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ESG 사회적요인이 판매직 여성노동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경자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rporate ESG social factors such as monthly income, employment type, workplace size, household income contribution, job satisfaction, and union presence on the health effects of 2,885 female sales work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nswer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labor union, work satisfaction, and household income-expenditure bal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status of female sales workers. Although no health problems were identified in non-regular workers compared to regular workers, it was confirmed that regular workers were indirectly good for their health due to higher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female sales workers, if they are part-time workers, if they answered that there is no union, if the household income-expenditure balance is difficult, and if they contribute equally to households or if the contribution is low, it is confirmed that their job satisfaction deteriorates, which indirectl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health. .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work satisfaction, household income-expenditure balance, freedom of association, and employment type, which are ESG social facto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health of female work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the meaning of corporate ESG social factors as a policy alternative to the shortage of working age population in a super- aged society if a policy to improve the health of female workers through corporate ESG social factors was made through this study. 본 연구는 2,885명의 판매직 여성 노동자의 건강 영향에 대해 기업의 ESG 사회적 요인에 해당하는 월수입, 고용 형태, 사업장 규모, 가구 소득 기여도, 직업 만족도와 노동조합 유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판매직 여성 노동자의 건강 상태에는 노동조합의 유무에 대한 답변, 근무 만족도, 가계수입-지출 균형 여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의 건강상 문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정규직이 근무만족도가 높아 간접적으로 건강에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매직 여성 노동자의 경우 비정규직인 경우, 노조 없음으로 답한 경우, 가구 수입-지출 균형이 어려운 경우 그리고 가계에 동등하게 기여하거나 기여가 낮은 경우에는 근무만족도 나빠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간접적으로 건강상 부정적 영향을 준다. 이처럼 ESG 사회적 요인에 해당하는 근무만족도, 가계 수입-지출 균형, 결사의 자유, 고용형태 등이 여성 노동자의 건강에 직.간적접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ESG 사회적 요인을 통한 여성 노동자의 건강 향상을 위한 정책이 이루어진다면 초고령 사회의 생산 가능 인구 부족에 대한 정책대안으로 기업의 ESG 사회적 요인의 의미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통 서비스업 여성비정규직 노동의 성격과 차별 양상에 대한 연구

        최인이(Inyi Choi)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1

        본 논문은 대표적인 유통서비스업의 하나인 백화점 사업장에서 관찰되는 간접고용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 현황과 이들의 노동생활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화점의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사례는 성별 직무분리의 원칙이 적용되는 내부노동시장과 노동과정상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 그리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구별에서 발생하는 차별의 양상이 중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남성 정규직 대 여성 정규직 그리고 여성 정규직 대 여성 비정규직의 그리고 심지어 여성 직접고용 비정규직 대 간접고용 비정규직이라는 매우 복잡한 고용관계 상의 위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백화점에서 근무하는 간접고용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은 고용위계상 가장 하층에 위치하면서 제도적 차별과 사회적 차별, 그리고 노동조합 활동에서의 차별 등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도적 차별은 고용안정성, 임금, 근로조건, 교육 등 내부노동시장 시스템을 통해 나타나는 차별을 의미하며, 사회적 차별은 중요한 업무로 인식되지 않는 주변업무 중에서도 한차례 더 분리되어 외주화된 직무에 배치되어 일함으로서 겪게 되는 일터에서의 차별과 사회적 고립을 의미한다. 노동조합 활동에서의 차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불안정한 고용상태로 인해 조직화가 불가능한 조건 속에서 원청기업의 노동조합으로부터도 전혀 노동권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차별의 양상들은 최근 제기되고 있는 노동시장의 양극화 현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2007년 7월 비정규직법 시행이후 증가하고 있는 간접고용의 증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생활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려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불안까지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purposes to analyze the employment relations and the work-life of female nonstandard workers who are indirectly employed as the outsourcing workforce by department stores. The case of female nonstandard workers in the department stores shows that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female workers is shaped by both the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exclusion of nonstandard workers. In the department stores, a complicated hierarchical structure has been produced by the types of employment, such as male standard workers, female standard workers, female nonstandard workers who are directly employed, and outsourced female workers. Outsourced female workers in the department store have experienced both the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nd the social discrimination. The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is caused by the inequality in the wage, working conditions, promotion system, and education while the social discrimination is generated by the exclusion of outsourced workers from social relations in the workplaces and from the union organized by standard workers. The discrimination against outsourced female workers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increasing bipolariza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According to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 of the outsourcing workforce after the enactment of the bill on nonstandard workers aggravates the livelihood of nonstandard workers, the bipolarized labor market, and the status of standard workers.

