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화 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분석

        이순남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11 Brain & Learning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진화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물학에서 진화 교육이 큰 쟁점이 되고 있는 미국의 최근 진화 관련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오개념의 원인과 종류, 오개념 개선 방법 측면에서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진화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확인해보고자 함이다. 정규교육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진화 관련 오개념의 원인은 대학 교수들이 예비교사가 갖고 있는 선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 오개념이 수정되지 못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친 교사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게 되어 창조론을 과학 수업에서 다루거나, 교사의 종교적 신념으로 인하여 진화론을 부정하는 수업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진화론이 생물학 전반에 차지하는 중요성과 통합성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여 진화론 수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지 않는 것도 학생들의 오개념이 수정되지 못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교사 뿐만 아니라 생물교과서도 진화에 관한 오개념 생성에 영향을 주었는데, 진화를 통합 지식으로서 생물 교과서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지식 나열식으로 다루고, 소진화에 비해 대진화의 중요성을 덜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은 대진화에 대한 오개념을 많이 갖게 되었다. 이러한 교사와 교과서의 영향으로 인하여 학생들은 진화론이 창조론과 마찬가지로 근거가 부족한 이론으로 생각하거나 진화론을 지지한다고 할지라도 진화대상에서 인간은 예외로 하거나 진화의 단위가 개체라고 생각하는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밖에도 진화의 원동력에 대해서도 목적론적 사고나 용불용설적 사고, 내부 의지적 사고가 매우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을 다루는 계통수를 해석 측면에서도 다양한 오개념을 나타났다. 미국의 진화교육은 이러한 다양한 오개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에 관한 연구와 견학, 실습, 시뮬레이션, 토론과 자료해석 등 탐구학습 기반의 수업이 진화에 관한 오개념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진화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진화 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진화가 생물학의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은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정규교육과정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그 중요성이 반영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미국의 진화 교육을 참고하여 앞으로 더 활발한 진화교육 연구와 더불어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다양한 방법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Korean evolution education s direction by reviewing cause, sort and improvement method about misconception of evolutionin recently published American research papers about evolution, The cause about misconception of evolution causes regular biology classes is that preservice students can t have corrected their misconceptions because professors have not acquainted with their alernative concept.Therefore, if they become teachers, they have included creationism in biology classes not for understanding nature of science or reject Darwinian evolution in biology classes for the non-scientific beliefs asasociated with their religion. Also Teachers don t understand evolution as unifying theme in biology and aren t aware of importance of evolution, sothey don t take time, effort enough to teach Darwinian evolution. The cause of misconception is not only teacher but also textbook. Textbook contains evolution as simple knowledge, but not as unifying theme in biology. And it emphasizes microevolution than macroevolution, so students have many misconception about macroevolution. Because of these cause, studenets regard the theory of evolution as theory with weak evidence. Even though they accept the theory of evolution, they think that unit of evolution is notpopulation but individuals and human has not evolved. And students think principle of evolution as Use and Disuse or Goal-directed America has studied the ideal time to learn the theory of evolution and has tired inqury-based learning for decreasing misconception. Korea also has studied education of evolution and is aware ofevolutionas important concept. But actually the importance doesn t apply to regular curriculum and preservice student curriculum.Thereforefollow-up study needs how to apply them in a field reserch.

      • KCI등재

        진화에 대한 흥미와 수용 정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진화 개념 지위 차이 분석

        류선희,차희영,구슬애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nceptual status of evolution concept in termsof the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e tested the interest andacceptance of evolution and then were distinguished subjects into 4 groups based on the testingresults which were which were 'both high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high interest andlow acceptance of evolution", low interest and high acceptance of evolution', "both low interest andacceptance". We had selected total 16 students as four students from each group and interviewedthem to find out their conceptual status on evolution concept. We analyzed the interview dataaccording to the framework developed specially in this research. The group both high acceptanceand interest of evolution showed that they had highest variety of (+) conceptual status and thegroup both low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that they had lowest variety of (+) conceptualstatus. The implication in this research confirms that high group in acceptance makes the conceptualstatus wider and it is stored in the shape of an image within the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Thisalso makes us realize that to teach evolution effectively, the acceptance and interest of evolution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need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using various visualaudiolesson materials regarded to the evolutionary concept.

