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이준기,하민수,신세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history, and history of science which is one of the career elective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s student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history of science course. To do this, data in the format of Venn diagram that students draw to represent their perception on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science, science, and history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categori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enn Diagram data, there are five different kinds of categories: ‘History of science as an intersection of science and history,’ ‘History of science as an independent domain,’ ‘History of science as part of history,’ ‘History of science as part of science,’ and ‘History of science encompassing both science and history.’ And there were 27 different sub-categories within the 5 categories. In addition, before taking the course on history of science, many students tended to regard science history as the intersection of science and history. However, after the course, students’ perception changed and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ffiliated academic track. For the humanities, history of science is perceived as part of history, and for the students in science track it is perceived as a part of sc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history of science teaching-learning should be conducted that help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a new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iculum in affiliated academic track.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 선택 교과목인 ‘과학사’ 과목과 과학과 역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실제 과학사 수업을 경험하기 이전과 이후의 이 인식의 변화를 계열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 학생 265명이 그린 과학사와 과학, 역사와의 관계를 표현한 벤다이어 그램 도형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범주화하였다. 벤다이어그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역사의 만남으로서의 과학 사’, ‘독립영역으로서의 과학사’, ‘역사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과학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모두를 아우르는 과학사’의 5가지의 다양한 관계범주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유형들마다 다양한 세부 유형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사 수업 경험 이전에는 많은 학생들이 과학사를 과학 과목과 역사 과목의 교집합으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과목 경험 후에는 인문계 학생들과 자연계 학생들의 관계인식변화는 서로 달라졌다.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사 과목이 역사과목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고, 자연계 학생들의 경우는 과학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더 증가했 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사 교육이 기존에 자신이 속한 계열 내에서 익숙하게 배우는 기존의 교과들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경험할 수 있는 과학사 교수-학습이 실현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 It Is Time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Exercise Science’

        ( Jin Hyunju ),( Na Young-il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ring attention to ‘History of Exercise Science’ in Sport Studies. Despite of substantial role of the Exercise Science in Sport Studies, it has been a neglected field as the major research subjects in History of Sport Studies. This paper looks firstly at how ‘Sport History’ is treated in Sport Studies, and will urge the research on ‘History of Exercise Science’ so as for ‘Sport History’ to function as a tool that envisions the landscape of Sport Studies. Method: This research will employs meta-historical method of Hayden White(1928-)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existing ‘History of Sport’ has not been interested in Exercise Science. Metahistory is the history of history. While the general history, so called ‘proper history’ focuses on the events itself, the metahistory does focus on the results of the events. In other words, metahistory pays more attention to ‘transcendental structure’ of general history. So, this method will elucidate the ‘internal cognition’ that existed in History of Sport researches. Result: History of Sport diverge into two phase; one as the Positivistic historical research, another as the Postmodern historical approach. In a Positivistic approach, the historical research brings the facts of sport to present (‘description’), and postmodern historical research, that questions the point of view and the meanings of the recovered facts (‘interpretation’). It is well known that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are very different approaches. However, both approaches adopt diachronic perspective to view the events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nd discover the changes and transition of history. This transcendental cognition towards history limited the object of the research to events. Based on this cognition, History of Exercise Science was not recognized as the research subjects. Because it was not an event itself but a research-result. Conclusion: History of Exercise Science has not been perceived as one of the major research subjects in History of Sport. Many Sport History researcher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events itself than research-results, despite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Exercise Science research is important too. By adopting metahistorical perspective, History of Exercise Science will be able to claim a proper position in History of Sport. History of Exercise Science is a part of the History of ‘Sport Studies’. It is clearly obvious why it is necessary. History of Exercise Science is also able to benefit all Sport Studies researchers across the boundaries to appreciate the meaning of History of Sport and its value.

      • KCI등재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최정은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30

