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ased on main issues that have been discussed and expressed as conflict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desirabl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 social studies. Although development is not possible without effects of the general side,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social studies should be maintained during the development. Second,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foster quality of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 or citizenship, it is needed to establish a conception of citizenship responding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n based on it, to present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ird, it is needed to present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ore detail than the existing one and one document of curriculum into which a nation-level curriculum document and curriculum manual are integrated. Four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uld present measures of practical methods of integration in order to recover the essenc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Fifth, it is needed to establish purposes and to construct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with which the merits of grade cluster and subject cluster, characteristic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an be promoted and practiced effectively. Finally, it is needed to organize a conference of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desirable a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s well as to establish research institutions to conduct the development.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나타난 그 동안 논의되고 갈등으로 표출된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지금보다 더 좋은 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첫째, 총론과 각론(사회과)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 즉, 총론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할 수는 없지만, 사회과의 기본적인 성격과 목표는 변함없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자질, 즉 시민성의 육성이므로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시민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것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 내용과 교육방법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을 현행 교육과정보다 상세하게 제시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과정 해설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 문서로 제시하여야 한다. 넷째,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교육의 본질이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통합 방안(개념 중심, 사회문제 중심, 스트랜드 중심 등)을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내용은 최소필수 학습내용과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학년군과 교과군의 장점을 살리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회과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바람직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협의회 구성, 더 나아가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회과 도입⋅성립기 초등 사회과교육자 최병칠 연구

        김세훈,이동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3 사회과교육연구 Vol.30 No.4

        Various factors had complex effects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but what is more crucial than anything else in the process is the roles of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it. Particularly, in the past, a small number of pioneers and elites led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is respect, attention was paid to Choi Byung-chil, the first-generatio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or and the first elementary social studies editors in the beginning. Choi Byung-chil focused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articular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system to organize the contents of early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addition, during the Korean War, writing wartime textbooks and children's magazines, he left the meaning of wartime education. He participated in the revision of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ums after the war and made lots of achievem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instance, instructing fellow scholars like Gang Woo-cheol. With his efforts,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ld be established firmly,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he allowed the lectures that could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classroom to be actualized. Therefore, his life is appreciated as a meaning in the histor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classroom, too, and i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elementary social studies.

      • KCI등재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정문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s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mportance, difficulty of classes, and suitability of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the responses of 1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who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competency. They answered that they fully understand, consider it important, and are suitable for teaching social studie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putting it into practice, but not enough to be concerned about. Such a positive response is because the subject competency differed in expression only, but it was traditionally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how to incorpor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ew era, such as creative thinking and information utilization, into the contents and skill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emerged as challenges. Second, although they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o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y several variables. In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male teachers showed higher positive responses than female teachers. Conversely, fe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positive response than male teachers i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the overall difficulty of classes, those from 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critical thinking is an ability emphasized on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teachers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from 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teacher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nks it is relatively less important compared to the other subject competenci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Further, competenc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in the survey on social studies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elaborated, but efforts required by the new era should be melt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to be reborn as social studies competency. And it is judged that these effort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additional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이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초등교사의 이해도, 중요도, 수업 곤란도, 적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초등교사 178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고 초등교사 5명의 FGI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사회과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수업으로 실천하기에 어려움이 다소 있으나 크게 우려할 만큼은 아니었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은 교과 역량이 표현만 달리 했을 뿐 전통적으로 사회과에서 강조하던 능력들이기 때문이다. 다만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예컨대 창의적 사고력이나 정보 활용 능력 등을 어떻게 사회과교육의 내용과 기능으로 녹여낼 것인지가 과제로 부각되었다. 둘째, 창의적 사고력의 이해와 중요성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반대로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의 적합도와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도와 수업의 곤란도에서는 사회과전공 출신이 비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는 비사회과전공 출신이 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교사의 인식을 고려하면서 사회과 특성에 기초한 역량들은 더욱 강조하고 정교화하되,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능력들을 사회과의 특성에 녹여서 사회과의 교과 역량으로 재탄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과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 비교 연구

