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nterleukin-2가 Mouse 골수에 미치는 영향

        박준영,이군자,정호삼,이규식 대한해부학회 1990 Anatomy & Cell Biology Vol.23 No.3

        골수에서 혈구형성과정은 interleukin-3, interleukin-4 및 임파구 분비물질 등의 액소성 인자와 대식세포 및 임파구에 의하여 조절되며, 흉선 및 비장에서 형성되는 임파구의 조절은 interleukin-2가 관여한다. Interleukin-2 는 T 임파구에서 분비되는 T 임파구 성장인자로서 세포독성임파구의 증식을 유도하고 임파구의 활성을 증가시켜 여러 육종 및 암종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종양치료제이나 interleukin-2를 암환자에 투여하면 가역적 호산구증가증, 말초혈액임파구의 변동 등 혈액학적 독성이 야기된다. 이에 저자는 mouse에 interleukin-2를 투여하면 흉골 골수에서 임파구 발생이 변동될 것으로 사료되어 mouse에 interleukin-2를 투여한 후 나타나는 흉골임파구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15gm 내외의 웅성 mouse를 사용하였으며 체중 ㎏당 200만 단위의 interleukin-2, 0.2ml를 복강내에 주사하고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 각각 희생시켜 흉골을 적출하고 Zenker 용액에 고정한 후 Hematoxylin-eosin-azure II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nterleukin-2 투여 3시간 경과군의 mouse 흉골골수에서는 소형임파구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6시간 경과군 및 12시간 경과군에서는 소형임파구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2. Interleukin-2 투여 24시간 경과군 및 48시간 경과군의 mouse 흉골골수에서는 미분화 혈구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interleukin-2는 흉골의 임파구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known that hemopoiesis is regulated by lymphocytes, macrophages and T lymphocyte-derived lymphokines, and lymphopoiesis in thymus is controlled by the interleukin-2. Interleukin-2 is a T-cell growth factor produced by antigen or mitogen activated T lymphocyte, and mediates antitumor effect by stim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precurssor T cells into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Although, interleukin-2 shows therapeutic effects on various sarcoma and carcinoma, it induces many hematologic toxicities, reversible eosinophilia and marked changes in peripheral lymphoid cells. Therefore the author undertook the present study to pursue the effect of interleukin-2 on the lymphocytes in the sternal marrow. Albino mice, DDY strain, weighing 15 gm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Experimental animals were killed at 3, 6, 12, 24 and 48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2,000,000 unit/㎏ inter leukin-2. The specimens obtained from the sternum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Azure II for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mall lymphocytes were increased slightly in the sternal marrow at 3 hours after interleukin-2 injection and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6 hours and 12 hours group. 2. Undifferentiated hemopoietic cells were observed numerously at the 24 and 48 hours after interleukin-2 injection.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interleukin-2 would influence the lymphopoiesis in the mouse sternal marrow.

