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권 존속기간 만료 시까지 존속기간 연장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의 바람직한 법률관계

        권창환 한국법학원 2024 저스티스 Vol.203 No.-

        허가 등으로 특허권을 행사할 수 없는 특허기간의 침식을 회복하기 위한 존속기간 연장제도는 신약 연구개발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그런데 연장처분은 원래의 존속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확정되는 것이 원칙적인 모습일 것이나, 특허권자 내지 행정기관의 사정으로 허가절차 또는 연장절차가 지연되어 존속기간이 만료될 때까지도 연장처분이 확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허성에 대한 심사가 완결된 원래의 특허권과 달리 연장 여부에 불확실성이 있어 불완전한 법률관계가 전개될 수밖에 없다. 구 연장신청제도는 추상적인 2개의 조항만을 두고 있을 뿐 위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행정법상 확인행위에 해당하는 연장처분에 따른 법적 효과를 규율하는 법률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연장할 수 있다’는 법문에 대한 해석론에 따라 법률관계를 확정할 수밖에 없다. 이때 특허권의 효력을 소급하여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소급효설과 잔여기간설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인데, 1987년 특허법의 입법취지, 연장신청 공시제도의 미비 등을 고려할 때 잔여기간설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보이나, 다만 우리 대법원의 태도는 소급효설을 취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 소급효를 인정할 경우 제3자의 특허발명 실시행위에 대해서는 특허침해죄의 형사책임이나 금지청구는 인정되지 않으나, 계약상 유리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고 로열티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을 구할 수 있어 최소한의 권리실효성이 보장된다. 나아가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의 위법성과 과실에 대한 법리를 적용해 볼 때, 제3자가 연장불승인이 될 때를 대비하여 즉시 판매하기 위하여 특허발명을 ‘수입’하거나 ‘생산’하더라도 시장에 나오지 않는다면 특허권자에게 직접적으로 손해를 끼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실시행위는 원칙적으로 위법성이 인정되지 않고, 반면 사용, 양도, 대여 등으로 특허권으로 기대되는 경제적 이익을 직접 침해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인정된다고 보며, 나아가 제3자의 과실에 대한 증명책임은 특허권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인다. 현행 연장등록출원제도에 있어서는 구 연장신청제도에서와 같은 불확실한 법률관계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간주규정을 두고 있으나, 미국과 달리 우리는 특허침해죄의 형사처벌까지 하고 있어 연장등록거절결정이 확정되더라도 특허권자는 연장등록거절결정이 확정될 때까지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게 되는 부당한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현재의 연장간주규정을 소급효규정으로 개선하는 입법개정이 필요하고, 이때 불법행위책임을 법문상 명확히 하기 위하여 출원보상금청구권제도를 참조하여 법규정을 신설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인다. The patent term extension system, which aims to restore the erosion of the patent term due to factors such as permi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is a system aimed at stimulating the desire for new drug research and development. While the extension decision is generally supposed to be confirmed before the original term expires, in cases where the permit or extension process is delayed due to circumstances of the patent holder or administrative agency, the extension decision may not be confirmed until the expiration of the term. Unlike the original patent right for which the examination of patentability has been completed, there is uncertainty regarding the extension, leading to an incomplete legal relationship. The previous system for a patent term extension of the 1987 Patent Act only has two abstract provisions and there are no legal regulations governing the legal effects for such cases,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interpret the phrase 'can make a decision for term extension' of the provision. In this case, regarding whether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patent right during the extended term, the retroactive effect theory and the remaining term theory can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1987 Patent Act and the absence of the extension application disclosure system, the remaining term theory seems more rational. Howev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Supreme Court of Korea has taken the retroactive effect theory. In case that we would adopt the retroactive effect theory, third parties may not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or injunction for patent infringement, but the patent holder may maintain a favorable position under contracts and can seek restitution of royalties against third parties, ensuring rights effectiveness at least. Furthermore, when applying the principles of illegality and negligence under torts law, it seems reasonable to regard an execution of import or product as legal because such executions don't do damage to an economic interest of the patent holder directly, and to give the burden of proving negligence of a third party to the patent holder. In the current system of a patent term extension, to prevent uncertain legal relationships as in the previous system, an extension regard provision is provided. However, unlike in the United States, we also have criminal punishment for patent infringement, so even if the extension refusal decision after the expiration of the original patent term is confirmed, the patent holder effectively enjoys a monopolistic position until the extension refusal decision is confirmed. Therefore, legislative amendments are needed to improve the current extension regard provisions with retroactive effect provisions, and it seems possible to establish legal provisions by referring to the application reward claim system to clearly define the right of the patent holder.