      • KCI등재

        한국과 미국 과학 교과서의 진화 내용 요소와 설명 방식에 대한 비교

        박재근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3

        1. 교과서 진화 단원의 내용 요소 우리나라 교과서에 제시된 진화 단원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소단원의 구성, 학습 목표, 그리고 내용 요소를 살펴본 결과는와 같다. 우선 A교과서의 소단원 구성을 살펴보면, 진화의 개념과 현상적 예로부터 시작하여 진화의 증거, 진화의 과정 순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단원 도입과 마지막 부분에 이를 생물종 다양성과 관련지어 설명함으로써, 생물학에서의 진화의 의미와 비중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진화를 설명하기 위한 소재로 기존 교과서에서 주로 활용하였던 기린, 나방 등과 같은 생물 대신에 핀치, 고래, 거피 등의 예를 도입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띤다. 특히, 현실적인 가능성 측면에서 의문이 들 수도 있는 "기린의 목이 길어진 이유" 대신에 "거피의 몸 색 변화"와 같은 실제적인 예를 제시함으로써 자연선택 이론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에 비해 B교과서의 경우에는 주로 진화의 증거와 진화의 학설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내용 요소를 하나씩 나열, 설명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종 다양성과 생명 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 가능한 개념으로서의 진화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는 A교과서에 비해 다소 미흡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라마르크의 용불용설과 같이 다윈의 진화론을 습득해 나가는 과정에 장애로 작용할 수도 있는(Kim & Chang, 2003; Brumby, 1979) 내용 요소가 일부 포함되어 있고, 사진 조작에 따라 이미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헤켈의 가설을 바탕으로 척추동물의 배 발생 비교 내용을 진화의 증거로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진화의 핵심이 자연선택설이라는 점은 매우 명백한 사실이며(Rutherford & Ahlgren, 1990), 이것이 자연세계에서의 증거들과 매우 잘 부합되고 있는 설명 체계임에도 불구하고(Lee & Lee, 2008; Clough, 1994), 이미 이전에 부정되었거나 설명력이 의심되는 내용을 진화와 관련지어 여전히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교과서 구성의 오류는 Lee & Cha(2011)가 지적한 바와 같이, 생물학에서 진화론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일부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삭제 청원을 냈던 말의 화석, 시조새 등과 관련한 내용들이 새 교과서에서는 모두 빠져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그러나 기존 교과서에 제시된 말의 화석 그림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자료는 다른 자료로 대체할 수도 있지만, 시조새와 같이 흥미로운 소재마저 피해 가는 것은 다시 한 번 고려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시조새가 계통학적으로 파충류와 조류의 중간쯤에 해당되는 애매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과학적 사실이며, 다만 이 중간의 좌표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이 진행 중이지만(Xu et al., 2011) 이러한 논쟁이 시조새의 존재를 진화와 관련지어 설명하는 큰 그림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장애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Jerry, 2009). 한편, 미국의 교과서에 제시된 진화 단원의 구성, 학습 목표, 그리고 내용 요소를 살펴본 결과는 과 같다. 미국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와 비교할 때 진화의 개념, 진화의 증거, 진화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내용 요소의 전개가 우리와 유사한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지질학적 시간, 인간과 영장류, 공진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훨씬 넓은 범주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세부 내용 요소에서 생물종 사이의 계통도, 다윈 진화론의 기본 전제인 다윈의 사고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윈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2개의 소단원에서 자연선택 이론과 관련된 내용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Kim & Chang(2003)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 대한 진화 내용 분석에서 미국이나 중국, 구소련의 교과서에서는 진화론의 핵심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자연선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순수한 자연선택이론에 대한 논의가 오히려 덜 강조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실제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 중학교 교과서 진화 단원에서는 자연선택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소단원이 2개나 포함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진화는 오랜 지질학적 시간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이러한 지질학적 시간은 필연적으로 환경의 변화를 수반하고, 생물들이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진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지질 시대를 포함하는 긴 시간적 흐름에 대한 이해는 진화론을 학습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전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진화의 시간적 배경 관련 지식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인류의 진화와 관련하여 중고등학생들의 상당수가 "사람의 조상은 원숭이이고, 원숭이는 수억 년 후 사람으로 진화할 것이다."와 같은 예정된 방향적 사고의 오류를 가지고 있음이 보고(Lee et al., 2007)된 바 있는데, 학습자가 이러한 오류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국 교 Evolution is a core theory which can explain the diversity of living organi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mplications on the evolution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chapter which deals with evolu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ing of a total of 8 main themes and 32 sub-themes was used for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evolution. The contents consist of the evidences for evolution and the evolution process in common, but the textbook in the US also includes themes such as geological time, speciation, coevolution, origin of life and evolution of human being. The textbook in Korea includes some scientific errors such as Lamarckism, the developmental similarity in the embryo of vertebrate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eritable variation in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Meanwhile, the textbook in the US gives major coverage to the subject of natural selection and presents various specific examples of natural selection. Efforts for developing various inquiry activities in evolution need to be improved in both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place emphasis on collection and retention of reliable evidences for evolution. And it is also essential to extend the contents including the origin of human being and geological time gradually whe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evolution in Korea. The measures for raising the teacher's belief through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regarding the mechanism and roles of evolution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념, 진화 수용의 수준과 구조 비교