        한춘희(Han Choon Hee),김정호(Kim Jeong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민주 시민 과 현대 공민 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와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타이완은 모두 초등학교 3학년부터 사회과를 학습하고 있으며, 두 나라 모두 사회과를 통합 사회과로 운영하고 있다. 둘째, 사회과 목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민주시민양성 을, 타이완은 현대공민 양성 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미국 사회과의 영향을 받은 탓이다. 셋째, 사회과의 내용에 있어 우리나라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별로 통합적인 내용 구성을 모색하고 있으나, 타이완은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준으로 삼았던 인간과 공간, 인간과 시간, 인간과 사회의 개념에 도덕과 내용을 적용한 9개 의 주제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넷째,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에 10개를 제시하 고 있는 있으나, 타이완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명시하고 있지 않다. 다섯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출판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국정 체제를, 타이완은 검인정 체제를 택하고 있다. 여섯째,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와 관련하여 두 나라 모두 사회과 지도서는 크 게 2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부분은 사회과 지도를 위한 기초 분야로 사회과 교 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을 교사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 해설하고 있다. 두 번째 부 분은 교수․학습의 실제 부분으로 자료 제시, 보충 설명, 지도안 제시, 수업 방법 안 내 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와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는 성격 및 목표, 그리고 교과 명칭에 서 큰 차이가 없고, 교수․학습 내용도 지리, 역사, 일반사회의 지식, 기능, 가치․태 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과의 학습목표 설정과 학습내 용 제시에 있어 우리나라는 영역별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나. 타이완은 주제 별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것은 교과서 내용 구성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 다. 특히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타이완은 서로 공 통점이 있으나 타이완의 경우 사회과와 도덕과를 통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을 운영 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큰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urricula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Taiwan,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present suggesti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Taiwan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and modern citizens are as follows. First, Korea and Taiwan begin teaching social studie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s. As for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Korea establishes the third-fourth grade group and the fifth-sixth grade group in the grade-cluster system for social studies, while Taiwan establishes the second phase including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and the third phase including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for social studies. Second, Korea and Taiwan hav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both elementary social studies support integration in domain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 as for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Korea aims at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and Taiwan at educating modern citizens, aims that are affected by American social studies. Fourth, as for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Korea integrates contents by domain including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while Taiwan contains nine themes including the concepts of humanity and space, humanity and time, and humanity and society that were the standard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Korea, as well as ethics and contents. Fifth, as fo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ocial studies, Korea clarifies te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urriculum while Taiwan does not have concret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urriculum. Sixth, in publishing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Korea is government-designated but Taiwan is authorized. Seventh, the teachers guid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both countries has roughly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as the basic field for teaching social studiesexplains content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eachers; the second section as the practical field in teaching and learning includes educational materials, supplementary explanations, guidance plans, and methods of giving lessons. As mentioned above,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Korea and Taiwa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ature, objectives, and name of the subject.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re common in both countries, including geography, history, and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of general society as the basis of the curriculum. However, in establishing learning objectives and presenting learning contents, Korea establishes a system by domains while Taiwan has a system by themes, a difference that leads to a difference in organizing contents of the textbook. In particular, in the aspect of operat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aiwan is sufficiently different from Korea in integrating social studies and ethics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espit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천 양상 탐색 - 교육과정 문해력을 중심으로 -

