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지리교육과정론을 둘러싼 논쟁과 그 함의

        이보영 ( Bo Young Lee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최근 일본에서의 지리교육과정론 논쟁, 고등학교 학 습지도요령과 교과서 체계의 변화, 그리고 지리교육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최근 일본에서 지리교육과정론 정립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논쟁은 기존의 학문적 체계에 토대를 둔 지식 중심의 지리교육과정에서 벗어나 가치 지향적 내용 구성을 위한 대안 모색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지리학의 계통적 체계에 근거한 ‘지리과 지리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사회과 지리교육과정’과 ‘사회과학과 지리교육과정’ 간의 논쟁으로, 이들의 접근 방식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시민적 가치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인식소를 보이고 있다.平成元年(1989년)이후 일본 고등학교에서는 사회과가 해체되어 지리역사과와 공민과로 분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과 교과서 체제는 기존의 지리학의 계통적 체계와 지역적 체계에 토대한 내용 구성의 틀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지리적 쟁점을 세계적 시야에서 자신의 국가 및 지역과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쟁점 중심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결국 지리적 쟁점에 대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에 초점을 둔 시민성 교육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최근 일본에서의 지리교육연구가 문제해결력, 의사결정력에 초점을 둔 실천적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국 및 미국의 쟁점 중심 지리교육과정 프로젝트를 검토하여 이를 그들의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 반영하려고 한다는 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이와 같이 최근 일본에서는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을 중 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유사한 교육적 환경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기존의 학문적 체계에 토대한 지리교육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리교육계에서도 지리적 지식 중심의 지리교육과정론 연구에서 탈피하여 시민적 가치교육을 위한 연구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bates on geography curriculum theory, change of high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and research trend of geography education in Japan. A succession of debates which took place in relate to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Japan recently can be referred to turn from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cademic knowledge to value oriented contents composition. That is, it is debate between 'geography curriculum as social studies' and 'geography curriculum as social science' for alternative of 'geography curriculum as geography subject' based on academic geography. Although these approaches have a difference more or less, they show the common point of having aimed at citizen-value education ultimately. Social studies were divided geography history subject and citizenship subject in high school of Japan after 1989. Nevertheless, system of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 in high school gives focus on not the existing systematic or regional system of academic geography but local and global multi-layers of universal big issues around the world. It means turn to citizenship education which focus 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for geographical issues after all. In addition, such a tendency shows recently not only practical research of geography education focus 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Japan but also theoretical research of issues centered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project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hus, although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ubject is recognized as the important territory in Japan recently,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still focus on system of the existing academic geography. Therefore, even in the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urn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based on geographical knowledge to value education research based on citizenship.

      • 영국의 국가지리 교육과정개발의 전개과정

        예경희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4 淸大學術論集 Vol.4 No.-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present the suggestions that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given to improve Korean school geography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author i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in the United Kingdom since 1980s. The contents of study are below: (1) Great Debate of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a)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initiated by national government, (b) response of British Geographical Association. (2) Debates of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a) systems of curriculum, (b) purpose of school geography, (c) scope of school geography, (d) stage of school geography. (3) Issues of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The suggestions that this study will be given to improve Korean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re as below: (1)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itiated the outline of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The status of school geography is determined by the system of subject education. Therefore, we must highlight the importance of geography subject education in this process. (2) To achieve above goal, we must present and demonstrate the special contributions of school geography to the government and curriculum-makers. (3) As the Geographical Education committee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study Korean and foreign geography curriculum, geography working group should present the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of Korea in future. (4) The geography working group should endeavor to adopt their proposal as a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 KCI등재

        역량 기반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특징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구성, 역량과의 관계, 학습 내용의 조직 등을 중심으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대만의 지리 교육과정은 국민교육 단계인 초·중학교 1~9학년에서 7대 학습 영역 중의 「사회」학습영역으로, 일반계 고등학교 10~12학년에서는 ‘통론지리’, ‘구역지리’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대만은 총론 수준에서 역량을 명시하고 모든 교과교육에서 역량 계발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리 학습 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단계의 지리교육과정 수준에서는 지리과 고유의 역량이나 개념에 대한 명시가 없고, 단순히 역량과 지리 교과 지식의 관계가 병렬적으로 제시되는, 소극적 형태의 설계 방식을 보인다. 역량 기반을 표방한 대만의 지리 교육과정 운영사례는 교과 지식의 내용 체계를 유지하면서 학습의 방향이 역량의 계발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지리과 고유의 역량에 대한 수준별 제시가 없다는 점 등에서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curriculum revision of Korean Geography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aiwan`s competence-based curriculum based on its curriculum design, its relations with competence,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aiwan`s curriculum, students in 1st~9th grades(compulsory education) study Geography under Social Studies section, one of the seven subject areas; high school students in 10th~12th grades study ‘Systematic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separately. Taiwan`s curriculum has configured competency as a separate category in its general guideline and emphasizes that the competency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ontent knowledge. However, at the level of compos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 of Geography curriculum, it hasn`t configured its distinct subject-competence or core concepts of Geography. It simply states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content knowledge and competencies. The case of Taiwan`s Geography curriculum design giv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vision of Korean Geography curriculum in the following references: Taiwan`s Geography curriculum which claims to be competence-base stress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while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subject still follows the traditional way. Another point is that its curriculum does not introduce any distinct competence of Geography in different levels.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同心圓 構造 中心의 模型을 이용한 地理敎育課程 計劃