        하민수 ( Min Su Ha ),차희영 ( Hee Young Cha ),구슬애 ( Seu Lae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0

        이 연구 목적은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화 개념과 관련된 변인-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 념, 진화 수용-에 관한 수준과 구조적 차이를 비교 분 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 대학생 1,015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무작위로 추출된 516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 의 대학생들은 미국의 대학생들에 비하여 낮은 종교 성을 보이는 반면 진화 흥미 역시 낮았다. 경로 분석 결과 종교성이 진화 수용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진화 개념과 진화 흥미가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하여 진화 흥미가 종 교성, 진화 수용, 진화 개념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의 관련성을 보였다. 한국의 생물 전공자들의 진화 수 용은 미국 생물 전공자들의 비하여 진화 개념에 대한 영향력이 적었고, 한국 생물 비전공자들의 진화 수용 은 미국 생물 비전공자들에 비하여 종교성에 더 큰 영 향을 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학생들을 위한 진 화 교육이 진화론에 대한 흥미를 더 높이며, 진화론을 수용함에 있어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근거하지 않고 과학적 이론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 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과학적 판단에 의하여 과학 이론을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 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degree of religiosity,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evolution, and the effects of their interaction on these variables. A total of one thousand and fifteen Korean and US biology majors and non-major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sub sample of 516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statistical tests.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rbor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religiosity and interest in evolution but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knowledge and acceptance of evolution than US college students. The path analysis uncovered that the knowledge of and interest in evolu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religiosity and acceptance of evolution.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was less correlated to other variables than US college students` interest.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less predicted by knowledge of evolution in the Korean biology major sample than in the US biology major sample.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predicted more by religiosity in the Korean non-major sample than in US non-major sample.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evolution needs to enhance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In addition,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need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make scientific decisions, such as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ir personal religious belief.

