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Use of Force, Humanitarian Inter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OH, Byung-Sun(오병선) 대한국제법학회 2011 國際法學會論叢 Vol.56 No.4

        이 논문은 2011년 리비아의 내전으로 인한 양민학살과 대량난민이 발생한 사태에서 UN과 NATO의 인도적 간섭이 수행된 선례를 통해 북한의 급변사태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 유사한 문제를 고찰한다. 즉 리비아 사태와 유사한 대규모의 인권유린의 참상이 북한에서 일어나는 경우 국제사회의 인도적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 여부를 통해 인도적 간섭과 보호책임의 법리를 고찰한다. 인권유린의 참상이 일어난 나라에 대하여 그 인접국들이나 국제사회에서 무력을 사용하여 개입하는 소위 인도적 간섭의 허용여부에 대하여 이 논문은 먼저 인도적 간섭 부정설, 실정국제법 준거의 긍정설, 관습국제법 준거의 긍정설의 세 가지 접근법을 검토한다. 현대 국제법체제하에서 인도적 간섭에 의한 무력행사는 UN 안전보장이사회의 수권이 있는 경우에만 그 적법성을 인정받는다고 보는 것이 보통이지만 예외적으로 UN 안보리의 수권이 없더라도 부득이 인도적 간섭을 허용해야만 하는 경우를 고찰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1999년 코소보사태에서 UN의 수권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NATO의 무력에 의한 인도적 간섭과 같은 경우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논증방법은 관습국제법에서만 그 근거를 가장 잘 찾아볼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UN헌장 제2조4항의 무력행사의 금지의 원칙, 제2조7항의 타국의 국내문제불간섭의 원칙, 그리고 UN헌장 제7장의 안전보장이사회의 무력행사 통제권과 같은 현행 실정국제법 체제의 범위 내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수권 없이 인접국가집단이나 지역기구 등에 의한 소위 ‘일방적 인도적 간섭’을 현대 국제법체제 이전인 근대국제법의 성립이래 인정되고 발전되어 온 인도적 간섭에 관한 관습국제법의 원리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요컨대, 인도적 간섭은 국가의 주권존중과 함께 인권보장에 역점을 두어야 하는 국제적 법치주의의 원리 하에서 적법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해야 할 최소한의 요건들은 갖추어야 한다. 이는 정당한 전쟁론이 요구하는 조건들로서 유권적 권위가 인정될 수 있는 국가집단이나 국제기구의 정당한 동기와 목적이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예외적이고 최종적인 선택성, 무력행사에 따른 가해와 피해예방과의 비례성, 집단적 행사 요건 등을 충족하여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ditions to be met in the case of armed intervention for humanitarian purpose. Under the current regime of international law, a most controversial issue of international law today is that if and when without UN Security Council authorization or General Assembly action, any use of armed force for humanitarian intervention would be regarded as lawful or not. Because of inaction from Security Council owing to veto power wielded by Permanent Member states or no endorsement from General Assembly due to lack of consensus among member states, there arises a legal impasse of being no action for supporting a proposed cas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overlooking the human rights catastrophe. With these cases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contemporary legal opinion has been addressed against the existence of a righ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rationale to defend conservatively the current collective security framework of the UN Charter is that at most the doctrin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has a tenuous basis, not yet crystallized, in curren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the other hand, still a substantial body of opinion and of practice has supported the view that when a state commits cruelties against and persecution of its nationals in such a way as to deny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to shock the conscience of mankind, intervention in the interest of humanity is legally permissible. My position in this paper is to take an affirmative approach to the issue based on customary rule of international law. Although careful analysis is needed for armed intervention to pass the current criteria of legality under international law system, a genuine cas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should not be frustrated which might be caused by malfunctioning of UN driven not by interest of peoples but by interest of super power countries. Conditions to pass for humanitarian intervention by intervening states would be as follows: first, when faced with an overwhelming humanitarian catastrophe, which a government has shown it is unwilling or unable to prevent or is actively promo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intervene. Because Intervention in internal affairs of other country is a sensitive issue, so there must be convincing evidence of extreme humanitarian distress on a large scale, requiring urgent relief. it must be objectively clear that there is no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use of force to save lives; secondly, any use of force should be proportionate to achieving the humanitarian purpose and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thirdly, any use of force should be collective. No individual state can reserve to itself the right to act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in some extreme cases such as genocide or crime against humanity, a righ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may be turn into a duty to intervene where the doctrin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would be employed. At present this doctrin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may be better justified in terms of enhancing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system rather than by merely satisfying the legality of its action under current system of international law. In this regard I would take an affirmative view on the possibilit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an extreme case of human rights catastrophe. With this view I would take also an affirmative stance in the case of probable North Korean crisis of human rights catastrophe with a similar magnitude and gravity. If the escalating worst scenario of the chaos and humanitarian catastrophe in North Korea would bring forth an international intervention to stabilize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then such an event requires aforementioned conditions to be met for permitting humanitarian intervention.

