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일간 무역분쟁의 역사적 기원과 국제정치적 함의 : 한일 과거사, 일본의 무역규제, 그리고 ‘미국 없는 시대’의 한국의 선택

        김영수(Kim, Young Soo)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1

        본고의 목적은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에 내포된 위기의 성격을 역사, 경제, 안보의 측면에서 재검토하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일 간 과거사 문제가 무역규제로 확대되었고, 이것이 한미일 안보협력 문제에도 깊은 함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첫째,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당시 식민지배 문제와 청구권 문제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일 간에 심각한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는 일본군 종군위안부와 강제징용자 배상 문제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일본군 종군위안부와 강제징용자 배상문제를 둘러싼 한일간 쟁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결론적으로 일본의 대한국 무역규제에 내포된 국제정치적, 경제적 전환을 지적하고자 한다. 일본의 무역규제는 미국의 인정하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미관계에도 근본적 변화가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트럼프 정부에서 본격화된 신고립주의(Neo-isolationism), 즉 세계체제의 보안관 역할을 포기하려는 전략적 결정에서 기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도 미국 없는 시대의 안보적·경제적 대안에 대해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nature of the crisis in Japan s 2019 export regulations to South Korea in terms of history, economy and security. This conflict is because the Korea-Japan’s past history issues have expanded to trade regulations, which has deep implications for ROK-US-Japan security cooperation. First, by briefly examining how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claim rights were dealt with during 1965 Korea-Japan Talks, I would like to explain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forced labor issues that are causing serious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military comfort women and forced labor by Japanese imperialism. Third,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s that are implicated in Japan s trade restrictions on Korea. Since Japan s trade regulation was done with US approval, I think that fundamental change has also begun in Korea-US relations. It stems from the neo-isolationism, a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the role of sheriff in the world system, in full swing in the Trump government. As a result, Korea needs to consider a security and economic alternatives to ‘the Age without the US’ carefully.

      • KCI등재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와 일제 말의 ‘남양군도(南洋群島)’-

        하상일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ovels written by Yosan Kim Jeong-han who returned to the literary world in Korea in 1966 with 「The Sandbank Story」(「모래톱 이야기」) centering around his unpublished work,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Most of the works he wrote after returning have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ir time background and highlight coloniality in the area around the Nakdong River. This was focused on criticizing the irony of our history that even after the emancipation, coloniality was still being reinforced while we were failing to liquidate pro- Japanese remains properly. Besides, as we can see it from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in 1965 and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following the US-led East Asian policy, they accepted the US’ new imperialism indeed in return for their financial aid. He criticized Korea as an anti-independent and anti-ethnic country severely. Not only The Sandbank Story」(「모래톱 이야기」) but 「The Flatland」(「평지」), 「Surado」(「수라도」), 「Dwitgimi Naru」(「뒷기미 나루」), and 「Jiokbyeon」(「지옥변」) released afterwards all contain such consciousness of his on that matter. Criticizing the continuity of colonialism in Kim Jeong-han’s novels having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background were getting more detailed as he broadened his views to East Asian perspectives. Since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and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conformed to the US’ strategies to gain supremacy in Asia, he thought we should regard our memory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not just as a problem limited to our own country but as that of East Asia broadly. In fact, he deemed that the Third World’s solidarity w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paid keen attention to international solidarity among Asians sharing similar experiences. 「Sanseodong's Behind Story」(「산서동 뒷이야기」) and 「Letters from Okinawa」(「오끼나와에서 온 편지」) and also an unpublished unfinished work,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he wrote afterwards all reveal such consciousness of his most explicitly.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was written in the 1970’s and has the South Sea Islands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background.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stating facts about the laborers and comfort women sacrificed during the Pacific War realistically. So far, we have investigated Kim Jeong-han’s novels in nationalistic and local perspectives, and it is still valid partly; however, it reveals a clear limitation that we have trapped the horizons of his novels limitedly into the same time and spac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same 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tried to get over the limitation to read his novels with more extended East Asian viewpoint and open a new horizon for follow-up research on his novels. 이 논문은 1966년 「모래톱 이야기」로 한국문단에 복귀한 요산 김정한의 소설을 그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그의 문단 복귀 이후 발표 작품들 대부분은 일제 말을 배경으로 하여 낙동강 일대 땅의 식민성을 특별히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식민성이 강화되어 갔던, 그래서 친일 청산을 올바르게 이루어내지 못한 우리 역사의 자기모순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둔 것이다. 게다가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파병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 주도의 동아시아 정책에 편승하여 경제 원조의 대가로 미국에 의한 신제국주의를 사실상 용인한 반주체적이고 반민족적인 국가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는 것이 그가 지향하는 소설적 방향이었다. 「모래톱 이야기」에 이은 「평지」, 「수라도」, 「뒷기미 나루」, 「지옥변」 등이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담은 작품이다. 김정한의 소설에서 일제 말을 배경으로 한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은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해 나가면서 더욱 구체적인 증언의 모습을 드러낸다. 한일협정과 베트남파병의 신식민지 제국의 논리가 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미국의 음험한 전략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제국과 식민의 기억을 일국 내의 문제가 아닌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시켜야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제국과 식민의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제3세계의 연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유사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아시아 민중들의 국제주의적 연대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산서동 뒷이야기」,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에 이어 그의 미발표 미완성작 「잃어버린 山所」는 이러한 그의 소설적 지향을 가장 명시적으로 보여준다. 「잃어버린 山所」는 일제 말의 남양군도를 배경으로 태평양 전쟁에 희생당한 노동자들의 실상과 위안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증언한, 1970년대 우리 소설사의 첫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김정한의 소설을 민족주의적으로 읽고 지역적으로 사유해온 관점은 일정 부분 타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의 소설적 지평을 같은 시공간 안에 가두는 동어반복을 답습한 한계가 뚜렷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그의 소설을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해서 읽음으로써, 그에 대한 소설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내고자 한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구술조사를 통해 본 우키시마호 소송참가자들의 사건에 대한 기억과 인식

