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

        권주훈 ( Juhoon Kwon ),김호영 ( Hoyoung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변수들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취업을 준비 중인 전국의 대학교 4학년생 및 졸업생 246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절망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쥐업준비생 남녀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절망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절망감 간의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가 남성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남성 취업준비생들에서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으로 이어지기 더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취업준비생들의 절망감의 심리적 기전이 성별에 따라 다를 가능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e also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Via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K-IUS-14), and Korea-Beck Hopelessness Scale (K-BHS) were administered to 246 undergraduates or graduates who were preparing to get a job. Based on these data,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hopelessness in both male and female job seekers. Furthermore,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hopelessness was stronger in females than in mal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while it was not in female job see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seeking stress is more likely to lead to hopelessness in male job seekers with a hig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opelessness among job seekers vary by gender.

      • 혈액종양환자의 자아존중감, 불확실성 및 절망감의 관계

        김태길(Tae-Gil, Kim),박금자(Geum-Ja, Park)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13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6 No.-

        Purpose :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uncertainty and hopelessness in hemato-oncologic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Metho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3 patients above 19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hematological malignancy, were aware of their diagnoses, and were admitted in the hemato-oncology unit or visiting the outpatient department at 2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10, 2011, by the researcher and a trained research assistan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strument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Hopelessness Scale developed by Beck(1974) and translated by Won (1986),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by Byung-Jae Jeon (1974), Uncertainty Scale developed by Mishel(1981), translated by Hyang-Sook So (1995) and revised by Yoon-Sun Kim(200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WIN 17.0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s test and Pe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The mean score for the self-esteem was 36.14±5.87 (range of scale: 10-50), for the uncertainty 52.57±12.03(range of scale: 21-105), and for the hopelessness 42.84±14.35 (range of scale: 20-100) among the subjec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esteem were age(F=3.423, p=.012), level of education (F=4.574, p=.005), influence of religion(F=4.617, p=.012), perceived economic state(F=8.615, p=.000), and number of admission (F=4.541, p=.005). Perceived economic state(F=6.403, p=.002) and the primary payer of treatment cost(F=4.699, p=.004)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uncertainty. Age(F=5.279, p=.001), level of education(F=7.511, p<.001), perceived economic state(F=8.990, p<.001), and number of admission(F=5.227, p=.002)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hopelessness among the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uncertainty showed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r=-.425, p<.001) and between self-esteem and hopelessness also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r=-.662, p<.001).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hopelessness showed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r=.617, p<.001). Conclusion :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thereby to decrease hopelessness and uncertainty among hemato-oncologic patients. Also those intervention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ables related to hopelessness.

      • KCI등재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안계한,김민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young generation's Fairness perception on the hopelessness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hopelessness of the future that young generation is experiencing is growing with social interes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control and moderating effect self-esteem between the fairness perception and the hopelessness of the young generation. For this purpose, the self-reporting data of 313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irness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control and self-esteem, and the hopeless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irness awareness, perceive control and self-esteem. Second, perceived control mediated between fairness perception and the hopelessness, Third,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ness perception and the hopelessness. The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little change in hopelessness due to fairness perception while the low self-esteem group showed a big change in hopelessness due to fairness perception, which means that high self-esteem plays a role in alleviating hopelessness when fairness perception i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lan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가 겪고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 없음이 사회적 관심으로 커져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청년세대인 20-30대 313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성 인식은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망감은 공정성 인식,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통제감이 매개하였다. 셋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자존감이 조절하였다. 높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적은 반면 낮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의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성 인식이 낮을 때 높은 자존감이 무망감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세대의 무망감을 낮추어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간의 관계: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리애(Jue, Juliet)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마음챙김의 관계를 살펴보고,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사이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85명의 미술치료사들이었고, 이들에게 코로나19 두려움 질문지, Beck 무망감 척도, 마음챙김 주의-자각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마음챙김은 코로나19 두려움 및 무망감에 대해 각각 부적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마음챙김의 효과에 대해서 미술치료와 공유하는 속성으로 탈중심화와 체현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COVID-19, hopelessness, and mindfulness among art therapis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OVID-19 and hopelessness. A total of 85 art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were the Fear of COVID-19 Scale, the Beck Hopelessness Scale, and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of COVID-19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hopelessness, while mindfulness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fear of COVID-19 and with hopelessnes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ind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OVID-19 and hopelessness. Regard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decentering and embodiment were discussed as attributes shared with art therap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소진, 불안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분석

        이현숙,배상윤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1

        This study attempted to ascertain convergent influence on hopelessness and its association with academic burnout, anxiety, psychosocial stress and hopelessness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health college students in J region,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The survey period was from October 1, 2018 to October 31, 2018,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Hopeless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anxiety and psychosocial 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cademic burnout, the higher anxiety and the higher psychosocial stress tend to increase hopelessness. In conclusion, in order to lower the hopelessness of health college students, efforts to reduce academic burnout, anxiety and psychosocial stress are need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ducational counseling and guidance intervention to reduce the hopelessness of health college stud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various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the hopelessness of health college students. 본 논문은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소진, 불안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무망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무망감에 대한 융합적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보건계열 대학생 214명을 J지역 소재 대학에서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31일까지이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무망감은 학업소진, 불안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을 수행한 결과, 학업소진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무망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무망감을 낮추기 위해서는 학업소진, 불안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무망감을 저하시키기 위한 교육상담 및 지도개입에 활용이 기대된다. 추후연구에서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무망감과 관련된 추가적인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스트레스와 무망감이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삶의 목적의 조절된 매개효과

