 마음은 인간이 하나 님을 참되게 알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하나님 지식은 우리 자신에 대한 지식과도 연결이 된다. 하나님 지식은 우리 자신의 모습을 참되게 바라보게 하며, 우 리 자신의 비참한 모습을 마주하게 하고, 하나님께 나아가게 한다. 또한 하나님은 우 리의 한계를 넘어서시는 분이시기에, 우리의 이해의 한계를 인정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인간을 위해 낮아지셔서, 인간이 이해할 수 있게 말씀하시는 분이 시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나님과 인간과의 비공유적인 차원은 인간에게는 신비의 차 원이며, 우리는 믿음으로 안에서 하나님을 점차적으로 알아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기독교교육적인 함의를 발견하여, 기독교교육에 있어 신비교 육, 이웃과의 관계에서 열매를 드러내는 교육, 바른 앎을 동반하는 교육으로 볼 수 있 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볼 때 기독교교육의 과제는 기독교인들이 복음 안에서 바르 게 살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Christian educational study on the spirituality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By examining various definitions of spirituality, I observed that the key characteristic of spirituality is self-transcendence, which means going out of oneself. This definition includes three facets, namely, moving toward God, moving toward others, and looking at oneself in an objective manner.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I categorized the spirituality of Luther and Calvin into I-God and I-neighbor relationships and examined them through their theological writings. In this manner, I learn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God should be God-centered.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should be manifested in good works as the fruit of justification. Luther speaks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especially in relation to God. The cross illustrates suffering, shame, and powerlessness. However, the grace and mercy of God lay behind the curtain of suffering and weakness. Faith enables humans to discover this kind of God, to stand firm in the midst of the trials of the cross, and, ultimately, to discover the image of God behind the curtain. For Calvin, knowledge of God and piety are key elements in his theology and spiritual formation, such knowledge is linked to piety. Moreover, he says that knowing God leads to piety, and humans come to know God through pious hearts. This knowledge of God is also connected to knowledge about the self. Through knowledge of God, we can truly know who we are. We can also move toward God by examining our misery. God is beyond our limits. Thus, we must acknowledge the limits of our understanding of Him. God humbled himself for man and spoke in a manner that man can understand. This nonshared dimension between God and man is a mystery to man, such that we can only gradually get to know God through faith.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found implications for Christians. Lastly, through this perspective, Christians can be educated to enable them to live righteously in the Gospel.