      • KCI등재

        인도적 간섭의 적법성과 정당성

        오병선(Byung-Sun Oh)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3

        한 나라 안에서 양민들이 무고하게 박해를 받고 대규모의 인권유린의 참상이 일어나는 경우 이를 방지하거나 종식시킬 목적으로 그 국가의 허락을 얻지 않고 인접국이나 국제사회에서 무력을 사용하여 개입하는 소위 인도적 간섭의 허용여부는 현대 국제법 체제에서 핵심적 쟁점사항 중 하나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이 논문은 인도적 간섭 부정설, 실정국제법준거의 긍정설, 관습국제법 준거의 긍정설의 세 가지 접근법을 검토한다. 현대 국제법체제하에서 인도적 간섭에 의한 무력행사는 UN 안전보장이사회의 수권이 있는 경우에만 그 적법성을 인정받는다고 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UN 안보리의 수권이 없더라도 부득이 인도적 간섭을 허용해야만 하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1999년 코소보사태에서 UN의 수권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NATO의 무력에 의한 인도적 간섭과 같은 경우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논증방법은 관습국제법에서만 그 근거를 가장 잘 찾아볼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UN헌장 제2조4항의 무력행사의 금지의 원칙, 제2조7항의 타국의 국내문제불간섭의 원칙, 그리고 UN헌장 제7장의 안전보장이사회의 무력행사 통제권과 같은 현행 실정국제법 체제의 범위 내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수권없이 지역기구 등에 의한 소위 ‘일방적 인도적 간섭’을 현대 국제법체제 이전인 근대국제법의 성립이래 인정되고 발전되어 온 인도적 간섭에 관한 관습국제법의 원리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관습국제법의 구체적 적용가능성은 쟁점 사실에 대한 법규범의 적용문제를 브라이얼리와 같은 국제법학자처럼 비실증주의적이고 탄력적인 국제법해석 방법론, 토마스 프랭크와 같은 국제법학자처럼 변천하는 국제사회의 실상과 이를 적절히 반영하며 정의롭게 규율해야하는 국제법규범의 변화필요성에 즉응한 법과 도덕의 연관적 접근법에서 그 가능성을 찾고 있다. 인도적 간섭이 국가의 주권존중과 함께 인권보장에 역점을 두어야 하는 국제적 법치주의의 원리 하에서 적법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해야 할 최소한의 요건들로서 예외적이고 최종적인 선택성, 무력행사에 따른 가해와 피해예방과의 비례성, 집단적 행사 요건 등을 검토하고 있다. Under the current regime of international law, a most controversial issue of international law today is that if and when without UN Security Council authorization or General Assembly action, any use of armed force for humanitarian intervention would be regarded as lawful or not. Because of inaction from Security Council owing to veto power wielded by Permanent Member states or no endorsement from General Assembly due to lack of consensus among member states, there arises a legal impasse of being no action for supporting a proposed cas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overlooking the human rights catastrophe. With these cases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contemporary legal opinion has been addressed against the existence of a righ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rationale to defend conservatively the current collective security framework of the UN Charter is that it seems ultimately more likely to preserve a thin rule of law in international affairs than any 'right' of unilateral intervention wielded selectively by powerful states. They envisage from a cautious analysis of the state practice and opinio juris that 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 remains an inchoate principle, occasionally tolerated by states without being endorsed. Their conclusion is that at most the doctrin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has a tenuous basis, not yet crystallized, in curren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the other hand, still a substantial body of opinion and of practice has supported the view that when a state commits cruelties against and persecution of its nationals in such a way as to deny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to shock the conscience of mankind, intervention in the interest of humanity is legally permissible. This position, however, treats the righ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as a matter of last resort and confines it to extreme cases. My position in this paper is to take an affirmative approach to the issue based on customary rule of international law. Although careful analysis is needed for armed intervention to pass the current criteria of legality under international law system, a genuine cas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should not be frustrated which might be caused by malfunctioning of UN driven not by interest of peoples but by interest of super power countries. Conditions to pass for humanitarian intervention by intervening states would be as follows: first, when faced with an overwhelming humanitarian catastrophe, which a government has shown it is unwilling or unable to prevent or is actively promo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intervene. Because Intervention in internal affairs of other country is a sensitive issue, so there must be convincing evidence of extreme humanitarian distress on a large scale, requiring urgent relief. it must be objectively clear that there is no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use of force to save lives. But we should act on the principle that a UN member state should not be able to plead its sovereign rights to shield conduct which is inconsistent with its obligations as a member of the UN. We need to strike the correct balance between the sovereign rights of states and the humanitarian righ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intervene where necessary; secondly, any use of force should be proportionate to achieving the humanitarian purpose and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thirdly, any use of force should be collective. No individual state can reserve to itself the right to act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in some extreme cases such as genocide or crime against humanity, a righ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may be turn into a duty to intervene where the doctrin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would be employed. At present this doctrin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may be better justified in terms of enhancing the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system rather than by merely satisfying the legality of its action

