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 다문화주의의 대체인가 보완인가?

        김창근 ( Chang Ge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3 No.1

        이 논문은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 모델로서 갖는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를 분석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는 실패 혹은 한계에 처했고, 그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가 중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상호문화주의가 다문화주의를 대체했다는 시각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양자의 역할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상호문화주의는 여러 문화의 단순한 공존을 넘어 문화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어내려는 이념이다. 문화간 의사소통과 상호관계가 핵심이다. 상호주관성에 기반하여 공유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고 서로에게 문화적 다양성이 힘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문화간의 상호작용, 공유가능한 문화성 창출 등은 상호문화주의가 기반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인간을 존중하는 윤리성이 전제되어야 하고, 다양한 문화를 적극 이해하고 포용하겠다는 의지가 기반되어야 한다. 이질성이 차이로 변질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공적 영역에서의 종교적 표현의 자유 논쟁 속에 소수집단의 종교적 정체성을 인정하고 공존하려는 노력도 고민해야할 과제다. 크게 보아 다문화주의의 초점이 ‘다름의 인정과 공존’에 있다면, 상호문화주의의 중점은 ‘상호 열린 대화와 소통’에 있다. 그것은 접근방식에서의 차이일 뿐이다. 본질적으로 상호문화주의나 다문화주의는 새로운 사회통합성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을 관리하기 위한 공통의 이념이다. 우리가 주목할 두 이념의 본질은 다문화 시대의 갈등의 해소와 인정의 방식, 그리고 소통의 확장과 공유된 선의 증대이다. 양자는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념적 자원으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 임이다. This article analizes the principle and problems of the interculturalism for social integration model in multicultural age. In our recent society, some insists that interculturalism should be concerned as an alternative of multiculturalism which faces in failure or reach the limit. But this article emphasizes to focus on the role of both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with complementary view rather than the view that the interculturalism replaces the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is the ideology that tries to creat a sharing common culture through a dialogue and mutual respect beyond the mere coexistence of diverse cultures. Communication and mutual relation of individual and cultural group are the core of the intercultural discussion. Interculturalism tries to find a new identity based on intersubjectivities and to be the energy that harmonized with cultural divisity. Interculturalism is based on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interactions of cultures, and creation of sharable culturality. These factors of interculturalism need ethics about human respectivity and willingness to understand and embrace cultural diverisity. Interculturalism should avoid the change of cultural heterogeneity to differences and consider carefully the ethics that recognize and coexist on the religious identity of minorities. Multiculturalism focus the ‘recognition and coexistence of differences’. In contrast, Interculturalism empasizes ‘mutual and open dialogue and communication’. But interculturalism and multiculturalism are the ideological basis that manages the cultural diverisity for the new social intergration. The core things we should focus are the resolving conflicts, the way of recognition, the increase of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shared good. Two isms are the paradigms which should be in harmony as ideological resources for the social intergr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춤 공연의 혼종성에 대한 문화상호주의 고찰

        윤지현 ( Ji Hyun Yoon ) 大韓舞踊學會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2