      • KCI등재

        고강도 운동이 싸이토카인과 카테콜라민 농도에 미치는 영향

        정덕조,권소양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정덕조, 권소양. 고강도 운동이 싸이토카인과 카테콜라민 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621-630, 2003.본 연구는 85%V0₂max 강도의 운동이 IL-2와 IL-6 싸이토카인 농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싸이토카인의 농도 변화와 카테콜라민 농도 변화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대 성인 남자 7명을 대상으로 각 개인의 85%V0₂max 강도에서 트레드밀을 이용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량은 ACSM's 의 일일 권장 운동량 수준인 400kca1 로 하였으며, 안정시와 운동 직후, 회복기 90분에 채혈을 통하여 interleukin-2 (IL-2), interleukin-6 (IL-6), 카테콜라민 호르몬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IL-2 농도는 안정시에 비해 운동직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L-6 농도는 안정시에 비해 운동직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회복기 90분에는 안정시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되지는 않았으나, 안정시 수준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점차 회복되고 있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카테콜라민 호르몬의 경우, 에피네프린은 안정시와 비교할 때, 운동 직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P<.05),. 노르에피네프린 역시 안정시에 비해 운동직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회복기 90분에는 운동 직후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IL-2와 에피네프린간의 상관계수는 0.239(p>.05), IL-2와 노르에피네프린 간의 상관계수는 0.239(p>.05)로서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L-6는 에피네프린과의 상관계수가 0.685, 노르에피네프린과의 상관계수가 0.625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p<.01, p<.05). 결론적으로 고강도 운동시 IL-2의 혈중 농도는 운동직후와 회복기 90분에 안정시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 IL-6는 운동으로 인해 안정시보다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볼 때 근육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IL-6순의 변화는 카테콜라민의 영향을 크게 받거나, 혹은 카테콜라민의 메커니즘과 관련된 생리적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Chung, D.J., Kwon, S.Y. Effect of a bout of strenuous exercise on cytokine and catecholamine levels in blood. Exercise Science, 12(4): 621-630, 200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85%V0₂max intense exorcise influenced interleukin-2 (IL-2), interleukin-6 (IL-6) cytokine level in blood and whether profile of IL-2, IL-6 cytokine was related to profile of catecholamine. Seven untrained young male ran on treadmills for long time as calory consumption was 400kca1 at 85% maximal oxygen consumption(V0₂max). Blood was collected at rest, after exorcise and at recovery 90 minutes. Plasma was analyzed for IL-2, IL-6, catecholamines. IL-2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exercise and at recovery 90 minutes(p>05), but IL-6 rose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and was going back toward resting level at recovery 90 minutes. Epinephrin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p<.05). Norepinephrine rose significantly after exercise(p<.05) and norepinephrine level at recovery 90 minutes decreased significanty compared to that of after exorcise(p<.05).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L-2 and norepinephrine was 0.263(p>.05), and that between IL-2 and norepinephrine was 0.239(p>.05). A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L-6 and norepinephrine, and IL-6 and norepinephrine were found(r : 0.685, 0.625, respectively, p<.01, p<.05 respectively), In conclusion, a bout of strenous exercise Induced increase of IL-6 love, but influenced IL-2 level neither after exercise nor recovery 90 minutes. IL-6 is considerd to cause exercise-induced inflammation response in muscle. And such IL-6 response is influenced by catecholamine or related to physiological condition concerned with catecholamine mechanism.

      • KCI등재

        된장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와 interleukin-2 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광혁,박건영,이숙희,임선영,Kim, Kwang-Hyuk,Park, Kun-Young,Lee, Sook-Hee,Lim, Sun-Young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6

        된장을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Yac-1과 sarcoma-180암세포들의 증식에 대한 된장 분획물의 효과를 측정함과 동시에 면역과정의 생물학적 작용과 대사적 변화를 유도하는 interleukin-2 (IL-2)의 생성에 대한 효과도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된장의 메탄을 추출물을 2.5 mg/plate 농도로 첨가했을 때 84%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같은 첨가농도에서 메탄을 분획물들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6%, 97%로 상당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의 경우, AFBI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다소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5%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rcoma 180 cell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첨가농도 15.6 ${\mu}$g/ml)은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저해효과가 컸으며 250 ${\mu}$g/ml 농도에서는 80%의 저해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 디글로로메탄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94%로 Yac-1표적세포를 사멸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도 동일 농도에서 9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TLL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분획물들에 의한 interleuk된장을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Yac-1과 sarcoma-180암세포들의 증식에 대한 된장 분획물의 효과를 측정함과 동시에 면역과정의 생물학적 작용과 대사적 변화를 유도하는 interleukin-2 (IL-2)의 생성에 대한 효과도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된장의 메탄을 추출물을 2.5 mg/plate 농도로 첨가했을 때 84%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같은 첨가농도에서 메탄을 분획물들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6%, 97%로 상당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의 경우, AFBI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다소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5%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rcoma 180 cell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첨가농도 15.6 ${\mu}$g/ml)은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저해효과가 컸으며 250 ${\mu}$g/ml 농도에서는 80%의 저해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 디글로로메탄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94%로 Yac-1표적세포를 사멸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도 동일 농도에서 9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TLL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분획물들에 의한 interleukin-2 (IL-2)의 활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대조군의 OD가 0.16인데 비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 We studied the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in Ames test.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the growth of tumor cells an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IL-2). The treatment of dichlorormeth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2.5 mg/assay) from doenjang to Ames test system inhibited aflatoxin B$_1$ (AFB$_1$) induced mutagenicity by 96% and 97%, respectively, and showed a higher antimutagenic effect than other solvent fractions. In case of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 induced mutagenicity,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by 75%) among the other sol-vent fractions, although the inhibitory effect was not stronger compared to AFB$_1$ induced mutagenicity. The treatment of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markedly inhibited the growth of Yac-1 (by 80% and 94%, respectively) and sacroma-180 cancer cells (by 60% and 96%, respectively) after 4 days of incubation at 37${\circ}$C. To elucidate the immunological mechanism of antitumor activity of doenjang, spleen cells of Balb/c mouse were exposed to the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for 24 hours at 37${\circ}$C . The culture supernatants following the treatment of dj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factions to spleen cell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f doenjang was mediated by the production of IL-2.

