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팩트체킹 인공지능 기술과 사실성의 역학 : 현장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 분석

        박소영,이정현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4

        ‘Fact-check’ has drawn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rapidly distribu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response, the number of fact-checking organizations as well as news outlets that try to emphasize fact-checking practices in the news production process has also increased in Korea. Since the late 2010s, attempts to automate fact-chec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have developed with government-backed financial support. However, up to date, the social discourse on the necessity, limitations, prospects, and direction of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ies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Facing this issu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prospects of national AI fact-checki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wo representative fact-check institute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overnment policy documents and published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Korean AI fact-checking technology is currently stuck in an unfriendly research environment, including a lack of national research support and a lack of high-quality Korean data, which has turned into a politicized debate.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at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find consensus among various stakeholders on the role and scope of AI in the fact-checking process.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factcheck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accompanied by a mature social discourse given the subjectivity and politics inherent in fact-checking, a domain of social interpretation with embedded values and contextual infor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xplore alternative governance systems to ensure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of fact-checking, and calls for self-reflection by all members of society to establish the fact-checking process as a virtuous cycle. This means that we all need to establish the correct perception of what constitutes a "fact," implement appropriate practices in the actual fact-checking process, and most importantly, respect and accept the fact-checking results presented without being bound by partisanship to further solidify the socio-cognitive foundation for a healthy social debate. All in 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sociotechnical discourse within the topography of various actors in the realm of the fact-checking ecosystem, thereby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AI fact-checking technologie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ocum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rial and error of national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y and raises the issue of overly politicized or blindly focused development of AI fact-checking research and regulation in Korea without mature social deliberation.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잘못되거나 왜곡된 정보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빠르게 유통, 소비되면서 ‘팩트체킹(fact-checking, 사실 확인)’이 대응책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팩트체크 전문기관이 등장했고 팩트체크 관행을 뉴스 생산 현장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언론사 수도 증가해왔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팩트체킹을 자동화하려는 시도가 발전해 왔다. 하지만 정작 국내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 개발의 필요성, 한계, 전망, 방향성 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는 사회적 담론으로 충분히 생산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에 문제 의식을 갖고 팩트체크 현장에의 참여 경험이 있는 이해관계자를 인터뷰함으로써 국내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크 기술의 현황, 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다. 국내 팩트체크 전문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7인의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고,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킹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부기관의 기술개발 지원 현황과 학계 발표 연구 등을 현상 분석했다. 연구 결과, 현재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은 국가적 차원의 연구지원이 소모적 정쟁 속에서 정치적으로 변질되고, 양질의 한글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비우호적인 연구환경 속에서 연구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음이 드러났다. 현장 참여자들은 팩트체킹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합의점을 찾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치와 맥락 정보가 내재된 사회적 해석의 영역인 팩트체킹에 내재된 본질적인 주관성과 정치성을 감안해 기술 개발 과정에 사회적 합의가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팩트체크 생태계 내에서 실제 활동 중인 참여자들의 시각을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데 일조하고, 다양한 행위자의 지형도 안에서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인공지능 기반 팩트체크 기술 개발 과정과 시행착오를 기술사의 일부로 기록하여 남기고, 사회적 숙의 과정을 거친 인공지능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 팩트체크와 ‘사실성’의 기술사회적 정의