        세계화(globalization) 시대 한국 춤 공연은 문화혼종화(cultural hybridization)의 산물이자 그 현장이다. 본 연구는 급속한 세계화 조류 속에서 문화의 지리적 경계는 물론 예술위계마저 모호해지는 동시대 예술현장을 목격하면서 한국 춤 공연에 나타난 혼종현상을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의 논의를 빌려 설명하고자 했다. 문화상호주의는 1970, 1980년대 성행했던 공연예술 창작과 실험의 경향이자 논의이다. 초기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주의자들은 문화의 접점에서 일어나는 문화혼종을 창의적 예술의 기회로 생각했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타문화 요소를 섞는 문화상호주의 공연을 실험함으로써 새로운 무대언어를 창조하고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세계화가 가속화된 동시대 예술 환경은 문화상호주의의 이론적 위기로 비춰지고 있다. 더 이상 문화와 문화를 만나게 할 수 없을 정도로 세계화는 시간과 공간의 압축하고 있다. 또한 문화의 이동과 혼종의 출현 이면에 작용하는 권력관계를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곧 서구화와 근대화의 다른 이름처럼 작동하는 세계화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상호주의 논의가 내보인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춤 공연에 관찰되는 문화혼종화 현상의 이해에 문화상호주의 관점의 유용성을 고찰하고 논의의 확산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에 프랑스 공연예술학자인 파트리스 파비스(Patrice Pavis)의 문화상호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상호주의를 소개하고 한국 춤의 혼종성 연구와의 관련성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 공연에 나타난 문화혼종 현상의 설명을 위해 서구중심의 문화상호주의에 비판적 접근의 필요함을 언급한다. 동시대 한국 춤공연은 한국문화와 수입문화,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 문화의 여러 접점에서 교류하고 변형을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전자매체와 네트워크의 보급으로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적 맥락과 접점은 더욱 다면화, 다층화하고 있다.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주의는 공연의 제작과 사회적 수용을 중심으로 문화이동의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관점과 분석도구를 제공해 준다. 특히 공연에 참여한 사람과 공연이 수용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타문화전통이 자문화로 이동하는 과정을 구체화한다. 문화상호적 접점이 복잡해지는 세계화 시대 한국 춤 공연의 혼종성 이해에 문화상호주의는 여전히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Korean concert dances are spaces where cultural hybridiza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era. Globalization has blurred and mixed the territorial boundaries between cultures, and the hierarchical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se phenomena of cultural hybridization in Korean concert dances by revising a debatable term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as a continuous tendency in the field of Western performing arts in the 1970s and 1980s.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is field had a belief that cultural hybridization could give human beings a way to reach an universal culture. They also regarded the hybridization as a chance for creating arts. They intended to mix exotic factors of other cultures with their own theatrical traditions when they created a piece of performing art. However, interculturalism has seemed to experience a theoretical crisis since the accelerating flows of globalization which means a compression of space and time. We realize that we cannot make cultures meet anymore. Interculturalism has been criticized in terms that it did not consider properly power relations operated behind the migration of cultures. Despite this limitation of interculturalism, this study suggests that analytic tools and views of interculturalism should be revised for understanding Korean concert dances in the globalized world. The study tries to scrutinize interculturalism of performing arts in relation to various and complex intersectional boundaries between cultures. The analysis of dances based on interculturalism provides a perspective focus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a dance work is accepted in Korean society. Interculturalism also helps us to take different people who participate in creating dance works from choreographer to audience, more seriously. In the global era which inter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intersection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ex, interculturalism is still an effective and useful perspective to understand cultural hybridization in Korean dance works.

      • KCI등재

        유럽연합(EU)의 상호문화학습 정책배경과 전략적 함의

        홍종열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1

        The EU is a diverse community with 28 member states and 24 official languages. This cultural diversity is clearly a task for the EU to wisely solve for harmony, and as an alternative, it is putting intercultural policies based on interculturalism. This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community solidarity requested during the European Union's integration process, and its policy efforts are important. The European Union is currently presenting diverse intercultural policies and actively intervening to promote contact and exchanges between the culturally different Europeans. I would like to have a sequential understanding of the intercultural policy history proposed by the European Union and the Council of Europe to understand the interculturalism adopted as the policy philosophy for cultural diversity. To this end, I would like to first understand the key concepts and the outline of the intercultural learning policy that the European Union and the Council of Europe intend to put into practice. Secondly,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interculturalism, which is presented as the basic philosophy of European Union intercultural learning policy, is presented through the multicultural policy history of Europe.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I will examine the discussion of interculturalism in the specific case of UK. Third, I will try to derive the cor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learning policy based on interculturalism,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strategies. 유럽연합은 28개의 회원국과 공식 언어만도 24개를 사용하고 있는 다양성의 공동체이다.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은 유럽연합이 화합을 위해 지혜롭게 풀어나가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상호문화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는 유럽연합의 통합 과정에서 요청되고 있는 공동체의 결속과도 직결된 문제로 그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유럽연합은 현재 이에 대한 실제적인 대안으로 유럽평의회와 함께 상호문화학습 정책을 만들어가고 있다. 본고는 유럽연합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상호문화학습 정책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에 대한 철학으로 채택한 상호문화주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유럽연합과 유럽평의회가 심혈을 기울여 실천시키고자 하는 상호문화학습 정책의 핵심 개념과 그 밑그림을 이해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유럽연합 상호문화학습 정책의 기저 철학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의 필요성과 의의를 유럽만의 다문화적 정책사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데 그 정책사적 변화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영국이라는 구체적인 사례에서 보여 지고 있는 상호문화주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번째로는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해 추진하고 있는 상호문화학습 정책의 핵심 전략과 함의를 도출해 보고 이것이 가지는 의의를 비판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20세기‘상호문화 담론들’에 대한 비교 고찰