        최근 기록학계의 화두는 ‘패러다임 변화’라 할 만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학 패러다임 변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기억’ 기록화 개념을 통해 구술기록과 기록학의 적연성있는 관계설정을 이루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구술기록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학적 구술기록 관리의 주체로서의 아키비스트의 적극적 역할론을 뒷받침할 것이다. 특히 기존 연구를 통해 이미 다뤄진 내용이라 할지라도 나름의 관점을 적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억’ 기록화 개념을 설정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화두와 관련된다. 주로 국외 기록학자들 사이에서 활발히 이루어졌음에도 국내에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 부분을 정리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할 것이다. 둘째, 기록관리의 제 단계 중 특히 수집 및 기획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전개한다. 기록학적 관점은 생산 시점 이전 기록의 수집 및 기획 단계에서 시작하여 그 이후 단계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집 및 기획단계이며, 이는 생산이 곧 수집을 의미하는 구술기록의 특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셋째, 기록학적 관점에서 ‘구술기록’의 개념의 설정이다. 많은 구술사 연구자들에게 ‘구술자료’라고 통칭되는 구술면담을 통해 생산된 각종 자료들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구술기록’으로서 개념화한다. 넷째, 기록학에서 왜 구술사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 설정이다. 기록학에서 구술사를 다루는 목적과 그 당위성을 학문적으로 정당화시킬 필요가 있다. 왜 기록학에서 구술사가 중요한 것인지,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스스로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구술기록’의 기록화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기록화를 통하여 구술기록은 그 자체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구술사와 구술기록의 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술사에서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술사에서 아키비스트는 단지 연구자들이 수집해온 구술기록을 정리하고 보관하는 보조자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설득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위와 같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당위성을 얻은 기록학계에서의 구술사 연구는 단순히 기록학에서 구술사를 점유하겠다는 것이 아닌 다른 학문과의 연계 속에서 한국 구술사 연구의 도약이라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기록학계의 발전과 연구범위의 확장, 그리고 아키비스트의 역할 신장과 가능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며 동시에 구술사 연구에 궁극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cently, a topic of Archival Science can be said 'paradigm shif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oral record and Archival Science through concept of the archiving 'social memory' related to paradigm shift of Archival Science. In addition, an active role theory by an archivist as main agent of archival oral record manag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al record based on this will be supported. Especially, even if it has already been handled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ill be focused on drawing new meaning by applying creative perspectiv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discussion will be progressed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archiving 'social memory'. This is related to the topic of 'paradigm shift' in the Archival Science. Despite that ac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mong mainly archival researchers overseas, it has not been handled ye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o organize this part as detail purpose. Secondly, the point will be progressed with a special focus on collecting and planning stages among the stages of records management. A viewpoint of the Archival Science should start from the stage of collecting and planning the previous record of production point of time, and then should be reflected for acknowledging the subsequent stages. Therefore, collecting and planning are the most important, and this is closely connected with a characteristic of oral record which production means collecting. Thirdly, the concept of 'oral record' is established with the viewpoint of the Archival Science. The various documents have been producted through oral interview has been known to many oral history researchers as 'oral source'. It aims to conceptualize them as 'oral record' with the viewpoint of the Archival Science. Fourthly, it is an establishment of meaning why oral history should be handled in the Archival Science.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purpose and its appropriateness handling oral history in the Archival Science. It should clarify the reason why oral history is important in the Archival Science and what it means. This will help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cording of 'oral record.' A characteristic of the oral record can be effectively revealed through the recording, and ultimately, it aims to be able to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oral history and oral record. Finally, it defines the role of archivist in oral history. A point that archivist in oral history is not just an assistant who organizes and preserves oral records collected by researchers will be emphasized and persuaded. In this study, oral history study in the Archival Science which has obtained appropriateness by the theoretical discussion as above should be conducted in a connection with other studies without occupying oral history by the Archival Science and in a direction of the leap of Korean oral history study. If this is possible,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Archival Science and of study area expansion, enhancement of the role and potential of archivist, at the same time, eventually it will positively influence on oral history study.

      • KCI등재

        한국 전근대 과학기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구만옥 ( Koo Mhan-ock ) 한국과학사학회 2020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2 No.3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KHSS), founded in 1960, celebrates the 60th anniversary in 2020. During the past 60 years, the history of science in premodern Korea has achieved great success in various fields. Now it is the time to ponder on the future of the fiel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s and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study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premodern Korea. First task is to establish a system of disciplines in the history of science of Premodern Korea. To achieve this, each scholar in the fields, such as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 history of geography, and the history of medicine,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ways of diachronic organization consistent to one’s own thesis. Secondly, regarding the “China Problem,” it is urgent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and works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China. A close academic review is especially necessary for A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hina, which was directed and compiled by the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Thirdly,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human living, including natural disasters and diseases, need more attention for expanding the areas of research. The study of environmental history has grown quantitatively since the late 1990s.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history and the environments and people’s thoughts and actions on environmen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science. The fourth issue is related to survey of the cultural heritage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The KHSS has carried out some projects since the early 1980s and seen remarkable achievements: enhancement of public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s of science and increase in research and restoration works. Now the KHSS needs to pursue critical reevaluations of the previous achievements, as well as the further application of scientific heritage for research and education. Lastly, the systematic assessments of the primary sources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premodern Korea is essential. It is required to collect, organize, and annotate, as well as to question the problems of translation of, the bibliographic sources such as historical books, the books on science, and Han-yi-xi-xue-shu(漢譯西學書, the different kinds of books which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bout western books of Catholicism,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사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반영 정도 분석