      • KCI등재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의 경우에 발생하는 특수문제를 중심으로 -

        김광재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4

        지난 19대 국회의 임기만료에 따른 국회 폐회 2일 전인 2016. 5. 27. 「상시청문회법률안」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있었다. 이에 대해 사실상 국회 재의결의 불가능한 시기에 법률안거부권이 행사된 것이므로 20대 국회에서 재의결을 할 수 있다는 견해도 제기되었지만, 국회는 명확한 입장정리나 법리적 결론 도출 없이 유야무야 넘어가 버렸다. 그런데 향후 유사한 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문제는 현재 진행 중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의 행사와 비교할 때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에 근접한 시기에 행사되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국회의 재의결이 가능한지 여부, 법률안이 자동 폐기되는지 또는 자동 확정되는지 여부 등이 문제되는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법률안거부권에 대하여 살펴보고, 임기만료의 특수문제에 관해 분석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일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현행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제도 운용에서 대통령과 국회 간의 견제와 균형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았고, 특히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의 경우에 발생하는 특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보완을 주장하였다. 먼저, 우리 헌법상 인정되고 있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제헌국회 이래 66회 행사되었고 최근까지도 행사된 바 있는 대통령의 실질적 권한인 바, 법률안거부권의 제도적 의미와 목적, 그 법적 성격을 알아보았다(Ⅱ), 그리고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가 활발하여 비교법적으로 상당한 의의가 있는 미국 헌법상 법률안거부권을 소개하고 우리의 법률안거부권제도와 미국의 법률안거부권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Ⅲ). 다음으로,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가 임박하여 법률안이 정부에 이송된 경우 발생하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 및 법률안의 운명에 관한 몇 가지 특수문제를 제기한 후 그 해결책을 강구해 보았고, 지난 19대 국회 폐회 직전 발생한 「상시청문회법률안」에 대한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와 관련된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Ⅳ). 마지막으로, 법률안거부권에 대한 현재의 통제수단이 실효적이지 못하므로 헌법 학계에서 논의되는 일반적 개선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 새로운 실효적 수단 및 임기만료의 특수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Ⅴ). 구체적으로는 법률안 재의결 정족수의 조정 문제, 정부의 법률안제출권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미국의 법률안비서명의견서(nonsigning statement)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나아가 임기만료의 특수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 구성된 국회에서 재의결하도록 헌법 개정을 하는 방안을 검토한 후 실효적 수단으로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 전 법률안의 의결 및 이송 시한의 법정화를 제안하였다. February 27, 2016 Two days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president exercised veto power on the "Regular Hearings Act". In response to the case that the presidential veto power of the bill was exercised at a time when the revoting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virtually impossible, some members suggested that the 20th National Assembly may re-vote, but the National Assembly did not give a clear statement about this situ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imilar issues will occur in the future, so this problem is underway. Compared with the general veto, the veto, which is exercised during the close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occurred special problems such as whether the 20th National Assembly can be re-elected or the legislative bill is automatically abolished or established.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study to explore the veto power in this case, to analyze special problems of expiration of the term and to find solutions. In this study, I have studied the policing strategies to ensure the checks and balances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n particular, I insisted some legislative amendments to solve specific problems arising in the case of the closing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First of all, the veto power recognized in the Constitution has been exercised 66 times since 1948 and has been exercised recently. This is the actual authority of the President. Therefore, I examined the institutional meaning, purpose, and legal nature of the veto power (Ⅱ), And this study introduced the veto power of the US Constitution. It is very active an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comparison.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veto system of the Korean legislation and the veto system of the US bill (Ⅲ). Next, I came up with some specific questions about the presidential veto power of the legislation and the fate of the bill (for example, if the legislation was brought to the government due to the close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In addition, I examined the issues related to the veto of the President's veto of the “Constitutional Hearing Legislation Act” just before the 19th National Assembly closed (Ⅳ). Finally, since the current control measures for the veto are not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general improvement measures discussed in the constitutional academy and to find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new effective means and expiration of the term (Ⅴ).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issue of reconciling the quorum of the bill, the issue of the right of the government to submit the bill,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nonsigning statement of the US legislation, and furthermore, After reviewing the revised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newly constituted National Assembly, I suggested the proposals for the resolution of the bill before expi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expiration of term and the legalization of the transfer deadline.