        장한업(Han-Up J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본 논문은 20세기에 ‘상호문화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출현한 미국의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의사소통, 캐나다의 상호문화주의,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철학을 그 출현 시기, 장소, 배경, 주안점, 한계 등을 기준으로 비교해보면서 이것들이 상호 영향이나 합의 하에 출현한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출현한 것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이 다섯 가지의 ‘상호문화 담론들’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이 담론들이 비록 ‘상호문화적’이라는 용어를 모두 사용했지만 상호 영향이나 합의는 거의 없이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것을, 20세기 국제화, 세계화에 의해서 만들어진 지구촌에서 점점 부각되고 있는 문화적 차이들을 가능한 긍정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는 인류의 공통적인 노력의 소산이라고 해석하였다. 우리는 이런 상호문화 담론이 한국 다문화 사회에도 널리 퍼지길 기대한다. The word culture itself is very difficult to define. Therefore, in order to confine its meaning, many scholars prefer to attach different prefixes such as inter-, bi-, multi-, cross-, pluri-, trans-, in front of the adjective cultural instead of defining the word culture itself. These prefixes have been used along with about thirty various nouns, ranging from adaptability to training.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adjective intercultural. In fact, this adjective has been widely used,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the communication and philosophy sectors among the world academia discourse. Intercultural Education appeared in America in the 1930s and also in the 1970s in Europe, in order to improve relations between immigrants and the people who received the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rose in America as a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American diplomats and professionals, while interculturalism appeared in the 1970s in Canada as a policy in opposition to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 philosophy started in 1990s Germany as philosophical speculation against Eurocentrism. As such, the adjective intercultural has been used with a combination of diverse nouns. In regards to this, one can ask the following questions: did the scholars have any kind of agreement during their discussions? Did they communicate and make a positive impact on each other? If not, how can we interpret their common use of the word intercultural?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tried to compare fives types of intercultural waves of the 20th centur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time periods, places and backgrounds of appearance, their emphases and shortcomings. Following our research, we found that intercultural waves in the 20th Century have developed independently despite their common use of the word intercultura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use of same word intercultural was the result of humankind’s effort to approach cultural differences in a positive way in the global village created by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에 대한 한 해석

        김정현(Kim, Jung-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이 글에서 필자는 근래 우리 사회와 학계에 등장한 상호문화주의의 내용과 지향점을, 그것이 비판하는 다문화주의와 비교하면서 살핀다. 다문화주의는 흔히 소수 문화 집단들을 게토화하며, 사회 통합을 방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유럽의 정치적 지도자들도 앞 다투어 다문화주의의 실패를 선언했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러한 비판에 동의하면서, 상호문화주의는 자신을 문화들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통합을 강조하는 모델로 제시한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관계를 적절히 이해하기 위해 이 글은 찰스 테일러의 견해를 중심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다문화주의를 두 겹의 의미 층위를 지닌 것으로 보자고 제안한다. 즉 그는 다문화주의를 다양성의 인정과 통합 모두를 목표로 삼는 포괄적 의미의 다문화주의와 그것의 하위 범주인 제한적 의미의 다문화주의로 구분한다. 이 제한적 의미의 ‘다문화주의’는 ‘상호문화주의’와 대조된다. ‘다문화주의’가 차이의 인정을 강조한다면, ‘상호문화주의’는 통합을 강조한다. 테일러의 제안을 통해 우리는 불필요한 혼동을 피하면서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각각을,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보다 온당하게 이해할 수 있다. 캐나다 연방에서 불어권 퀘벡은 ‘상호문화주의’를, 영어권 캐나다는 ‘다문화주의’를 선호한다. 이 선호는 각 지역의 관심과 상황을 반영한다. 공식 문화를 인정하지 않는 ‘다문화주의’에 비해 ‘상호문화주의’는 불어를 매개로 유지되는 공식 문화를 인정한다. 영어권 캐나다인들은 퀘벡의 이러한 정책을 다양성의 인정을 거부하는 것으로 여기지만, 퀘벡인들은 포괄적 의미의 다문화주의를 실현하는 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테일러를 통해 우리는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관계를 이해할 때, 그것들이 지역에서 선호되는 이유를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각 모델의 지역성과 역사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양자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얻을 수 있으며, 상호문화주의의 다문화주의 비판의 타당성 역시 제대로 검토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ism in relation to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is often criticized for the reason that it ghettoizes cultural minorities and hinders them from integrating into main stream society. Taking the same stance, Interculturalism suggests itself as a model which aims at both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integration.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we go through Charles Taylor. He suggests to use the term ‘multiculturalism’ on two levels : as a generic term and as a sub term. As a generic one, it is for the ensemble of policies introduced with the combined goals of recognizing diversity, fostering integration and producing/maintaining equality. As a sub one, it designates a sub-species of such policies, to be contrasted with another sub-species, called ‘intercultural’. Following his suggestion, we can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le reducing the possible confusion. Francophone Quebec society prefers interculturalism, while anglophone Canada prefers multiculturalism. This reflects each region’s concerns and situations. ‘Interculturalism’ recognizes official culture maintained by the medium of French, while ‘multiculturalism’ does not. Anglophone Canadian regards Quebec’s such a policy as refusing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However, Quebecer considers that as a way of realization of multiculturalism as a generic term in Confederation. When we try to understand properl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ason why each model is preferred in each relevant region.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each model’s local and historical aspects, we can have a proper recognition of those models and examine the validity of criticism on multiculturalism by interculturalism.

