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와호장룡>의 색채와 음악의 융합 연구

        고옥,최명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1

        The film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2000) directed by Ang Lee, known as one of the new era of Chinese martial arts films, is the first film in Chinese film history to win the Academy Award for Best Foreign Language Film. Tan Dun, a composer and conductor, won the 73rd Academy Awards for Best Original Music in 2001 by the music of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In 2002, he won the 44th Grammy Award for Best Original Film Music Album, and began to receive extensive attention. This paper explored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with strong oriental color and traditional music and investigated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view and aesthetic thought of director Ang Lee by his pursuit of the costume color and modeling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music of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that throughout the film, to show the music cre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of Tan Dun.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 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 The ‘Imuki’(이무기) legends appearing around ‘Unmun’(운문) temple are very interesting in several respects. It has similar face and other face at the same time, compared with stories about building temlple that contains the confrontation between monk and dragon. In other respects, I would like to say that it has the name ‘Imuki’, it has power over monk, and it is not defeated unilaterally in a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hese thre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both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tradition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dd the very important feature, which is seen in only oral traditions, that is, it moves to another place [‘Hobak’ pond/호박소]. These features are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 First of all, there are temples in this area in the 6th or 7th century, and Wonkwang(원광) already preached in one temple, ‘Kasulgap’ Temple(가슬갑사). In 10th century, Boyang(보양) rebuilt Unmun Temple and while Woneung(원응) was reviving the temple again, Unmun temple became a large temple with huge land. On the other hand, in Chungdo(청도) area, there are mountains that have offered rituals nationally and ponds that prayed for rain to the dragon, since shilla period.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Buddism but also traditional beliefs and cultures were very strongly preserved. In addition to that, since the slaves and peasants belonging to the temple cultivated the land owned by the temple, it is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emple and the farmers cultivated the temple’s land. Therefore Unmun’s monks could not dismiss their faith and world view, unilaterally. In the ‘Imuki’ legends of the region, ‘Imuki’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Imuki’ disguised as a deacon of a chief monk, a ‘Imuki’ power over the monk, ‘Imuki’ that moves to another place, ‘Imuki’ that rains, ‘Imuki’ that thunders. Those shapes are related to the context of religious history in which the two religions in the region have conflicted and fused. I think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Buddism and traditional beliefs that have long coexisted in this area, and between the two culteres that would have spread over the land cultivation of the temple have been realised with such an ambivalent shapes and structures. Cheongdo and Miryang areas were key points for entering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so in the early days of Koryeo, there was a controvercy among the various political powers, which are called ‘late three nations(후삼국)’. In the Koryeo period, it was also the base of rebellions crying to 'Shilla revival' and ‘anti-Koryeo’ for the same geopolitical reason.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cal poliYunmunsa Temple, Dragon-related Buddhist tales, legend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emples, hidden passages, hidden dragons, immigration, frustration of ascensiontical history, mentioned above, that the ‘Imuki’s subordination, his frustration of the ascension, and his migration are seen in the tradition of this region. For this reasoning, more historical reflection is needed.

      • KCI등재

        중국 영화에 재현된 서역 이미지에 대한 탐구 ― <신용문객잔>, <와호장룡>, <화피>, <몽키킹3: 서유기 여인왕국>을 중심으로

        송정화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2

        In this paper, I studied the images of “the Western regions(西域)” represented in four Chinese films of <Dragon Inn(新龍門客棧)>,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臥虎藏龍)>, <Painted skin(畵皮)>, and <The Monkey King 3: Kingdom of Women(Monkey king3: 西游記 女兒國>. Historically, the geographical category and ethnic composition of the West(西域) were different, and according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inese perception of the West. The Western regions represented in the four Chinese films examined in this paper showed the exotic and special place of the western region through the desert guest house, underground passage, butcher’s, desert cave, and kingdom of women. In the films, the western regions are connected to the metaphor of “Cannibalism,” and are represented as spaces of heterogeneous barbarism by the birth of men, animal nature, and bizarre images. And in the movies, the Central China(中原) and the Western regions(西域) were set in a sharp confrontational structure, and they were differentiated into two spaces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which conflicted and collided. Finally,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movie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with the Qing Dynasty as the background of time, it was analyzed that as the West referred to “Xinjiang(新疆)” after the Qing Dynasty, the existing concept of the West changed, and the West was imagined as a utopian space where freedom and ideals can be realized. 본고에서는 <신용문객잔>, <와호장룡>, <화피>, <몽키킹3: 서유기 여인왕국>의 4편의 영화에 재현된 ‘서역’의 이미지를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서역의 지리적인 범주와 민족적인 구성은 동일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역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도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본고에서 살펴본 영화에 재현된 서역은 사막의 객잔과 지하통로, 푸줏간, 사막의 동굴, 여인국을 통해 이국적이고 특별한 서역 특유의 장소성을 보여주었다. 영화 속에서 서역은 ‘食人’의 메타포와 연결되고, 남자가 아이를 낳으며, 동물성과 기이한 이미지를 통해 이질적인 야만의 공간으로도 재현되었다. 그리고 영화 속에서 중원과 서역은 첨예한 대립의 구도로 설정되었고 문명과 야만의 양가적인 공간으로 차별화되어 갈등, 충돌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청대를 배경으로 한 <와호장룡>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역이 청대 이후로 ‘新疆’을 지칭하게 되면서, 서역에 대한 고정된 인식에 변화가 일어나고, 서역을 자유와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 상상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 KCI등재

