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腹藏物 구성형식에 관한 연구

        이선용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1 No.261

        Bokjang refers to objects installed inside a Buddhist statue as well as the ritual accompanying such installation. Along with the eye-painting ritual of an image, it is one of the most defining rituals of Buddhism. Objects installed inside a Buddhist statue widely varied, ranging from votive text to huryeongtong (a container inside which votive objects are placed), sutras and scriptures, clothes, and textiles. However, gaining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is religious practice has been rather difficult, due, on the one hand, to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related artifacts,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inaccessibility of the ritual to the public. This explains why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at understanding the overall composition of installed votive objects, and most studies on the subject have thus far focused on the sculptors of images or individual item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scern how the practice of bokjang evolved over time, by looking at changes that occurred to its three central components; namely, huryeongtong, obobyeong (a bottle containing textiles of five colors), and hwangchopokja (yellow cloth used to wrap huryeongtong). These change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standard procedures outlined in Josanggyeong, a Joseon-period scripture describing procedures concerning the creation and preparation of a Buddhist statue in Buddhist temples. In Korea, votive objects were generally installed in a Buddhist statue following related recommendations in Josanggyeong, both concerning the types of objects and procedure of enshrinement. Huryeongtong and oboyeong were two central objects, considered the heart of a Buddhist statue. Huryeongtong, consisting of a casket and a tube during the Goryeo period, evolved, during the Joseon period, into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 bottleneck-like opening at the top (huhyeol) and a lid decorated with eight leaves (pallyeogae). A similar change also occurred around the same time to obobyeong. Previously a pouch-shaped bottle (obogwabyeong), obobyeong acquired a cylindrical shape also during the Joseon period. Hwanchopokja, meanwhile, came to consist solely of a yellow-colored textile, once into the Joseon period, whereas during the Goryeo period, textiles of other colors were added to a base textile in yellow tone. Huryeongtong, obobyeong and hwangchopokja, the three central components of the bokjang custom, therefore, had varying shapes and aspects depending on the period. However, objects such as caskets (hap), tubes (tong), huhyeol, pallyeop and obogwabyeong, mentioned in Josanggyeong, were used already during the Goryeo period. What this says is that there must have been works documenting bokjang-related guidelines and procedures during the Goryeo period, even if none has survived to the present. Josanggyeong must largely draw on these earlier works as well as update them by replacing some of the obsolete elements that were no longer part of the bokjang custom, once into the Joseon period. It may, therefore, be possible that there was a standard bokjang practice in Goryeo, comparable to the one that existed in Joseon, and this practice used hap and tong, rather than huryeongtong, as the principal containers for votive objects. Bokjang constitutes a little-understood area of Buddhist art. The complex symbolism of this religious practice has been daunting for researchers, as has been the difficulty of accessing related artifacts, which explain the state of research. With new discoveries of bokjang-related artifacts, future research may be able to cast further light on the practice, and this study c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腹藏이란 불상 안에 安立되는 내용물인 모든 物目과 이때 병행되는 의식을 가리키는 말로 點眼과 함께 한국 불교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의식 중 하나이다. 복장은 발원문, 후령통, 사경, 전적, 복식, 직물 등 多樣多種의 물목들이 안립되나 물목 안립, 의식, 조사, 재복장 등 모든 사항들이 비공개로 이루어지고 훼손되는 경우가 많아 지금까지 구성형식을 파악하기 보다는 화사연구, 개별 물목 등에 치우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복장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喉鈴筒과 五寶甁, 黃綃幅子의 구성형식의 시대적인 변화와 함께 『造像經』과의 비교를 시행하였다. 