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일본에 있어서의 교육기회불평등과 평등을 위한 교육-사회정책

        하시모토켄지(Kenji Hasimoto) 한국사회정책학회 2006 한국사회정책 Vol.13 No.1

        이 연구는 일본에 있어서 교육불평등 문제의 실태를 밝히고 있으며, 교육불평등 문제는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에 기초해서 그 해결에 교육-사회정책이 필요함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육불평등이 각 계급간에 있어서 어떻게 확대되고 있는지의 문제를 자본가계급, 신중간계급, 노동자계급, 구중간계급이라고 하는 4계급 도식에 기초해 분석하고 있다. 각 계급별로 학력과 계급, 출신계급별, 코호트(COHORT)별 대학진학률추이분석, 출신계급별, 중학3학년당시 성적별 고교진학률을 분석하고, 교육기회불평등의 심화를 증명하고 있다. 이 같은 불평등을 초래한 요인으로서 경제적 요인, 문화적 요인뿐만 아니라, 일본교육제도에 보이는 독특한 계층구조, 즉 고교간, 대학간 서열구조라고 하는 제도적 요인이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고 하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교육기회의 평등이 필요한 근거로서 직업달성 기회평등을 위해 교육기회평등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아울러 사회적 공공재로서의 교육이 대다수 사람들에게 보장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두 가지 점을 들어, 교육기회 실현의 평등을 제안하고 있다. 그 제안에는 교육비 부담능력이나 출신지역이 진학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기위한 시책, 경제적 격차나 계급간 불평등을 경감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정책을 넘어서, 세제, 노동정책, 사회보장정책 등을 포함한 종합정책이 필요로 함을 주장하고 있다. This study clarifies the reality of the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 in Japan,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 i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we have the purpose in proving that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al-social policy in solving it. We have analyzed the problem of how educational inequality is increasing between each class, based on the 4-class scheme, which includes the capitalist class, the new middle-class, the laborer class, and the old middle-class. For each class, we have carried out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ratio of students admitted to universities for each academic background, class, native class, COHORT, and have analyzed the ratio of students admitted to high schools for each native class and for each grade during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have proved the depth of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y. We have pointed out that as factors causing this kind of inequality, not only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but also a unique class structure appearing in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institutional factor known as the rank structure betwee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s increasing the gap. We are proposing equality in the attainment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staling two points, that an 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is needed for the equality in the chances of attaining a job, along with the point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be guaranteed to a majority of people as a social public property, as the basis for the need of 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proposal includes a policy to make sure that the ability to pay educational expenses and one`s hometown does not influence one in continuing studies at a higher level, and the reduction of economic differences or inequality between classes, and is asserting that an all-around policy, which includes not just the educational policy but also such things as the tax system, the labor policy, and the social security policy, is needed for this.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의식

        이성균 ( Sungkyun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 현황을 정리하고, 학교교육 및 가정배경 등 사회·심리적 요인이 기회불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고등학생들의 학교교육 평가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그리고 계층소속감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며, 고등학생의 거주지 교육생활 환경도 부모의 학력 및 직업 등 가정배경에 따라서 상기하게 평가된다. 대부분의 중학교 졸업자들이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한국사회에서 교육기회는 형식적으로 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서 학교와 거주지에서의 교육경험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격차를 반영한다. 현재 고등학생들은 가족배경이 개인적 성공의 주요 요인이라고 평가하며, 교육·인맥형성·노동시장의 기회공평성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정배경 가운데 주관적 계층지위와 아버지의 직업이 기회불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상류층 가정 혹은 화이트칼라 직업의 아버지를 둔 고등학생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학교교육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의 직업 등 가정배경이 동일하다면, 학교의 다양한 교육적 역할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고등학생들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따라서 학교를 포함한 전 사회적 차원의 정책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격차를 해소한다면, 이에 대한 학교 및 지역 등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궁극적으로 기회불평등 의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 school experiences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iffer by the jobs of their parents and self-percep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status. We could als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valuation of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such family backgrounds as the education levels of their parents and the stratification status perceptions. Even though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seems to be formally equal in Korea where most junior high school graduates go on to the high school, the students different evalu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t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reflects the gap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ny students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family background is one of the main factors to decide their own success.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opportunity equality for the education, social networks and the labor market achievements. Among the family backgrounds, father`s job and stratification status significa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ir evaluations of the school experiences and the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lso affect their attitude. If the family backgrounds are same, those with the positive school experiences and the favorable local environment tend to show a less inequality-oriented attitude. The findings therefore imply that the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could reduce the socioeconomic gaps could conseque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in Korea.

