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ibrio fluvialis에 의한 위장관염 1 예

        이혜정,이성욱,배영진,박진곤,최필선,조강일,천종철,문성채,황은주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V. fluvialis는 해양 및 담수 서식 세균으로서 드물게 인체에서 위장감염을 일으킨다. 현재까지 외국에서 보고된 예는 있으나 국내에 보고된 예는 없었다. 저자들은 여름철에 조개(고막)를 먹은 후 심한 복통과 설사 및 탈수증 등의 증상이 1주일간 지속된 55세의 간경변 남자 환자에서 대변배양 검사상 확진된 V. fluvialis에 의한 위장관염 1예를 적극적인 항생제 치료를 하였으나, 간경변 합병증으로 사망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V. fluvialis is a gram-negative, oxidase-producing, halophilic bacterium. It is normally found in coastal waters and seafood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n Vibrio fluvialis gastroenteritis in other countries, whereas as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port of V. fluvialis infections in Korea.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showed that V. fluvialis was isolated mostly from infants and children. We experienced a race case of gastroenteritis due to V. fluvialis in a 55-year-old man with liver cirrhosis who ate an ark shell. He was admitted due to mild abdominal pain and severe watery diarrhea followed by rapidly progressive dehydration, electrolyte imbalance, and hepatorenal syndrome for a week. This patient was not improved by intensive care and antibiotic therapy.

      • KCI등재

        16S-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이용한 Vibrio fluvialis의 검출

        강현실 ( Kang Hyeon Sil ),허문수 ( Heo Mun Su ),이제희 ( Lee Je Hui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Vibrio fluvialis의 16S 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분석하였다. ISR을 PCR 증폭 후 plasmid vector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ISR의 염기서열은 tRNA gene 조성과 크기에 따라 총 6개의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type은 tRNA gene 조성과 수에 따라 ISR-A, ISR-E, ISR-E1, ISR-ⅠA, ISR-EKV, ISR-EKAV로 명명하였으며, ISR-A는 tRNA^(Ala); ISR-ⅠA, tRNA^(Ⅱe)-tRNA^(Ala); ISR-EKV, tRNA^(Glu)-tRNA^(Lvs)-tRNA^(Val); ISR-EKAV, tRNA^(Glu)-tRNA^(Lys)-tRNA^(Ala)-tRNA(Val); ISR-E와 E1은 tRNA^(Glu)를 갖고 있었다. 이 중 ISR-EKV type은 minor type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여러 Vibrio종에서 V.Fluvialis를 검출하기 위한 species-speific primer 제작에 이용하였다. 제작된 primer의 특이성은 여러 Vibrio의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반응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작된 primer는 V. fluvialis에 종 특이성이 있으며 여러 Vibrio종으로부터 빠른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We have examined the 16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s(ISR) of Vibrio Fluvialis. ISRs were PCR amplified, cloned into a plasmid vector and then sequenced. As results of ISR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total of 6 clones were isolated depending on the size. The clones were different in both the number and the composition of the tRNA genes, and were designated ISR-A, ISR-E, ISR-E1, ISR-IA, ISR-EKV, ISR-EKAV. ISR-A contains tRNA^(Ala) ; ISR-IA, tRNA^(Ile)-tRNA^(Ala) ; ISR-EKV, tRNA^(Glu)-tRNA^(Lys)-tRNA^(Val) ; ISE-EKAV, tRNA^(Glu)-tRNA^(Lys)-tRNA^(Ala)-tRNA^(Val) ; ISR-E and E1, tRNA^(Glu) clusters. ISR-EKV was shown to be a minor type out of the six ISR tyoes and showed a very limited homology between ISR-EKV from V. Fluvialis and ISRs from other Vibrio species. Therefore ISR-EKV sequence was used to design species-specific primers to detect V. fluvialis from other Vibrio species by PCR reaction . The specificity of the primers was examined using genomic DNA of other Vibrios as Templates for PCR re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PCR can be a useful method to detect V. fluvialis among Vibrio species in a single PCR reaction.

      • KCI등재

        Vibrio fluvialis에 의한 균혈증 1예

        윤기호(Ki Ho Yun),김정호(Jung Ho Kim),김기방(Ki Bang Kim),윤희정(Hee Jung Yo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2

        Vibrio fluvialis는 바닷물 또는 해산물에서 발견되는 호염성 그람음성 간균이며 주로 설사 및 위장관염을 일으킨다. 저자들은 71세 남자가 2주 전 해산물을 먹은 후 V. fluvialis에 의한 균혈증으로 내원한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그는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혈액배양 검사에서 V. fluvialis가 확인되었고 수액 및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어 내원 11일째 퇴원하였다. Vibrio fluviali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illi usually found in sea water or seafood, and mainly cause gastroenteritis and diarrhea illness. We present a rare case of bacteremia caused by V. fluvialis in 71-years old man who has a history of sea food ingestion 2 weeks ago. He was admitted because of fever and V. fluvialis was isolated from blood. The patient was cured with fluid and antibiotics therapy and discharged after 11 days.