        이정현(Jeonghyun Lee),박소영(Soyoung Park) 한국언론학회 2024 한국언론학보 Vol.68 No.4

        There has been a continuous movement to automate fact-check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s a countermeasure to the widespread production and rapid dissemination of misinformation, disinformation, and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owever, this approach often appears to be a technology-centric solution with lacking two key perspectives. First, it proposes AI in the fact-checking process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and methods for AI implementation in the fact-checking process. Second, the current approach lacks an understanding of how factuality is negotiated and constructed within fact-checking process performed by AI. This paper addresses these issues by examining how AI, as a ‘technology’ of fact-checking, constructs ‘fact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I fact-checking technology cases. This paper explores how the ‘factuality’ constructed by AI fact-checking differs from the ‘factuality’ provided by traditional fact-checking journalism, which has historically shaped social reality by verifying and adding facts. To achieve this, the paper reviews AI fact-checking technologies presented by globally certified fact-checking organizations as of October 2023. The sources come from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IFCN) and AI fact-checking technology cases published in an online database created by the Rand Institute in the U.S., aimed at fighting disinformation. Based on the objectives of each technology and how they are set up, this paper categorizes the AI fack-checking technology cases into: 1) detection of claims, 2) evidence extraction and verification of claim truthfulness, and 3) detection and control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patterns. This paper then critically examines how each type of technology socially constructs ‘factuality’ compared to the ways in which the traditional journalism approach has defined ‘factuality.’ In sum, AI fact-checking involves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external ‘objective facts and their requirements are defined in technically sensible ways, and the machine ‘filters’ and ‘matches’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it meets these criteria. Ultimately, this process reconstructs the nature of facts within the ‘requirements of facts that the technology can construc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move beyond the current focus on whether AI technology can be adopted or implemented, and instead calls for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pecific conditions and methods under which AI is deployed within the context of fact-checking. This study reveal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that the definition of ‘fake news’ becomes highly ambiguous, depending on which aspects of the complex fact-checking process are automated by AI, and that the concept of factuality, traditionally emphasized in journalism, can also be subject to political (re)definition.

      • KCI등재

        자동화된 사실 확인(fact checking) 기술(technology)의 현황과 한계

        오세욱(Se-Uk, Oh)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3

        페이크 뉴스 등으로 인한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가 되면서 ‘사실 확인(fact checking)’이 그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인력이 문제가 되는 사실을 확인하는 기존의 ‘사실 확인’ 방식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많은 양의 사실들이 등장하면서, 컴퓨터 등 기술의 힘을 빌려 자동으로 사실을 확인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 글은 자동화된 ‘사실 확인 기술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식 기반 방식, 맥락적 방식, 형식 기반 방식, 기계 학습 방식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설명했다. 또, 각각의 방식 사례로 구글의 지식 금고, 지식 그래프, 구글 뉴스의 ‘팩트 체크’ 라벨, 클레임버스터 등을 제시하고 현재 시점에서 한계점을 분석했다. 현재 단계에서 자동화된 ‘사실 확인 기술들은 방대한 정보의 빠른 처리를 통해 인간의 최종적인 사실 확인을 도와주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확인해야 할 텍스트 양의 증가, 편견의 배제, 뉴스 유통의 플랫폼화 등으로 인해 특정한 사실의 사실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단지 기계적으로 처리했다고 해서 그 내용이 초당파적이거나 사실임을 입증하지는 않는다. 이 글은 기계 또는 기술이 수행한 결과에 대해서도 ‘사실 확인’이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서 기술의 투명성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As fake news is becoming a global issue, ‘fact checkin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However, too many facts have emerged to deal with the traditional ‘fact checking’ approach that is done in a way that a few human workforce confirm the fact.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utomatically check the facts by borrowing the power of technology such as a computer. This article described how the automated ‘fact checking’ techniques are working in four different ways: knowledge based, contextual, style based, and machine-learning. And this article presented example of each way(Google’s knowledge base, Knowledge graph, Goole’s ‘fact checking’ label, Claimbuster) and analyzed the limit at current point. As a result, the automated ‘fact checking’ technologies can be said to help people to confirm their final facts through rapid processing of vast amounts of information. Finally, this article argued that ‘fact checking’ is necessary for the results of automated ‘fact checking’, and pointed out that technology transparency is required.