      • KCI등재

        유엔 인도주의적 개입, 선택된 인도주의적 위기 1989-2014: 왜 몇몇 인도주의적 위기 사례는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으로부터 외면당하는가?

        윤희철 ( Huicheol Yun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20 동북아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유엔은 인도주의적 개입(Humanitarian Intervention)과 보호책임 (R2P, Responsibility to Protec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인종청소, 대량학살과 같은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일반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유엔평화유지군을 파병하였다. 유엔평화유지군은 인권을 보호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1989-2014년의 831개의 인도주의적 위기 중단지 28.51%의 위기만이 유엔으로부터 보호를 받았다. 반면 594개 (71.47%)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유엔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했다. 어떤 결정 요인이 인간보호를 위한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엔의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을 상정한다. 이는 강대국의 이익, 유엔 평화유지군이 파병되는 목적지 국가의 특징, 그리고 인도주의적 개입의 목적이다. 1989-2014년 사이의 유엔 평화유지군의 파병에 대한 양적, 경험적 분석에서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은 파병의 목적지 국가의 특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밝혀졌다. 특히, 강대국의 경제적 이익, 파병의 목적지 국가의 특징 (군사력, GDP, 인구수), 그리고 민주주의 체제가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영향을 미친다. 역설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에 따른 사망자수는 유엔의 파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국제거버넌스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The United Nations developed the concep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R2P (Responsibility to Protect) and deployed PKOs (Peace Keeping Operations) to protect civilians from the dangers of humanitarian crisis like massacre and genocide. Peacekeeping operations are recognized as effective tools to protect human life. However, of the 831 humanitarian crise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1989-2014, only 237 (28.51%) were subjects of UN PKO deployment. What determinants influence the deployment of UN PKO for protecting human life? I posit three determinants that impact the likelihood of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interests of power nations, characteristics of target nations, and object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a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of the UN’s deployment of PKOs between 1989-2014, I find that humanitarian crises are selected depending on target nations’ economic/political value. Specifically, the economic interests of power nations, target n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military power, GDP, population, and democratic system influence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number of deaths in a humanitarian crisis does not influence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se results show the true face of international governance on humanitarian intervention.