      • KCI등재

        감사의 임기만료와 과거의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의 소 - 대법원 2020. 8. 20. 선고 2018다249148 판결

        한애라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1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generally dismissed actions by a removed director to seek a confirmation judgment claiming that the removal was invalid and she still maintained the director’s status, when her term had already expired. The Supreme Court’s reasoning has been that, if a director’s term had already expired, her status as a director is a past legal relation, and therefore is not admissible for a confirmation judgment; as she can claim the unpaid wages or damages to the legal entity and her past status can be reviewed as a legal premise of the final judgment, it is not necessary for her to get a confirmation judgment on her past legal status separately; and even if her term expired after the judgment was made on the merit, the upper court should reverse the judgment and dismiss the case. The Supreme Court Judgment 2018da249148 on 2020 Aug. 20, however, decided that even if the plaintiff’s term had already expired, it is necessary for the plaintiff to get a confirmation judgment with the effect of res judicata on his past status as an auditor to solve the various present or potential disputes that may arise out of it; if both parties have disputes over the existence of the plaintiff’s past status even after his term expired, it is reasonable for the court to deduce the parties’ intention that they still seek a confirmation judgment on the issue; and if the judgment on the merit had already been made, the dismissal of the case upon the expiration of plaintiff’s term would not reduce the court’s burden. It accordingly reversed the lower court’s decision of dismissal and sent the case back to the lower court. Although this judgment did not directly overturn the precedents, it recognized the admi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a past legal status for a confirmation judgment, which had been denied in the precedents. This judgment coincides with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upreme Court to extend the admissibility and necessity of confirmation judgment in civil and administrative cases. It is a welcome change for the coherent settlement of disputes and for the people’s right for a trial. The reasoning this judgment presented will contribute to extending the scope of confirmation judgment. 종전 판례는 법인이나 회사 임원의 임기가 만료된 경우나 근로자의 정년이 도래한 경우 그 지위의 확인을 구하는 소는 과거의 법률관계의 확인을 구하는 것으로서 대상적격이 없고, 과거의 법률관계가 현재의 이행청구권 등의 선결문제가 된다 하더라도, 그 현재의 이행청구를 하여 과거의 법률관계를 선결문제로 판단받으면 족하고 과거의 법률관계에 관하여 별도로 확인을 구할 보충성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미 본안판결까지 내려진 후에도 임기나 정년 만료로 확인의 대상이 과거의 법률관계가 되면 더 이상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보아 소를 각하하여 왔다. 그러나 대상판결(대법원 2020. 8. 20. 선고 2018다249148 판결)은, 원고가 감사 지위 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는데 그 감사 지위를 긍정하는 취지의 대법원 파기환송판결까지 거쳐 환송후 원심 중 임기가 만료된 사건에서, 비록 원고의 임기가 만료하였다 하더라도 과거의 임원 지위 확인은 이를 전제로 한 손해배상청구권 등 다른 후속 권리·법률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따라서 관련 분쟁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의 임원 지위에 관하여 기판력 있는 확정판결을 받을 필요가 있는 점, 당사자가 임원 지위에 관하여 계속 다투고 있는 이상, 당사자로서는 임원 지위가 과거의 법률관계로 되었다 하더라도 과거의 임원 지위에 대하여 확인판결을 받고자 하는 의사를 가진다고 보는 점이 합리적인 점, 이미 임원 지위의 존부에 관하여 충분히 본안심리와 본안판단이 이루어진 점 등을 들어 확인의 이익을 인정하면서, 이와 달리 소를 각하한 원심을 파기하였다. 대상판결은 명시적으로 기존의 판례를 변경한 것은 아니지만, 종전에는 대상적격이 부정되었던 과거의 임원지위에 대한 확인의 소에 대하여 기존의 판례와 달리 그 대상적격과 확인의 이익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대상판결의 태도는 민사 및 행정소송에서 확인의 이익을 점차 확대하여 가고 있는 전체적인 경향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분쟁의 일회적 해결, 국민의 재판청구권 보장 차원에서 긍정적이다. 대상판결이 과거의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의 소의 적법성을 인정하는 근거로 든 여러 논리는 향후 확인의 이익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CEO 교체와 연임에 따른 기업 성과 비교 연구