      • KCI등재

        과학․철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의 아이코노텍스트적 특질과 서사전략

        강현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2

        이 연구는 과학 · 철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로서 텍스트 · 이미지 내러티브의 완결성과 일러스트 · 아트웤 퀄러티의 예술성, 그리고 지식교육의 수월성에서 전범적이고, 최상의 성과를 보인 과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 『원자폭탄』과 철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한나 아렌트, 세 번의 탈출』을 중심으로 제작방법론 구축과 특질을 밝히기 위해 아이코노텍스트적 특질과 지식교육의 수월성 확보의 실상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과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 『원자폭탄』에 대한 연구는 판형과 텍스트 · 이미지 내러티브의 상관성 및 흑백 그래픽노블의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ⅰ) ‘집단적 재앙’ - ‘구축샷’이 만드는 시각적 서사의 힘, ⅱ) ‘큰 페이지 포맷’의 ‘삽입컷’을 활용한 장면의 역동적 연출과 지식전달 방식의 다층적인 효과적 구성, ⅲ) ‘큰 판형’, ‘큰 페이지 포맷’의 ‘보이스오버(voice-over)’ 구사를 통한 ‘묵시록’적 예언과 진술의 힘과 톤이 일러스트 이미지의 강렬한 선명성과 더해져 구축하는 서사적 긴장감의 창출, ⅳ) 전장의 긴박성과 혼동성과 관련된 ‘몽타주 컷(칸)’의 자유로운 구사를 통해 다면적 장면의 연출이 주는 생동감과 표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 ⅴ) ‘큰 판형’, ‘큰 페이지 포맷’의 공간적 여유를 활용한 ‘몽환적 현실과 표현주의’의 구사의 성과, ⅵ) 중간색조의 구사 없이 흑백의 압도적 구사로 뚜렷한 명암을 창출하고, 명료하고 간결한 흑색 선화로 형상의 외곽선만을 강조하여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면서 사실적 고증의 다큐멘터리 효과 창출, ⅶ) 시각적 이미지의 서사적 리듬을 고려한 흑백의 구사비율과 공간구성이 가져온 다양한 변조를 통해 지식전달의 수월성 확보, ⅷ) 이미지 내러티브에서 검은색 단일색조의 압도적 구사로 서사가 ‘극화’되는 느낌을 창출하고, 사실적, 상징적, 표현주의적 작화의 교차와 면과 칸의 배열에서 흑백 명암 구도의 다양한 연출을 통해서 역동적인 서사적 리듬을 창출, ⅸ) 보이스오버의 미스터리 효과와 서사적 긴장감을 활용한 묵시록적 세계의 구축 등을 밝혔다. 철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 『한나 아렌트, 세 번의 탈출』에 대한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삶과 사상을 평가하고 서술하는 ‘평전’적 성격, 자전적 체험의 고백 담론이라는 성격, 그리고 한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의 삶과 철학 및 정치사상에 대한 지적 탐구와 지식전달이라는 ‘철학 지식콘텐츠적 성격’을 중심으로 ⅰ) 이해하기 어렵고 사념적인 ‘철학 지식’을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로서 흥미롭고 명료하게 전하는 방식으로 철학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풀어내는 ‘서사적 설명’ 양식과 육성적 진술이 주는 ‘강연’의 방식의 구축, ⅱ) 정치적 전기가 보이는 모험 서사적 특징을 활용한 서사적 긴장감의 연출과 지식전달의 수월성, ⅲ) 절박한 삶의 역정기 서사 - 목숨을 건 투쟁이라는 절박감, 간단없이 이어지는 탈출의 시퀀스의 스릴, 용기와 기지로 풀어가는 시련 극복기 -를 활용해 개인사 및 역사적 사실, 그리고 철학사상을 지식의 차원에서 흥미롭게 전달하는 서사전략의 구축, ⅴ) 철학적 자장 속의 사랑이라는 시각과 서사를 통해 철학에의 열정과 철학적 사고라는 철학의 핵심적인 화두 및 지식의 현현, ⅵ) 성장소설의 서사 - 유년기에서 소년기를 거쳐 성인의 세계로의 입문, 내면적 갈등과 정신적 성장, 자신을 ... This study explored a science knowledge contents graphic novel 『La Bombe』 and a philosophy knowledge contents graphic novel 『Hannah Arendt, Three Escapes』tha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he completeness of text and image narrative, the artistry of illustration and art work quality, and the excellence of knowledg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plored the realities and meanings of iconotext characteristics and superiority of knowledge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production methodology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 study on the scientific knowledge content graphic novel 『La Bombe』,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te format and the text/image narrative and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black and white graphic novel, i) 'collective disaster' - The power of visual narrative created by 'construction shot', ii ) Dynamic production of scenes using 'insert cut' of 'large page format' and multi-layered effective composition of knowledge transfer method, iii) 'voice-over' of 'large book size' and 'large page format' The power and tone of 'apocalyptic' prophecies and statements through wording are added to the intense clarity of the illustration image to create a narrative tension, iv) Through the free use of the 'montage cut (frame)' related to the urgency and confusion of the battlefield Effective use of the vitality and expressive power of multi-faceted scene production, v) The performance of 'dream reality and expressionism' utilizing the spatial margin of 'large book size' and 'large page format', ⅵ) Black and white without the use of neutral tones creates a clear contrast with the overwhelming use of, creating a documentary effect with realistic historical evidence while creating a clear visual image by emphasizing only the outline of the shape with clear and concise black line drawings, ⅶ) Various modulations of black and white use ratio and space frame makes the narrative rhythm of the visual image, securing the excellence of knowledge transfer viii) Creating a feeling that the narrative is 'dramaticized' with the overwhelming use of a single black color in the image narrative, and the intersection of realistic, symbolic, and expressionistic drawing and various productions of black-and-white contrast composition in the arrangement revealed dynamic narrative rhythm ⅸ) The mystery and narrative tension of the voiceover makes the construction of an apocalyptic world. The study of the philosophical knowledge content graphic novel 『Hannah Arendt, Three Escapes』 has a 'biographical' character that it is evaluating Hannah Arendt's life and thoughts, a character of a confessional discourse of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the life of a philosopher and political thinker.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knowledge content' nature of intellectual inquiry and knowledge transfer on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 i) In a way that conveys 'philosophical knowledge',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oughtful, in an interesting and clear way as a graphic novel of knowledge content Construction of a 'narrative explanation' style that tells a story about a story and a 'lecture' style given by nurturing statements, ii) Directing narrative tension using the adventurous narrative features of political biography and superiority of knowledge transfer, iii) A desperate life narrative makes an interesting and effective knowledge education. on personal histories, historical facts, and philosophical ideas. v) The narrative of love in the philosophical magnetic field makes manifestation of knowledge and passion for philosophy through the perspective and narrative vi) Narrative of a growth novel - from childhood to boyhood to the world of adulthood Initiation, inner conflict and spiritual growth, and the process of awakening to the world that surrounds them, that is, in the intellectual, moral and spiritual immaturity, they rise up from their immaturity and come to realize their own uniqu...