      • KCI등재

        강요된 교육경쟁과 물화된 자기실현

        김철운(Kim Cheol-W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교육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는 중요한 활동이다. 하지만 우리의 학교쿄에서 그것은 승자독식의 경쟁논리를 정당화하는 시장주의 교육에 의해서 상당부분 제약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시장주의 교육은 학생들의 성적(학업성취도)과 학력(교육수준) 성취 능력을 기준 삼아서 선발·탈락을 결정하는 입시교육의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고, 또한 그들의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욕망을 발산시켜서 사회경제적 지위를 점유하게 하는 학부모들의 교육열(敎育熱)을 더욱 과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오로지 경쟁에서의 승리를 갈망하면서 오직 자기만을 위하고 남을 배척하는 개인적이고 배타적인 존재로 변해 갈뿐이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학생들의 성적과 학력이 공정한 경쟁을 통한 그들의 능력과 노력보다는 대부분 학부모들의 사회경제전 배경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학교에서 많은 학생들이 ‘출발선에서의 평등’, ‘교육의 기회 균등’(평등)으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불평등한 교육구조 아래에서 학교는 더 이상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지위 배분이 아니라 오직 계급 또는 계층 재생산을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다. 때문에 학교교육은 승자독식의 이름으로 학생 간의 대립·경계·반목을 조장하는 경쟁교육이 아니라 협력(협동)의 이름으로 학생 간의 배려·인정·조화를 조성하는 ‘평등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런 속에서 학교교육은 책임과 배려의 민주적·도덕적 학교공동체 안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인격을 기르고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달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iscussion about that criticizes ‘human style of reification’ that happen in ‘education that force competition’ and establishes ‘human style of creativity’ that happen in ‘justice and caring.’ Education is important activity that form human’s personality. Social high education fever interrupts this activity. This is ‘Competition Ideology’ and ‘Hakbul Ideology(academical cliquism)’s product, and cultural keyword that show well structural inconsistency of our society. This is deep relation with educational desire of parents. Because it is social position desire of arrivism that drive out children into educational competition and occupies only social economical position of children. Student’s high Hakbul Cacademical clique) is accomplished by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most parents make than own capability and effort on our society. Hereafter, educational inequality and social inequality are more extreme. Because Hakbul(academical clique) is not gotten from principle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at is based on ‘principle of equality’. Therefore, school education must focus on realization of ‘life worthy of man’ and ‘human prosperity’ that considers and recognizes each other under a name of cooperation.

      • KCI등재

        Construcciones conceptuales sobre la educación superiores y calidad educativa en estudiantes universitarios chilenos

        Oswaldo Méndez Ramírez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2 중남미연구 Vol.31 No.3

        The present manuscript explores the representations that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Chile have with regard to the incentive concepts: “higher education” and “quality of education”. It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llowed access to conceptual constructs and processes definition of individuals; using the technique of natural semantic networks. The population was made up of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studies of history; psychology and educational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hile. The sample was comprised of a total of 70 stud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found three concepts in common: learning, inequality and opportunity. The results led to interpret that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Chile, a high quality education must be a right and be an education that promotes learning, combat inequality and provides opportunities.