        구본경 한국재무학회 200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1

        기업 지배 구조 개선 운동만으로 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과 기업 가치 향상이 완전히 반영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때문에 조직 환경내 인적 자원 활동에서 원인을 찾아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기업 문화를 중시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조직 환경속의 CEO 존재의 중요성을 들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CEO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CEO의 안 정된 경영권 확보 유무가 기업의 장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임기 기준으로 임기 도중 교체된 후 CEO의 기업 성과와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 연임 기업 성과간 차이를 비교 하였다. 또 CEO 교체 시기가 일정치 않은데도 통상적으로 직전 년도말 또는 당해 재무 성 과로 기업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순수한 교체와 연임 성과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 적하고, 정보 반영 손실의 최소화를 위해 교체와 연임 직전 분기 자료를 사용하여 미래 CEO의 장기 성과를 살펴보았다. 각 조직 환경과 조직 환경내 CEO 특성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교체와 연임 기업의 공시 전후 기업 가치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비교하였다. 기업들은 교체에 대한 위험 부담으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연임을 선택하지만, 전문 경영자 집단에 서의 연임 효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증 분석 결과에서 교체가 연임에 비해 기업 성과의 비 교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체와 연임 결정 요인은 과거 재무 성과보다는 CEO와 조직 환경 관련 요인이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O의 경영권 안정 확보가 기업 성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소유 경영자 기업이 대부분인 한국 기업 사회에서 경영의 투명 성이 전제되지 않는 한 전문 경영자 체제 정착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벌 기업을 제외한 단일 체제의 비재벌 기업에서는 오너 중심의 경영으로 적시 교체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권의 안정권 확보라는 동일한 조건에서 교체와 연임 모두 수익성이 좋지 않 으나 교체보다는 위험 부담이 낮은 연임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 examine cause from human resource activity understanding that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campaign doesn't clearly reflect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and firm value improvement. If we consider importance of corporation culture in Korea sociaty, we realize CEO existence in organiza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I examine impact affecting CEO managerial activity on firm value. After considering tenure cycle to see influence affecting on long-term performance, I study performance difference in CEO succession before and after CEO term-expiration. It is generally used annual data of just before year or the end of a year in past study in spite of happening CEO turnover timing irregularly. I use quaterly data to minimize information reflection loss about CEO's long-term performance. I compare firm value profitability with growth between CEO turnover and CEO term-expiration succession after controlling several organization environmental and CEO characteristic variables. I discover in having a high performance after CEO turnover better than term-expiration succession in various results. It appears that corporations prefer term-expiration succession to CEO turnover because of taking a risk. It can be seen not by past financial performance but by relating CEO managerial activity in organization environment. I judge that it is difficult in maintaining revitalization of professional CEO regime in Korea corporation sociaty as long as not having managerial transparency. It appears that owner management is more effective CEO turnover immediately in non-chaebol firm.