      • KCI등재

        사람들은 언제 팩트체크를 믿는가?: 검증 주체와 확증 편향의 영향

        이은주,김현석,이종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3

        An online experiment (N = 504) investigated how fact-checking agent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gent vs. experts vs. crowdsourced individuals) and confirmation bia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fact-check messages, in terms of acceptance of verdicts, perceived credibility of fact-check messages, and intentions to share fact-check messages. Results demonstrated the robust operation of confirmation bias, such tha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accept the verdict, evaluated the message as more credible, and were more willing to share the fact-check message that was politically congruent (vs. incongruent) with their political ideology. Moreover, the effects of fact-checking agent on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and sharing intention varied depending on the message congruence. With incongruent verdicts, AI-generated fact-check messages elicited more favorable reactions than those by experts, whereas no agent effect was observed with congruent verdicts. Furthermore,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message congruence, fact-checking agent, and belief in AI heuristic emerged for the acceptance of verdict and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Specifically, AI fact-checker (vs. crowdsourced fact-checkers) attenuated the confirmation bias in the acceptance of verdict, but such a tendency was found only among those with stronger belief in AI heuristic. For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however, the tendency for AI fact-checker (vs. experts) to mitigate the confirmation bias was more evident among those with weaker belief in AI heuristic. 이 연구는 팩트체크 검증 주체와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메시지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N = 504). 구체적으로, 동일한 팩트체크 메시지에 대해 팩트체크를 사람(전문가 혹은 크라우드소싱)이 수행했다고 안내받았을 때와 인공지능이 수행했다고 안내받았을 때 이용자들의 판정 결과 수용 정도, 메시지 공신력 평가 및 공유 의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일치하는 판정 결과를 제시하는 팩트체크 메시지에 대해 우호적으로 반응하는 확증편향이 언제 강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봤다. 연구 결과, 첫째, 팩트체크 메시지의 효과성과 관련해 확증 편향이 견고하게 작동했다. 참가자들은 팩트체크 메시지의 판정 결과가 자신의 정치 성향과 일치할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판정 결과를 더 잘 받아들였고, 메시지의 공신력을 더 높게 평가했으며,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과 더 적극적으로 공유하고자 했다. 둘째, 팩트체크 주체가 메시지 공신력 평가와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판정 결과의 정치 성향 일치도에 따라 달라졌다. 판정 결과가 자신의 정치 성향과 불일치할 때는 전문가 팩트체크 메시지보다 인공지능 팩트체크 메시지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일치할 때는 팩트체크 주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판정 결과의 정치 성향 일치도, 팩트체크 주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 사이의 삼원상호작용이 판정 결과 수용 및 메시지 공신력 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판정 결과 수용에 있어서는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주체가 인공지능 혹은 전문가일 때 크라우드소싱일 때보다 약화되는 경향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두드러졌다. 반면, 메시지 공신력 평가와 관련해서는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주체가 인공지능 또는 크라우드소싱일 때 전문가일 때보다 약화되는 양상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이 약할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정은령(EunRyung C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언론계에 새로운 흐름으로 대두된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성격을 팩트체크를 수행하는 언론인들의 사실 인식과 사실 검증 과정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팩트체크 저널리즘을 1년 이상 수행한 기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연구결과,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사실이 기존의 발표기사, 발생기사가 다루는 사실과는 다른 층위의 사실이며 현재의 뉴스 생산 환경에서는 이중 층위의 사실이 뉴스룸 안에서의 역할분담을 통해 동시에 추구될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객관성을 추구하지만, 검증대상을 선정할 때 소속사나 기자 개인이 갖고 있는 편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진술했다. 팩트체크 기사의 서술양식으로는 기존의 역피라미드 구조와는 달리 기승전결의 맥락을 가진 해설형 기사가 채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언론 상호간의 교차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 견제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한국 언론의 관행에 제기하는 함의를 검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fact check journalism, a rising trend in the Korean news industry, with a focus on investigating fact check journalists’ perception of facts and the processes they use to verify fact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fact-checking for at least one year. This study found that fact check journalists perceive the “facts” that fact-checking journalism aspires to obtain as belonging to a different level from the facts that conventional event centered reporting provides. The fact check journalists insisted that in the current news production environment, journalists ought to simultaneously provide both levels of facts by distributing roles within the newsroom. While fact check journalists aimed to maintain objectivity, they stated that, when selecting items that they will fact check against, they are not free from their personal biases or their company’s policies. With regard to the form of fact-checking articles, many fact check journalists chose the interpretive style that provides the conclusion at the en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inverted pyramid style. Lastly, fact check journalists predicted that fact check journalism will create a positive effect of checks-and-balances among news outlets by enabling cross verifications of news articl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fact check journalism against the conventions of the Korean news industry were discussed.

      • KCI등재

        언론의 자유와 ‘팩트체크’(fact check)