      • KCI등재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인도적 개입유형의 적용: 국제법상 접근을 중심으로

        홍성후,양승환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North Korea which has no intent or capability on its human rights for itself, to improve human rights problem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meaning of means other than an existing compulsory intervention mainly fixed on the use of force. Second, the study also focused on analyzing typ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at are able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North Korea to have a will to solve its human rights problem on its own. On this process, the study considered three factors; problems of permission under the international law, coerciveness, inductive accessibility. There are five intervention types deducted from this study; military, political, economical, socio-cultur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utility of these humanitarian intervention types separately at a viewpoint of theory and reality, also mutually compares their applicability and order of priority by a method of comparison. In its final analysis, military intervention which replaces the notion of existing humanitarian intervention was assessed to be an approach that has the least applicability and an order of priority. This is because of two factors. One is a controversy over a permissible rang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nd the other is that existing military force of the North Korea is dangerous level at a threatening conditions. This shows the limitation of intervention policy that military intervention should function as a last resort to North Korea. In a sense, besides the use of force, economic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and partially socio-cultural intervention were evaluated as useful humanitarian interventions. This evaluation shows that not only policy under the permission of the international law but also forcibleness and accessibility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way of approaching to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the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Also the categor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cludes various means without the use of force. So this study considers humanitarian intervention as an available way of approach to solve human rights problems in the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인권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나 능력이 결여된 북한정권에 대하여, 이를 강제할 수 있는 ‘인도적 개입’의 유형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중점은 첫째, 기존의 무력사용 위주로 국한된 강제개입보다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며, 둘째,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북한정권의 자발적인 해결의지를 강제할 수 있는 접근방법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국제법상 허용문제, 강제성, 그리고 유도적 접근성 등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개입유형들은 군사적․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제도적 개입 등 다섯 가지이다. 이러한 개입유형에 대하여 이론과 실제의 관점에서 개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적용 가능성과 우선순위를 단순비교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인도적 개입 개념을 대신하는 군사적 개입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적용성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접근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법상 허용범위에 대한 이견 그리고 북한의 실존 군사력이 위험수준이라는 변수들이 주요 이유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군사적 개입은 최후의 수단으로서만 기능해야 한다는 한계를 보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인 경제적․제도적 개입, 그리고 일부지만 사회문화적 개입은 유용한 접근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북한 인권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국제법상 허용을 준수하되, 강제성과 접근성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적 개입의 범주를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적 의미들을 포함한다면, 본 논문은 인도적 개입정책이 북한 인권문제 개선에 유용한 대안이라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인도적 개입과 보호책임 -인도적 개입 논의에 대한 보호책임의 의의와 한계를 중심으로-