        배은경,이민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hopelessness played a mediating rol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ity(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purpose in life moderated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hopelessness.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ity was examined. A total of 34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n stress,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hopelessness, and purpose in lif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opeless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ity, and purpose in lif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opelessness.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urpose in lif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ality was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rpose in life may function as a protective factor concerning university students’ suicidalit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와 삶의 목적의 조절효과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살사고, 자살시도, 무망감, 삶의 목적을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는 무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각각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삶의 목적은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삶의 목적은 스트레스와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역할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목적이 스트레스를 경험한 대학생들의 무망감을 약화시킴으로써 자살사고와 자살시도에 대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판 벡절망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성건,이은호,황순택,홍상황,이건석,김지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5 신경정신의학 Vol.54 No.1

        ObjectivesZZThe Beck Hopelessness Scale (BHS) is a 20-item scale for measuring the extent of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future. Previous studies repeatedly demonstrated clinical utility of BHS, particularly for predicting suicid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Hopelessness Scale (K-BHS), which is commonly used for measuring hopelessness. MethodsZZ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22 community-dwelling general adults from 4 regional areas (i.e., Seoul, Gyeonggi, Cheongju, and Jinju) across South Korea. They completed the K-BH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Adult ADHD Self-Report Scale. ResultsZZThe Cronbach’s alpha value for the K-BHS was 0.85. Test-retest reliability at average 7.2 days was 0.86. Discriminant validity was determin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three factor model. ConclusionZZThe K-BHS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e may be useful in measuring the construct of hopelessness and in clinical suicide risk assess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xplore the psychometric features and correlates of this scale among clinical populations

      • KCI등재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 영향요인 분석: 개인적, 경제적, 가족적, 사회ㆍ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연재,정윤정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3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hopelessness among voluntary single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16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via SPSS 26.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onthly income, childhood abuse experience, family cohesion, perceived stress and fairnes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hopelessness.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serting personal, economic, family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in order.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hey were likely to be non-workers, the lower the family cohesion, the more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hopelessnes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hich was significant until Model 3, was found to lose its influence whe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were introduced in the last model, whereas the family factors and education level showed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hopelessness in all the models input.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hopelessness in 20-30’s voluntary single women, and suggested feasible policy/practical measures for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316명의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데이터는 SPSS 26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주요 변수들 중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월평균 소득, 아동기 학대 경험, 가족 응집성, 스트레스 자각,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개인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ㆍ심리적 요인 순서로 변수를 투입하였다. 그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근로를 하는 사람에비해 근로를 하지 않는 사람이, 가족 응집성이 낮을수록, 아동기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스트레스 자각 정도가 높을수록 무망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 3까지 유의하였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사회ㆍ심리적 요인이 투입되자 유의한 영향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적 요인과 교육수준은 투입된 모든 모형에서 무망감에 유의한 영향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owerlessness, Helplessness, Hopelessness의 개념적 특성 및 유사점과 차이점

        노명희,정경순,강지연 김천과학대학 2001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each concept's characteristics resemblances, differences by finding out definition, contributions, antecedents, instrumentations, consequences of powerlessness, helplessness and hopelessnes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The concept of powerlessness, helplessness or hopelessness has been important elements of the lives of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Their resemblances are negative emotion coming from loss of control and have effect 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ological aspects of hearth A continued powerlessness leads to helplessness and hopelessness. If it is not controlled and even persisted in chronically, a person will learn helplessness and get into helplessness - hopelessness cycle. Their differences are as follows: Powerlessness is recognition that self-behavior will significantly have no influence on result. Attributions of feelings are lack of control, disorder of physical functions, disorder of role management, lack of knowledge or motivation. Antecedents are lack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ower. It results in behavior and psychologic response and helplessness, despair, death. Helplessness is extinction of response that an organ can't control or avoid results. Attributions of feelings are lack of confidence, persistance, display and responsibility and negative recognition like depression and passive. Antecedents are recognition that some results are independent on self-response and lack of motivation to control results and lack of confidence on control and restrained learn response. It results in reduced motivation and life, disorder of recognizing fuction and emotion. Hopelessness is negative hoping systems on life of self and self-future. Attributions of feelings are disability, powerlessness, continuing disappointment-abandon cycling. Antecedents are lack of physical well-being, humanistic life, functional ability, role management ability, economics. It results in social isolation, physical symptoms, suicide, shortened life.

      • KCI등재

        대학생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수동적 태도, 우울, 무망감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오충광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ollege students’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 total of 891 college students completed Stress scale, Passive Attitude Scale, Hopelessness Scale, Depression Scale and Suicidal Ideation Scale. To process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15.0, and a hypothetical testing model using Mplu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passive attitude, hopelessness, depress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Stress, passive attitude, hopelessness, depress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Second, stress predicted depression and hopelessness, both mediated with passive attitude. Then passive attitude predicted suicidal ideation, mediated with depression and hopeless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동적 태도, 우울, 무망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경로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해보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 소재의 대학교에 다니는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관분석에서는 스트레스, 수동적 태도, 우울, 무망감이 모두 자살사고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스트레스, 수동적 태도, 우울, 무망감 간에도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은 연구자료가 비정규적 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Mplus 프로그램의 MLM방법으로 이루어졌고, 연구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다. 연구모형은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수동적 태도를 통해 우울과 무망감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수동적 태도는 우울과 무망감의 이중 매개 경로를 통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모형이다. 그리고 스트레스에서 순차적으로 수동적 태도, 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사회환경적 스트레스의 축소, 개인적인 스트레스 관리 기술 습득, 현실적인 목표설정을 통한 수동적 태도의 개선, 인지행동치료와 자아정체감 형성을 통한 우울 및 무망감 해소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