      • KCI등재

        임대차 기간 만료 전 해지(解止)에 따른 중개보수 부담에 관한 법적 고찰

        최명순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8 집합건물법학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reviews the theoretical mechanism on “the cost-bearing of lease real estate brokerage fee because of contractual rescission before expiration of the term”. Therefore, in a real estate transaction, one requires assistance from an expert, that is, a listing activity by a real estate agent to lead transaction to success. The purpose of this thesis study is to contribute the protection of citizens property and secure the developing dealing order through the developing method offering by grasp of the problems on the contraction system between the brokers and reliances. This paper consists of 5 chapters. Chapter 1 is introduction and chapter 2 is about concept of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including the rescission of legislation and contract. Chapter 3 types of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and chapter 4 will suggest how to settle a dispute about the matter of cost-bearing of lease real estate brokerage fee because of contractual rescission before expiration of the term, the subject of the paper. Chapter 5 will summarize w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paper. Finally, this study hope to help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listing contract in Business Affairs of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nd Report of Real Estate Transactions Act. I think that invigorating mediation system rooted in autonomous dispute resolutions is necessary for the Act to stand under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balancing with public interventions. 주거비의 상승으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거나, 준전세, 준월세 형태로 전환되어 주거비에 대한 임차인의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임대형태의 구조적 전환기에 있는 현 시점에서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이후에 임대인과 임차인간에 법률적 분쟁이 상당부분 발생하는데, 그중 하나가 임대차 계약기간 중 임차인의 개인적 사유로 계약해지가 발생한 경우에 차후 중개보수를 누구에게 부담시킬지에 관한 분쟁이다. 간단한 사례를 살펴보면, 주택을 2년의 기간으로 임차한 乙이 개인적 사정으로 1년 만에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고 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임대인과 임차인은 계약의 해지에 합의하였는데, 이사 당일 공인중개사가 임차인 乙에게 중개보수를 요구하였고 임차인乙은 새로운 임대차 계약 당사자는 본인이 아니므로 임대인 甲에게 중개보수를 받으라고 하였다. 이런 경우 중개보수를 누가 부담해야하는지가 문제된다. 해지의 유형 중 묵시적 갱신에 해당하는 경우, 다시 말해 임대차 기간이 자동 연장된 상태에서 임차인이 이사를 하는 경우 중개보수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어느 정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의 사례와 같이 계약한 기간을 못 채우고 중도에 계약이 해지된 경우, 누가 중개보수를 부담하느냐 라고 묻는다면 당연히 임차인이라고 답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는 실무에서도 어느 정도 관행으로 자리잡은 듯하다. 그럼에도 이사 당일 임차인이 법령해석을 근거로 임대차 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중개보수를 부담할 수 없다고 하는 경우 어떻게 될 것인가. 이에 대해 아직까지 대법원 판례는 없으나 1997년 하급심 판결과 국토교통부, 법제처의 유권해석, 공인중개사협회 실무가이드 등에서 특약이 없는 이상 임대차 계약의 당사자를 임대인과 새로운 임차인으로 보고 임차인에게 는 중개보수를 청구할 수 없도록 해석하고 있다. 문제는 당사자의 확정되었다고 해서 중개보수의 부담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당사자의 사정이나 해지에 관한 합의의 내용 등 의사표시의 해석을 둘러싸고 분쟁이 오히려 가중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임대차 해지의 유형을 정리한 후 기간 만료 전 해지에 따른 중개보수 부담에 관한 사항을 계약법적 관점에서 법리적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중개보수 부담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사전에 해결하기 위한 법제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허권의 소멸과 실시료 지불의무와의 관계

        정차호(Jung Cha H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성균관법학 Vol.19 No.2

          Patent license agreement is a very difficult task which requires thorough understanding of relevant technology, patent law and contract law. An agreement drafter must try to minimize possibility of future disputes by prescribing all possible issues. Especially. when two parties agree to pay royalty over than the patent term, they must clarify underlying issues to prevent future disputes.<BR>  With regard to the issue whether licensee must pay royalty after expiration of relevant patent term, before 1960, many U.S. cases held that such provision is enforceabl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ract freedom. However, after 1960. those provisions are considered to be unenforceable. In this case, licensee is still required to pay the royalty corresponding to the term before the patent term expiration.<BR>  Based on said understanding, licensee may demand a provision which deducts royalty rate if a patent among several patents is being held invalid or being expired. Making a package license agreement based on several patents. licensor must not force such agreement and also give licensee an option not to include one or more patents. Licensee may further demand that, if some claims of a patent are being held invalid but the others are being valid, royalty rate should be deducted as well.