      • KCI등재
      • 가동화 조혈 모세포에 대한 Interleukin-2의 활성화 효과

        김현수,이종욱,양말숙,정철권,박준성,조도연,김문규,최진혁,남동기,임호영,김효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1

        연구배경: 자가말초조혈모세포의 이식은 고용량 항암치료후의 치명적 골수 억제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악성 혈액질환 및 각종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그 치료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자가 이식은 비교적 높은 암의 재발률이 극복하여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암의 재발률은 이식편에 오염된 자가 종양세포의 재주입과 동종이식과는 달리 이식편대종양 반응이 없어 미세 잔류암의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에 기인한다. 최근 이러한 재발의 억제를 위해 자가 이식에서 인위적으로 이식편대종양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가동화된 말초조혈 모세포을 대상으로 Interleukin-2(IL-2)를 이용한 림프구의 활성화 효과를 시험관 내에서 관찰하였다. 방법: IL-2 및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lmulating factor (GM-CSF)로 가동화된 말초조혈모세포를 활성화시켜 림프구 분획의 변화와 K562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저온의 액체 질소 용기에 보고나 중인 가동화된 말초조혈모세포를 온수조에 급속 해동하여 각각 100 U/ml과 1.000 U/ml의 IL-2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GM-CS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50 ng/ml을 첨가한 군과 안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배양 후 3일, 6일 14일째 활성화 림프구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562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관찰하였다. 정상인 3명의 검체를 얻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배양후 CD8^(+) 세포는 3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IL-2 1.000 U/ml 과 GM-CSF를 같이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자연살상 세포는 환자군에서는 IL-2 1.000 U/ml을 투여한 군에서는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 실험은 K562 세포주에 대해 3일째부터 전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며 IL-2 1.000 U/ml 단독 투여 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결론: 가동화 된 말초조혈모세포에 대한 IL-2의 효과는 1.000 U/ml 단독 투여 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임상적 적용을 위한 배양 조건 및 기간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인위적인 이식편대종양 효과로 임상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연살상 및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화의 연구가 병용되어 사용된다면 좀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has been effectively used for reconstitution of hematopoisis following high dose chemotherapy. However, AutoPBSCT is hampered by somewhat higher incidence of disease recurrence than patients receiving allogeneic grafts due in part to reinfusion of residual tumor cells contained in the AutoPBSC and also to the lack of an graft versus tumor(GVT) effect. In the order to induce the GVT effect using AutoPBSC , the effect of Interleukin-2(IL-2) on PBSC was studied in vitro. Methods: The effect of IL-2 and GM-CSF on PBSC in subsets of lymphocyte and the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K562 cell line were investigated. The mobilized PBSC, stored in liquid nitrogen, thawed rapidly and incubated in serum free media with IL-2 con cen trations of 100, and 1.000U/ml with or without GM-CSG of 50 ng/ml. PBSC samples from 10 patients were incubation for 3 day, 6 and 14 days and 3 sample s from heathy were incubated. At the end of incubation,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changes of immunopheotype with a flow cytometry, and examined the cytotoxic function against the K562 cell lin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incubation, CD8 cells tended to increase from day 3 and showed higher value in the conditions cultured with IL-2(1,000 IU/ml)+ GM-CSF. 2) NK cells(CD56 cells) were higher in samples with IL-2 of 1.000 IU/ml only. 3) Cytotoxic function against K562 cell line increased at day 3 in every incubation condition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condition cultured with IL-2 of 1.000 IL/ml (44.3% vs 10.3% of control). Conclusion: The mobilzed AutoPBSC, when incubated with IL-2 of 1,000 IU/ml for 3 days, retains antitumor potential for NK cell lysis function, Further cilnical study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beneficial clinical activity against the autologous tumor cells for its GVT effect.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immunoinhibitory protein on cytokine expression in T cells