        장영수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In the responsible media, it is important to be confident in the content coverage and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 to be reported as promptly as possible. Therefore,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fact checking in media. However, there are a few cases where the facts are not properly checked in the contentious competition, and there is a lot of unverifi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that fill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SNS, which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is also a blind spot for fact checks.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said that the korean government will lead the war against fake news beyond the autonomous fact checking of the media. That's because the fake news problem is so serious. However, there are also worries that it may seriously infringes the freedom of the speech. There are various prospects for how future war against fake news will be developed, how fact check will develop, and how the role of government and court will chan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spread of fake news through the Internet and SNS will not stop for the time being, and the fact check for catching up on fake news will also expand and strengthen. The front line of the war against fake news is the media, and the most important weapon of war is the autonomous fact check. Although there are examples of using legal action, such as the German “Network Enforcement Act”, its role is very limited and complementary. If the problem can not be solved through the fact check, it is inevitable to resolve it through the judgment of the court.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method beyond the fact check in order to promptly block the flaws of fake news in a short time. In the event that sanctions are imposed, there will be serious violations of freedom of speech. It is not desirable to stimulate the concerns of the press freedom infringement by bringing the government to the front in the war against fake news. The war against fake news should not undermin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should not assume any role other than indirectly supporting the autonomous fact check of the media. In order to avoid foolishness to undermine the freedom of the press in order to catch fake news that is parasitic on freedom of press, it is the right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to step back and strengthen the autonomous fact check of media. 책임 있는 언론매체에서는 치열한 취재 경쟁과 신속한 보도에 못지않게 보도하는 내용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매체들에서는 팩트체크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하지만 분초를 다투는 취재경쟁 속에서 팩트가 제대로 체크되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으며, 더욱이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채우고 있는 정보들 중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무수히 많다. 또한 최근 그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SNS 또한 팩트체크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넘어서 정부-여당이 앞장서서 가짜뉴스와의 전쟁에 나서겠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오죽 가짜뉴스 문제가 심각하면 그럴까 싶으면서도, 과연 이런 일에 정부-여당이 나서는 것이 바람직할까, 오히려 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도 적지 않다. 향후 가짜뉴스와의 전쟁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팩트체크가 어떻게 발전될 것인지, 나아가 정부와 법원의 역할은 또 어떤 변화를 보일 것인지에 대해서 다양한 전망이 가능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으로도 당분간 인터넷과 SNS를 통한 가짜뉴스 확산은 멈추지 않을 것이며, 가짜뉴스를 잡기 위한 팩트체크 역시 확대⋅강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치르는 최전선의 담당자는 언론매체이며, 전쟁을 치는 가장 중요한 무기는 자율적 팩트체크이기 때문이다. 비록 독일의 「네트워크 법집행 개선법」처럼 법적 조치를 동원하는 예가 있어도 그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고, 보충적이다. 팩트체크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경우에는 법원의 판단을 통한 해결이 불가피할 것이지만, 가짜뉴스의 폐해를 적기에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팩트체크 이상의 방법을 찾기 어려우며, 정부가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이에 대한 제재를 가하게 될 경우에는 언론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에 정부가 전면에 나섬으로써 언론자유 침해의 우려를 자극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이 언론자유를 위축시켜서는 안될 것이며,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간접 지원하는 것 이외의 역할을 정부가 담당하려 해서는 안 된다. 언론자유에 기생하는 가짜뉴스를 잡기 위해 언론자유 자체를 훼손하는 어리석음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한 발 물러서고,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강화시키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News Article Identification Methods with Fact-Checking Guideline on Artificial Intelligence & Bigdata

        Kang, Jangmook,Lee, Sangwon The International Promotion Agency of Culture Tech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build fake news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fact-checking guidelines. In other word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system for identifying fake new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Fact-checking guidelines. Specifically planned guidelines are needed to determine fake news that is prevalent these days, and the purpose of these guidelines is fact-checking. Identifying fake news immediately after seeing a huge amount of news is inefficient in handling and ineffective in handling. For this reason, we would like to design a fake new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 fact-checking guidelines to create guidelines based on pattern analysis against fake news and real news data. The model will monitor the fact-checking guideline model modeled to determine the Fact-checking target within the news article and news articles shar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sites. Through this, the model is reflected in the fact-checking guideline model by analyzing news monitoring devices that select suspicious news articles based on their user responses. The core of this research model is a fake news identifica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e authenticity of this suspected news article. So, we propose news article identification methods with fact-checking guideline on Artificial Intelligence & Bigdata. This study will help news subscribers determine news that is unclear in its authenticity.