      • KCI등재

        주식회사 이사의 임기에 관한 상법 제383조 제2항 및 제3항의 법리와 그 운영상의 법적 쟁점

        김성탁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1

        As to the term of office of directors, Korean Commercial Act prescribes as follows:(1) The term of office of directors may not exceed three years(s. 383(2)) ; (2) The term of the preceding paragraph may be extended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up to the termination of the ordinary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convened in respect of the last period for the settlement of accounts comprised in his term of office(s. 383(3)). These provisions aim to do multiple functions such as to provide the core method of controlling the management by shareholders, especially by minor shareholders ; to terminate the term of office at the closing of annual shareholders’ meeting at the same time ; to induce the management to be responsible for his job; to secure the stability of management ; to coordinate the various conflicting interests surrounding the company. Considering these functions of Article 383(2)(3), the provisions are compulsory, not voluntary. Beyond these particular statutory provisions, the Korean Commercial Act is silent on the other matters arising from the term of office of directors, leaving the issues to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Based on the survey of Articles of Incorporation adopted by listed companies in Korea, this paper classifies the term of office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 (1) completionby-articles-type and delegation-to-shareholders’ meeting-type ; (2) confirmed-period-type and ceiling or limit-period-type ; (3) same-period-type(single system) and different-period- type(dual or multiple system) ; (4) simultaneous-expiration-type and staggered-term-type.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legal issues on the requirements for the beginning of the term of office, the date of the beginning of the term, the adjustment of the expiration date to the close of the ordinary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 alteration of the terms through the articles revision, and suggests some legislative proposals thereof. 이 논문에서는 상법 제383조 제2항 및 제3항과 이 조항에 근거한 주식회사 이사의 임기에 관한 정관조항을 중심으로 그에 관한 법적 쟁점사항을 검토하였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와 주식의 자유로운 양도를 기반으로 하는 주식회사에 있어서 이사의 임기제에 관한 위의 상법조항은 주주의 경영에 대한 통제에 있어 핵심수단으로서의 기능과 그에 의한 책임경영 유도기능, 이사 임기의 종기를 정기주주총회 종결시로 통일시키는 임기종료시점의 조정기능, 경영안정화 기능, 군소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이익조정규범으로서의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식회사 기관운영의 제도적 기반이 된다. 이러한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위 규정은 강행규정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이사의 임기에관한 정관조항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유형을 (ⅰ) 정관완결형과 주주총회위임형, (ⅱ) 확정임기형과 범위임기형, (ⅲ) 동일임기형과 차등임기형, (ⅳ) 동시만료형과 시차임기형 등으로 분류하고, 연임, 보선이사의 임기, 법정상한선 초과임기의 효력 등을 검토하였다. 이사 임기의 개시요건과 기산점에 대해서는계약법리와 기관간 권한분배의 엄격성에 근거하여 이론구성을 하였고, 임기만료시점의 획일적 조정문제, 임기 변경의 가능성과 그 절차 등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나아가 이에 관한 입법적 보완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식회사 퇴임이사 법리의 실무상 쟁점