        김부찬,이진원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3

        Whether to allow humanitarian intervention, especially “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 entailing military action withou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is still a matter of controversy concerning the principle of non use of force, the principle of sovereign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n December 2001,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ntervention and State Sovereignty(ICISS) introduce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to Protect(RtoP)”. It is based on the “sovereignty as a responsibility”, which is a paradigm shift from a sovereign state‘s “right” to “responsibility” to protect its populations. According to the ICISS report, if a State is unwilling or unable to protect its populations or is in fact the perpetrator of crimes against humanity,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 yields to the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to protect. Several official UN documents and resolutions have accepted “RtoP” and developed its concept since then. The principle of “RtoP” is a kind of ‘soft law’ which can provide a legal basis for and set a criteria of collective use of force as an exercis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ecurity” including human rights and dignity. The principle of “RtoP” based on the concept of “human security” can also strengthen the global governance led by the UN. On the other hand, some critics say that the concept of “RtoP” is still ambiguous and its status as a legal principle is uncertain. In other words, it is at best an ‘emerging norm.’ So, they argue, it can hardly make a practical and sufficient effect to the controversy over humanitarian intervention. But,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RtoP” is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created, it could be developed into both a theoretical principle and a practical system that contribute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legality and legitimac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본 논문에서 논하고자 하는 ‘인도적 개입,’ 즉 ’일방적 인도적 개입(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이란 “한 국가 내에서 정치, 종교, 인종 기타의 이유로 그 주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해를 받는 등 인도에 반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피개입국의 동의 및 UN의 허가 없이, 타국이 이러한 비인도적 행위 또는 사태를 중지시키고 인권을 회복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여 개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인도적 개입이 국제법상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는 무력사용금지의 원칙, 주권평등의 원칙 및 국내문제불간섭의 원칙 등과 인권존중의 원리 등이 맞물려 논란이 되고 있다. 인도적 개입을 지지하는 입장으로는 국가주권보다 인권보장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주장 및 이를 위해서는 무력사용금지의 원칙을 규정한 UN 헌장 제2조 4항을 제한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 그리고 불가피한 경우 제한된 요건 하에서 관습국제법상 인도적 개입이 허용되어 왔다는 견해 등을 들 수 있다. 반면에 이를 반대하는 논거로는 UN 헌장 제2조 4항은 원칙규정으로서 엄격히 해석해야 하며, 기타 일방적 인도적 개입을 허용하는 법적 근거나 국가 관행이 없다는 점과 정치적인 이유로 남용될 우려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1년 ‘간섭과 국가주권에 관한 국제위원회’(ICISS)가 주장한 이래 다수의 UN 공식 문서 및 결의 등을 통해 발전되어 온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 RtoP)의 원칙이 주목받고 있다. 보호책임이란 지배권으로서의 주권 개념에서 책임으로서의 주권 개념으로의 인식의 전환에 기초하여, 자국민 보호의 1차적 책임은 주권국가가 지되, 주권국가가 자국의 시민을 보호할 의사가 없거나 보호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국제공동체가 2차적으로 보호할 책임을 진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방-대응-재건’의 3단계 책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일방적 인도적 개입과 관련하여 보호책임에서의 대응 책임이 그 근거가 될 수 있는가가 문제될 수 있다. 비록 보호책임의 원칙이 책임으로서의 주권으로 인식의 전환을 이루었고 생성중인 연성법으로서 인도적 개입의 법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도 볼 수 있으나, 그 법적 개념으로서의 지위 및 구체적인 적용범위 등이 여전히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며, 현재까지의 보호책임의 논의 경과로 볼 때, UN 안보리 결의의 승인이 없는 일방적 인도적 개입을 정당화 시켜줄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보호책임의 원칙은 인도적 개입에 대한 UN 안보리 결의의 정당성을 제고하는 한편 UN 중심의 예방‧대응‧재건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인간안보의 보장 및 UN 중심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더구나 보호책임의 원칙이 아직 발전 중인 개념임을 감안한다면, 활발한 법적 논의와 실제 관행의 축적을 통해 더욱 정교한 이론적, 제도적 장치로 발전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국제법상 인도적 개입 : 그 개념, 합법성 및 성문화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김부찬(Kim Boo-Chan),노석태(Roh Seok-Tae)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법학연구 Vol.49 No.1

        인도적 개입은 무력사용을 수반하여 타국 내의 인도적 위기에 대한 강제개입이란 점에서 국가주권, 국내문제불간섭, 무력사용금지의 원칙과 조정을 요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국제법에서 아주 어려운 문제들 중 하나이며, 그 합법성 여부는 오랫동안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법의 목적과 인권보호를 위해서는 복잡한 인도적 위기를 다루는 명확히 정의된 규범이 있는 편이 그러한 규범이 없는 편보다 더 바람직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도적 개입에 관한 규범을 성문화할 때의 장점, 성문화의 방법과 성문화 대상인 실체적 · 절차적 기준을 검토한다. 그러한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문화에는 앞서 언급한 원칙들과 인권의 조정과 같은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 많은 장점도 있다. 즉, 성문화를 할 경우, 장기적으로, 인도적 개입의 남용(특히 위장개입)을 방지하고, 국제법의 규범성과 정당성을 높이고, 국가주권을 보전할 수 있다. 둘째, 성문화되는 규범에 포함해야 할 기준(성문화되는 규범의 내용)은 규범적으로 바람직해야 한다. 셋째, 성문화를 할 경우 오히려 일방적 개입이 합법적으로 남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우려가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그리고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켜야 성문화의 반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성문화를 할 경우에는 엄격하고 명확한 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mote desirable to have a rul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in particular, 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 capable of dealing with complex humanitarian crises, rather than the absence of a clearly defined rule, for the purposes of international law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is argument, this article reviews the advantages of codifying a norm of 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ways in which such norm could be codified, and substantive or procedural criteria that should included in a codified norm. Of course, it is expected that there exist many difficulties in codifying, such as the reconcilement between the principles of state sovereign, the non-intervention and the non-use of force, and those of human rights. Despite such difficulties, this article points out, the advantages the codification of a norm of this area of international law holds in the long term. That is to say, the codification will be able to prevent abusive interventions(in particular, the pretextual intervention), enhance the normativity and legitimacy of international law, and preserve state sovereignty. Also, this article points our that the content of a codified norm must be normatively desirable, and that codifying strict and clear criteria is more appropriate in context of unilateral humanitarian intervention, given that the fear of abuse of unilateral intervention is particularly acute, and that codifying strict criteria would be less controversial. In addition, this article deals briefly with the concept and lawfulnes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롤즈의 "인권"과 인도적 개입 정책

