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대한 원인과 지도방법

        서현아(Seo Hyun-Ah),강경희(Kang Kyung-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을 분석하고 원인과 지도방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원인은 유아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 가족관계, 유아교육기관 등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지도방법은 유아 개인의 심리적 안정에 중점을 둔 지도방법과 보상과 벌을 통한 행동 통제법, 행동이 일어나기 전에 계획하여 행동을 수정해 나가는 수정기법, 개인과 사회적 맥락과의 상황을 고려한 지도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s social adapt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hose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and finding ways of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ose behavior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causes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 2. What are ways of instructi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ose behaviors. Those causes need to be identified from perspectives of behaviorism, psychoanalysis, biology, physics,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In addition, children's personal characters, parents and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nd other social factors surrounding children may lead them to do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Second, there are numerous ways of instructi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for example, stabilizing children psychologically, controlling children's behaviors through rewarding or punishment against their emotionally maladaptive behaviors, modifying children's behaviors before they behave in emotionally maladaptive ways and considering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and their internal and social aspects.

      • KCI등재

        정서경험 군집에 따른 낙관성, 부정적평가의 두려움 및 정서적부적응 행동의 차이: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표현 양가성의 군집 비교

        김주연,이영순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optim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by using cluster analysis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EC)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 on the basis of emotional expression processing model. It conducted a survey of 445 college students with a measure as emotional awareness clarity(EC),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 optim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Emotional awareness clarity(EC)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 were by using cluster analysis classified into the four groups, repression group, clear group, conflicting group and expression group. The repression group has high both EA and AE. The clear group has high EA and low AE. The conflicting group has low EA and high AE. The expression group has low both EA and AE. when we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Optim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Clear group showed the highest optim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hown the highest in the repression group and conflicting group.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was shown the highest in the conflicting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표현 과정모델에 의거하여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군집으로 나누어 낙관성, 부정적평가의 두려움,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445명의 대학생들에게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표현 양가성, 낙관성,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4개(억압집단, 솔직집단, 혼란집단, 표출집단)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의 특징을 살펴보면, 억압집단에서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솔직집단에서는 정서인식 명확성은 높게 정서표현 양가성은 낮게 나타났다. 혼란집단에서는 정서인식 명확성은 낮게 정서표현 양가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표출집단에서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집단에 따라 낙관성, 부정적평가의 두려움,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보면, 낙관성에서 솔직집단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은 억압집단과 혼란집단에서 높았으며, 정서적 부적응 행동은 혼란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귀인성향 및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허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upon their attribution an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237 students in 5th through 6th grade of three schools were chosen and ask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their attribution, there was a significant from the aspects of such attribution factors as effort and fate. (b)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such attribution factors as effort and fate. (c)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if parent's rearing attitudes are desirable, children will not present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d) As for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by their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if parent's rearing attitudes were not desirable, children more frequently presente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귀인성향과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초등학교 고학년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237명의 초등학생들의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귀인성향과의 관계는 노력과 운에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귀인성향 중 노력에는 정적인 영향을 운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적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수용적, 민주적·자율적일수록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차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권위·통제적, 적대·거부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나타난다고 밝혀졌다.

