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춘실 ( Choon Sil Kim ),김희진 ( Hee Jin Kim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이미 개발된 칭찬 프로그램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과 요구에 맞게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소재하는 D중학교 3학년 24명이다. 이들 중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으로 구성된 12명을 대상으로 5주간 60분씩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 후 또래관계 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통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또래관계가 더 향상되었다. 셋째,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to be more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as a good guide, many previous research was very helpful in my studying. The program took place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Busun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4 volunteer third year students. The 24 student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2 students in each group.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dministered by the researcher for 5 weeks from 28th November 2006 to 28th November 2006, with the time setting of total 10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using 3 scales measuring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middle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increasing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형자에게 미치는 효과

        유철민 한국교정학회 2011 矯正硏究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using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 for prisoners and to verify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ir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ee presuppositions are suggested;[Presupposition 1]: Group counseling using NLP can improve the prisoners' self-esteem?[Presupposition 2]: Group counseling using NLP can improve the prisoners' communication skills?[Presupposition 3]: Group counseling using NLP can improve the prisoners' interpersonal relations?Subjects are composed of 33 prisoners in the 'Y' Detention Hous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s 15 prisoners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consists of 18 prisoners.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onducted the NLP group counseling modified fitly to prisoners. The program using this study, group counseling using NLP, has been modified for the prisoners focused. The program runs twice a week(12 times as a total) and it takes about 90-120 minutes each session. The methods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is the self esteem,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testing method developed by Rosenberg in 1965, Navran in 1967, Schlien & Guerney in 1971.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s to [Presupposition 1], a significant change is made in the self-esteem for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ly, as to [Presupposition 2], no change is made in the communication skills. Thirdly, as to [Presupposition 3], a significant change is mad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sequently, it shows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NL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prisoner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NLP is helpful for improving prisoner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는 수형자에 적합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형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여 교정시설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수형자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향상을 중심내용으로 하였다. 사전에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적용에 대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가설 1】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가설 2】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것이다.【가설 3】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Y 구치소 수형자 33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8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하여 사전 개발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회당 90 - 120분, 주2회 씩 6주에 걸쳐 12회기 과정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NLP의 원리 중 수형자의 자아존중감과 타인과의 레포 형성 및 의사소통 영역을 활용하였으며, Knight(2002)의 NLP at work, Andreas 와 Faulkner(1996)의 NLP: The new technology of achievement, NLP Practitioner 매뉴얼(2005)의 내용을 분석 ·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수형자들의 자아존중감 측정에는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 측정에는 부부의사소통을 위해 Navran(1967)이 개발하고, 최은연(2004)이 번안한 의사소통능력척도(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PCI)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인관계능력 측정에는 Schlien과 Guerney(1971)의 대인관계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SC)를 이형득과 문선모(1979)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의사소통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수형자의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대인관계능력향상에 있어서 통계상 부적결과를 나타냈지만, 소감문과 대화의 시간을 통해 참여수형자의 진술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자아존중감 영역과 대인관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교정시설 내 수형자들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한 교화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위험군 학생들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김유미,유혜경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 data for practical use of counseling programs in the fields by investigation of the intervention ways about school adaptability of collegians based on the effects of adaptability improvement by the counseling programs. The counseling program had been provided to two groups of college freshmen in Daejeon, one of which is classified as a high risk group of 93 students, a score of 70 points or more by MMPI-II test, recommended by their department among 430 students of those class, and the other is a regular group of 156 students. The test was applied to a total number of 2,782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a person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Reality Therapy(RT) theory had been provided and in the 2nd semester, 3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selected 36 students among the high risk group had been implemented and 24 peer counsellors helped to improve their adaptability over schoo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college record of those students with counseling service showed higher one than students of no such servi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erms of record in the high-risk group students with counseling program against the non-counselling students in the same group.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continued enrollment rate depending on the counseling program. That is, the enrollment rate of department which utilized the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than b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existence of college counseling centers though only 53% of colleges established those counseling centers and to show the necessity of active counseling programs and their effect over school adaptability improvement. Afterwards intensive research with more specified and classified variables, such as mediator variables and predictive variables over the college adaptability by students have to be made further, and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diverse counselling programs customized to each college's environment with specific demands is to be promoted.