        이수룡(Lee, Su-Ryong),김일두(Kim, Il-Du),박민재(Park, Min-Ja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실천 양상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한 경험이 있는 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2020년 3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과거 수업 경험을 통해 사회과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하였고, 그 양상은 연구참여자별로 ‘사회현상의 이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지식 습득’,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사회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수·학습방법을 강조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사회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 ‘학생들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사회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경험 중에서 평가와 기록의 요소에 상대적으로 많은 신경을 기울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사회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실천 경험을 통해 ‘사회 이슈를 수업에 연계하는 능력’, ‘학생 이해 능력’, ‘사회를 바라보는 유연한 안목’을 포함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문해력을 앞으로 신장해야 할 교사의 역량으로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aspect on alignment of the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records in the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practiced the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from March 2020 to July 2020, in a non-face-to-face manner corresponding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identity through past instruction experience which indicated that each participant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acquiring the knowledge necessary to lead a life,” and cultivating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Seco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research participants reconstructed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highlighting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nd to consider “students interests and levels” and “student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hen reorganizing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urth,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served to pay relatively less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assessment and records among alignment of the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record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in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emphasized the ability of teachers to improve social studies curriculum literacy, including the ability to link social issues to instruction, the ability to understand learners, and a flexible view of society, by exploring the practical aspect on alignment of the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record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전재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by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focused only o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middle elementary grade social studies and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revised in 2015. Learning contents of social studies are known to be organized based on the expanding environment and spiral curriculum. In this aspec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from vertical connections. That is to say, in a sequence, contents are gradually intensified and expanded, and in a continuance the contents are organized by repetition.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nectivity rate between grade clusters 1-2 and 3-4 was 48.6%, and between 3-4 and 5-6 was 69.2 percent.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3-4 and 5-6 grade clusters was higher than that for grade clusters 1-2 and 3-4.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the connectivity ratio of geography (76.9%) was the highest, general society (46.2%) was in the middle, and history (33.3%) was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implementation of systematization of concepts by researching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cep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done; and next, joint research by resear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can be undertake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Hopefully, the proces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be solidifi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중 사회과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 학습 내용은 환경확대법과 나선형 배열 원리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습 내용이 점진적으로 심화 및 확대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열성과, 학습 내용이 반복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속성에 기초한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의 관점으로 삼아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학년군과 3∼4학년군의 연계율은 48.6%,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은 69.2%로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과 영역별로는 지리영역 76.9%, 일반사회영역 46.2%, 역사영역 33.3%로 지리영역의 연계율이 높고, 역사영역의 연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 개념의 체계화 연구를 통한 개념의 계열화와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과정 연구자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공동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대한 고민과 후속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여 초등 사회과교육의 학습 과정이 더욱 견고해 지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배화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3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data in various fields, citizens often read data such as tables, figures, maps and graphs in their daily lives and encounter social phenomena and issues based on data. In order to live in a modern society, citizens need to be equipped with dat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llect, analyze, interpret, evaluate and argue with data and through data visualizations. In social studies, various types of data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ocial phenomena, issues and problems. Recent education policy changes in Korea,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pected to expand the amount and level of data used in social stud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rengthen the data literacy skills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data literacy competenci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at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raws up concrete support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data literacy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data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eachers were somewhat unfamiliar with data literacy, but they generally agreed that data should be addressed in social studies classes.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directl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and using it as a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 such as differences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data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to promote data literacy. To address these issues,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develop and share material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pare new phys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홍미화(Hong Mi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instructional expertise studies and to criticize again the expertis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chapter 2 of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ion of existing instructional expertise research, the chapter 3 explores the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expertise as th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pecially the meaning of good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the chapter4, I suggested a new perspectiv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expertise studies. Children can learn not only the complex background study contents and advanced thinking skills but also various values and viewpoints of social phenomena through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refore,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image of teachers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are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assuming that the teachers have the value of good life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After all, the expertis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possible when: Firstly, the teachers must have the expertise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suggested the existing studies. Secondly, the value conflicts of instru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instruction observers must be admitted. Finally, they must talk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bout something including their value conflicts. This is not because the good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complete and fixed but because they admit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assuming a society.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수업 전문성 연구의 문제점을 토대로, 교과교육 특히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을 재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2장은 수업 전문 성 연구 담론의 논의 양상을 살피고, 3장에서는 초등교육의 본질로서의 수업 전문 성과 ‘좋은’ 사회과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였으며, 4장에서는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 성 연구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사회과 수업은 복잡한 배경 학문적 내용과 고급 사고력뿐만 아니라, 사회 현상 에 대한 다양한 가치와 안목을 가르치는 수업이다. 따라서 사회과 수업은 교사가 추구하는 민주시민상과 직접적으로 관계한다. 초등 사회과 수업 속에는 학습자와 더불어 공존하는 교사, 그 교사가 의도한 ‘좋은’ 삶을 전제로 한 수업내용과 방법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결국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이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전문성 기준에 도달한 교사에게만 존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수업자와 수업관 찰자의 수업관이 충돌하는 것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대화와 소통이 존재할 때 확보될 수 있다. 이것은 사회과 수업이 완전하고 고정되어 있는 실체라기보다는 사회를 전제로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는 교과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

