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 정준상관분석을 중심으로

        이강훈(Lee, Kang-Ho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및 G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담임교사 43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호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는 상호적이었으며, 유아교사의 행복을 설명하는 예측변수로서 인과모형의 설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행복감 변수군에서는 외적 행복이, 행복플로리시에서는 긍정적인 관계가 각각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행복감에 대한 상호예측력이 가장 높은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행복감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마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433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 & U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 conduct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o prove mutual predictive power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mutual, and the possibility of setting the causal model was confirmed as the predictive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In addition, positive happiness in the happiness variable group and positive relationships in the flourishing variable group were the highest mutual predi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lourishing and happin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happiness is important as a way to improve the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plan to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s of happiness.

      • KCI등재

        행복, 기쁨, 플러리싱(flourishing), 그리고 교회

        김도훈(Do Hoon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2 No.-

        인간의 보편적 갈망은 무엇일까? 아마 행복과 기쁨의 삶이라 대답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인간의 주관적 삶의 요소인 행복과 웰빙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학문분야가 등장하였다. 그것은 바로 긍정심리학이다. 이 글은 행복과 기쁨, 그리고 플러리싱 라이프라는 주제를 접촉점으로 하여 신학과 긍정심리학의 대화를 정리하고, 그것을 교회론과 연결하여 긍정교회론(positive ecclesiology)을 모색하는 논문이다. 긍정교회론이란 교회를 행복과 기쁨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과 기쁨을 배양하고 그들로 하여금 플러리싱한 삶을 살게 하는 것이 교회의 과제와 역할임을 드러내는 교회론이다. 그러므로 긍정교회론을 좀 더 좁혀서 행복교회론, 기쁨의 교회론 혹은 플러리싱 교회론이라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긍정교회론은 필자가 시도하는 긍정신학(theologia positiva)의 하부분야다. 긍정신학은 신학의 긍정적인 측면들, 창조, 부활, 감사, 용서, 화해, 행복, 기쁨, 복, 번성 등을 연구하며, 전통적 교리와 신학을 긍정적 차원으로 해석하여 기독교를 슬픈 종교나 죽음의 종교가 아닌 기쁨과 감격과 은혜와 위로의 종교로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러므로 긍정교회론은 이러한 긍정신학의 성격을 수용하여 교회의 성격을 기쁨과 행복 공동체로 정의하고, 교회를 행복한 삶, 플러리싱한 삶을 함양하고 훈련하는 긍정적 기관으로 규정하려는 교회론이다. 논문을 진행함에 있어서 우선 긍정심리학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긍정심리학의 여러 주제 중의 하나인 종교와 영성에 대한 긍정심리학의 입장이 무엇인지 정리하려 한다. 그것은 영성이 긍정심리학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만큼, 그들이 거론하는 긍정기관에 교회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을 말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의 주 관심사인 긍정교회론을 다루며 마지막으로 교회와 긍정심리학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논문을 마무리한다. What is the true goal of life? Maybe it will be happy and flourishing lif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cademic discipline that aims to scientifically explore happiness and wellbeing, which are the elements of human flourishing life. It is called the positive psychology. This is an article that tries to construct positive ecclesiology based on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with the themes of happiness, joy, and flourishing life. Positive ecclesiology is the ecclesiology that reinterprets the church in terms of happiness and joy, cultivates the happiness and joy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reveals that it is the task and role of the church to make them live a flourishing life. Positive ecclesiology is a subfield of Positive Theology(theologia positiva). Positive theology is an attempt to study positive aspects of theology such as creation, appreciation, forgiveness, reconciliation, happiness, joy, blessing, and thriving, to reinterpret doctrinal and theological tradition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to restore Christianity to the religion of joy and happiness. Therefore, positive ecclesiology is an ecclesiology that defines the nature of the church as a joy and happiness community by accepting the character of positive theology and to define the church as a positive institution to cultivate a happy and flourishing life. In this Article, I will explain positive psychology introductory, and try to summarize the position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positive Psychology. Finally, I will close the paper by suggesting the tasks of church.

      • KCI등재

        한국과 태국 대학생들의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종교성과 행복을 중심으로

        안도희 ( Doe Hee Ahn ),정초하 ( Cho Ha Jung ),( Orapin Stiram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5 東南亞硏究 Vol.25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Thai university students on religiosity, happiness, and flourishing in Korea and Thailan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igiosity and happiness on flourishing among them. The subjects were 155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and 304 Thai university students in Bangkok, Thailand. Measures of the religiosity(i.e., intrapersonal religious committment and interpersonal religious committment), Happiness(i.e., eudaimonia and hedonia), and Flourishing were administered.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Thai students had a higher religiosity and happiness than Korean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and Thai students, religiosity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happiness and flourishing. Also religiosity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flourishing via hedonia for both Korean and Thai studen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Korea and Thailand.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 결정요인과 행복 유형에 따른 행복플로리시 차이 검증