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아 대학생들의 학교 적응력에 대한 개입 방안을 탐색해보고,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의 상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전문대학 1학년 신입생 2782명을 대상으로 인성검사인 MMPI-2검사를 실시하여 심리적 건강지수가 낮은 고위험군인 임상척도 70점 이상 430명중 학과에서 의뢰하여 상담센터를 방문한 93명과 일반학생(중, 저위험군) 156명을 대상으로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학기에는 현실요법이론을 적용한 개인상담을 실시하고, 2학기에는 상담받은 고위험군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폐쇄형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또래상담자 24명을 양성하여 학교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상담을 받은 학생은 상담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PI-2 인성검사 결과 고위험군 학생들 중 상담을 받은 학생이 상담을 받지않은 학생들보다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담여부에 따른 재학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을 받은 학과의 재학률이 상담을 받기전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53%에 불과한 낮은 전문대학 상담기관의 존재의의와 가치를 규명하고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보다 적극적인 상담활동의 필요성과 학교적응의 효과성을 밝힌 점이다. 앞으로 대학생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예언변인, 매개변인등 변인을 세분화하여 보다 입체적인 연구와 학교상황에 맞는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촉진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이코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재외한국학생 진로진학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장창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Overseas Korean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areer maturity improvement career-guidanc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based on Park In - woo 's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high school students of ㅇㅇㅇㅇKorean International School located in Indonesia. The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career-guidanc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improve career maturity for a total of 12 sessions from May 7 to July 11, 201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of career maturity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career-guidanc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rogram that enables group-based counseling based on activities using the psychodrama technique,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areer maturity of Overseas Korean students, This is because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tested for effectivenes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ts practic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재외한국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진로성숙도 향상 진로진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하였다. 연구대상은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0000한국국제학교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7일부터 7월 11일까지 총 12회기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진로진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진로진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점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기법을 활용하여 활동중심의 집단상담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것과,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재외한국학생의 진로성숙의 특징과 요구를 반영하여 이들의 합리적인 진로설계와 진로성숙을 위한 진로진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현실적인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서림,유형근,남순임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uch addiction and to verify the actual efficacy of the program.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firstly, how should a group counseling program be designed to prevent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Secondly, i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to the smart-phon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actually effective in such prevention? The program wa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search, analysis, design, and applying depending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In-woo Park (1995). The final 12-session progra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advice of experts about ​​the tentative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the four program elements such as the perception of smart-phones, the enhancement of self-control, the control of impulsivity, the alternative activities to smart-phone uses. This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o the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mart-phone addiction from C Middle School located in Chungbuk region. The semiweekly 12-session program consisted of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assigned with 13 students, respectively. The test tool was the S scale, which is the self-diagnosis tool for juveniles to diagnose the smart-phone addiction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of Korea (2011.) In the experiment results of the sub-domains of the smart-phone addictions, the test group showed some significant changes in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the withdrawal effects, and the toler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ile there has not been any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the smart-phone addiction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yet, a new program targeted to the potential risk groups for addiction to smart-phones in middle schools has been developed with a view to prevent such addictions and now is available for application in the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적용의 과정을 거쳤으며,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총 12회기로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인식, 자기통제력 향상, 충동성 조절, 스마트폰 사용 대체활동 등의 4가지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충북지역 소재 C중학교 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3명으로 구성하여 주 2회 총 12회기로 운영하였으며, 검사도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 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집단은 일상생활장애, 금단, 내성 영역에서의 점수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가정폭력행위자들의 폭력유발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김명수,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4 에니어그램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가정폭력행위자들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존감, 의 사소통, 음주행동, 폭력태도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프로그 램 종결 4주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한 차원에서 실시한 질적 분석결과에서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오히려 이 기간 동안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존감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오 히려 이 기간 동안 자존감 수준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자존감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오히려 이 기간 동안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 램이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음주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오히려 이 기간 동안 음주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참여 자들의 음주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폭력태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오 히려 이 기간 동안 폭력태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참 여자들의 폭력태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가정폭력행위자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 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한 제언은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 성을 위해서는 가정폭력행위자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함께 개인상담 및 부부 상담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을 제안하다. 