        류현종,김은석,정광중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study addresses a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through which Teachers College faculty in Jeju Universit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have inquir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in a practium collaboratively. The community members have performed, interpreted, reflected, and discuss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reveal various meanings in the instructions. They are suggested under subjects of ‘Desire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eating plotlin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eachers’ feeling sympathy with student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real-life problems’, and ‘Learning social studies and time.’ Implications and tasks which they provid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each of researcher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But total process of instruction study-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communication, correction, re-implementation-should be discussed. Also, for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a instruction in class situation, coteaching in which community members teach together deserves considerations. Second, a range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be extended to a relational domain of instruction. The focus of reflection should be on lifes of teacher and students, a culture of instru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structure etc out of emphasizing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instruction. Third, a practicum system, in which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an select a mentor teacher and live in the mentor’s classroom to teach social studies, should be set. Social studies course should be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life of classroom.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재직하고 있는 J대학교 교육대학과 학교 현장이 ‘교육실습’을 매개로 수업을 같이 탐구했던 수업 공동체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수업 공동체 구성원인 교수(연구자들), 학부생, 현장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을 실행, 해석, 성찰, 논의하면서 사회과 수업의 다양한 의미들이 드러났는데, 이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소망’, ‘사회과 수업의 줄거리 짜기’,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공감’, ‘사회과 수업과 ‘현실’ 문제’, ‘사회과 학습과 시간’이란 주제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사회과 수업의 의미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이해와 관련한 시사점과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연구자들, 예비 교사, 현장 교사들의 각 입장에서 사회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계획, 실행, 성찰, 소통, 수정, 재실행 등의 수업 연구 전 과정에 걸친 논의를 통해 보다 총체적으로 수업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수업 상황에서 성찰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수업에 참여하는 코티칭의 활용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 논의가 수업 전문성 기준에 초점을 둔 논의에서 수업의 관계적 차원을 드러낼 수 있는 논의로 확대되어야 한다.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넘어서 사회과 수업이 수업자와 학생 삶, 수업 문화, 교육 환경, 사회 구조에 주는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실습과 사회과교육 강좌의 전향적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수업이 학생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고 볼 때, 멘토 교사를 정하여 오랜 시간 동안 멘토 교사의 교실에 살면서 생활지도와 학습지도를 경험할 수 있는 실습 체제가 필요하다. 사회과교육 강좌도 이런 교실 삶과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 교수들이 팀티칭을 이루어 강의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의 반성 양상 분석 : 더 좋은 수업설계를 위한 제언

        이수룡(Lee Su-R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내용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도 소재의 교원양성기관에서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43명이 기록한 반성일지 내용을 van Manen의 반성의 수준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에서 수업목표의 선정, 수업모형의 적용, 수업활동의 구상, 평가계획 수립에 대한 기술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상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검토하는 실천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면서 이론과 수업 실행의 차이에 관심을 갖고 현행 교육과정의 모순과 한계를 지적하는 등 비판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작성을 통해 반성적 실천가로서 자신만의 고유한 전략과 방법으로 더 좋은 사회과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안목과 역량을 갖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강조하는 시점에서 과연 수업전문성이 어떠한 역량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수업설계를 위한 교사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관한 논의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writing lesson plans of social studies. Methods To this end, 43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flection log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van Manen s reflection level. Result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technical reflection after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is the process of selec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pplying instruction models, planning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plan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practical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is to explore the problems or situations that may arise in the instruction and examine the role of teacher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critical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focuse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instructional practice and points out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iculum. Conclusions In respons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have an eye and ability to design better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their own unique strategies and method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through the preparation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