        황해익(Hwang, Hae-Ik),서원석(Suh, Won-Suk),이강훈(Lee, Kang-H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을 분류해 보고 행복유형의 결정요인을 탐색함과 동시에 행복 유형에 따라 행복플로리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및 G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452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분석(LPA), 다항로지스틱분석(MLMA), One-way ANOVA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3.0 & M-plus 7.31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은 ‘상위 행복교사군’, ‘중위 행복교사군’, ‘하위 행복교사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의 결정요인은 서번트 리더십, 자아탄력성, 조직몰입, 교수몰입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유형에 따라 행복플로리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happiness groups by LPA,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happiness group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difference of classified early childhood teacher` flourishing. For this purpose, 452 teachers were analyz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 & U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multinominal logistic model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 M-plus 7.31.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happiness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lassified as ‘high happiness teacher’, ‘middle happiness teacher’, and ‘low happiness teacher’. Second,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rvant leadership,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flow.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louris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happiness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reative strategy for each happiness groups is needed to provide a way to support happy teaching life and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행복과 기독교상담

        안경승 ( Kyung Seung Ah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ACTS 신학저널 Vol.19 No.-

        In this paper, the study of happiness will be analyzed and the use of it in psychology and therapy will be discussed. Happiness as experienced by ordinary peopl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human life and the object in psychological studies. There have been earlier studies about happiness in psychological studies. The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ego psychology, humanistic psychology and existential psychology will be examined. Then, this paper outlines the concept of happiness in positive psychology, a field that has grown since 1998. The emphasis in positive psychology on positive emotion, positive character, and positive institutions has been a refreshing focus, breaking from a preoccupation with mental illness and psychological disorder in the mental health field. Positivepsychology, through its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human virtues open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empirical psychology and religious virtue eth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happiness used in the studies of positive psychology varies from subjective well-being, to the fulfillment of life goals. From the Christian worldview, however, positive psychology is too positive, by focusing too much on happiness. Since human beings are all created in the image of God, we have some positive strengths that reflect that image. At the same time, we have sinful nature which has been badly marred through sin. A limitation in secular psychology is to try to be happy, to have a well-lived life with flourishing, without God at the center of such a life. The genuine happy life is the abundant that is found in Jesus Christ.

      • KCI등재

        뷰티 종사자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유림,유진우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1 No.2

        Recently, happiness has grown as a social and contemporary value, going beyond just personal value. In addition, more people have started to realize that individual happiness is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society as a whole. Nowadays, South Korea’s aesthetic consciousness has drawn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In cosmetology services, profits a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services and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s. In fact, cosmetologists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getting socially changing cosmetology-related information and properly responding to customers’ needs. Instead of focusing on accomplish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cosmetologists’ sacrifices, a virtuous circle can be built through happiness exchanges. In other words, individuals make businesses happy, and businesses make a society happy. A society makes a country happy, and a country makes individuals happy again. This study targeted understanding cosmetologists’ happiness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happiness-flourishing measure based on the concept of happiness-flourishing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pursues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s different from positive emotions such as temporal satisfaction and pleasure.

      • KCI등재

        유아행복플로리시척도 개발 연구

        황해익,신현정,탁정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Flourish Scale that can measure young children flourishing aged 5 years.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36 items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using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lated to children’s flourishing. The final preliminary draft of scale was corr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54 children aged 5.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ix elements were 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 meaning, accomplishment, and strength, with a total of 25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item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and model fit were satisfactory. The Early Childhood Flourish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tool for consistently evaluating children’s flourishing. This study will help children recognize and utilize their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와 관련된 문헌고찰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예비검사용 척도 36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행복플로리시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5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행복플로리시척도는 긍정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 그리고 강점의 6가지 하위 요인으로 총 25문항이 도출되었다. 유아행복플로리시척도의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타당도와 신뢰도, 공인타당도는 적절하였다. 따라서 유아행복플로리시척도는 유아의 행복플로리시를 일관되게 평가하는 안정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유아행복플로리시 척도의 개발은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자신의 행복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대학생과 성인의 플로리시(Flourish) 연구 동향 탐색 연구