        주홍비,윤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science textbooks do not fully reflect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ure of science shown in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ffective use of it.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ratio of reflec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history textbook was analyzed.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wo types of high school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at have been tested, and the analysis frame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ivating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was comparatively reviewed and selected. The selected analysis framework consisted of four areas: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rea I),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rea II),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and the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each area was again composed of detailed sub-areas. Then, the analysis of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was carried out in the stages of ‘analysis training in the nature of science’, ‘determining analysis units and sampling’, ‘preliminary analysis and reliability measurement’, and ‘mai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but the four areas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evenly reflected. In particular, the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showed high reflection rates in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ach sub-area constituting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sub-contents were biased. Third, in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for each textbook unit, an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by publisher, the two types of textbook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by nature of science domai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the use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in terms of educating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reflecting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s. 목적 기존의 과학 교과서들이 과학의 본성적 영역을 충분히 반영해 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과학사 교과서에 나타난과학의 본성적 특징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사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반영 비율을 분석했다. 방법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과학사 검정 교과서 2종이며,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의 관점에서 과학의 본성 영역을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 분석틀을 비교 검토 및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틀은 과학 지식의 본성(영역 Ⅰ), 과학 탐구의 본성(영역 Ⅱ),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의 네 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세부 하위영역들로구성되어 있다. 그런 다음, ‘과학의 본성 분석 훈련’, ‘분석 단위 결정 및 표본 추출’, ‘예비 분석 및 신뢰도 측정’, ‘본 분석’의 단계로과학사 교과서의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과학사 교과서는 영역 별 반영 비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네 개 과학의 본성 영역이 골고루 반영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의 본성 영역 중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과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이과학사 교과서에서 높은 반영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의 본성 각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항목 별 분석 결과, 세부 하위 내용들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사 교과서는 단원 별로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있었고, 마지막으로출판사 별 분석 결과, 2종의 과학사 교과서는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교육 측면에서 과학사 교과서의 활용 방안 및 시대사회적 흐름을 반영한 과학사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프로그램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기반 융합 문제를 해결한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사례연구

        이종혁,백종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4

        오랜 기간 과학사⋅과학철학은 과학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특히 새로운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과학사’ 교과가 교육과정 내에 별도의 교과목으로 편성되었으므로 학교 교육 상황에서 과학사⋅과학철학 내용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 에서 과학사⋅과학철학 기반 융합 문제를 해결한 대학생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공계열 학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의 문제 구조화 과정과 해결 경험의 의미를 비교함으로써 문⋅이과 통합 교육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각각 3명의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이며, 이들은 한 학기 동안 대학의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과학사⋅과학철학 분야의 내용 기반의 융합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활동을 했다. 참여자들이 활동하는 동안 작성한 신청서, 계획서, 포스터, 보고서를 살펴보고, 두 차례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우선 이공계열 학생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의 과학사⋅과학철학에 대한 관점을 파악하고, 이들과 융합할 소재를 선정한 이유와 이후에 융합 문제가 구조화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과학사⋅과학철학 내용을 기반으로 자신들이 직접 구성한 융합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이 참여자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사⋅과학철학이 과학교육 맥락에서, 그리고 문⋅이과 통합 교육의 맥락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for various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story of science could be implemented for the curriculum; designing well-organized learning strategies is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solved the convergence problem based o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s to find strategies for integrated education by comparing the problem structuring process and the meaning of problem solving experience of science/engineering and humanities/social sciences students. Participants were thre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engineering and humanities/social sciences. Participants constructed and solved their own convergence problems by integrating the domains that were familiar to them into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While the process of structuring the problems and the us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were simila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cience/engineering and humanities/social sciences students’ point of view o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and the other domain which they choose.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eanings of problem solving experienc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istory and philosophy in science provided some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한국 과학사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천문학사를 중심으로

        박경미 ( Park Kyung Mi ),박영관 ( Park Young Kw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중학생들의 한국과학사에 대한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 천문학사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자료 및 인물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중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8차시의 내러티브 활용 과학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수업 프로그램은 Egan의 이야기 형식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과학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2개 학급 44명의 실험집단 및 2개 학급 44명의 비교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였다.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에 한국과학사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증 및 빈도분석을 통해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활용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한국천문학사에 대한 흥미 및 이해도를 높이고, 한국천문학 자료를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우리 과학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앞으로 우리 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 향상을 위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한국과학사 영역에 대하여 학생 활동중심의 내용으로 변화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한 방편으로 초, 중, 고등학교급에 맞는 다양한 내러티브 활용 과학 프로그램의 개발 및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ding history of korean science after conducting narrative-applied science classes. Classes were conducted centered on history of korean science-related data and figures, developed and applied to eight-class narrative-applied science classes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level. The class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Egan`s story telling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narrative-applied science classes, lectures were conducted to 44 students of 2 middle school clas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ame number and level of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Tests for history of korean science comprehension wer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programs, and consequences of the experiment were then interpreted through paired t-test and analyses of frequency. After conducting narrative-applied classes, it was the comprehe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history of korean science that was effective for arousing the students`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creating its concepts. Also it had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pride in korean science. Hence, there needs to have change in science curriculum contents focused on history of korean science activities to enhance interest and comprehension of korean history hereafter. As a means of that, there needs to have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various narrative-applied science programs suitabl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KCI우수등재