        芮庚熙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3 淸大學術論集 Vol.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uggestions that are related for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concentric model and its related model in Korea. 1. The contents of study are below. (1) General consideration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2) Some trend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in United Kingdom. (3) The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of W. E. Marsden and three-year program using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4) Conceptual, regional, concentric, logical approaches of Lee, Chan and Lim, Duck-Soon and the concentric model of Lee, Yang-Woo. (5) Examples of the concentric approach using inquiry models of G. T. G. Rimmington. 2. The suggestions that are related for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concentric models and its related models in Korea are below. (1) The concentric approach is used to integrate the topic and region in order to complement regional method and systematic method. In the concentric approach, local study is valuable in itself and has additional merits to integrate our stat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The local study is required to use large scale map and to learn local task by map learning. Therefore, we must strengthen to use large scale map and learn local task by map learning in the local study of concentric approach. (2) The concentric model of W. E. Marsden i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model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By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we can constitute curriculum planning of the local geography and state geography of korea. (3) If a school is located in rural town and other metropolitan region,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can be used to emphasis other view points of geography. Therefore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is seen to have valuable suggestion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in Korea. (4) If the conceptual-regional-concentric-logical approach of Lee, Chan and Lim, Duck- Soon and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are to compare the flexibility, the latter has the more flexibilities than the former.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is applicable to study local community, local study and national geography of Korea. (5) Though the model A and B of G. T. G. Rimmington are not just fit the concentric approaches, they are valuable to inquiry the field as immediate examples to study the empirical facts to develop the test of facts and to applicate in the various states and other parts of continents. Therefore, geography teachers of Korea must try to strengthen inquiry learning using the model A and B in the concentric framework.

      • KCI등재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강창숙(Chang Sook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2

        지리는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이해를 증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갖춘 도구 교과이지만, 중국의 지리교 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에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인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리교육과정은 정치적 이념과 사회적 변 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번창→위축→진흥→발전의 과정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최근의 지리과정표준은 종합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내용표준 중심의 개혁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중심 그리고 지리적 지식과 기능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 중심으로의 변화가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지리과정표준은 크게 서언, 과정목표, 내용표준, 실시건의 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초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지구와 지도, 세계지리, 중국지리, 향토지리 4영역 의 기초적인 지리 지식과 기본적인 지리 기능을 강조한다. 다섯째, 고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은 3개의 필수과목과 7개 의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직업과 지역 실정을 고려한 지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Geography is a core subject for mutual understanding a relatio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But the research and report on the Chinese geography education are poor progress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GC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political ideology and changes of society could lead to serious influences on the geography education. It is change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prosperity→withdrawal→promotion→development. Second, most recently, Chinese GCS carried out a drastic reform of their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needs and activity,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synthesis, practical value of the geography. Third, the organization of GCS consist of an introduction, curriculum objective, contents standard, performance rules. Fourth, the middle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basis of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4 subjects(the earth and the maps, world geography, Chinese geography, regional geography). Finally, The high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occupational course and consideration of regional circumstances.

      • KCI등재

        독일 지리교육의 발달

        안영진(Ahn, Young-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는 독일의 지리교육의 역사적 발전, 특히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자 한다. 독일의 지리교육은 16세기 까지 소급되지만, 국가 차원에서 지리가 학교에서 독자의 필수 교과로 설치된 것은 1872년이었다. 프로이센을 시작으로 독일전역에 지리수업이 행해지면서 ‘지지적 연속’이라는 지리교육과정이 성립하였으며, 이러한 지지(‘지역지리’) 위주의 교육과정은 1960년대 말까지 대체로 유지되다가, 1970년대에 일련의 지리교육과정의 개혁을 통해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1970년대에 학습목표 지향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계통(‘주제’)지리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지리교육과정의 개편이 이뤄졌으며, 또한 나선형 지리교육과정의 기본구조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 후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독일의 지리교육과정은 지역지리가 회귀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 국제이해, 환경교육 등의 학습내용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 독일의 지리교육과정은 또 한 번 근본적 개편을 겪고 있는데, 국가 교육표준에 입각한 역량 중심지리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overview the history of geography education in Germany, especially the changes in geography curricula. Although geography education in Germany can be traced back to the 16th century, it was in 1872 that the geography (‘Erdkunde’)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obligative subject at the national level. With the start of Prussia, geography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out Germany, and a geography curriculum of a horizon enlargement model called ‘Länderkundlicher Durchgang’ has long been established. This regional geography-oriented curriculum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1960s, and a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s took place in the 1970s. With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courses for learning goals in the 1970s,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to strengthen the systematic geography,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spiral geography curriculum was formed. Then, in the 1980s and 1990s, the geography curriculum in Germany w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urn of regional geograph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in the 2000s, the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y has undergone another fundamental shift compared with that of the 1970s, and the competence-oriented geography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is being implemented.