        전종희(Jonghee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flourish 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Flourish is a developmental concept of happiness and is a life that falls within the best range of human positive moods and effective fun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all domestic academic studies for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adults related to Flourish. The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is study took place on October 5-9, 2023,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quantifying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college students (13 cases) and adults (27 cas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Along with categorization, college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and general adults had a lot of influence relationships, and there were also studies on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group differences. In relation to Flourish, there were studies on career, occupation, psychological needs/capital/emo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studies on office workers, teachers, and adults(general) for adult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rends in flourish to continue the optimal state of strengthening positivity and maximizing ability, and to explore the plan of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과 성인 대상 플로리시(flourish) 관련 연구 동향을 조사,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플로리시는 행복에 관한 발전적인 개념으로서 인간의 긍정적인 기분과 효과적인 기능의 최상의 범위에 속하는 삶이다. 본 연구는 플로리시 관련 대학생 및 일반 성인 대상 국내 학술 연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및 정리는 2023년 10월 5~9일에 이루어졌고 이후 자료의 양화를 거쳐 기술통계 및 다중응답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13건)과 성인(27건) 모두 양적 연구물을 중심으로연구물의 수가 증가해왔다. 대학생은 유형화와 함께 영향 및 구조적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등의순이었고 일반 성인은 영향 관계가 많았고 이외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집단차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또한 대학생은 진로·직업, 심리 욕구/자본/정서 등이, 성인은 직장인(일반), 교사, 성인(일반) 등에관한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이 긍정성을 강화하고 능력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상태를 지속하게 하는 플로리시 관련 동향을 파악하여 교육의 방향성 및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 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according to visiting a forest on fulfill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ability and happiness. To achieve this, a study was conducted o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groups of 20 young children in classes A and B at S kindergarten, and also a group of children of the same age in a similar environment. The 16-session forest experience play activity program was planned for conducting research on the children"s leadership ability and happiness fullness when using the Nuri curriculum, and this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2 months. The pre- and post-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non-experimental group after outdoor activities on the topic of the Nuri curriculum-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the forest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reinvention ability, human relations, goal achievement and direction power, which are all sub-factors of their leadership. Second,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the forest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commitment, personal relations, meaning and achiev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their total happiness. Overall, their cooperative art activities during the forest experience were judged to be facilitating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KCI등재

        여학생 수다와 전쟁-잡담의 기능:『행복에의 흰 손들』을 중심으로

        김다혜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1 No.-

        This article analyzes women's dialogue in Yi T’aejun’s The White Hands in Pursuit of Happiness (1943) using Heidegger’s concept of “idle talk (Gerede).” Through The White Hands and Yi T’aejun’s other 1940s novels Stars in Every Window and Flourishing Youth,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weaving of war mobilization propaganda with the lives of everyday urban citizens in the 1940s. Through analysis of these three novels, this article first reevaluates existing explanations of the collision or collusion between the fascist mobilization system and “everyday life.” While showing how the stuff of everyday conversation is tied to wartime propaganda, Yi T’aejun’s 1940s novels reflect the wartime era and actively reconstitute it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thus offering a window into wartime Korea. Secondly, this article examines the function of characters' "idle talk" as a type of narrative technique and form. Thirdly,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rast between the passive image of men and active image of women appearing in Yi T’aejun’s 1940s novels. The core issue raised through this analysis is authorial intent. In short, what did Yi T’aejun mean by his wartime depiction of young, active women cooperating with and supporting the war? Rather than providing a direct, rough, and unambiguous answer of “cooperation” or “resistance”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chooses to closely analyze the forms by which Yi T’aejun reflected and reconstituted the wartime era in his novels. 「행복에의 흰 손들」(1943)은 그간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이태준의 장편 소설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잡담(Gerede)’ 개념을 통해 작품 속 여성 인물들의 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1940년대 전쟁총동원 프로파간다와 도시민들의 일상성이 함께 엮여 묘사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40년대 이태준의 다른 장편 소설들인 「별은 창마다」와「청춘무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작품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첫째, 파시즘 혹은 전쟁 동원체제와 ‘일상’의 충돌, 혹은 공모에 대한 기존의 설명들을 재검토하였다. 이태준의 1940년대 소설들이 일상적 잡담을 전쟁의 프로파간다와 함께 묶어 제시하는 양상은 전시기 시대상의 반영이자 작가의 적극적 재구성이며, 프로파간다의 식민지적 전유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 이 논문의 전제이다. 즉 전쟁 프로파간다는 일상적 담론과 긴밀히 엮임으로서 강력한 실재성과 구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둘째로, 본 논문은 소설 속 인물들의 잡담 및 수다가 소설 서술 기법이자 형식의 일종으로서 갖는 기능에 주목하였다. 수다에 대한 묘사를 통해 작가는, 연애와 결혼과 같은 사적인 소재와 전쟁과 국제공법과 같은 공적인 소재를 내러티브 속에 함께 녹여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태준의 1940년대 소설에 등장하는 소극적 남성상과, ‘수다’나 사업의 주체인 능동적 여성상의 대비가 갖는 함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논문에서 제시한 핵심적 질문 중 하나는 일종의 작가론적 질문이다. 즉, 전시기 이태준이 전쟁을 적극 지지하고 체제에 협력하는 젊고 능동적인 여성상을 묘사함으로써 과연 어떤 말을 하고자 했느냐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해 체제 협력이나 저항과 같은 직접적이고도 거칠며 이분법적인 답을 내놓기 보다는, 당대를 살고 고민하던 한 작가가 전시기 시대상을 소설 서사에 반영하고 또 재구성하는 방식과 형식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제시하는 길을 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