      • KCI등재후보

        A Study of the Pious Education of John Amos Comenius

        이숙종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4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6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pious knowledge which John Amos Comenius exposed as one of three kinds of knowledge: intellectual, moral and religious in his holistic education for all people in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all three was the aim of his universal education. He thought that man is potentially capable of erudition, virtue and piety, with an optimistic and universal view of possibilities. His idea of pious knowledge is bound to go hand in hand with ideas on intellectual knowledge as moral knowledge as the other main elements of his holistic education. Then they were inseparable in relation to the complete personality of all man. The pious education for nurturing of the pious knowledge of the humanity, for Comenius, begins with the proposition that man, under the guidance of nature, can penetrate knowledge of all things in discussing the objects of his education. He understands from the onset that since man was naturally endowed with only the seeds of knowledge, of virtue, and of piety, these seeds must be acquired by education. Thus Comenius insists that all men, especially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in a manner which would imbue them with the value of knowledge, virtue and piety. In this paper, we will deal with the pious education, namely, the spiritual education, which Comenius thought of as the primary nature of the human being; preferable to the two other seeds: intellectual and moral.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ly, the source of piety, secondly, the instruction of piety, and finally, the aim of pious education.

      • KCI등재

        왕수인의 心과 帝의 주재

        이종우(Yi Jong-woo)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7

        본 논문은 왕수인이 말하는 心은 몸을 주재하고, 帝는 만유를 主宰한다고 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 라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였고, 그에 대하여 그의 논리로서 규명하였다. 심은 몸을 주재하고 제의 주재로 인하여 만유는 생성되고 인간도 마찬가지로 그로 인하여 탄생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제는 인간에 선천적으로 내재하면서도 외재하고 후직에게 명령한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인격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주관유심론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심의 본체는 양지이고 제를 이룬다고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양지가 제를 인식하였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제로 인하여 인간은 생성되고 그러한 인간이 제를 인식함으로 인하여 제는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이 대상을 감각으로서 인식한다는 것은 심이 몸을 주재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그것을 감각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다. 그 대상이 유형이라면 감각기관으로서 인식하지만 제와 같이 무형일 때 이성으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양지는 감각 뿐만 아니라 이성적 인식도 가능한데 그것이 바로 양지의 주재이다. 심의 주재로 제는 존재하고 제의 주재로 인간은 존재하게 된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가 말하는 심의 주재와 제의 주재는 그의 논리에서 보았을 때 정합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Wang Shouren speak mind presiding and god presiding. It examine possible and it is a close examination. Mind preside body and god preside all things in the universe. God is borned mankind. Therefore it is analysis idealism a mistake. He thought that mind essence is intuitive knowledge completion god. It is meaned that intuitive knowledge recognize god. God is borned mankind and mankind is borned god. Intuitive knowledge perceive materiality and it recognize formlessness. God is formlessness. It recognize rationality. Intuitive knowledge is sensibility and rationality. It is presiding. He thought exterior god and god direct mankind. Therefore He speak mind presiding and god presiding on logical sentence.

      • Anselm as a Guide to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 Laura Smit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9 기독교철학연구 Vol.11 No.-

        This article attempts to survey Anselem as one of the pioneers of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Anselm`s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world of Christian academics is his articulation of the principle fides quaerens intellectum, faith in quest of understanding, especially for an understanding of God. Since we are made in God`s image, we should also expect that we will come to know him through our knowledge of our own nature. And because the image of God in us, the central structure of human life, is effaced, we are also denied accurate self-knowledge. Faith requires an opening to receive the reality that God offers to us. Our knowledge is thus rooted in God`s gracious self-revelation and in God`s gracious decision to design the world so that it is knowable. We have been made with the capacity to receive knowledge through our sense perceptions, through reason, through introspection, and through direct, prayerful relationship with God. The knowing mind must be conformed to the truth through the illuminating presence of Christ if any knowledge is to be possible. Thus, the process of coming to know true things is thus a process of drawing closer to God. Our perception of sense objects is only possible because we see them in the illumination of the absolute standard of Christ`s emanation. There is no real knowledge, no academic discipline to which the illuminating work of Christ is irrelevant. As Christians, we must make sure that the faith we embrace as a prelude to understanding is a faith adequate to the great variety of God`s rich and abundant nature. As people who believe in the reality of the resurrection, we know that Augustine, Anselm, Bonaventure and millions of others now live before the throne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