      • KCI등재

        진화적 질서이론에 관한 연구

        김호균 ( Hogyun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8 질서경제저널 Vol.11 No.1

        Die evolutionäre Ökonomik bietet eine evolutionäre Ordnungstheorie an, indem sie die stationäre und gleichgewitsorientierte Ordnungstheorie des Ordoliberalismus. In der vorliegenden Arbeit bietet sich zunächst ein Überblick über die Diskussionen über den Begriff von Evolution im Rahmen der evolutionären Ökonomik. Dabei handelt es sich vor allem darum,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wirtschaftlichen und biologischen Evolution zu klären. Dann wird die wirtschaftliche Evolution als eine widersprüchliche Einheit von Stabilität und Flexibilität definiert. Die Evolution findet im Prozeß des dialektischen Umschlags der Quantität in die Qualität statt. Eine Institution evolviert, wenn sie von einem “Schwellenwert” von Individuen gewählt wird. Die evoultionäre Ordnung stellt eine Alternative zur neoklassischen Kategorie des Gleichgewichts dar. Die Ordnung ohne Gleichgewicht kann nicht nur die Koordinations-, sondern Selektionskompetemz eines Systems stärken. Die evolutionäre Ordnungstheorie wird danach anhand von Kategorien wie subjektiv-rationalem Verhalten der Individuen, institutioneller Evolution und Ordnungsevolution thematisiert. Zuerst wird aufgezeigt, daß die evoutionäre Verhaltenstheorie von der subjektiven Rationalität des individuelen Verhalten ausgeht. Nach dem evolutionären Gedanken findet die institutionelle Evolution durch die Interaktionen der konkurierenden Individuen statt, während die individuellen Verhalten unter dem Einfluß von Institutionen ausgewählt werden. Geklärt wird, daß die spontane Evolution der Institutionen durch die intentionelle Evolution der Institutionen aufgrund von Regierungspolitik zu ergänzen ist.

      • KCI등재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 - 지구 문명의 새로운 지평 탐색

        최민자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new prospect of global civilization through concilient understanding and ontological insight along with conceptual clarification of science, spirituality and evolution which are ‘three central axes’ in setting ontological radius of life. We will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science and spirit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evolution, and explore a new prospect of global civiliza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spirituality and evolution in Donghak. The connectivity of science and spirituality can be found in that the vision of ‘new physics’, that is everything in our world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bears a resemblance to the spiritual vision based on non-duality. The relational nature of spirituality and evolution reveals itself in that evolution is essentially spiritual and co-evolution, and the evolution of human society accords with spiritual evolution as inside and outside relations. Evolution in Donghak is a long journey to returning to the origin and becoming one. The essence of evolution in Donghak is that when we reach mansaji, which means ‘being aware of all things’, that is to recognize the connectedness of all creation, a new civilization of life and peace opens. The ultimate vision of the ideal world of mugeokdaedo is the community of donggwiilche, where all the members of the nation are united for the common good, harmony and peace. The road to donggwiilche is to recognize that life is spirituality and the attempt to particularize and materialize life is to swim against evolution. 본 연구는 삶의 존재론적 반경을 설정하는 ‘세 중심축’이랄 수 있는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와 더불어 통섭적 이해와 존재론적 통찰을 통해 지구 문명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영성의 접합, 영성과 진화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며, 특히 동학의 영성 과 진화의 측면에서 지구 문명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고자 한다. 과학과 영성의 접합은 우리 세계의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현대 물리학의 관점과 비이원성에 기초한 영적인 관점이 유사성이 있다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영성과 진화의 관계적 본질은 진화란 본질적으로 영적 진화이며 공진화이고 인간 사회의 진화는 영적 진화와 표리의 조응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동학에서 진화는 복본(復本)의 여정이며 하나됨으로의 길이다. 우주만물의 연결성을 알아차리는 ‘만사지(萬事知)’에 이르면 생명과 평화의 문명이 열리게 된다는 것이 동학에서 말하는 진화의 진수다. 무극대도(無極大道) 이상세계의 궁극적 비전은 국가의 모든 구성원이 공공선과 조화와 평화를 위해 단결하는 동귀일체(同歸一體) 공동체다. 생명은 곧 영성이며 생명을 개체 화하고 물질화하는 시도는 진화에 역행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 동귀일체에 이르는 길이다.