우리나라는 복장은 의식 순서와 물목, 안립 순서 등을 기록한 『조상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후령통과 오보병이 복장의 핵심이자 불상의 심장 역할을 담당한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후령통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려시대 합과 통에서 喉穴과 八葉蓋를 갖춘 조선시대 圓筒形 후령통으로의 변화는 주머니형의 五寶裹甁에서 원통형 오보병으로의 변화와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황초폭자는 황색직물과 多色 직물을 함께 사용한 고려시대와는 달리 조선시대에는 황색의 단일 직물만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복장 구성의 핵심인 후령통과 오보병, 황초폭자 모두 시대적인 차이가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조상경』의 내용 중 합, 통, 후혈, 팔엽, 오보과병 등은 고려시대의 복장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존하지는 않지만 이미 고려시대에도 불복장과 관련된 경전이 있었으며, 이것이 계승 ․ 변화되면서 조선시대 『조상경』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후령통으로 집중된 조선시대와 같이 고려시대 또한 합과 통 중심의 일률적인 구성 형식으로 복장이 이루어졌을 것이라 추측된다. 지금까지 불복장의 구성형식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살펴보았지만 복장이 가지는 상징성과 쉽게 접할 수 있는 유물이 아닌 관계로 복장 연구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례 발굴과 연구를 통해 복장의 형식을 규명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많은 복장 연구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현대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공간 확장에 따른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최주현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설치미술은 1960년대부터 미니멀리즘 이후 대두되기 시작한 미술의 한 장르로 주로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를 위해 만들어진 입체작품을 말한다. 1970년대 비엔날레를 통해 미술사에서 처음으로 하나의 장르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설치미술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관람자의 체험, 경험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러한 장르적인 특징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하여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양한 소재 즉 오브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브제는 단순히 설치미술의 재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 관람자간의 교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설치미술의 발전은 오브제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근에도 설치미술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고 있는 설치미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오브제의 정의와 그 변화에 따른 설치미술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설치미술의 기원과 개념 및 오브제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다. 둘째, 설치미술의 시대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들의 작품과 이에 사용된 오브제의 특징적 변화를 관람자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에르네스토 네토(Ernesto neto, 1964~)를 선정하여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분석하고 그의 작품이 설치미술의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오브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근 설치미술의 동향 및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역할 및 그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한 오브제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작가와 관람자들이 소통하고 참여하는 설치미술의 확장을 기대한다. Installation Art is a genre of art that began to emerge after minimalism in the 1960s, mostly three dimensional works created for a particular space or place. It first began to emerge as a genre in the history of art throughout biennale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boundary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al thinking to this day. Installation Art values the viewer's undergoing and experience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by the viewer, and these genre features have become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writer's work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y the viewer. These characteristics are achieved through a variety of materials, or objects. Therefore, the object will not simply be limited to materials of Installation Art, but will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viewer.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object,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category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rt that is developing into a genre of Modern Art, and also the definition of an object and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s a result of the change.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origin, concept of Installation Art, and definition of an object. Second, to see the changing times of Installation Art,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rtists’ works and the objects used were analyzed around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ird, I selected Ernesto Neto as a sample writer and analyzed his representative works and considered the effects of his work 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round the object. Based on these details, we also looked for recent trends in Installation Art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is study, we look 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object in Installation Art and look forward to the expansion of Installation Art in which writers and viewers interact and participate through active use of multi-sensory ob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춤에서 오브제(Object)의 다면적 활용과 역할 연구: 사샤 발츠(Sasha Waltz)와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의 설치 작품을 중심으로