        Lee, Sang-Yup,Shon, Won-Jun,Lee, WooCheol,Baek, Seung-Ho,Bae, Kwang-Shik,Lim, SungSam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5

        Immunoinhibitory protein extracted from sonicated Treponema denticola have been shown to suppress cell cycle progression of human lymphocytes. To study in detail about the effect of this microorganism on the function of lymphocytes.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Interleukin-2 (IL-2) and Interleukin-4 (IL-4) production by T lymphocytes before and after the addition of 12.5 ㎍/ml T. denticola sonicated extracts. In this study. levels of IL-2 and IL-4 produced from T cells pretreated with sonicated extract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quantitative sandwich enzyme immunoassay technique. In response to phytohemagglutinin (PHA) stimulation. T cell produced increased levels of IL-2 and IL-4. However. the expressions of both cytokin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when PHA activated-T cells were pre-exposed to sonicated T. denticola extracts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 denticola sonicated extracts induced-immunosuppression in Th1 and Th2 cell functions could be a part of the pathogenic mechanism of the endodontic failure associated with this microorganism. 감염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 유무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세균검출 실험에서 Treponema denticola 균주가 감염근관의 50%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과정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Shenker 등이 T. 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면역억제 단백질 (immunoinhibitory protein)이 T 임파구의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세균성 단백질이 T 임파구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이 처리되기 전과 후의 T 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 Interleukine-2와 Interleukine-4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그 작용기전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reponema denticola LL2513를 혐기성 상태에서 TYGVS 배지에 배양한 다음 PBS 세척과 lyophilize 과정을 거친 후 sonication을 시행한다. 이 과정을 거쳐 추출된 상층액이 T. denticola의 면역억제 단백질인 sonicated extract이다. 실험을 위해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T 세포를 Buoyant density 방법으로 추출해 낸 다음 24-well plate에 100만개의 세포를 주입한 다음 Group 1에는 2% FBS의 medium만으로 배양하고, Group 2에는 100 μl의 PHA로만 증식 자극을 하였고, Group 3에는 PHA처리 전 sonicated extract로 T세포를 자극하였다.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추출하여 ELISA assay를 사용하여 IL-2와 IL-4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PHA로 자극받은 Group 2에서는 IL-2와 IL-4가 대조군인 Group 1에서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하지만 12.5 ㎍/ml의 T. denticola sonicated 추출물로 전처리한 Group 3에서는 IL-2와 IL-4의 수준이 유의성있게 억제되어 발현되었다 (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 denticola에서 추출된 면역억제 단백질이 Th1과 Th2의 cytokine 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기전이 감염 근관에서 발견되는 T. denticola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대한 병인기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Interleukin-18 Synergism with Interleukin-2 in Cytotoxicity and NKG2D Expression of Human Natural Killer Cells

        Qi, Yuan-Ying,Lu, Chao,Ju, Ying,Wang, Zi-E,Li, Yuan-Tang,Shen, Ya-Juan,Lu, Zhi-Ming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4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5 No.18