        김인성 ( In Sung Kim )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5

        1945년 8월 24일 오후 5시 20분 경 오미나토항에서 부산으로 향하던 우키시마호가 교토부 마이즈루항 앞바다에서 침몰하였다. 이 배에는 3,700명~12,000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들이 타고 있었다. 일본정부는 사망자수를 524명이라 발표하였으나, 목격자들은 3천~8천명이 사망하였다고 증언한다. 1992년 8월 25일 생존자와 사망자의 유족들로 구성된 80명의 한국인들이 일본 법정에서 일본국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1심에서 부분승소하였으나, 항소심과 최종심에서 원고인들의 요구는 모두 기각되었다. 소송을 최초로 시작한 사람은 일본에 거주하는 송두회와 ‘진상과 배상을 촉구하는 모임’의 일본인들이었다. 원고인들은 소송 과정에서 외로움을 느꼈다고 이야기한다. 한국언론과 한국 정부가 우키시마호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무관심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우키시마호 사건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되었던 조선인이 대규모로 희생된 사건이다. 일본국의 공식사과와 배상을 통해 희생자들의 한을 달래주고자 했던 유족들의 실망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이와 함께 그들을 힘들게 했던 것은 한국사회의 무관심이다. 우키시마침몰 사고의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족들에 대한 후속조치를 위해 학계와 언론계, 그리고 한국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August 22, 1945 Ukishima maru left Ominato toward Busan. However, 24th August 1945 the ship was sunk into the sea of Maizuru, Kyoto Prefecture. 3700 ~ 12,000 Koreans were aboard. The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death toll as 524 people. However, witnesses testified 3,000-8,000 people were killed. 25th August 1992 80 South Koreans filed a lawsuit demanding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Japan in the Japanese court. Although partial victory in the first instance, plaintiffs’ demands were finally rejected by the Japanese Supreme Court. Who initiated the lawsuit were Son Duhi and Japanese citizens and they helped the Korean plaintiffs. Plaintiffs said that they felt loneliness in the lawsuit process. Because the Korean media and the Korean government were indifferent while the lawsuit proceeded. Ukishima maru incident was the case in which compulsorily mobilized Koreans died on a large scale. Families of the deceased wanted to solve the deep sorrow by achieving Japanese government’s official apology and compensation, which ended with great disappointment. One more thing that made the plaintiffs disappointed was the indifference of Korean media and government. Academia, the media, and the Korea government must follow up on the investigation of the Ukishima maru incident and take measures for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한일관계

        이기완,여현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seeks to understand what are the main variable that has led a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their bilateral relations in the broader context of political and economical discourses. More importantly, it seeks to find policy alternatives to recalibrate the current status of “Cold Politics and Cold Economics” to the original status of “Cold Politics and Hot Economics”. Those described their on-going bilateral relations for the past few decades. We find that the variable that has led to Japan’s unilateral economic retaliation in 2019 are the direct result of Korea’s withdrawal of South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in 2015. And,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on October 30, 2018 to make those Japanese companies to compensate that are involved in forced labore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Nonetheless, the real underlying factor are the misperception and mutual distrust of the past between President Moon Jae-in and Prime Minister Shizo Abe. Japan's sense of crisis in line with the changing economic status of two countries that are developing in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unless the main factors causing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re fundamentally resolved or at least compromised with the tacit approval from the leadership of both countries, the two countries are unlikely to escape from the vicious circle of conflict driven relations. 본 논문은 정냉경열(政冷經熱)의 한일관계가 정냉경냉(政冷經冷)에 이르게 된 점을 정치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악화일로로 걷는 양국관계를 개선할 수 방안을 모색한다. 분석 결과, 2019년 일본의 경제보복은 2015년 한일 일본군위안부 합의 파기와 2018년 10월 30일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 배상 판결에 대한 불만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지만, 그 기저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과거사에 대한 인식 차이와 상호 불신, 그리고 한일 경제적 위상 변화에 따른 일본의 위기의식 등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한일 갈등을 초래한 요인들이 근원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또는 암묵적으로 타협하지 않는 한 한일관계는 갈등의 악순환 구조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 연구