      • KCI등재

        19대 대선관련 뉴스에 대한 언론사별 팩트체킹 분석- 2017년 저널리즘 공정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최영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2017년 제19대 대선과 관련하여 TV 방송사와 신문사들이 자체적으로 시 도한 팩트체킹에 대한 분석을 재점검하여 저널리즘의 공정성에 대해 탐색해 본 것이다. 총 250건의 팩트체킹 시도를 살펴본 결과, 중앙일보의 팩트체킹이 62건(24.08%)으 로 가장 많았고 TV 방송사 중에서 SBS 방송뉴스가 39건(15.60%)을 차지하였다. 매체 내에서 보수성향의 매체가 106건(64.63%)으로 진보성향의 매체 58건(35.37%)보다 더 많은 기사량으로 팩트체킹에 나섰다. 방송사에서 대선 후보자의 직접 발언(총27건)을 검증해 본 결과, 홍준표 후보 발언 은 15건(55.56%)이며 그중 13건(86.67%)이 거짓이었다. 진보성향 매체들이 확인한 전 체 후보군 팩트체킹(41건)에서 홍준표 후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사는 3건(7.32%)이었고 상대후보(문재인, 안철수)에 대한 기사는 32건(78.04)을 차지했으며 그중 16건(50.00%) 이 거짓이었다. 총17건의 후보자 직접 발언을 검증해 본 결과, 11건(64.70%)이 홍준표 후보의 발언이며 이중 9건(81.82%)이 거짓으로 나타났다. 보수성향 매체들이 확인한 전체 후보군 팩트체킹(77건)에서 홍준표 후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사는 5건(6.49%)이었 고 상대후보(문재인, 안철수)에 대한 기사는 46건(59.74%)이었으며 홍준표 후보 관련 뉴스는 거짓이 0건이고 상대후보 기사는 16건(20.78%)이었다. 또한, 총29건의 후보자 직접 발언에 대하여 16건(55.17%)이 홍준표 후보의 발언이며 검증결과사실이 4건 (25.00%), 절반사실 6건(37.50%), 거짓이 6건(37.50%)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안철수 후보의 직접 발언 검증은 없으며 문재인 후보의 발언 13건(44.83)에 대한 검증결과, 사 실 4건(25.00%), 거짓 5건(31.25%), 절반사실 3건(18.75%), 논란중 1건(6.25%)으로 나 타났다. 결론적으로, 후보자 정치성향으로 볼 때 홍준표 후보 보수진영에서 상대후보에 대 한 가짜뉴스는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검증결과는 대부분 거짓이었다. 홍준표 후보의 직접 발언은 대부분 거짓이었으며 보수성향 매체들은 팩트체킹을 통하여 홍준표 후보 지원을 실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journalism fairness, focusing on analysis of fact-checking that television broadcasters and newspaper companies attempted, which is related to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s a r esult of r esearching a t otal o f 250 fact-checking, the JoongAng I lbo had the largest number of fact-checking, which is 62 cases (24.08%), and SBS among the television broadcasters had the largest number of fact-checking, which are 39 cases (15.60%). Within the media, conservative newspapers conducted the more fact-checking with more articles as many as 106 cases (64.63%) tha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news papers as many as 58 cases (35.37%). As a result of verifying direct statements of president candidates, which are 27 cases, statements of a candidate, Hong Joon-Pyo, were 15 cases (55.56%) and 13 out of them were lie (86.67%). I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media, which are 41 cases, there were 3 articles (7.32%) to aim at Hong Joon-Pyo, and there were 32 articles (78.04%), dealing with opposite candidates (Moon Jae-In and Ahn Cheol-Soo), and 16 cases out of them (50.00%) were lie. As a result of verifying 17 direct statements of president candidates, 11 cases (64.70%) are in case of Hong Joon-Pyo, and 9 cases out of them (81.82%) were lie. I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media which is a total of 77 cases, 5 articles (6.49%) appeared, which are related to Hong Joon-Pyo, and 46 articles (59.74%) were related to the opposite candidates (Moon Jae-In and Ahn Cheol-Soo). 16 cases (20.78%) out of 29 direct statement cases of presidential candidates were Hong Joon-Pyo’s statements, and according to its verification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4 acases are fact (25.00%), 6 cases are half fact (37.50%), and 6 cases are lie (37.50%). In conclusion, depending on a view from candidate’s inclination of politic, the conservative camp of Hong Joon-Pyo produced the most fake news and their verification results were almost lies. The conservative media supported Hong Joon-Pyo through fact-checking.