        탄둔의 ‘무협영화 3부작’ 음악의 ‘중서융합’ 요소 연구

        최명숙(MyungSook Choi)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4

        중국 현대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 탄둔(譚盾)은 <와호장룡(臥虎藏龍)>, <영웅(英雄)>, <야연(夜宴)> 등 '무협영화 3부작(武侠三部曲)' 음악을 잇달아 작업하며 중화권 영화음악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성과를 내고 있다. 그는 중국과 서양의 음악 요소를 절묘하게 융합하여 중국적 전통 사상을 적극적으로 부여하는 특징으로 유명하다. 이 작품들의 의미는 중국의 문화를 통해 국제 사회와 소통하고자 하는 전략을 조망할 수 있는 측면에서 강조될 필요가 있다. 세 편의 영화음악을 작곡한 탄둔은 작곡 기법적인 측면에서 창작 양식의 일관성을 보여주면서도 영화 서사의 내용과 형식에 따라 구체적인 음악 배치에는 다소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문은 '무협영화 3부작'으로 지칭된 <와호장룡>, <영웅>, <야연>의 음악 테마 설계를 중심으로, 영화의 서사와 음악의 조화를 일차적으로 분석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탄둔이 부각한 '중서융합', 즉 중서악기 융합, 중서악기의 연주기법과 음색이 어떻게 융합되어 체현되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Tan Dun,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modern Chinese music, has been producing the most notabl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inese film music by working on “Three Trilogy of Martial Arts” such as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The Heroes” and “The Banquet”. He is famous for his characteristics of actively giving traditional Chinese ideas by exquisitely converging Chinese and Western music elements. These works need to be emphasized in that they can explore strategie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Chinese culture. Tandun, who composed three film music, represents consistency in creative style in terms of composition technique, while showing some difference in specific music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form of the film narrative.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usic theme design of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The Heroes” and “The Banquet”, which are referred to as “Musical Movie Trilogy”, analyzes and compares the film's narrative and music harmony firstly, then discusses how Western music was fused and embodied with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music.

      • KCI등재

        정희량 한시에 나타난 意象을 활용한 내면의식 형상화 방식 고찰

        이국진 ( Lee Gook-jin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Disappearing without a trace at the age of 34, Mr. Jeong Hui-ryang’s poetry embodied a complex inner awareness forged during his exile. Through it, he comforted his inner suffering and made a firm resolution to pull himself together. In the course of doing so, he made the most of imagery to depict his inner awareness and emotional state. Mr. Jeong Hui-ryang embodied the isolation, loneliness, and frustration springing out of his heart in his poetry to depict images such as a 'closed door (戶)', a 'single wild goose', and a 'hidden dragon'. On the other hand, he adopted the attitude of a Confucian scholar and made strenuous efforts to stand firm in the face of sorrow and agony. He created a poemon spiritual beings, based on subjects like the paulownia tree, the old arborvitae, and the bamboo, to vividly reflect his inner awareness through imagery symbolizing the faithfulness, fidelity, and righteousness that he advocated. The images of these objective objects through which Mr. Jeong Hui-ryang embodied his inner awareness into poetry exerted literary appeal, evoking the effects of parable, symbolism, and lingering imagery. However, all the major imageryhe utilized had been shared and used frequent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tradition of oriental poetry art. Therefore, such images do not depict noticeable themes worth mentioning. Nonetheless, all the imagery used by Mr. Jeong Hui-ryang implied an earnest literary motive and serenity. The imageryhe used had in common the important theme of a strong sense of self-awareness and high self-esteem. Mr. Jeong Hui-ryang used typical images but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em inhis poetry, he vividly reflected his uncompromising character, strong self-awareness, high self-esteem, and valuable pursuit for righteousness, showing his unique personality.