        김희강 ( Hee Kang Kim ),최유진 ( Yoo Jin Choi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1

        세계 곳곳에서는 내전과 기근 및 자연재해, 부패한 정부와 억압적인 사회문화로 인해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권침해에 대해 국제사회 가 할 수 있는 조치인 ‘인도적 개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정당성과 논쟁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국제사회의 정의관을 담은 존 롤즈의 『만민법』에 나타 난 ‘인권’과 ‘인도적 개입’ 개념을 통해 인도적 개입 정책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이 론적인 동시에 경험적인 연구의 함의를 갖는다. 롤즈에 따르면, 자기결정권(주권) 을 가진 만민의 사회에 인도적 개입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와 정당성은 인권 존 중에서 비롯되는데, 인권은 ① 관용의 한계로서, ② 자기 방어의 보루로서, ③ 원 조의 정당성의 근거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인도적 개입은 ① 관용의 한계를 넘 어서는 인권침해에 대한 개입이 전 지구적 차원의 구조적 문제를 간과할 수 있다 는 점, ② 인도적 목적의 무력 개입에 국제정치적 변수들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③ 정치문화와 제도의 이식을 요구하는 원조는 수혜국의 빈곤화를 가중시키고 자생력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논쟁점을 갖는다. Various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occur around the world. Upon the cases, global society including individual stat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GOs have tried to make a ``humanitarian intervention`` to a certain state. This is,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s generally conceived as the justification of the intervention of state sovereignt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justification of and controversy over humanitarian intervention polic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cepts of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proposed in John Ralws``s The Law of Peoples. According to Rawls, humanitarian intervention is justified when human rights plays a role as ① the limits of tolerance, ② the bulwark of self-defense, and ③ the standard of international aid. This paper, however, finds that such points of justification carry several controversies. ① Humanitarian intervention beyond the limits of tolerance is likely to overlook global structural problems. ② International political factors can mak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humanitarian ``armed`` intervention. ③ International aid, which aims to imple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culture, would exacerbate poverty and also impede the state autonomy of recipient countries.

      • SSCISCOPUSKCI등재

        Media Selectivity and U.S. Humanitarian Intervention: Reflection on the 1991 Crises in Iraq

        ( Ku Youn Chung ) 한국국방연구원 2014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6 No.4

        This study examines a selective policy-forcing role of media on U.S. foreign policymaking and presents how the interaction among media coverage, media framing and policy certainty provided a permissive condition for the United States to selectively undertake humanitarian intervention. It focuses on two humanitarian crises that occurred in northern and southern Iraq after the Persian Gulf War in 1991 and investigates how disproportionate media coverage and empathy media framing, combined with the policy uncertainty over the Iraqi crises drove the United States to implement selective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northern Iraq. Meanwhile, the southern crisis was left untended, which ultimately degenerated into an orphan conflict that remained protracted for years without any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suffering of mill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in the absence of the policy certainty of the United States, the policy-forcing role of the media becomes far more compelling in making a crisis visible to the public and prioritizing it over policymaking.