        김지평 법무부 2016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76

        This paper reviews pract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legal principles on retiring directors of a stock company. If a director resigns for unexpected circumstances or retires due to death, dismissal, etc., the company’s operational vacuum is unavoidable. In preparation for such unexpected vacancy, Article 386, Paragraph (1) of the KCC provides that in case of the vacancy of the minimum number of directors prescribed by laws o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 retiring director shall continue to have the rights and obligations as a director until a newly appointed director takes office. However, composition of board of directors of a stock company, especially a large-sized listed company, is pretty complicated. Moreover, various requirements under the laws, such as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provide detailed regulations on listed companies’ governance structure, such as composition of the board of director consisting of executive directors, outside directors, etc. and that of committees under the board of directors consisting of an audit committee, evaluation and remuneration committee, nomination committee, etc. In this regard, such a case often becomes at issue since it is unclear how the above regulation to complement the company’s operational vacuum caused by the vacancy of retiring directors can be applied to the multilayered and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committees thereunder. Therefore, this paper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relevant issues and draw a reasonable theory of interpretation. First of all, in relation to requirements for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on retiring directors under Article 386, Paragraph (1) of the KCC, possible issues include interpretation on the scope of the vacancy of the number of directors prescribed by law o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requirements on the cause of vacancy such as expiration of term of office or resignation, etc. Whether the regulations on retiring directors are applicable in case where there is no lack of the number of directors but of the number of representative directors can also be problematic in practice. As long as legal provisions provide that Article 386 of the KCC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representative directors,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regulations on retiring directors apply also to the above case.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on retiring directors, first, with regard to the maintenance of a position as director, an issue can be raised when resignation or retirement from expiration of term of office by a director, etc. concurrently holding two or more positions results in lack of the prescribed number of any of his/her positions by law o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whether such director should continue to hold rights and obligations also for his/her other positions, in addition to the position for which lack of prescribed number occurs.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apply the regulations on retiring directors also to other positions and maintain relevant authorities to the extent that the position for which lack of prescribed number occurs premises on the existence of such other positions. Further, other than the issue over maintenance of a position for which lack of prescribed number occurs, issues relating to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s as well as administrative charges for delay in registration of retirement need to be reviewe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for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s under Article 386, Paragraph (2) of the KCC and preliminary injunction for suspension of performance of duties comes into question. If an issue arises with regard to the retiring director’s performance of duties, the application for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 will not result in any operational vacuum of the company as an interim director will be appointed at the same time as the retiring director’s performance of duties is suspended; whereas, the preliminary injunction for suspension of performance of duties cannot be an ultimate solution to the company’s operational vacuum issue as only the retiring director’s performance of duties will be suspended. Thus, it would be reasonable to address the issue promptly and ultimately by allowing the application for appointment of interim director only. A special issue relating to the legal principles on retiring directors that needs to be reviewed is related to Article 542-8 of the KCC relating to the prescribed number of outside directors and Article 542-11 of the KCC relating to the prescribed number of audit committee members, which provide that in case of a vacancy occurring from resignation, death, etc., such vacancy can be filled at the first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convened after such vacancy has occurred, without the need of immediate substitution. Whether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s on administrative charges under Article 635, Paragraph (3) of the KCC and/or the regulations on retiring directors under Article 386 of the KCC is excluded pursuant to the above regulations needs to be reviewed. In particular, as the above regulations provide cause of vacancy as resignation, death, etc., whether expiration of term of office should be included as cause of vacancy can be a controversial issue. Regarding whether to include expiration of term of office as cause of vacancy needs to be reviewed by separately examining each of the intent of excluding the regulations on administrative charges and the regulations on retiring directors based on the provisions under Article 542-8 and Article 542-11 of the KCC. Also,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provisions on accidental absence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o retiring directors, whether the authority of an substitute director can be acknowledged by applying the regulations on accidental absence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a particular case where the retiring director refuses to perform his/her duties needs to be reviewed by considering theoretical rationality and practical feasibility. In particular, if the retiring representative director refuses to attend the office and perform his/her duties after notifying the company of an objective reason for his/her absence, serious occupational vacuum is unavoidable until his/her successor is appointed. In this case, it would be practically reasonable to avoid such operational vacuum in the company’s management by broadly interpreting the provisions on accidental absence and allowing the substitute director to perform the duties of a representative director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본 논문에서는 주식회사 퇴임이사 법리의 실무상 쟁점에 대해서 다룬다. 주식회사 이사가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사임하거나 사망이나 해임 등의 사유로 퇴임하는 경우에는 회사의 업무공백이 불가피하다. 이를 대비하여 상법 제386조 제1항에서는 법률 또는 정관 상의 이사 결원의 경우 새로 선임된 이사가 취임할 때까지 퇴임한 이사가 이사의 권리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주식회사, 특히 대규모 상장회사의 이사회의 구성은 상당히 복잡하고, 법률적으로도 상법 등에서 상장회사의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사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및 사외이사 등 이사회의 구성과 감사위원회, 평가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 요건에 대해서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사의 퇴임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보충하기 위한 위 규정이 다층적인 구조로 복잡하게 이루어진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구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해석 상 불분명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한 쟁점을 체계적으로 살펴 보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론을 도출해 보려고 한다. 우선 상법 제386조 제1항과 관련한 주식회사 퇴임이사 법리의 적용 요건과 관련해서는 법률 또는 정관에 정한 이사 등의 원수의 결원의 범위에 대한 해석 문제 및 이사 등의 임기만료 혹은 사임 등 결원의 원인에 대한 요건 등이 문제된다. 이사의 원수에는 결원이 없으나 대표이사 원수에 결원이 있는 경우 퇴임이사 규정이 적용되는지 등도 실무상 문제되는데, 법문 상 대표이사에 대해서도 상법 제386조가 준용되는 이상 위와 같은 경우에도 퇴임이사 규정이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퇴임이사 법리의 적용 효과와 관련해서는 우선 해당 지위의 유지와 관련하여2개 이상의 지위를 겸하는 이사 등이 사임이나 임기만료로 퇴임하는 경우 그 지위 중 어느 하나의 법률 또는 정관상 원수를 결하게 되는 경우 해당 지위에 대한 권리의무를 계속 보유하는 것에 더하여 다른 지위에 대한 권리의무도 계속 보유하는 것인지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결원이 생긴 지위가 다른 지위를 전제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지위에 대해서도 퇴임이사 규정이 적용되어 그 권한을 유지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결원이 생긴 지위의 유지 문제 이외에 일시 이사의 선임 및 퇴임등기 지연에 따른 과태료와 관련한 문제도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상법 제386조 제2항의 일시이사 선임신청과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의 관계가 문제된다. 퇴임이사의 직무집행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일시이사 선임신청은 기존의 퇴임이사 직무수행이 정지되는 동시에 일시이사가 선임되어 회사 업무수행이 정지되지 않는 반면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존 퇴임이사의 직무수행만이 정지되므로 회사 업무집행 정지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시이사 선임신청만을 허용하여 신속하고 종국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퇴임이사 법리와 관련된 특수한 문제로는 사임ㆍ사망 등의 사유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즉시 충원을 요구하지 않고 다음 주주총회에서 충원하면 된다고 규정하고 있는 상법 제542조의 8의 사외이사 정원 규정 및 상법 제542조의 11의 감사위원회 정원 규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규정에 따라서 상법 제635조 제3항의 과태료 규정이 배제되는지 여부 및 상법 제386조의 퇴임이사 규정이 배제되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위 규정에서 사임ㆍ사망 등을 결원의 원인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임기만료도 이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법 제542조의 8 및 상법 제542조의 11의 규정들을 통해 과태료 규정 및 퇴임이사 규정이 배제되는 취지를 각각 구분하여 살펴서 임기만료도 이에 포함된다고 볼 지를 검토해야 한다. 또한 퇴임이사에 대한 정관상 유고규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특히 퇴임이사가 직무수행을 거부하는 경우 정관 상 유고규정을 적용하여 직무대행자의 권한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이론적 합리성과 실무적 타당성을 감안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퇴임 대표이사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음을 객관적으로 회사에 표시하고 출근 및 직무수행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후임 대표이사가 선임되기 전까지는 심각한 업무공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고규정을 넓게 해석하여 정관 상의 직무대행 규정에 따라서 직무대행자가 대표이사 직무를 수행하여 회사 경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것이 현실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제19대 대통령의 임기만료일에 관한 연구