      • KCI우수등재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

        김서현(Kim, Seohyun),이미진(Lee, Mi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불안정성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이 크게 확대했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맞물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직무경험을 젠더적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성 역시 대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토대를 두어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해 질적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 5명이다. 1인당 4~5회기의 심층면담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발견했다. 이는 “사회의 틀 맞춰 갖추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옷”, “여성으로 감당하기 당혹스러워도 의연하게 클라이언트 응대하기”, “성별로 나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위의 경계”, “여성으로서의 사생활과 정신건강 직무의 뒤엉킴”, “걸림돌 딛고 일궈내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과 같았다. 대주제는 “여성 역할 물결 따르며 전문직 사명의 파고 높이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를 위한 전문성 향상 방안을 포함하여 성인지적 직무상황 개선과 직장 내 양성평등 확산 등에 관해 제언했다. As mental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also expanded greatly. Moreover,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the need to examin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rom a gender perspective is on the rise. Base on this trend,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to five in-depth interviews per person and analyzed using Giorgis (1985)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five essential themes: “the facade of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hich is expected to suit the expectations of the society,” “being responsive to the clients without a trouble even if its embarrassing to handle as a woman,” “boundari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are divided by gender,” “tangle of the womens privacy and mental health related jobs,” and “growth as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have overcome obstacles.” The main theme was “following the flow of women’s roles and heightening the professional mi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e job situations and the expan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ncluding the plans to improve professionalism for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KCI등재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의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매개효과 분석

        김복태,이계만,박범준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emale workers’ role ambiguity on job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female workers in the social economy field, and a three-step media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 role ambiguit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actor was shown to mitigate the negative influence than when the parameter was not inclu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finding a support plan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le reducing the role ambiguity of the female workers’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reduce role ambiguity, research on job analysi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field and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job analysis capabilities were suggested for middle managers. Second,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voluntarily proposed a high-level upgrade of the exis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t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or government agencies. Fi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women’s human resources are expanding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it was also suggested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for women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의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관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당 자료를 활용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독립변수인 역할모호성은 매개변수 인적자원개발 및 종속변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개발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수인 인적자원개발요인은 매개변수를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부(-)의 영향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적경제 조직 구성원의 역할모호성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지원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피력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역할모호성을 줄이기 위하여 사회적경제분야의 직무분석관련 연구 및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분석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제언하였다. 둘째, 사회적경제 조직이 자발적으로 조직간 연합 또는 정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관련 컨텐츠 개발을 통해 기존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프로그램의 고차원화를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 분야에 여성 인적자원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근로자 대상으로 인적자원교육훈련기관을 설립하는 방안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서전을 통해서 본 여성노동자의 삶과 심성세계 : 20세기 전환기 독일과 1970, 80년대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현백 ( Jung Hyunback ) 한국여성사학회 2004 여성과 역사 Vol.- No.1

        This paper seeks to restructure the lives and mentalities of female workers during industrialization, through analyzing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e autobiographies of the german case at the turning point of the 20th century arid the korean case in the 1970s and 80s. The female workers of both countries were located in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In Germany, the female workers were used as labor force sporadically, but in South Korea they were the major figures in industrialization of light manufacturing industry. German autobiographies showed mainly their poverty, suffering of unemployment, family relations and everyday life. As for sexual life, they had relatively free relationships which derived from tradition of agricultural areas and was not influenced by bourgeoisie norms. Also, social democratic subculture offered the hope of a rosy fume society and closely communicated with female worker`s everyday life. In contrast, the autobiographies of South Korea describes the strong labor control on female worker which included not only physical violence, but also artificial operation of social discourse by using Confucianism ideology. However they escaped from their wondering between inferiority complex and petit-bourgeoisie ambition and experienced their own self-realization, as they took part in the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But these organized female workers also accepted the social discourse of feminity and chastity more faithfully than in Germany.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4 No.-