      • KCI등재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성 연구

        이경한(Kyeong Han Yi),김민준(Min Jun Kim)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색을 중등학교와 후기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중 지식과 이해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능은 탐구기반 지리조사를 강조하는 자료의 조사, 분석, 해석, 추론하기를 중점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치와 태도는 자연환경의 보호, 감성, 책임감, 도덕성, 참여 등을 강조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핵심 지리개념을 공간, 장소, 스케일, 환경으로 제시하고, 이 개념들을 자연과 인문 과정, 환경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상호의존, 체계로 심화시키고 있다. 지리교육과정은 공간과 장소를 다중스케일 측면에서 살펴보고, 여기에 존재하는 자연적, 인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더 나아가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주요 주제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와 지리조사로 조직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성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싱가포르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인식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발전을 생태주의의 핵심내용으로 제시한 후, 학생들을 환경정의를 삶 속에서 실천하는 미래시민으로 기르고자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secondary and post-secondary geography curriculum in Singapore. An education objectiv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wi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value and attitud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geography curriculum are mainly organised with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skills inquiry of geography especially based on investig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inference etc. is emphasized. And in value and attitud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feeling, responsibility, morality, participation etc. are emphasized.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has key geographical concepts, based on space, place, scale, environment in secondary, and then deepen to physical and human processes, environment and cultural diversity, interdependence, and system in uppe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that it intends for students to view space and place with multi-scaling firstly, and then to respect physical and human diversity in there, and investigate the process of physical and human phenomena, and to consider their interdependence in system. Them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of phys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geographical investigations. Mostl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physical and human environment with sustainability which based on eco-cent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eography curriculum is to develop future citizens for environmental justice.

      • KCI등재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이경한 ( Kyeong Han Y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리교육과정은 뉴질랜드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비전, 원리와 가치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지리과는 뉴질랜드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사회통합에 기여 가능성이 큼을 보여주었다. 지리교육과정에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인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특성,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및 그 과정이라는 지리과의 사고방식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지리과의 주요 내용 지식을 바탕으로 지역 및 장소 간의 상대적 관점에 대한 이해 능력을 신장시켜 타인과의 관계 맺기의 핵심 역량에 기여하였다. 지리교육과정은 가치 탐구 등을 통하여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생들의 사회적 기여를 이끌어 냄으로써, 즉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참여와 기여의 핵심역량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핵심 역량 중심의 지리교육과정을 학교 수준에서 원활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탄력적인 국가 지리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교육과정이 제시한 핵심역량이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과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key competencies and their characters of the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in New Zealand. Geography curriculum reflected the vision, principles and values of New Zealand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geography has strong points in social integrity which national curriculum aims. Geography curriculum develops thinking key competency through understanding of characters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and interaction and process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Geography curriculum contributes developing relating to others key competence through perceiving the relative perspectives of places. And it deals participating and contributing key competence through providing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viewpoints and respect of others rights.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lexible geography curriculum for key competencies based school curriculum. and then it is necessary to study geography classes for knowing application situations of key competencies which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aims and provides.

      • KCI등재후보

        영국의 지리교육과정에서 GIS 커리큘럼의 도입과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영훈(Young Hoon Kom)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3

        90년대 중반 이후 영국의 지리교육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이해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지리교과목 내에서의 지리정보체계의 도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국 내 지리교과과정에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적용 및 교과 개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어떠한 내용들이 실제 연구 개발되어 오고 있는 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영국의 초중등과정(Key Stages 1, 2 및 3)내에서의 지리과목이 차지하는 위상과 현황을 살펴보고, 지리정보체계와 지리교과목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각 과정내의 지리교과목의 교수와 학습을 위한 지리정보체계의 내용들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지리교과의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실제 사례 연구로써, 영국 내 학교 수업에 있어 실제 도입된 사례들을 살펴 보고 이를 통해 지리정보체계의 실제적인 수업 적용 사례와 이점들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기 위한 영국 내 지리정보체계의 교과 개발 연구 및 지리교과와의 관계 설정에 대한 노력이 최근의 한국 지리교육의 문제를 이해하고 극복하는데 있어 가지는 함의를 제시한다. Since the mid 1990s, in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Geography subjec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has been in central position in the UK geography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the roles GIS for Geography subject curriculum and addresses main development within UK Geography curriculum since the 1990s, and investigates appropriate GIS curriculum that encourages teaching and learning of geography subject within the curriculum. To obtain these research purposes, this paper starts with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subje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1998) with the recent changes of Geography subject in the national exams (GSCE and A level) in the UK. This result represents a clear situation of Geography subject in the UK school education and also provides a new motivation that brings new challen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driven curriculum within the Geography subject. In tur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of Geography and GIS within the current Geography curriculum is described by which the discussion of relevant GIS skills within Geography curriculum is followed. To propose the case studies that show the use of GIS for Geography education at school, Key Stages 2, 3, and 4 examples are discussed.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issues that GIS benefits encourage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and that potential applications can support not only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tools and learning strategies in geography education at schools, but also contribute to extend geographical skills and capabilities to collaborate with other subjects in school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