        스포츠과학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진현주(JinHyunju),나영일(NaYoung-il)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과학사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체육학 내 자연과학(自然科學) 분과(이하 ‘스포츠과학’)는 현대 체육학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위치에도 불구하고 체육사 내에서 주요 연구 주제가 되지 못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운동역학 등의 개별 과학 연구의 성과를 체육사의 한 부분으로 포괄하지 못한 것이다. 체육사가 한국스포츠, 한국체육학을 읽는 프리즘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더 늦기 전에 스포츠 자연과학사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야 함을 촉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중적 의미로 사용되어 왔던 ‘스포츠과학’ 용어를 명료화하여 과학사의 전통에 의거해 스포츠과학사의 개념을 체육학 내 자연과학 분과의 내용에 대한 역사적 연구로 정의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접근방법을 내적/외적, 거시적/미시적 접근방법으로 나눠 소개하여, 스포츠과학사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ring attention to ‘History of Sport Science’ in Sport Studies. Despite of substantial role of the Sport Natural Science in Sport Studies, it has been a neglected field as the major research subjects in History of Sport Studies.This paper will urge the research on ‘History of Sport Science’ so as for ‘Sport History’ to function as a tool that envisions the landscape of Sport Studies. In this paper, we clarify the terminology of 'sport science' which has been used in a dual meaning and define the concept of ‘History of Sport Science’ as a historical study on the contents of the natural science in Sport Studies based on the tradition of History of Science, introduced the internal / external and macroscopic / microscopic approaches for accessing related research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f ‘History of Sport Science’.

      • KCI등재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洪以燮)의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 연구

        구만옥 ( Mhan Ock Koo ) 연세사학연구회 2015 學林 Vol.36 No.-

        Hong Yi-Sup is a pioneering figure in the study of scientific history in Korea. He investigated the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ssociation with ‘social formations’ and ‘people’s lives’ of different periods in Korean history. Reviewing his book, Joseon Kwahaksa(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his research interest in the 1940s, helps to set a direction of contemporary research on history. Joseongwahaksa is based on Hong Yi-Sup’s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Korean ‘people,’ ‘culture,’ and ‘science.’ Since the mid-1930s, when he first started academic research, Hong Yi-Sup understood that Korea needed a new awareness of its past culture and civilization in order to cultivate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the cultural policy of the Imperial Japan. The history of science in Joseon is the field of research h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West in science in the 1920s motivated around the world a reassessment of the power of science. It was the same in colonial Korea. Hong Yi-Sup thought that the history of science must be the focus on the study of modern history. In order to reanimate Korea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e decided to focus his study on the history of science of Joseon. Hong Yi-Sup wrote Joseongwahaksa on the basis of Baek Nam-un(白南雲)’s unique method of periodization, while heavily relying on Sin Chae-ho(申采浩)’s study of history with a focus on nationalism. In his work, Science and technology of different periods are organized into different subjects of modern sciences, and his argument is supported by various references. Although it has a few problems due to the limited academic horizons of the era, Joseongwahaksa has historical importance as a complete Korean history of science.

      • KCI등재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적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박상우 ( Sangwoo Park ),정원우 ( Wonwoo Chung ),박영관 ( Youngkwan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2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는 Shin & Han(2011)과 Lee & Shin(2014)의 연구와 Park et al.(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설문지는 D시와 G시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201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으며, 주로 학생들에게 간단히 소개하면서 스스로 읽어보게 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충분하지 않은 시간’을 이유로 융합인재교육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에 지도 중점을 두고 있지만 이 단계를 매우 지도하기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교사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과학적 원리와 과거 과학자의 문제해결의 사례를 통해 학생들에게 창의적 설계와 문제해결의 아이디어와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융합인재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실태에 대한 인식과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구체적인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To research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educational value of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research conducted by Lee & Shin(2014), Park et al.(2010), Shin & Han(2011) and developed questionnaire a total of 20 questions. It was administered to reply the questionnaire to 201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D and 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teach actively the history of science, made it read students by simply introducing himself. They did not teach actively STEAM due to not enough time(busy to take a magnitude). They were difficult to teach, but the most focused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Especially, they perceived that it can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d a hint for solving the problem through examples of cases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a scientist. In conclusion, it implicates that it is need to rega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develop specific design-based STEAM program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order to be applied successfully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STEAM sett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