        박진우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30 No.2

        대통령박근혜 탄핵인용결정으로 촉발된 궐위사태 아래에서 실시된 대통령선거로 당선된 제19대 대통령은 제6공화국 헌법 아래에서 선출되었던 이전의 대통령과 달리 임기만료일 논란을 내포한 채 임기를 개시하였다. 제19대 대통령의 임기만료 시점과 관련하여, 2021년 3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22년 5월 9일 24시로 제19대 대통령 임기가 만료된다고 함으로써 이러한 논란은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공식 결정은 헌법에 합치하지 않으며 제19대 대통령의 임기만료 시점은 2022년 5월 10일 오전 8시 9분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헌법적 차원에서 타당하다. 헌법문제에 해당하는 대통령 임기만료일 결정에 법률적 기간계산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궐위로 인한 선거에 의한 대통령의 임기 만료 시점이 논란이 되는 것은 현행 헌법이 이 문제에 침묵을 지키고 있는 가운데 하위법인 공직선거법에서 대통령 임기 개시 시점을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의 경우와 궐위로 인한 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대통령의 경우로 구분하여 달리 규정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궐위로 인한 선거에 의한 대통령의 임기만료 시점에 관한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입법적 개선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데 법률적 차원과 헌법 개정 차원으로 구분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교정인권적 측면에서의 출소유형별 교정처우프로그램 효과성 비교연구

        이승우(Lee Seungwoo)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7 인권복지연구 Vol.-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정처우프로그램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출소유형 중 가석방과 형기종료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속변수는 재범 중 재복역으로 측정하였으며, 독립변수를 교정기관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정처우프로그램 중 교도작업, 직업훈련, 교육훈련, 의료서비스, 교화상담 등으로, 그리고 통제변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전국 교정시설 중 경비등급에 따라 일반처우시설, 완화처우 시설, 개방시설, 중경비시설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7개 교정시설에서 가석방과 형기종료로 출소한 수용자로 한정하였으며, 법무부 교정본부의 협조를 바탕으로 보라미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출소유형을 가석방과 형기종료로 구분하고, 개별적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형기종료에서는 남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징벌을 받을수록, 교정처우 중 교도작업활동을 받지 않을수록, 재범을 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가석방에서는 남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재범을 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correctional program effects to recidivism which are implemented in correctional institute, and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of its effects between parole and expiration of term of punishment, two of release typ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 reincarceration of recidivism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 sorts of correctional programs as correctional industrial program , vocational training program, educational program, medical service and reform counseling as dependent variable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control variabl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parolees and suitors who were imprisoned at the representative 7 institutes of national correctional institutes according to facility level from S1 to S4 in 2010. An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Korea Correctional Service of Ministry of Justice, we collected the data by using Borami system. Based on this data, identify the release types as parole and expiration of term of punishment, and analyze individually in OLS. As a result, in the case of expiration, it appeared higher intention to recidivism when they were men, when they ha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when they were more punished, they didn t have correctional industrial programs. In the case of parole, it appeared higher intention to recidivism when they were men, when they ha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