        박서영 대한무용학회 202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8 No.5

        This study aims to research major roles of an object in dance by presenting specific examples of strategies showing how an object is utilized in contemporary dance. Nowadays pieces of contemporary dance often show a variety of objects which entered the space of art. In pieces of art, objects are playing so many different roles that they cannot even be described collectively. The concept of an 'object' which means an object to be recognized, by definition, as opposed to a subject is constantly redefined by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ings in different times. In particular, in the exhibition of dance where even a human body, a subject that seemed impossible to be objectified, is naturally experienced as an object, audience can recognize the broad spectrum of an object from 'a subject to an object'. Such wide spectrum makes an object work as a mediator among visual art, play and dance. In the field of dance, an object is presenting various strategies reformulating the concept of a 'body', 'space' and 'time' and broadening the scope of dance. .

      • 국제법상 공중타격 표적선정의 대상과 제한

        서영득(Young-Duk Suh)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21세기를 맞이한 오늘날 공군력이야말로 국방력의 핵심요소이고, 전쟁의 최종적인 승리를 위한 공세적 전력임을 부인하는 이는 누구도 없다. 오늘날보다 정밀한 타격이 가능해지면서 공군은 과연 어떠한 표적을 우선적인 타격 목표로 선정하여 야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 통상 표적선정은 군사적 효용성에 기초를 둔 사실적인 전술판단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지게 되지만 최근 국제사회와 국내여론의 ‘깨끗한 전쟁’에 대한 요구는 공군의 표적선정이 타당한 것인가하는 규범적 가치판단 문제 역시 전자 못지않게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공중전력을 이용한 무력충돌과정에서 어떠한 표적을 주된 타격 목표로 선정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바로 공중전력의 존재의의 및 활용방침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오늘날 공중폭격의 비인간성에 대한 반성적 고려, 기술발전으로 인한 정밀타격무기체계의 개선, 전쟁수행과정에서의 적법성 문제에 관한 인식 증대 등으로 말미암아 작전수행 과정에서 국제관습과 전쟁법에 의한 규제를 폭넓게 준수하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우선, 1977년 제정된 1949년 제네바 제협약에 관한 제1추가의정서 제52(2)조를 보면 전쟁법이 인정하는 적법한 공격대상에 관하여 공격의 대상은 엄격히 군사목표물에 한정된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공중타격의 표적선정 역시 이러한 범위 내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위 추가의정서를 보면, 공중전력 표적선정의 적법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성문화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1949년 제네바 제협약에 관한 제1추가의정서 제37조, 제 51(4)조, 제51(5)(b)조가 정하고 있는 구별(distinction), 비례(proportionality), 필요(necessity) 및 인도(humanity)의 원칙이다. 공군은 위 각 원칙을 준수하기 위하여 민간인과 여타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 입게 될 피해를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예방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히 군사목표물을 직접 타격하는 경우라도 예상되는 군사적 이익에 비하여 부수적인 민간인과 민간물자에 대한 피해가 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러한 공격은 국제법상 인정될 수 없다. 국제법은 민간인에 대한 보호 외에도 특정 시설에 대해 보다 강력한 보호를 인정하고 있는바 특히 의료요원과 시설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호가 인정되고 있다. 전쟁포로와 포로수용소 역시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없다. 이 외에 환경에 대한 부수적인 피해 역시 민간인에 대한 부수적인 피해와 마찬가지로 타격 여부를 결정하는 이익의 비교형량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라 하겠다. 다만, 원자력 발전소나 댐 등과 같이 위험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는 건조물과 시설(works or installations containing dangerous forces)의 경우 이에 대한 표적선정과정에서 보다 엄격한 심사를 받아야 하는지 문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교, 예술, 과학이나 자선을 목적으로 하는 건물과 역사적 유적에 대한 직접적이고 고의적인 공중폭격은 금지되어 있다. 표적선정과 관련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핵심논점으로, 이중용도 목표물과 인간방패 문제를 들 수 있다. 우선, 이중용도 목표물이란 군사와 민간 용도 모두에 사용되는 핵심시설들을 의미하는바 이러한 표적에 대한 타격이 어느정도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생각건대 효과기반 표적선정 전략은 위와 같은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고, 적의 저항의지를 분쇄하기 위한 의도에서 이루어지는 이중용도 목표물에 대한 초기타격은 군사적 효용성이 인정되는 공격으로 적법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공격에 대한 방패 역할을 하는 민간인에 대한 타격이 가능한지 문제될 수 있는데 그 답은 인간방패가 자발적인 것인지 아니면 비자발적인 것인지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본다. 