여성 가정폭력행위자에 대한 후속 연구 및 행위 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포괄적으 로 심도 있게 검토하기 위해서는 참여자 개인별 변화과정의 관찰을 토대로 배우자 및 가족의 심 층면접 및 설문을 통해서 검토해보는 것과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질적 분 석을 통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n developing and investigating a group-counseling program which adopts Enneagram to target of domestic violence committers The result of the Enneagram-adopted group counseling program research indicat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tress coping behavior, self-esteem, communication, inebriety, and violent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the effects continued in the further test conducted in 4 weeks after the program. Furthermore, the effect was valid in the result of the quality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complement the quantity analysi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improved in the ability of controlling stress, while the controlled group went down. This indicates that Enneagram-adopted group-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ability of controlling stres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improved in the level of self-esteem, while the controlled group went down. This indicates that Enneagram-adopted group-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improved in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while the controlled group went down. This indicates that Enneagram-adopted group-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decreased in inebriety, while the controlled group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Enneagram-adopted group-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drinking habit. Fifth,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decreased in violent attitude, while the controlled group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Enneagram-adopted group-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violent attitu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domestic violence committ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based on this research. Besides individual counseling and conjugal counseling, group-counseling program is suggested to conduct for constant effect. Post researches for female domestic violent committers, various approaching methods for committers needs to be invented. For comprehensiv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depth research and survey for their family and mate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participants’ individual improvement processes and longitudinal study with more systematic quality analysis are required.

      • KCI등재

        금연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장선철(Jang Sun Cheoul),고재근(Ko Jae Geun) 교육종합연구원 2005 교육종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흡연여고생이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 능력을 고양하고 자기를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금연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들과 비교해서 자아존중감에서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금연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들과 비교해서 의사소통에서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부에서 실시한 지식위주의 금연교육이나 학생부 처벌에 비해 흡연여고생의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학교 및 사회생활에 중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ing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in the smok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Experimental Group and two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improved the level of knowledge on smoking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1.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led Group2. Secon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changed the attitude for smoking in Experimental Group.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led Group.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group-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showed higher scores on communication skill.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Groups 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helped the participants increase self-esteem and conversation skill. Therefor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Non-Smoking will be helpful to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88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se, 4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44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underwent pretest and posttest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COVA was conducted us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 sub-factors of self-control, self-discipline an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self-contr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no treatment. Secondly,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led t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namely concern, curiosity, and confidence.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career ada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monstrates tha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be fruitfully utilized to help individuals exercise self-control, adapt to a dynamic environment, and plan their career path.

      • KCI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자(Youngja Kim),정소희(Sohee J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D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여성 성인학습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15명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10회기 진행하였고, 통제집단 15명은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진로적응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공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18.0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성인학습자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진로적응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진로적응성의 8가지 하위요인(책임감, 목표의식, 창의성, 대인관계, 개방성, 주도성, 직무능력, 긍정적 태도 등) 모두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 성인학습자를 위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상담현장 및 평생교육기관 등에서 중년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프로그 램을 더 많이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s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To that end, 30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attending D College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mong them, 15 subjec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and 10 sessions of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were implemented and 15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career counseling program. Both groups underwent career adaptability test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covariance analyses (ANOVAs). SPSS 18.0 was utilized in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the career adaptability of those female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eight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sense of responsibility, goal consciousness, crea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openness, initiative, job 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as such, this researcher suggested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should be more actively conducted and counseling fields an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implement more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