      • KCI등재

        교정시설 수용자의 아동기 외상, 초기부적응도식, 영성 및 정서행동문제 간 구조분석

        김숙희,김춘경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hood trauma,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pirituality related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inmates in jai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03 male prison inmate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BDI-Ⅱ(Beck Depression Inventory,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K-ICU(K-Inventory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CTQ(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YSQ-SF(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Spirituality Scal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AMOS 18.0. And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Chi-square(), RMSEA, CFI, TLI, SRM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prison inmates’ childhood trauma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their adulthood. 2. The direct effects of inmates’ childhood trauma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spiritu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direct effects of the inmates’ childhood trauma to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Early maladaptive schemas of inmates worked as a mediator in the process that childhood trauma influenced on emotional/behavior problems. 5. The spirituality of the inmates acted as a mediator in the process of childhood trauma's effect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but it didn't work as a mediator as to callous-unemotional traits. 본 연구는 교정시설 수용자의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외상, 초기부적응도식, 영성간의 관계를 구조분석을 통해 정서행동문제가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경북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를 통해 심의를 마친 후(승인번호 2017–0100), 성인 남성만을 수용하는 교정시설 수감자 6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개인정보(기본정보) 및 응답내용의 이용에 동의하지 않은 수용자 20명과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수용자 25명을 제외한 최종 6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아동기외상, 초기부적응도식, 영성, 정서행동문제 변인 간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가설 모형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측정모델과 구조회귀모델의 부합도는 값, RMSEA, CFI, TLI, SRMR를 통해 평가하였다. 셋째,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추정모델을 설정한 후, AMOS 18.0의 Bootstrapping 절차에 따라 간접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용자들의 교정시설 내에서의 정서행동문제 발생과 재범의 예방, 사회 재적응에 필요한 교정·교화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 제시와 수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상담적 개입과 적용의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조아라(Jo, A-Ra),권연희(Kwon, Yeon-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아의 정서지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207명과 그들의 아버지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유아의 정서지능과 부적응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부적응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과 부적응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부적응행동의 관계에 대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부적응행동의 총점 및 하위영역 중 충동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서지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명령적 언어통제 수준이 낮고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의 유아가 부적응행동 총점 및 충동 행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style and child"s maladaptive behaviors. Participants were 207 children(115 boys, 92 girls) and their fathers. The teachers completed the rating scale to measure a child"s maladaptive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Father"s verbal control style was assessed by a father-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father"s verbal control style positively related with child"s maladaptive behavior.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negative relation to their maladaptive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as shown to play moderating role in the impact of father"s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on the child"s maladaptive behavior.

      • KCI등재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권은아,조순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J지역 내 남녀 고등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BAS/BIS 척도, 청소년 스마트미디어 중독 자가진단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2.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스마트폰 중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행동활성화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 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심각해지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와 관련하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검증하였으며,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또한, 개인의 기질적 취약성과 관련된 인지적 전략에 대한 청소년 상담 및 치료적 개입에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the caus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se. Moreover, this study is to prove BAS and BIS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thods The total of 464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vulnerable to behavioral addiction participated in measuring Smartphone addiction using Korean version BAS/BI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K-CERQ)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s. Results First,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 Second,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xplain clearl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Las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ully mediates between BA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A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between BI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I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BIS directly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and also it affects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relation to the recent serious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highlighted its importance.

      • 부적응 도식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정미현,김남재 덕성여자대학 학생생활지도연구소 2008 學生生活硏究 Vol.24 No.-

        This research explored cognitive emotion condition tactic, behavioral emotion control tactic, and empirical emotion condition tactic, each media effect and causal effects in he relation of maladjustment diagram and depression and tactic more affecting depression. 388 women's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to answer to the maladjustment diagram Questionnair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ERSQ)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Depression were 48 scores over, selected from among the 388 students. To explore the relation of maladjustment diagram, each emotion condition tactic(cognitive, behavioral, empirical), a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a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built and the adequacy was verified.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emotion deficiency, desertion/unrest, distrust/abuse, social isolation/alienation, deficiency/value, failure, risk/disease vulnerability, fusion/immaturity self-sacrifice, emotional depression, and the selection of negative thinking, inactive thinking, blaming others in cognitive emotion control tactics, and the selection of emotion acceptance in behavioral emotion control tactic, and the selection of indulgence and overeating in empirical emotion condition tactic.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selection of emotion deficiency, distrust/abuse, social isolation/alienation, defect value, risk/disease vulnerability as maladjustment diagram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via cognitive emotion control tactics(negative thinking, inactive thinking, blaming others), and that of social isolation/alienation, failure, risk/disease vulnerability as maladjustment diagram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via. Thu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ausality affecting depression using these maladjustment diagram variables and each emotion control tactic. The analysis showed that maladjustment diagram affects depression via partial media of cognitive emotion control tactics(negative thinking, inactive thinking, blaming others), and significantly affects depression partial media of empirical emotion control tactics(indulgent activity and overeating) whose adequacy was supported. The causal effect indicated that the route of maladjustment diagram and depression via partial media of cognitive emotion control tactics rather than via empirical emotion control tactics had a higher effect. Regardless of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behavioral emotion condition tactic(emotion acceptance), it showed insignificant result of media effect between maladjustment diagram and behavioral tactic, which was discussed.