      • KCI등재

        현직 생물교사의 종교성과 진화/창조 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과학의 본성 이해와 진화 수용의 매개 효과

        하민수 ( Minsu Ha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it of hypothetical model for the path from in-service biology teachers’ religiosity to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evolution/ creation mediated by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Total 82 in-service biology teachers joined this study and the level of five variables (e.g., religiosity, nature of science, acceptance of evolution, attitude toward teaching evolution, and attitude toward teaching creation) were measured by the reliable instruments. The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independent sampled test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fit of model. The finding illustr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between in-service biology teachers’ religiosity to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evolution/creation was significant and meaningful. The direct influence of religiosity to the attitudes toward teaching evolution/creation was not significant and only indirect path from religiosity to the attitudes toward teaching evolution/creation mediated by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ere significant. This finding revealed the promising role of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to resolve the influence of in-service biology teachers’ religiosity on the attitude toward teaching evolution.

      • KCI등재

        『물속의 아이들』 -진화론의 문학적 수용

        문상화 ( Sangwha Moon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6 영어영문학21 Vol.29 No.4

        The Water Babies by Charles Kingsley reveals the conflict between creation and evolution. It is natural for Kingsley as a clergyman to believe in creation, and as a scientist to accept evolution. In The Water Babies, he tries to solve this contradiction. The book was written for adolescent readers for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e book describes the protagonist Tom, a chimney sweep, who jumps into the river to escape Mr. Grimes, and the second part of the book describes Tom`s journey to the Other-end-of-Nowhere in the water. His journey involves learning moral lessons, and he comes to understand moral evolution through the fairy Ellie, the personified Nature. The moral evolution in this story is the core that decides the direction of evolution. If some creatures refuse to abandon immoral attitudes due to inertia, they would be against evolution. Kingsley insists that there is no direction in evolution, and that it is the morality of creatures that decides the direction of evolution. I believe that Kingsley`s stance on moral evolution comes from his status as a clergyman. He could not deny either the teaching of creation in the Bible or the scientific explanation of evolution as a scientist. In oder to compromise the two conflicting positions, he suggests his own argument that evolution is possible, but that, without good morality, any creature cannot proceed toward better situations. Considering that The Water Babies was written for adolescent readers, we need not criticize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is book. Rather, it is better for us to read The Water Babies as a parody of evolution, which had shaken the foundation of Victorian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work as a medicine for the anxiety of the Victorian Era.

      • KCI등재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김제란 ( Je Ra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wo stream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Buddhism in Modern Japan combined Evolution and Buddhism against Western Christianity. Inoue Enry(井上圓了) and Kiozawa Mansi(淸澤滿之)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to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On the other hand, Kiozawa completely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He didn`t lose the B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Representative Buddhist in Modern China was Liang Chi-Zhao(梁啓超). He connected the acceptance of social evolution with authoritarianism to gain freedom and national sovereignty for China. He united Buddhism and Evolu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y correspond with each other. Also he made the best use of `the theory of seeds`(種子說) of Only-Consciousness Buddhism to explain the relation of `individual` and `Nation`. On the other hand, Zhang Taiyan (章太炎) criticis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severely from Buddhist standpoint, saying that we should survive in struggle for power. He proposed the theory of dual development going forward with good and evil called `the theory of dual evolution`(俱分進化論). Han Yong-un(韓龍雲) of Buddhism in Modern Korea had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He answered in the affirmative for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the re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he sought the answer in egalitarianism and the idea of mercy of Buddhism. Consequently,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camed on in Inoue Enry of Japan and Liang Chi-Zhao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ntinued through Kiozawa Mansi of Japan, Zhang Taiyan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on the bases of the egalitarianism of Buddhism.