자발적인 인간방패는 군사목표물을 방어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교전에 참가하는 것이나 다름없으므로, 공격의 대상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No one can deny the fact that in the 21st century, the air force is the crucial element of the defense power and provides strategical advantages to win a war. Today, due to the ever-increasingly precise weaponry,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the air force is facing is target selection, i.e., how to prioritize the targets to strike. Such target selection used to heavily involve strategical factors, to be effective in the military terms. However, because of the recent demand for a "clean war"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omestic media, value-judgements are beginning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arget selection. Such issues relating to target selection is at the core of defining the air force and its oper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for armed conflicts with air power. Recently, due to the humanitarian tendenc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mprovement of the precision target and attack system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gal aspect of military operational procedure, certain consensus is being formed that the international law and customs on armed conflicts shall be conformed to in conducting any military operations. First of all, Article 52(2) of Additional Protocol I of the Geneva Convention restricts legally permissible targets to military objects only, and target selections for air strike shall be made within such restriction. The additional protocol provides legal standards for target selection, i.e., the principles of distinction, proportionality, necessity and humanity, as stipulated in Article 37, 51(4) and 51(5)(b). In this regard and in order to confor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e air force needs to prepare preventive measures to minimize damages that may be inflicted on civilians and other objects that should be protected. Especially, even if an attack is directed at a military object, if the collateral damages to civilians and civil objects are excessive in relation to the military benefits from the attack, then such attack is impermissibl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It also provides extensive protection on certain objects and facilities, including medical personnel and facilities. The prisoners of war and their detention facilities may not be targets, and they cannot be utilized to defend the opponent's attack. In addition, environment factors are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determining whether the collateral damages from an attack are excessive in relation to its military benefits. Moreover, targeting certain works or installations containing dangerous forces, e.g., nuclear power plants or dams, may create additional issues of wheth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 to be more strictly enforced. Finally, direct or intentional air strikes on historical sites and certain religious, art, science or charity installations are prohibited. Today, the most critical issues relating to target selection are those of dual-use objects and human shield. As to the dual-use objects, they are objects/facilities with both military and civil importance, and there is an on-going heated debate on whether they are valid targets for attack. The effect-based targeting strategy may minimize the collateral damages involving such attacks and solve these issues. That is, certain initial and precise strikes for and in a manner to maximize the strategic benefits may probably be legally permissible. As to the human shield, whether a strike is permissible on such human shield depends on the voluntariness of the shield. A voluntary human shield is in fact participating in the conflict by defending military objects, and therefore it may be a permissible target for strike. On the other hand, if civilians are being forced to form human shields, then such civilians are to be protect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nd this shall be heavily considered in conducting the balancing analysis on collateral damages and military benefits. In this case, if such human shield is to be