        하상일(Ha, Sang-il)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이 논문은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산소」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이 작품이 동아시아 민중 연대라는 새로운 지평과 지역성과 세계성에 토대를 둔 장소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소설의 방향은 1970년대 김정한의 소설에서 두드러진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1966년 그의 문단 복귀와 이러한 문제의식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즉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에서 드러난 미국 중심의 신제국주의 정책이 김정한의 소설 세계가 오키나와, 남양군도와 같은 동아시아 문제로 확대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우선, 「잃어버린 산소」에서 일제 말의 상황과 남양군도에서의 제국주의적 양상이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비록 미완성에 그쳤지만, 「산서동뒷이야기」,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의 연장선상에 있다. 제국주의 억압이 가장 노골화되었던 일제 말의 상황을 배경으로 남양군도로 끌려갔던 조선인 노동자의 피폐한 삶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결혼 이민 등 식민지 여성 수난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는 작품이다. 미완의 상태에 머물러 일본의 패전 이후 조선인 노동자들의 귀환 과정과 고향으로 돌아와 잃어버린 땅을 둘러싼 역사의 모순에 맞서는 실천적 양상들이 구체화되지는 못했지만, 식민지로부터 해방 이후로 이어진 국가 권력의 횡포와 신식민지 현실을 특별히 부각시키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잃어버린 산소」에 반영된 주제의식을 통해 문단 복귀 이후 김정한의 소설적 변화를 특별히 주목하였다. 즉 해방 이후 올바르게 청산되지 못한 식민지 유산이 국가주의의 가면을 쓰고 여전히 횡행하는 신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두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은 그가 오랜 절필기를 끝내고 문단에 복귀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을 지며보면서, 해방이 되었음에도 미국 중심의 신제국주의가 동아시아를 지배하고 있다는 데 대한 강한 비판을 새로운 소설적 방향으로 삼으면서 그의 소설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특정 국가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제국주의와 국가주의에 철저하게 희생당한 동아시아 민중들의 연대를 모색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는 데 특별한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analyzes “Lost Tomb” the unpublished work by the Korean novelist Kim Jeong-han(金廷漢, 1908~1996). Through this novel in particular, the author attempted to highlight people’s solidarity in East Asia as the new horizon and placeness based on regionality and globality. Such a critical mind was a prominent feature in the 1970s novels by Kim Jeong-han, and this thesis aims to disclose his critical min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his return to the literary world in 1966. More specifically, this thesis proved that the U.S.-centered neo-imperialist policy caused by the treaty between Korean and Japan and dispatch of Korean armed forces to Vietnam in 1965 function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expanding the world of Kim’s novels to East Asian region, like Okinawa and the South Sea Islands. First, this thesis analyzes how situation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imperialistic conditions in the South Sea Islands materialized. Though incomplete, the novel remains an extension of his novels, “The Rest of the Story in Sanseo-dong” (「산서동 뒷이야기」)and “The Letter from Okinawa”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 With circumstance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or at the height of imperialist oppression as the setting, the novel testifies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suffering under Japanese rule, such as the lives of comfort women for the Imperial Japanese Army and marriage immigrations, while focusing on the devastated lives of Korean laborers taken to the South Sea Islands. Although the novel was not completed to materialize the practical conditions against contradictions of the history surrounding the returning procedure of Korean laborers and their lost land in hometowns after Japan’s defeat in the war, the novel remains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e reality of the new colony and the tyranny wielded by the national authority which had only continued from the colony. Next, this thesis especially focused, through his sense of subject, Kim Jeong-han’s novelistic changes after he returned to the literary world. In other words, Kim focused on criticism on the reality of the new colony after liberation where the not-so-soundly settled legacy of the colonial past continued on to rampantly wield wrongful power in the disguise of nationalism. Thus, it is understood that such a critical mind functioned as a determining instrument for Kim Jeong-han to return to writing as he ended his long break. While observing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dispatch of Korean soldiers to Vietnam, the writer used, as his novelistic direction, his strong criticism that even if Korea was liberated, the U.S.-centered neo-imperialism dominated East Asia. Conclusively, it holds a special meaning in that the novel reached beyond criticizing specific nations and focused people’s solidarity in East Asia where people were thoroughly sacrificed by imperialism and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