      • KCI우수등재

        ‘명문대’ 저소득가구 전형 입학생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이혜정(Lee, Hae-Joung),이지연(Lee, Jiyeon),이희원(Lee, Heewon)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소외계층 학생에게 제공된 평등한 대학교육의 기회가 당사자인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경험될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로 여겨지는A대학의 저소득가구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각 학생의 ‘학습생애사’를 수집하였다. 두 가지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저소득 전형 학생들은 열악한 가정 배경 속에서도 스스로 열심히 공부하여 명문대인 A대학에입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학에서 저소득 전형 입학이 불공평한 ‘특혜’나 ‘역차별’로 인식되고있음을 경험하면서 자신들의 빈곤을 명문대 입학자격으로 여기게 된다. 이러한 빈곤 인식은 학업에 대한위축감의 원인이 된다. 둘째, 저소득 전형 학생들에게 대학 공부는 다른 학생들과의 지적 격차로 경험된다. 선행 학습과 특목고 수학 경험 등으로 인한 격차는 학생들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방대한 지식 전달 위주로 이루어지는 A대학의 수업을 통해 보다 확대된다. 셋째, 지적인 격차를 수업을 통해 줄이지 못한 저소득 전형 학생들은 낮은 학점을 받게 되는데 그 결과 장학급 수혜, 기숙사 입사 자격의 박탈로 이어져 대학생활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학생들은 학비와 생활비를 벌기위해 경제활동을 하게 되고, 과도한 결제활동은 다시 낮은 학점의 원인이 되는 악순환에 놓인다. 넷째, 학생들이 학업의 어려움을극복하는 경우는 주변의 교수, 선배, 동료의 도움을 받을 때이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학업의 어려움을 개인적인 문제로 여기며, 자구책으로서 휴학이나 입대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제공된 평등한 대학교육의 기회가 그 자체로 평등한 대학교육을 보장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대학 차원의 보다 적극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 평등한 대학교육 기회 제공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대학교육 자체의 불평등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are the actual experiences of underprivileged student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the equal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low-income households route at A universit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restigious university in Korea. And the information on each student s academic journal was collected. After analyzing such data,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ven though such students had been admitted to the prestigious university of A despite their underprivileged family backgrounds, they perceived their poverty as the reason for their admission to university A as they experience at university that low-income admissions route is perceived as an unfair preference or reverse discrimination . This perception became a cause of their deteriorating self-confidence in academics. Second, for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intellectual disparities with other students are experienced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The gap caused by other students prior learning and experiences in special high school math is widened through classes at A University, which focuses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students abilities. Third,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who are unable to close out such intellectual disparities through their classes result in receiving lower grades. This leads to their failure to meet the scholarship and dormitory provision qualifica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continue college life. Students are then forced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 earn tuition and living expenses, which again puts them in a vicious circle of low grades. Fourth, students are able to overcome their academic difficulties when they receive help from their professors, seniors, and colleagues. Nevertheless, students consider academic difficulties as a personal matter and often choose to take leave or enlist in the army to temporarily resolve thi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equal opportunities for college education offered to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may not in itself guarantee equal university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such students need more active and integrated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Furthermore, these findings on the ine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which cannot be overcome by the sole provision of equal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suggest that the equal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offered to students of low-income households may not in themselves guarantee equal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변수용(Byun, Soo-yong),정희진(Chung, Hee Jin),정진리(Jung, Jilli)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가정배경, 학생 특성, 출신 중학교 소재지를 통제한 후에도 다른 고교 유형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을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특성화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여전히 높았지만, 일반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립초 졸업 여부와 일반고 대비 특목고/자사고 진학과의 연관성이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추가 분석을 통해 사립초 졸업생 가운데 다수가 특목고/자사고 진학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사립중에 진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등교육 이전 단계에 있어 교육 기회의 질적 불평등 현상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six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on the probability of entering elite high schools, namely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more likely to enter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other types of high school,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tend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s attended. However, once the type of middle school attended by the students was controlled for,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general high schools between private vs. public elementary school graduates was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and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the type of middle schools attended. In fact, our supplementary analysis indicated that a great number of privat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entered private middle schools which maintain good admission results to elite high school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the qualitative inequality of opportunity prior to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과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한 한국 사회의 구조적 기회불평등 논의