      • KCI등재

        이승택 작품 연구: ‘비조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Seung-taek Lee’s art works. Lee’s early works had their roots in sculpture, but he would later explore various genres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ranging from drawing, modern painting, objet,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photo-picture. Le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Korean experimental art, as evidenced by the numerous exhibitions and research under his name. One of the most notable exhibitions was the Seung-taek Lee Invitiational Exhibition in 1997, which attempted to highlight the 50 year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Despite his importance in Korean experimental art, most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fail to consider the full picture and chronological importance of Lee’s artwork. Instead, they would only focu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Lee’s art by looking at each piece separately. Furthermore, these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ould often rely on non-credible records, casting even more doubt on credibility. This article will firs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Lee’s ar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 identify four phases of Lee’s art as follows: 1) while embracing the western practice of sculpture, Lee would experiment with traditional Korean objects such as totem poles and pottery, or with ordinary industrial objects such as wood, glass, vinyl, and steel. Lee would also experiment with anti-sculpture installation art with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smoke, fire, and wind to reflect on the mem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1955-1971). 2) Lee also combined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such as sculptures, white porcelain, books, currency—by using a “rope” to contemplate on their existence via methodical and conceptual thoughts (1972-1983). 3)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 Lee intervened in various aspects of reality such as shamanism, self-burning, environment, division of the country, and sexuality v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1984-Early 1990s). 4) Finally, Lee shifted his focus from 3-dimensional experimental art with objet and sculpture to a photo-picture experiment with collage, montage, painting, and drawing (1990s and after). As a result,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non-sculpture is ironically very limited in identifying the experimental nature of Lee’s non-sculpture art. In addition, by treating photo activity as just a byproduct of installation art, the previous literature fails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photo-picture, which was the main focus of Lee starting from the 1990s. Lee’s art i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objects within this time period. There is much more to his art than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warrants a more fundamental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life. 이 글은 이승택(1932-)의 작품세계 연구다. ‘조각’에서 출발한 그는 ‘비조각’을 내걸며 드로잉·회화·오브제·퍼포먼스·설치·‘포토픽쳐’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실험미술 50년을 조명하고자 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승택 초대전》(1997)을 비롯한 여러 전시와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실험미술의 아이콘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나 연구들이 십중팔구 그의 작품 전모나 시기별 전개를 간과한 채, 단편적 형식적으로 그 실험성에만 주목하고, 그마저 엄정하지 못한 1차적인 기록들에 의존하고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설득력을 지닌다. 이 글은 우선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기록들이나 연구들을 엄밀히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그 전개를 4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1) 서구 ‘조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장승·옹기 같은 민속 오브제나 각목·유리·비닐·양철 같은 산업화 시대의 일상 재료로 형태실험을 하고, 연기·불·바람 같은 비물질적인 재료로 반조각적인 설치 퍼포먼스로 문화인류학적 삶의 기억을 불러내는 시기: 1955-1971, 2) 조각·백자·책·화폐나 돌·나뭇가지 같은 인공물과 자연사물들을 ‘줄’로 묶어 그 존재를 방법적·개념적으로 묻는 시기: 1972-1983, 3) ‘비조각’ 개념을 내걸며 설치·퍼포먼스로 무속·분신·환경·남북분단현실·섹슈얼리티 같은 삶의 현실에 개입해 들어간 시기: 1984-1990년대 초, 4) 지금까지의 3차원적인 오브제·조각 매체 실험에서 무게 중심을 사진콜라주·몽타주·페인팅·드로잉 등 이미지 실험으로 옮긴 ‘포토픽쳐’작업을 한1 990년대 이후 등. 그 결과 ‘조각’을 향한 ‘비-조각’적 실험에 주목했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정작 그 실험성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서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게다가 사진작업은 단지 설치·행위의 기록으로 부수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승택이 일찍부터 추구했고 특히 1990년대 이후엔 몰입하다시피 했던 ‘포토픽쳐’에 관한 평가가 간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불어 남북분단과 전쟁, 산업화, 후기산업시대 등으로 전개되며 급변하던 사물들의 체계를 배경으로 펼쳐진 이승택의 작품은 실험성만이 아니라, 인위성과 자연성, 오브제와 삶 사이에서 살아있는 새로운 사물의 질서 모색이라는 보다 근본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