        여성근로자에 대한 건강보장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권에 기인한 보편적 건강보장권 및 근로권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남성근로자에 대별하는 국가의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의무를 그 헌법적 근거로 하여 권리내용이 구체화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불황과 일자리부족 등의 노동문제를 비롯하여 이와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과거 산업부흥기로 대별되던 시기에 이루어져 온 사회법영역에 있어서의 여성근로자 보호 차원에서의 건강보장을 구성하는 단순 법리로 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과거 사회법영역에서 규정되던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이 남성에 대한 여성 보호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그 보호법리가 구성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법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치중하였다면, 현재는 노동현실의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모성 보호의 구체적 한계를 설정하는데 그 역량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은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건강보장의 의의 뿐만 아니라 모성기능의 발현을 통하여 건전하고 지속적인 세대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의의를 동시에 가지므로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 보호는 곧 모성보호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특별 보호는 그 구체적 권리내용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에 대한 보호의 내용을 개별 보호영역의 세분화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호의 필요성에 근거한 입법은 자칫 보호의 과잉으로 이어져 역차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는 여성근로자의 건강 보장을 위한 최대범위 설정의 기준이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대우의 원칙의 예외로서의 최소허용범위 기준과 대체로 일치되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즉, 모성보장권의 구체적 권리내용의 규정 시, i)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 보호를 위한 건강보장수준이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이 어렵다는 점, ii)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을 위한 조치가 곧 모성보호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증명이 어렵다는 점, iii) 여성근로자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보호하기 위한 근로조건의 수준이 여성근로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의 입법과제를 인지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관하여 여성 보호 필요성의 관점이 아닌 성인지적 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increased activity of female worker in the area of labor activity according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social law is developing to protect the health of female worker. Especially, health protection of female worker with maternal function results from the right to health and the right to work of all by the human right, also its content of the right is materializing through the specific identifications on a basis of the special duty of state toward female worker. Protection on the health of female worker contains not only the meaning of individual health protection on female worker but also a national significance for keeping up wholesome and continuous generation. After all, special protection on the female worker is concluded in special protection of maternity. On the other hand, maternity protection by the special protection for the health of female worker includes some limitations as to the contents of a unified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for maintaining of maternity and exhibition of maternity. Thus, the standards of the maximal extent for the protection of maternity and the standards of the minimum range as an excep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must coincide to protect the health of female worker.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미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ffec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work-family confli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any married female social welfare work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ombination of work and family work, but lack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Accordingly, the Busan Metropolitan Council for Social Welfare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ed 170 married women's. This study analyzed using Baron and Kenny’s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had experienced behavior-based conflicts were higher another variable(time-based conflict, stain-based conflict). And the degree of workplace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effect of workplace-home conflicts (time confli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social welfare workers, the less important the job-home conflict (time conflict) is, but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 more important the job-house conflict (time conflict) will have to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본 연구는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정 갈등 정도를 살펴보고,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수의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은 직장과 가정일의 병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지만, 여성인력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조직적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에 소속되어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혼여성사회복지사 1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조절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은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변인들 중, 행동갈등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만족 정도는 직장-가정 갈등(시간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기혼여성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시간갈등)이 덜 중요하지만, 직무만족이 낮은 사람은 직장-가정갈등(시간갈등)이 조직몰입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 생애사적 접근