        이준석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3 국가정책연구 Vol.37 No.1

        Recently, lots of people in Korea believe that inequality of opportunity is so serious that education policy which can solve the problem has to be implemented. However,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this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that inequality of opportunity is not a problem that has recently deepened, but a structural one that has existed in our society for a long time. In this assumption,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structural features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could be conceptualized and a framework enabling u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vel of inequality within that concept. For doing this, the process of change of discourse about inequality in Korea was reviewed in depth, and theoretical reviews were also conducted on structuralism and social class. Through this, this study confirmed that structural features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are connected to the problem which ‘someone is standing in a position where there is no choice but lose’, not the defeat itself. In other words, the proposition that inequality of opportunity is a structural phenomenon points out members of Korea are continuously distinguished by a collective and hierarchical position within a certain mechanism, and among the positions, there is one to which people belong must experience defeat in the form of securing a lower level of chance.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to reconsider from the root, rather than re-emphasizing only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olicies whose effectiveness or necessity cannot be guaranteed due to the obsession with past beliefs. Only when there is such a task, can we secure the consistency of labor and education policies with real problems, which is why the subject covered by this study can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areas in public policy. 최근 들어 기회불평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는 사회적 문제 인식 및 교육정책을 통해 해당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정책적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에 대하여, 기회불평등이 최근 들어 심화되어 온 현상이 아닌 우리 사회에 오랜 기간 존재해 온 구조적 문제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정 속에서 구조적 기회불평등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으며 해당 개념 속에서 기회불평등 수준의 변화나 정책의 정합성을 분석 가능하게 하는 틀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의 불평등 담론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구조주의 및 계급담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 역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구조적 기회불평등 논의는 패배 그 자체가 아니라 ‘누군가는 패배할 수밖에 없는 위치에 서 있다’라는 문제 인식으로 연결됨을 확인하였다. 기회불평등이 사회 구조적 문제라는 명제는 어떤 기제에 의해 사회 구성원들이 지속해서 집단적이자 계층적인 위치로 구별되고, 그 가운데 ‘더 낮은 수준의 기회 확보’라는 형태의 패배를 경험해야만 하는 위치가 있음을 지적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과거의 믿음에 사로잡혀 그 효과를, 혹은 필요성을 장담할 수 없는 교육정책의 중요성만을 재차 강조하는 것이 아닌, 근본부터 재고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업이 있을 때만 우리는 노동과 교육정책이 현실 문제와 지니는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행정과 정책에 있어 본 연구가 다루는 주제가 다른 영역에서보다 중요할 수 있는 이유이다.

      • KCI등재

        가구환경과 교육성취의 기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이용한 연구

        오성재 ( Sung-jae Oh ),강창희 ( Changhui Kang ),정혜원 ( Hyewon Jeong ),주병기 ( Biung-ghi Ju ) 한국재정학회 2016 재정학연구 Vol.9 No.4

        개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주어지는 환경에 따라 성취 기회의 우열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기회평등의 원칙이다. 이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교육성취에 있어서의 기회평등 실태를 한국교육고용패널의 2005 학년도 수능성적자료와 한국교육종단연구의 2011 학년도 수능성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구의 월평균 소득과 남성 보호자의 학력이라는 두 가지 환경변수 각각을 활용하여 상이한 환경 간의 기회불평등의 존재 여부를 살펴보았다. 상이한 두 환경에서 얻어진 수능점수의 분포 사이에 제1차(제2차) 확률지배(stochastic dominance)관계가 있을 때 제1차(제2차) 기회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정의한다. 분석 결과 두 환경 모두 언어와 외국어 평가영역에서 기회불평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불평등 도는 외국어 영역이 언어 영역보다 높게 나타났고 노력을 많이 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nciple of equal opportunity requires that the social backgrounds, an individual is born with independently of her will or choice, should not play an advantageous or disadvantageous role in shaping the prospect of her achievement. Building on the principle, we investigate whether inequality of opportunity for educational achievement exists among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We us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data sets for the two years, 2005 and 2011; 2005 data set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and 2011 data set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w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father`s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are used as circumstance variables. We identify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CSAT scores for each circumstance type. When the first (or the second) order stochastic dominance relation between a pair of cumulative distributions for two circumstance types exists, the first (or the second) order inequality of opportunity prevails.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e first or the second order inequality of opportunity prevails for both circumstance variables. Opportunity inequality prevails for both subjects of Korean Language Test and English Language Test. The degree of opportunity inequality is higher in the English Test than in the Korean Test and is decreasing as the level of individual effort increases.

      • KCI등재

        일본의 교육격차와 사회이동: 한일비교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연구사 리뷰

        정인관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일본비평 Vol.- No.26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ssues of the educational gap and trends in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n Japanese society by organizing past studies on these topics.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Japan persists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upper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and claims that this tendency may grow further are also gaining trac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al gaps,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al status has traditionally been weak in Japanese culture, but following a long recession, the gap between college graduates and low-educated people is widening. Japanese society has a high absolute and consistent relative mobility rate when it comes to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Given that Korea and Japan have similar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we expect that the comparison of the two countri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Japanese instance,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solutions to Korea’s current inequality and social mobility issues. In this regard, we evaluate the data available in Korea and Japan for comparative research, as well as some new problems to be investigated in the two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