      • 특집 I | 보편적 인권과 주권국가 : 정의로운 전쟁, 인도주의적 개입 그리고 보편적 인권 -마이클 왈저(Michael Walzer) 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찬성 ( Chan Sung Park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1 공익과 인권 Vol.9 No.-

        마이클 왈저의 관점에서 전쟁은 때때로 불가피한 것이고, 정의로운 전쟁과 정의롭지 못한 전쟁을 구분에 있어 전자에 대한 정당화 논리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특히, 개개인의 생명과 자유, 안전에 대한 극한적 침탈이 자행되고 있는 상황이 도래하면 인도주의적 개입의 요청은 단순한 선택의 차원을 넘어서서 하나의 도덕적 의무로까지 고양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인도주의적 개입의 범주에 속하는 무력의 행사는 그 자체로 정의로운 전쟁의 핵심적인 범례를 이룬다. 그러나 마이클 왈저의 정의로운 전쟁 이론은 그 논리적 기저를 이루는 공동체주의의 근본이념으로부터 도출되는 한계선을 결코 넘어서지는 않는다. 그는 생명과 자유, 안전의 수호를 위한 인도주의적 개입을 적극적으로 지지·옹호하면서도, 생명과 자유의 보호가 절실히 요청되지는 않는 단계에서의 외부적 개입에 대해서는 단호한 거부 입장을 유지한다 오히려 그는 보편적 인권 혹은 보편적 타당성의 논리가 외부적 개입의 정당한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일관하여 역설한다. 올바름에 대한 외부자적 판단과 평가에 입각한 개입은 자의적인 강제로 비화됨으로써 올바르지 못한 결과로 귀착되리라는 것이 그의 기본 입장이다. 이러한 논리의 연장으로 왈저는 보편주의적 인권 인권의 보편성 보편적 정의의 존재에 대한 회의적 견해를 노정한다. 인권의 보편성, 그리고 주권적 경계를 넘어서는 인권 담론의 역능을 이론적으로 옹호하고자 함에 있어서 마이클 왈저의 이론은 매력적인 지적 자원으로 여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공동체주의적 논리와 자기결정의 권리에 근간하여 섣부른 개입의 위험성을 끊임없이 경고하고 있는 마이클 왈저의 정치이론은, 설령 우리가 인권의 보편성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져야 함이 마땅하다 하더라도 그것은 언제나 ``겸허한`` 확신의 수준을 넘어서서는 안 된다는 중요한 가르침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According to Michael Walzer, wars are sometimes inevitable. He asserts that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justifiable wars from unjustitiable ones. Moreover, justifying the justifiable ones is morally necessary. When we leave many people living in other countries barehanded infront of the tyrannical forces within their territory, thus letting their life, liberty and security violated, a reques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for them cannot be regarded as a matter of choice but consist of as a moral duty imposed upon us. Cas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essential and important category of just wars or justifiable wars, However, Walzer`fs just war theory does not transcend the limitation which is provided by the doctrine of communitarianism. Walzer strongly defends moral duti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people`fs life, liberty and security. On the contrar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danger of a situation is not serious or that the occurrence of so-called crimes against humanity does not seem so approaching, intervention from other states is not only unnecessary, but also cannot be justified. In his perspective, it is clear that the universal human rights, the logic of universal validity of rights or any other kind of the claim for universal justice cannot be and should not be a just basis for outside intervention. An outside criterian for deciding justitiabillity and an intervention based on it can easily turn into an unjustifiable arbitrary compulsion, Nobody can say that the compulsions is righteous. In short, Walzer does not agree on the notions of the universality, universal justice or universal human rights. Therefore, Walzer`fs just war theory may be regarded as a logic which refutes logics or theories upholding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Nevertheless, Walzer`fs theory is worth deliberating, even for us who want to demonstrate values and meanings of the no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Michael Walzer, whose theory emphasizes the communitarian logics and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teaches us that we have to care not to be a blind adorer or devotee of the doctrine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