      • 상호문화주의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고찰

        고정희 ( Ko Jeong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1 No.-

        Although there are constant debates between Interculturalism and Multiculturalism, mainstream discour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ly focus on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ism. This paper aims to examine both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Interculturalism and how they appear in its educational example. Interculturalism is an ideal model of encountering different cultures since it pursues the dialogue between equal individuals and the concept of the culture intersubjectively constructed between two cultures. However, it hides the discrimination and has difficulty presenting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De Carlo’s educational content of La goutte d'or presents less positivity than negativity. He insists that French tourists and the poor immigrant teenager from Sahara could meet intersubjectively only by observing the habit of eating food, which hides the discrimination caused by race and clas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mobility of identity of an individual to implement the intercultural ideal. This consideration draws the perspective of the encounter with other people as a part of transiting process of constructing each other’s identity and overcoming discrimination in this dose consideration of individuals with their backgrounds.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반도 통일·통합의 가치 및 정책방향 : 상호문화주의'시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박영자(Young Ja Park)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2 국제관계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최근 유럽과 북미에서 활발히 논의·발전하고 있는 사회통합 모델인 상호문화주의가, 단일 · 다문화주의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다문화시대 한반도 통일·통합의 국가과제와 조응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 및 정책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가설에 기초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주의가 사회통합 정책처방이 되기 어려운 이유와 그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 시각을 다루고, 캐나다와 독일의 경험·교훈을 검토한 후 상호문화주의의 한반도적 가치와 사회통합 정책방향을 밝히었다. 연구 결과, 상이한 집단의 상호관계와 일상의 소통·생활경험으로부터의 창발을 중시하며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상호문화주의는, '다양성 속에 통일성' 창출에 가치가 높다. 또한 민주·자유의 공생가치와 '우리의식'이란 민족정체성의 통합가치를 내재하기에, 다문화시대 한반도 통일·통합을 위한 총체적 국가 정책 아젠다로서 그 가치를 논할 수 있다. 상호문화주의 사회통합 정책방향은 첫째, 차이로 인해 갈등하는 집단을 동일한 정책대상으로 설정하고, 서로 간의 경계와 접촉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의존과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집단 간 상호작용과 관계맺기 방식의 과정과 변화를 중시하고, 다름으로 인해 충격·힘겨루기·충돌·투쟁등을 하며 역사적으로 나타나는 수렴현상과 창발을 포착하여, 공공의 국가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일상생활의 주요 공간에서 공통의 이해와 관심으로 관계 맺도록 유도하고,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주요 정책범주로는 평등하고 공정한 노동/직업 통합, 교육통합, 지역통합, 가정통합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value of and policy direction for interculturalism for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beyond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the Korean Peninsular. It focuses on the experience and lesson of interculturalism in Canada and Germany, and the value and policy direction. This paper aims to make a contribution to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r. Chapter 2 deals with research perspective and theory, which include critical perspectives o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then history and the notion of interculturalism. Chapter 3 is to look a round the experience and lesson of interculturalism in Canada and Germany. Chapter 4 examines values and policy directions of interculturalism for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유럽의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홍종열 ( Jong Youl Hong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0 No.-

        Recently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 society is discussed actively in Korea. However, even though educational policy is unfolded diversely by our governmen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Essential issues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ot resolved as ever. In our society, multiculturalism is accepted as a policy alternative. But multiculturalism has some limitations in the face of multicultural issues. For this reason, I would pay attention to not multiculturalism but interculturalism as a different viewpoint which is being focused in European Union nowadays. European Union is practicing 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y of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his can expand our remedy for multicultural issues in width. We can try to find view things from a different angle not just for our own country but for intercultural lens of intercultural exchanges. This can also be lessons from EU`s agenda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y in the context of glocal strategy.

      • KCI등재

        Beyond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in Changing South Korea

        서영지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7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of progression—a developmental model for a South Korean society that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Several problems have emerged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following its rapid multicultural shift. This study introduces European inter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for resolving this issue.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of multiculturalism and then looks into its limitations with references from the political world and academia. Next, this study investigates European interculturalism, an alternative model of diversity to American multiculturalism. In this section, the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of interculturalism as well as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ith multiculturalism will be discu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shift towards interculturalism—while still aiming for multiculturalist values of the acceptance of differences and peaceful coexistence—as a solution to the incomplete model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윤은홍,김효정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5

        In order to develop and continue to live toget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intercultural coexistence that has been taken in multicultural education so far and to develop an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which focuses on mutual open dialogue and commun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n art class based on interculturalism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tending community children's centers in Gangseo-gu B and Guro-gu P, Seoul, who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interculturalism-based art classes. A pre- and post-test for cultural sensitivity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data from class satisfaction surveys,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practical outcomes and activity sheets,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teacher observ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lth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not obtain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 and post-assess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as further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 classes based on interculturalis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