      • KCI등재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

        김윤아,이승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4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 과정을 설명하는 최근의 모델은, 인지 요인의 역할과 더불어 이를 매개하는 정서·행동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유발하는 강력한 인지 요인으로 알려진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불안에 대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7~40세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정서조절곤란, 안전행동, 사회불안 수준을 측정하는 자기 보고형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454명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사이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이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이 함께 작용한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이며,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을 매개함으로써 사회불안을 더욱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and social anxiety.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specially, the path from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to emotion dysregulation was more powerful than other paths.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dysregulation, safety behavior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 as well as the dual-mediated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afety behavior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dysregulation and safety behavior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ed a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ho had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인지처리과정 강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선미,김정민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arry out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strengthening cognitive processing for adolesc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to compare the effects with traditional cognitive-behavior therapy. This study selected adolescents with the double standard of higher than 120 points in K-SAS-A and higher than 60 points in SASC-R among 313 7th grade students in 2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assigned finally selected 24 adolesc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in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strengthening cognitive processing and assigned 8 adolescents into the comparative group that conducted traditional cognitive-behavior therapy and in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Each program was conducted 10 sessions for 90 minutes once a week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 effects of the program have been verified through pretest, posttest, and 3 months further examin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automatic thought, irrational belief, and interpretation bias of cognitive content among cognitive characteristics are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of cognitive process are lower for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emotion recognition by facial expression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during the cognitive proces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emotional characteristic as social anxiety was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evaluation of behavioral traits as safety behavior and performance anxiety was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Fourthly, automatic thought, irrational belief, and interpretation bias of cognitive content among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emotion recognition by facial expression, and post-event rumination of cognitive process were all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3 months after the program. Also 3 months after the program, both the social anxiety, a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behavior and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list, a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인지처리과정 강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한 후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2개 중학교 1학년생 313명 중 K-SAS-A 120점 이상, SASC-R 60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1차 선별한 후 진단 면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사회불안장애 청소년 24명을 인지처리과정 강화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임의 배정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사전, 사후 및 3개월 추후 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적 특성 중 인지적 내용의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해석편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과정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후반추사고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적 과정 중 얼굴표정 정서인식은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정서적 특성인 사회불안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행동적 특성인 안전행동과 수행불안 평가목록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인지적 특성 중 인지적 내용의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해석편향과 인지적 과정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사후반추사고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정서적 특성인 사회불안과 행동적 특성인 안전행동과 수행불안 평가목록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최필열,변상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s of Adolescent Early Maladaptive Schema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Pilyeol Choi & Sanghea By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larify how early maladaptive schema in adolescents affect thei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total of 953 participants, inclu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 used SPSS (version 25.0) and the Process Macro method, which was first proposed by Hayes (2013), to analyze the data. Increased early maladaptive schema consequently induced increase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F=41.871, p<.0.001).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mediated by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F=111.594, p<.0.001). The present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prevent or reduce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s well as enhance the impa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o treat early maladaptive schema. Key Words: Adolescent, Early Maladaptive Schema,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Mediating Effect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최 필 열*ㆍ변 상 해**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조절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 25.0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41.871, P<.001),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도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있으며(F=111.594, P<.001), 부(-)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행동은 상관관계가 높으며 인지적 정서조절도 매개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 예방 및 감소,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의 완화를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청소년, 초기부적응심리도식, 인지적 정서조절, 외현화 문제행동,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7월 19일, 수정일: 2022년 8월 19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oul Venture Univ., Email: wnpnews@naver.com)** 교신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Venture Univ., Email: jm9004@sv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