      • KCI등재

        Teilhard de Chardin의 교육사상

        김복영(Kim Bok Yo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이며 고생물학자인 Teilhard de Chardin의 교육사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Teilhard의 독특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그 Teilhard의 진화론적 우주관과 진화론적 인간관을 언급하였다. 그의 사상의 독특성은 바로 진화라는 개념으로 압축할 수 있다.<BR>  그의 진화론적 사상은 물리적 에너지인 접선적(tangential) 에너지와 정신적 에너지인 방사적(radial) 에너지가 상호 연관적 일원론적인 실재를 이룬다. 이렇게 우주의 진화 과정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잡화를 거쳐 “내향적 수렴” 또는 의식의 증대에 의해서 중심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 방사적 에너지에 의한 내향적 수렴의 극치는 자기 반성적 증대에 의해서 중심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 방사적 에너지에 의한 내향적 수렴의 극치는 자기 반성적 또는 자아 의식적인 존재인 인간에서 그 정점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오메가 포인트(Omega Point)인 것이다.<BR>  Teilhard는 이러한 진화론적 사상을 바탕으로 교육을 세계화를 향한 사회화(socialization), 즉 행성화(planetization)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을 인간의 진화를 향한 매우 중요한 사회제도라고 보았다. 현재의 사회심리학적 진화의 단계는 미래의 행성화를 위한 사회를 재정향시키는 데 있어서 변용적 지식의 힘 때문에 교육은 그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교육은 과거의 향상된 지식을 다음 세대에 전달함으로써 진화를 촉진한다.<BR>  인식론적으로 Teilhard의 두드러진 특징은 그의 간학문적 정향이다. Teilhard의 연구는 간학문성을 기반으로 확립되어 있다. 그는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과도한 “전문화(specialization)”의 위험성에 저항하고 과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간의 인위적인 경계를 없애는 지식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학문적 전문화를 향상시키려는 학계의 실증적 과학주의 경향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BR>  그러므로 Teilhard는 통합적 세계화 교육과정을 주장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인문과학, 사회과학, 과학에 대한 간학문적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thought of Teilhard de Chardin, who was one of the unique intellectuals of the twentieth century. An ardent humanist, globalist, and dogmatic evolutionist, he was a prophetic visionary of evolving globalization and a future unified global order. Teilhardianism is intellectually stimulating and reflectively challenging.<BR>  Academically, he was a paleontologist and a Jesuit philosopher. The focus of his research was the creative process of evolution. For him, his concern was social and psyche evolution. His primary objective in analyzing evolution was to acquire a meaningful understanding of the human phenomenon.<BR>  Teilhard termed his methodology Scientific Phenomenology. The assertion is that a holistic analysis of evolutionary movement must incorporate objective scientific analysis of empirical activity coupled with a subjective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of conscious activity. He surmised that this method is necessary as evolution is moving from a physical energy “without” and from psyche energy “within” reality.<BR>  Tangential energy is the physical energy “without” evolutionary movement while radial energy is the psyche energy “within” evolution. Tangential energy is the quantitatively measurable laws of physics, and radial energy is the qualitatively observable phenomenon of nature. These energies form an interconnected monist reality of physical and psychic energies. Thus, all matter, inanimate and organic, contains seeds of consciousness.<BR>  Teilhard proclaimed his greatest discovery as the law of Complexity and consciousness. The Law of Complexity-consciousness states that an increase in physical complexity produces an intensification of tangential energy with a corresponding elevated increase of radial energy, in other words consciousness. Formulated, an increase in the complexity of matter organizationally equals a higher degree of consciousness.<BR>  Through the Law of Complexity-consciousness, evolution has occurred in stages producing planetary spheres of existence. The first stage was from a point of disorganized elementary particles moving upwards to pre-life matter. This is the evolution of elemental matter and the physical organization of planet Earth, the Geosphere. The second stage is emergence of organic matter converging into the organization of complex life forms upwards to the emergence of mammals. This is the evolution of life and the formation of the Biosphere.<BR>  The emergence of reflective consciousness marks the current stage of evolution. Evolutionary movement has now shifted from the biological realm to the psychosocial realm. This is the formative stage of the Noosphere. Futuristically, Teilhard theorized that Noospheric evolution would over eons of time lead to a final end piont, the Omega Point, which is in essence spiritual evolution.<BR>  His theories of psychosocial evolution are socialization, personalization, and planetization. Teilhard advocated education as socialization toward globalization or, synonymously, planetization. He held education as an essential social institution driving human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