      • KCI등재

        영화 「와호장룡(臥虎藏龍)」 속 玉嬌龍의 쿠얼(酷兒)적 의미 탐색

        유은하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24 中國現代文學 Vol.0 No.108

        李安 감독의 「臥虎藏龍」(2000)은 제73회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최우수외국어영화상을 비롯한 4개 영역에서 수상하였으며 기록적인 흥행 성적을 지니고 있으나, 영화의 스펙타클과 미학적·기술적 측면이 크게 부각되고 영화계와 대중의 호평을 받아온 반면, 영화의 스토리와 주인공들의 관계, 대사, 섹슈얼리티에 대해서는 다각도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주인공 玉嬌龍이 무협 텍스트의 계보 안에서 갖는 중요성과 의의에 대해서 상세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여타 무협 텍스트에 등장하는 여성 용사(勇士)들의 모티브와 玉嬌龍이 차별화되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영화 속 玉嬌龍은 중국의 무협 텍스트에서 여성이 강호(江湖)로 나서게 되는 전형적인 동기(動機)로부터 벗어난 획기적인 인물이다. 그녀는 가부장적 배경 하에서 ‘복수(復讐)’나 ‘보은(報恩)’과 같이 가족으로부터 부여받은 동기가 아니라, 재미있는 삶에 대한 호기심, 자유와 힘에 대한 개인적인 열망에 이끌려 새로운 세계로 나선다. 또한, 남성 협객을 대표하는 이상적인 캐릭터 李慕白과는 대조적으로 충(忠)이나 의(義), 효(孝)와 같은 보편윤리에 거의 구애되지 않을 뿐 더러, 많은 무협 작품 속의 여협(女俠)들처럼 종국에 남성과의 애정이나 가족으로 회귀하지 않는다. 더욱 주목할 만 한 점은, 그녀가 지닌 ‘쿠얼(酷兒)한’ 특성으로서, 여러 경계를 넘나들며 고정된 신분 정체성을 거부하고, 기존에 남성협객들을 중심으로 한 동질사회(同質社會)였던 강호에 균열을 일으키는 한편, 등장인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성별이분법적 또는 이성애중심주의적 시각만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면모를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같이 인위적 범주를 벗어나는 주인공의 유동적 성격에 주목할 때, 영화의 결말 역시 또다시 ‘경계를 넘는 시도’로서 새롭게 해석할 여지가 열리며, 이 영화가 李安의 다른 작품들과도 긴밀한 연속성 상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ng Lee's film,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2000), has been widely praised for its aesthetic, spectacle aspects, but the analysis of the st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has been relatively simple and there was little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and the meaning of the female protagonist, Jen 玉嬌龍, within the Chinese Martial-art (Wuxia) tradition. Unlike traditional female warriors motivated by “getting revenge” or “returning the favor”, Jen is a ground-breaking character, who is propelled by impulsive curiosity for an exciting life, and a desire for freedom and power. In contrast to the ideal male protagonist, she is nearly indifferent to the universal ethics such as loyalty, righteousness, or filial piety. Furthermore, unlike typical female warriors in Wuxia who ultimately return to the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man or to familial roles, Jen does not conform to this pattern. This study also highlights her queerness, especially referencing the term ‘酷兒’ by Ji Dawei 紀大偉. Jen shows unfixed identities and crosses various boundaries and also disrupts the male-centered Wuxia world.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challenge binary gender perspective and the dichotomous categories of heterosexuality and homosexuality. This fluidity in Jen’s character opens new possibilities for interpreting her falling off a cliff at the end of the film and confirms this film’s close continuity with Ang Lee’s other works.

      • KCI등재

        장이머우의 무협영화, 무협 장르에 대한 통찰과 위험한 시도

        유경철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7 中國現代文學 Vol.0 No.42

        There are many disputes over whether Director Zhang Yimou's Knight-errant movies are successful. They made a commercial success, but are being widely criticized for its inappropriate political arguments or for its loose plot and shoddiness. This study has made, apart from preexistent disputes, on a new and fatal tries Zhang had in his two films Heros, Lovers. From my perspective, Zhang is nearly the only who correctly understand the nature and mechanism of Knight-errant movies. He got the point of the nature that Trues and Lies, the Imaginative and the Real are constantly mixed and replaced each other, and represented his Knight-errant movies by using that mechanism. But his tries is very fatal to Knight-errant movies because they make audiences awake to recognize that the scenes they are watching now are not real and have been not existed. It disappointed the audience by breaking their willingly believes, and led to a result that they lose an opportunity to take genre pleasure of Knight-errant movies. Zhang dared to have very brilliant and fatal tries in his films that no one had before since he had no understood or understood it too fatal to try.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많이 닿아 있다. 물론 역사적 고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