      • KCI등재후보

        Vibrio fluvialis에 의한 위장관염 1예

        권영일,오혜주,심현진,류재성,허정호,배용목,김정열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3

        V. fluvialis는 해수 및 담수에 서식하는 세균으로서 우리나라나 일본같이 해산물을 많이 섭취하는 나라에서 잘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한 예만 보고된 바 있고, 그 환자는 간신증후군으로 사망하였다. 저자들은 지난 8월 해산물 섭취력이 없는 39세 알콜성 간질환 남자 환자의 대변 배양검사에서 V. fluvialis에 의한 위장관염을 확진하였고 급성신부전으로 악화되었으나 치료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Vibrio fluvialis is one of the non-choler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causes gastroenteriti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f V. fluvialis infections worldwide. In the present report, one case of gastroenteritis caused by V. fluvialis which occurred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 in Korea is presented. This was a rare case of gastroenteritis caused by V. fluvialis in 39-years old man who had no history of seafood ingestion. He was admitted because of severe watery diarrhea and abdominal pain, and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The patient was improved after fluid and antibiotic therapy for 2 weeks.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Vibrio Strains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박선영,김지형,전진우,Park, S.Y.,Kim, J.H.,Jun, J.W.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 2020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2 No.2

        2019년 11월, 국내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뱀장어가 피부궤양 및 피부의 점상출혈 소견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련의 폐사는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되었다. Vibrio 속 균주 1E1-2는 첫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출혈성 복수에서 분리되었고 균주 2A3-1는 두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복수에서 분리되었으며 균주 3K1-2는 세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신장에서 분리되었다. 16S rRNA gene 시퀀스 분석으로, 분리균주 1E1-2와 3K1-2가 V. fluvialis NBRC 103150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fluvialis로 동정되었으며, 균주 2A3-1는 V. plantisponsor NBRC103148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plantisponsor로 확인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로, V. fluvialis 1E1-2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lantisponsor 2A3-1는 ciprofloxacin과 lev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fluvialis 3K1-2는 tetracycline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의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감염증 사례로, 의미 깊은 보고라고 할 수 있다. Continuous mortality in commercially cultu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showing symptoms of dermal ulcerations and focal hemorrhages on the body, occurred on a private farm in November, 2019 in Korea. A series of mortality had been described in one local eel culture farm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19. From the three cases, three isolates of Vibrio spp. were recovered from the blood, ascitic fluid, and kidney of the dead fish, respectively. Based on the 16S rRNA sequence comparisons, the Vibrio isolates from the 1<sup>st</sup> and 3<sup>rd</sup> cases (strain named 1E1-2 and 3K1-2) were identified as V. fluvialis and the isolate from the 2<sup>nd</sup> case was identified as V. plantisponsor (strain named 2A3-1). Moreover, the 16S rRNA-based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1E1-2 and 3K1-2 were most similar to V. fluvialis NBRC 103150<sup>T</sup>, and strain 2A3-1 was most similar to V. plantisponsor NBRC103148<sup>T</s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tibiotic resistance determination, V. fluvialis 1E1-2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 and was resistant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V. plantisponsor 2A3-1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ciprofloxacin and levofloxacin, and was resistant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V. fluvialis 3K1-2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d was resistant to ampicill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hese results have provided the evidences on the occurrence of antibiotic-resistant Vibrio infection in commercially cultured Japanese eels are pres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Vibrio fluvialis 유래의 hemolysin 정제와 생화학적 특성

        이종희,한정현,안선희,김선회,이은미,공인수 한국생명과학회 2002 생명과학회지 Vol.12 No.4

        Hemolysin (VFH) of V. fluvialis, which is a pathogenic bacteria, causing watery diarrhea with vomiting, abdominal croup, was purified. V. fluvialis was cultivated in BHI medium and the culture supematant was precipitated by ammonium sulfate. The protein was purified by chromatographies on columns of DEAE-cellulose and Mono-Q.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VFH was estimated as 79kDa by SDS-PAGE. The optimal temperature for a maximum hemolytic activity was at around 35$^{\circ}C$ and the activity was decreased at 4$0^{\circ}C$ Cytotoxicity of VFH was also investigated using RTG-2 cell line. LDH assay study showed that 50$\mu\textrm{g}$/m1 of VFH release 80% of total cellular LDH (lactate dehydrogenase) from RTG-2 cell and microscopic observation also showe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cell. 병원성 미생물인 Vibrio fluvialis로부터 hemolysin을 분리정제 하였다. 즉, hemolysin의 정제는 균 배양액을 황산암모늄,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하였으며 SDS-PAGE를 통해 그 단백질의 크기가 약 79kDa임을 알게되었다. 정제된 hemolysin (VFH)는 35$^{\circ}C$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고, 4$0^{\circ}C$에서는 그 활성이 감소되었다. RTG-2 어류유래 세포주에 hemolysin (VFH)의 처리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50$\mu\textrm{g}$의 VFH가 약 80%의 cell line을 사멸시켰다. 또한 현미경을 통한 관찰에서도 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Vibrio fluvialis의 Oligopeptide Permease Gene 결손에 의한 생육과 Biofilm 생산의 비교