        Natural killer (NK)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tumor immunity. Interleukin (IL)-18 is an immunoregulatory cytokine that induces potent NK cell-dependent anti-tumor responses when administrated with other cytokin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s of combining IL-18 and IL-2 on NK cytotoxicity as well as expression levels of the NK cell receptor NKG2D in vitro. Freshly isolated PBMCs were incubated for 48 h with IL-18 and IL-2, then CD107a expression on $CD3^-CD56^+$ NK cells was determined by three-colour flow cytometry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NK cells against human erythroleukemia K562 cells and human colon carcinoma HT29 cells.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also employed to determine NKG2D expression on NK cells. The combined use of IL-18 and IL-2 significantly increased CD107a expression on NK cells compared with using IL-18 or IL-2 alone, suggesting that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cytokines exerted synergistic enhancement of NK cytotoxicity. IL-18 also enhanced NKG2D expression on NK cells when administered with IL-2. In addition, blockade of NKG2D signaling with NKG2D-blocking antibody attenuated the up-regulatory effect of combining IL-18 and IL-2 on NK cytolysis. Our data revealed that IL-18 synergized with IL-2 to dramatically enhance the cytolytic activity of human NK cells in a NKG2D-dependent manner. The results appear encouraging for the use of combined IL-18 and IL-2 in tumor immunotherapy.

      •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아에서 말초조혈모세포이식 후 Interleukin-2 치료

        김문규,홍창호,김현수,김효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Background: Allogeneic BMT i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in childhood AML.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 donor, many patients with AML cannot be treated by allogeneic BMT. Other treatments are autologous BMT or intensive consolidation chemotherapy. But both of these treatments have a high rate of relapse. The immunotherapy with interleukin-2 (IL-2) had a slow but steady progress and it is now known that IL-2 therapy is more effective when the leukemia is minimal. To prevent the relapse and to have a better survival, we treated the AML patients with interleukin-2 (IL-2) after autologous PBSCT. Methods: Six AML patients without a matched family donor were enrolled in the study.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1-2 tim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was done and the peripheral blood stem cell was collected mobilized by G-CSF. Within 3-4 months, all patients underwent autologous PBSCT with the regimen BuCy (busulfan 4 mg/kg for 4days, cyclophosphamide 60 mg/kg for 2 days). After stable engraftment, IL-2 was infused continuously by central line at the starting dose and then increased as high as 9.0×10^(6) U/m² for 4-5 days. Vital signs were checked during IL-2 infusion and T cell subset study was done before and after IL-2 treatment. Results: All patients were in remission state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One patient was delayed due to infection. After consolidation chemotherapy, PBSCT was done at the stem cell dosage of MNC 3.5±0.7×10^(8)/kg, CD34^(+) 9.6±3.4×10^(6)/kg, CFU-GM 15.9±8.9×10⁴/kg. The engraftment happened at 10.2±2.2 day (ANC), 20.2±14.4 day (Platelet). Total 9 courses of IL-2 therapy was done and all patients had fever and thrombocytopenia but subsided when IL-2 was stopped. Total lymphocyte, NK cell, CD4, CD8, IL-2R were markedly increased after IL-2 therapy. One patient relapsed 8 months after PBSCT and all other patients are still in remission status. Conclusion: IL-2 was well tolerated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autologous PBSCT. It seems that IL-2 increases the activity of NK cells and other cytotoxic T cells to suppress the minimal residual leukemia. If there is no matched family donor for AML patients, IL-2 therapy after autologous PBSCT may be a therapy to consider.

      • KCI등재후보

        신증후 출혈열에서 Interleukin 2의 의의

        김용섭,차대룡,변현주,권현민,권영주,조원용,김형규,원동준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2