      • KCI등재

        유튜브 내 허위조작정보가 여론 형성력에 미치는 효과: 팩트체크 보도 전과 후를 중심으로

        표시영 정보통신정책학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유튜브 내 허위조작정보가 팩트체크 전후 어떠한 여론 형성력을 가지는지 탐색하고자, 구독자 수가 150만이 넘는 영향력 있는 유튜브 채널에서 처음 제기된 ‘김정숙 여사 팔짱’ 이슈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유튜브 동영상에 달린 댓글 약 4,498개를 수집하여, 빈도 및 중요도, 담론, 감성, 유형 및 설득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빈도분석에서는 공통적으로 ‘가짜뉴스’, ‘김정숙’, ‘영부인’이 높은 빈도로 도출됐는데, 팩트체크 전에는 김정숙 여사를 비판하는 단어가 많았다면 팩트체크 후에는 운영 주체를 언급하는 댓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두 시기 모두 중요 단어는 ‘가짜뉴스’였다. 둘째 담론은 크게 ‘가짜뉴스’, ‘김정숙 여사’, ‘채널’ 관련 담론이 도출됐으며, ‘김정숙 여사 관련 담론’은 다시 ‘미국과 연관’, ‘사건 설명’, ‘개인 비판’이라는 하위 담론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감성은 모두 부정적 감성이 우위였다. 넷째 댓글 유형을 분류한 결과 팩트체크 전후 모두 허위조작정보의 설득 효과가 상당히 높았으나, 팩트체크 전보다 후에 허위조작정보의 설득 정도가 4.4% 낮아지고, 설득되지 않는 비율은 2.2% 높게 나타남으로써 팩트체크 효과도 동시에 확인되었다. 나아가 작성자 연결망 분석을 통해 팩트체크 전에는 특정 인물이 여론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았다면, 팩트체크 후에는 보다 균등하고 밀접한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허위조작정보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In order to explore how disinformation on YouTube,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users, shapes public opinion before and after fact-checking, this study selected the issue of ‘Kim Jong-sook’s arms in the air’, which was first raised on an influential YouTube channel with over 1.5 million subscribers,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collected about 4,498 comments on YouTube videos about it to comprehensively examine (1) frequency and importance, (2) discourse, (3) emotion, and (4) type and persuasive effect. (1) The results showed that ‘fake news,’ ‘Kim Jong-sook,’ and ‘first lady’ were commonly found in high frequency in the frequency analysis, and while there were many words criticizing Kim Jong-sook before the fact-check, there were relatively more comments referring to the operating entity after the fact-check. The key word in both periods was ‘fake news’. (2) The discourse was broadly categorized into ‘fake news’, ‘Kim Jong-sook’, and ‘channel’ related discourse, and the ‘Kim Jong-sook related discourse’ was further divided into sub-discourses of ‘relating to the U.S.’, ‘describing events’, and ‘criticizing individuals’. While before the fact-check, there were many criticisms and personal attacks on Kim Jong-sook as an individual, after the fact-check, the criticisms were expanded to people and groups related to Kim Jong-sook, the content changed in specificity, and a new channel-related discourse was formed. (3) Sentiment was dominated by negative sentiment. (4) The classification of comment types showed that the persuasive effect of dis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efore and after fact-checking, but the effect of fact-checking was also confirmed, as the degree of persuasion of disinformation was 4.4% lower after fact-checking than before, and the rate of dissuasion was 2.2% higher.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while certain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dominate the conversation before the fact-check, after the fact-check there was a more even and close communication. This study confirms the influence of disinform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ct-checking.

      • KCI등재

        Information Verification Practices and Perception of Social Media Users on Fact-Checking Services

        Rabby Q. Lavilles,January F. Naga,Mia Amor C. Tinam-isan,Julieto E. Perez,Eddie Bouy B. Palad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3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11 No.1

        This study determines how social media users (SMUs) verify the information they come across on the Internet. It determines SMUs’ perception of online fact-checking services in terms of their ease of use, usefulness, and trust. By conducting a focus group discussion and key informant interviews, themes were derived in determining fact-checking practices while a survey was further conducted to determine such perceived ease of use, usefulness, and trust in fact-checking services. The thematic analysis revealed major information verification practices, such as cross-checking and verifying with other sources, inspecting comments and reactions, and confirming from personal and social net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SMUs considered fact-checking services easy to use. However, a concern was raised about their usefulness stemming from the delayed action in addressing the information issues that need to be verified. As to perceived trust, it was found that SMUs have reservations about fact-checking services. Finally, it is believed that fact-checking services are expected to be credible and need to be promoted to mitigate any form of fake news, particularly on social media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