        이은미,안선희,공인수,Lee, Eun Mi,Ahn, Sun Hee,Kong, In Soo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6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 No.2

        Vibrio fluvialis의 opp gene cluster내에 존재하는 oppABCDF 유전자를 allelic exchange 방법에 의해서 각각의 유전자가 deletion된 mutant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유전자가 deletion된 mutant의 확인은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으로 결정하였다. 각 mutant들을 BHI 배지에서 생육을 비교한 결과 배양후 4시간 이전까지는 wild strain이 모든 mutant들에 비해서 생육이 좋았으나 4시간 이후부터는 같은 수준의 생육을 보여주었다. Biofilm 생산을 비교한 결과 ${\Delta}oppA$ mutant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Delta}oppC,D,F$ mutant들의 biofilm 생산은 ${\Delta}oppA$ mutant 보다는 낮았으나 wild strain보다는 높은 biofilm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Various ${\Delta}opp$ mutants of Vibrio fluvialis were constructed by allelic exchange method. The mutants occurred in target genes were confirmed by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es. After the exact mutants were identified, cell growth and biofilm production were examined using the respective mutants. The growth of wild strain was more rapid than mutants within 4hr incubation. Thereafter, the growth of wild strain and mutants reached to same level. When the productivities of wild strain and mutants were examined, ${\Delta}oppA$ mutant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Though ${\Delta}oppC,D$ and F mutants produced the lower production than that of ${\Delta}oppA$ mutant, the productivities of those muta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wild strain.

      • KCI등재

        Vibrio fluvialis oligopeptide permease (oppA) 유전자 deletion에 의한 생리적 특성

        안선희,이은미,김동균,홍경은,박은미,공인수,Ahn Sun Hee,Lee Eun Mi,Kim Dong Gyun,Hong Gyoung Eun,Park Eun Mi,Kong In Soo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1

        Oligopeptide is known to be an essential nitrogen nutrient for bacterial growth. Oligopeptide can be transported into cytoplasm by a specific transport system, Opp system. Opp system is composed of five proteins, which are transcribed by an operon. These are responsible for oligopeptide binding protein (OppA), permease (OppB and OppC) and energy generation system (OppD and OppF), respectively. Previously, we isolated the opp operon from Vibrio fluvialis and constructed the oppA mutant by allelic exchange meth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pattern and biofilm production under the different growth condition. When the cells were cultivated using brain heart infusion(BHI) medium, the wild type was faster than the mutant in growth during the exponential phase. However, it showed that the growth pattern of two strains in M9 medium is very similar. The growth of wild type showed better than that of the mutant grown at pH 8. At pH 7, there was no an obvious difference in growth. After 5 mM $H_2O_2$ was treated to the cells $(OD_{600}=1.2)$, the cell survival was examined. The oppA mutation did not affect in survivability. In the presence of $10{\mu}g/ml$ polymyxin B, the biofilm production of the oppA muta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nitrogen source는 di-, tri-, oli- go-peptide 또는 amino acid의 형태로 세포내로 uptake되어 대사과정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peptide는 특이한 transport system에 의해서 이동되고 있는데 oligo peptide(Opp) transport system에는 binding protein, permease protein, energy 생성을 위한 ATP 분해에 관여하는 protein 이 관여하고 있으며 염색체 상에서 이들 단백질들은 operon 형태의 유전자로부터 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gram 음성 세균이며 수해양 서식 세균인 V, fluvialis로부터 얻어진 Opp operon 유전자 가운데 oligopeptide binding protein을 coding하고 있는 oppA 유전자가 deletion된 mutant를 사용하여 여러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을 wild type과 비교한 연구 결과 이다. 생육을 위한 완전배지인 brain heart infusion (BHI) 배지와 최소배지인 M9 minimal 배지를 사용한 결과 OppA protein의 생성 결핍에 따라 초기 및 대수증식기 과정 중에는 mutant의 생육이 늦어지고 있으나 Opp system이 아닌 다른 peptide전달 경로로 추정되는 system을 이용하여 대수 증식기 후반에서는 wild type과 거의 같은 생육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pH의 변화에 따른 생육은 pH 7에서는 생육정도가 비슷하였으나 약알칼리 부근에서는 oppA mutant의 생육이 wild type에 비하여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5 mM $H_2O_2$를 사용하여 $OD_{600}=1.2$농도의 세포들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두 균 모두 높은 생존율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대수증식기 세포들을 사용한 결과와는 매우 다른 형태를 보여 주고 있었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는 mutant가 streptomycin과 tetracycline 에 대해서는 wild type과는 다르게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생육이 되고 있지 않으나 polymyxin B에 대해서는 wild type과 같이 $10{\mu}g/ml$의 농도에서도 잘 자라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화학요법 치료 중인 암 환자에서의 Vibrio fluvialis 균혈증 2례

        고은미,김창기,김명숙,김신무,박승우,정현철,용동은,이경원,정윤섭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07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10 No.2

        Vibrio fluvialis is a hap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normally found in coastal water and seafood and causes gastroenteriti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n V. fluvialis gastroenteritis in Korea, but no previous report of isolation from blood. We isolated V. fluvialis from the blood of two patients undergoing cancer chem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