        도널드 저드의 특수한 사물들, 뉴욕, 그리고 마파: 미니멀리즘의 공간을 향하여

        이임수(Im Sue L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1

        본 논문은 도널드 저드가 새로운 삼차원 작업을 해나가면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한 두 개의 개념인 ‘특수한 사물’과 ‘영구적인 설치’를 작가의 작업실 이전과 연관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저드가 추구한 전시공간을 규명한다. 저드가 특수한 사물이라는 개념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새로운 삼차원 작업의 특징은 재료의 직접적인 물질성과 작품이 띠게 되는 사물성, 그리고 같은 단위가 반복되는 연쇄적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저드가 처음 미니멀 작업을 시작할 당시 작업실의 입지와 무관하지 않다. 그가 작업실이 위치한 지역의 길거리와 작업장, 자재상, 철물점에서 재료들을 발견하고, 단순한 형태의 매끈한 마감을 위해 전문 제작소에 작업을 맡기게 되기 때문이다. 미니멀한 형태의 저드 작품은 개념화가 없는 직접적인 지각으로부터 작품의 의미가 생성된다. 이를 위하여 작품 관람을 위한 전시의 조건이 중요해지는데, 이와 관련하여 저드는 영구적인 설치 개념을 말한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소호의 건물의 매입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게 되자 작품에 최적화된 전시 방식을 고민하고 시도하게 된다. 소호 건물의 각 층은 작업실과 주거공간, 전시공간이 함께 공존하지만 작품을 위한 최적의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저드는 더 나아가 어수선한 일상의 공간보다 더 이상적인 관람 조건을 만들기 위해 텍사스 마파에 대규모의 영구적인 작품 설치 프로젝트를 실현시킨다. 상업적인 갤러리와 복잡한 일상과는 거리가 먼 작은 타운에 설립된 치나티 재단은 저드와 그가 수집한 동시대 예술가들의 작품이 최적의 상태로 설치되었다. 그 결과 저드가 바라는 방식대로 관람자가 작품을 바라보면서 느낌과 이해가 동시에 이뤄지는 조건이 만들어졌다. 요컨대, 저드가 구축하고자 한 영구적인 설치 공간은 실제 공간을 미적 공간으로 전환시키거나 둘을 공존시킨 것으로서, 재료들의 물질성과 사물의 현존이 힘을 발휘하는 현실 공간이면서 예술 자체의 미적 경험을 위한 자율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specific objects” and “permanent installation” which Donald Judd advocated for the new three-dimensional works, and attempts to relate his pursuit of these ideas to the two working spaces chosen by him. It also aims to address his preoccupation with the space in which objects would exist autonomously. By espousing the term “specific objects” in his seminal essay, Judd emphasized direct materiality and thingness of three-dimensional works and their serial compositions resulting from repetition of the same units. These attributes were not irrelevant to the location of his studio where he started minimalistic sculptures. Judd provisioned materials from streets, workshops, and hardware stores near his studio, and commissioned professional workshops to fabricate the objects to ensure their uniformity and neat finish. Judd suggested that his objects of minimal forms should create meanings directly from perception without conceptualization. It thus became important to make exhibition spaces optimized for direct perception and for deep contemplation, which led him to insist on permanent installation. The building that Judd purchased in New York’s SoHo neighborhood not only served as his living and working space but also provided an ample space where his works could be installed in ways most suitable for feeling and thinking. Several year later, in order to accommodate large-scale installations, Judd acquired a more spacious facility on a military base in Marfa, Texas, a small town remote from commercial galleries and free from urban hassles. This facility became the Chinati Foundation, the objective of which was to display permanent installations of Judd’s objects and those of his contemporaries. Judd at last created the exhibition space befitting his ideas. It was the idea that the space and the objects therein should both be perceived and understood by viewers as autonomous art for themselves. What Judd attempted to achieve with permanent installation was either to transform a physical space to an aesthetic space or to make them coexist. In Judd’s view, the permanent installation space was an actual space where objects would project materiality and exert their existence and, at the same time, an autonomous space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art.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 KCI등재

        신체적 사고: 윌리엄 포사이드의 안무 오브제 개념에 관한 고찰

        이지선 ( Lee Jeesu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6 무용예술학연구 Vol.6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meaning of William Forsythe’s concept of choreographic object. Through this concept, Forsythe suggests a new meaning of choreography as a translation of ideas. The three of Forsythe’s works, White Bouncy Castle(1997), You Made Me a Monster(2005), and Doing and Undergoing(2016) are exemplified to navigate his ideas such as that dance is a model of physical thinking and dancing or moving can allow a new perception to the world.