        김서현,임주원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복지연구 Vol.54 No.3

        이 연구에서는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가 어떠한지를 질적 탐구하려고 했다. 연구질문에 답하고자 한 인간의 삶의 면면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적합한 단일사례 기반의 생애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 선정 조건에 부합하는 중년여성 사회복지사 1인과 약 9개월 이상 총 20시간 이상에 걸쳐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했다. 연구주제의 면밀한 탐구를 위해 자료수집과 분석에는 Schütze가 제안한 바 있는 이야기식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는 총 16개 하위주제 및 4개의 상위주제와 더불어서 드러났다. 이중 상위주제는 “자양분처럼 사회복지사인 지금을 북돋는 위태롭던 젊은 날”, “생의 저점 딛고 일어나 사회복지로 이끌린 온 마음”, “가정 꾸리기 어려워도 사회복지현장 지켜가며 다지는 새 인생의 자리”, “완전하게 기능하는 사회복지사로 풍성히 채울 남은 삶”과 같았다. 최종적으로 확인한 연구참여자의 직업을 통한 삶의 의미 변화는 “아줌마란 틀 벗고 사회복지실천으로 이롭게 만개해가는 ‘나’로서의 여정”이라는 중심주제 아래 재해석되었다. 끝으로, 연구에서의 발견점에 기반을 두어 40대에 사회복지사가 된 중년여성의 직업적 역량 개발과 직무환경 개선, 이미지 환기 및 역할 중요성 재고 등을 목적으로 제언했다. This study would qualitatively explore changes in the meaning of life in a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was through her professio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 single-case life history study was conducted, which is suitabl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uman life aspect, and individual a single middle-aged female social worker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tudy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in depth for a total of more than 20 hours over a period of about 9 months. The narrativ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proposed by Schütz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explore the research topic in detail. This study resulted in a total of 16 subthemes and 4 superordinate themes, along with changes in the meaning of life concerning the profession of a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The superordinate themes were “the precarious youthful days that nourished the present as a social worker like nourishment,” “the whole heart drawn to social work after rising from the low point of life,” “the new life position established by protecting the social work field even if it was difficult to raise a family,” and “the rest of life to be filled with abundance as a fully functioning social worker.”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profession finally confirmed was reinterpreted under the central theme of “the journey of ‘me’ who sheds the frame of ‘middle-aged woman (ajumma)’ and beneficially blossoms into a social work practice.” Lastl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middle-aged woman who became a social worker in her 40s,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evoking their image, and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 한.중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사회적 지지 및 일-가정갈등을 중심으로

        Hu Shuyao,김경신(Kyeong Shin Kim)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0 生活科學硏究 Vol.30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burnou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in Korea and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 general tendency of burnout and examined differences in a general tendency of burnout between two countries at first. Second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evant variables on burnout, then submit proposals to reduce their burnout. Method: To achieve this, 287 data were collected from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by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in Gwangju, Korea and Qingdao, China. Results: the general tendency of its relative variables and group difference showed lower scores than a median in two countries. According to group difference, Chinese group showed a lower mean score in burnout than Korean group. The number of children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only in Korean group. Social support, work-family conflic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in two countrie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welfare policies of women social workers.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burnout by comparing the outcomes between two countries.

      • KCI등재

        사회적기업 여성 근로자의 고용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 충남 지역 인증사회적기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수영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인증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여성 근로자들이 사회적기업의 여성 고용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계량적으로 검증하여 고용 정책적 함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예측변인 가운데 연령, 학력, 경제수준, 회사의 근무조건 개선에 대한 신뢰도, 고용 안정성, 젠더 친화성은 양(+)의 관계를 반면에 이전 직무와의 관련성, 취업경로는 음(-)의 인과관계를 보였다. 인구·사회적 속성은 연령, 학력과 같은 고정변인이, 취업상태와 관련 경험은 취업관련 경험 변인이 그리고 주관적 노동조건 인식은 노사 간 신뢰가 전제된 변인들이 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회적기업에서 일하는 여성 근로자들은 자신들의 실제적 고용조건 보다 주관적 체감도인 지각(知覺)적 요인들을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서 보다 영향력 있는 변수로 인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effects of female workers at social enterprises and to suggest what employment political implication and policy agenda social enterprises could have as a rite of passage of female's labor market. Among prediction factor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y level, reliance on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employment stability, and gender friendliness, while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in connection with the job performance of previous workplace and employment paths. In specific, affecting factors mostly were 1) variables fixed such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erms of demographical feature, 2) variables of experience related with employment in terms of the state of employment and related experience, and 3) variables with the premise of trust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in terms of subjective awareness of labor condition. Specially, the impact of femal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from female working for social enterpris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ubjective criteria such as factors of awareness·perception more rather than by worker's employment condition in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