        신증후 출혈열(HFRS)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출혈열의 일종으로 임상경과중 급성 신부전과 다량의 단백뇨를 발생하는 질환으로 단백뇨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이론이 많다. 최근 HFRS환자의 신조직검사상 신간질에 침윤된 T 임파구가 신기능 이상 및 단백뇨 발생과 어떠한 연관이 있을 것이란 연구결과가 있어 이에 저자들은 전형적인 HFRS의 임상소견을 보이고 급성 신부전의 임상경과를 보인 14예에서 핍뇨기와 이뇨기의 혈장과 소변에서 여러 가지 생화학적 지표와 RIA방법을 이용한 Interleukin 2(IL-2)를 측정하고 대조군의 IL-2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FRS 환자에서 24시간 단백뇨는 핍뇨기에서 731.6±106.9㎎/㎗보다 유의성이 있었으며(p=0.0009), 대조군의 36.5±8.6㎎/㎗ 보다도 유의성이 있었다(p<0.0000). 2) HFRS 환자의 혈장 IL-2는 핍뇨기와 이뇨기에서 각각 7.85±0.37f㏖/㎖, 7.19±0.29f㏖/㎖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나(p=0.13), 대조군의 5.89±0.14f㏖/㎖와는 각가 유의성이 있었다(p=0.005). 3) HFRS 환자의 핍뇨기에서 소변 IL-2는 5.07±1.06f㏖/㎎Cr으로 이뇨기의 0.35±0.05f㏖/㎎Cr (p=0.009)에 비해 유의성이 있었다. 4) HFRS 환자의 핍뇨기에서 혈장 IL-2와 24시간 단백뇨와는 정비례 관계를 보였으며(r=0.64, p<0.09), 크레아티닌 제거율과 소변 IL-2는 역비례 관계를 보였다. (r=-0.73, p<0.04) 이상의 결과로 볼 때 HFRS에서 신기능 이상의 병태생리와 신간질에 침윤된 T임파구에서 분비되는 IL-2와 유관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IL-2가 단백뇨에도 영향을 미칠것이라고 추측된다. Background. Recently renal biopsy findings in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shows that T lymphocytes infiltrated in renal interstitium may associate with abnormal renal function and proteinuria. Therefore. to speculate the role of Interleukin 2 (IL-2) for proteinuria and renal function, author estimated IL-s in serum and urine in oliguric and diuretic phase of patients who were proved serologically and showed typically clinical manifestations of HFRS. Methods. Authors selected 14 patients who have classic manifestations of HFRS with acute renal failure during clinical course. The conventional studies were performed and serum and urine IL-2 were measured in oliguric and diuretic phase of HFRS with RIA. Also, above measurements wer performed in control group Results. 24 hours proteinuria in oliguric phase (731.6±106.9㎎/da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diuretic phase (499.9±275.2㎎/day) (p=0.0009) and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36.5±8.6㎎/㎗) (p=0.0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concentration of IL-2 between oliguric and diuretic phase (p=0.12),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1). The excretion of urine IL-2 of HFRS patients in oliguric phase (5.07±1.06f㏖/㎎C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atients in diruretic phase (0.35±0.05f㏖/㎎Cr) an control group (0.78±0.27f㏖/㎎Cr) and control group (0.78±0.27f㏖/㎎Cr) (p<0.05). In oliguric phase of HFRS patients, serum IL-2 and 24 hours proteinuria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64, P=0.09) and creatinine and urine IL-2 showed reverse correlation (r=-0.73, p=0.04). Conclusion. Authors consider that IL-2 have a significant role for proteinuria and renal function in the patient with HFRS.

      • KCI등재후보

        제 1 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자연살해세포 활성능 ,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및 Interleukin - 2 의 생성에 관한 연구

        이현철(Hyun Chul Lee),황성철(Sung Chul Hwang),임승길(Sung Kil Lim),허갑범(Kap Bum Huh),김덕희(Duk Hi Kim) 대한내과학회 1988 대한내과학회지 Vol.35 No.5

        N/A There is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immunologic abnormalities as well as genetic and environ- mental factor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I diabetes. Recent repor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cell mediated immunities and alterations in various immune regulators such as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NK activity), antibody 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 (ADCC) an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In this study,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antibody 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 were measured using (51)Cr labeled K562 and L1210 cell lines and the synthesis of interleukin-2 was assayed using interleukin-2 dependent CTLL2 cell lines in 13 type I diabetics and 29 controls. The mea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decreased in type I diabetics as compared with controls (p<0.01), Significant depression in antibody 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type I diabetics but not in the controls (p<0.02). In addition, there seemed to be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DCC and the duration of the diabetes(r=0.575). Interleukin-2 production was markedly impaired in type I diabetics as compared with controls (p<0.001), but no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interleukin-2 production with either NK cell activity or ADCC. Moreover, these immunologic parameters did not seem to b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prior insulin treatment or the degree of glycemic control as represented by fasting blood suga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conclusion, there seemed to exist an impairment of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antibody 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 associated with a deficient production of interleukin-2 in type I diabetics which, in conjunction wi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destruction of islet cells and triggering of autoi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