      • KCI등재

        타라 도노반의 반복적 집적과 일루전의 해방

        장지희(Chang, Jee Hui),김재도(Kim, Jae d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4

        본 논문은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설치미술 작가 타라 도노반(Tara Donovan, 1969-)의 작품을 ‘일상 오브제의 반복적 집적’과 ‘자연 과정의 모방, 해방된 일루전’ 이라는 관점에서 다룬 연구이다. 현대 미술에서 오브제의 도입이 설치미술의 등장에 미친 영향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타라 도노반의 작품을 연구하였다. 타라 도노반의 작품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일상적인 오브제를 선택하고 무수한 양을 반복적으로 집적하여 제작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때 집적의 방식이 갖는 특성은 작가의 의도가 최대한 배제되고, 오브제의 물질적 특성에 기인한 생성 원리와 우연에 의거한다는 것에 있다. 도노반의 반복적인 작업과정은 생명 체가 성장하는 듯한 유기적인 형태를 낳게 되는데, 이는 공간 속으로 무한히 성장할 수 있는 확장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자연을 충실하게 재현하기 보다는 유사 일루전을 형성하는 생성의 법칙을 적용한다. 일상의 재료와 집적의 과정을 통해 발아, 성장, 죽음과 같은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자연의 과정을 암시하게 된다. 그는 작품 제작 과정과 재료를 있는 그대로 노출시킴으로써 팝, 미니멀리즘, 포스트 미니멀리즘 계열을 계승하면서, ‘집적’이라는 생성적, 확산적 방식을 도입하여 전통적 의미의 재현과 일루전의 족쇄에서 미술을 해방시킨다.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추출되어 무분 별하게 사용되고 버려지는 것들이 만들어 놓은 허상의 자연을 작품으로 보여줌으로써 환경과 사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함에 의미를 갖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installation works of artist Tara Donovan(b. 1969-) who actively works without boarder based on New York United States in terms of ‘repetitive accumulation of daily necessaries’ and representation of ‘the improvisation of nature, liberation of the illusion.’ In contemporary art, the introduction of objects influences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stallation art and based on this analyze and research Tara Donovan s works. Donovan s art pieces are characterized of formality using everyday objects selected by Donovan, its create the work repeatedly integrated accumulation by countless amount. At this junc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umulation of integrated materials have featured by the exclusion of the her intentions, and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the matter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ccidental basis by objects. Rather than faithfully reproducing nature, she applies the laws of nature creating a similar composition. Through the process of daily materials and integration repeating cycles such as germination, growth, and death is suggested. By exposing the works of art and materials, she inherits the art of pop, minimalism and post-ministration, bringing the art of traditional meaning of representation. Also her works have a feature to extend space organic forms, such as the growing organism without any a definite plan through this process, Donovan’s repetitive work process ‘accumulation’ emancipate from traditional meaning of representation and fetters of illusion. Moreover, it is meant to convey messages about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ims by presenting illusion of nature produced from nature and being indiscriminate and abandoned by nature.

      • KCI등재

        현대패션쇼의 대중문화적 특성(제2보)

        장안화(An Hua Chang),박민여(Meeg Nee Park) 한국복식학회 2004 服飾 Vol.54 No.5

        This Study has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of the contemporary fashion show by each element as follows: The fashion show place expanded its area when it moved its center because of not only the use of ordinary and public friendly place but also adjacent places` post-modernism thought. The installation stage was produced by organic combination with the stage using object: The technology for the stage has produced dynamic variability and variety enough to expand the stage. The dramatic element of produc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to the fashion show to shorten gap with ordinary life and transfer a theme by facial expressions, gesture and pose, etc of a model: In addition, its performance element combines other genre freely to be one time and viewers` participating type technique. At the minimalism element, clothing functions moderately as main factor of the fashion show: Technical elements are added to emphasize future images. At sound trackc and sound effects, the show`s overall atmosphere has been revived to remake various genre of music and improve images. At the fashion model, objective appearance boundary is collapsed to expand model concept and make tools of their own. The fashion show has external values of active movement of associated industry as well as economic boost enough to produce jobs, and internal values to provide aesthetic rest and satisfactions to let the ones, who are isolated from recreation values and the society,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ith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