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BL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S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ing outcomes of teaching professional subjects with an e-PBL(e-Problem Based Learning) Model.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for 30 student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Psychology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I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with e-PBL on problem solv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 efficiency,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Results To analyze difference of two time points, the results that analyzed the independent t test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 efficiency, and ARCS Learning Motivation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teaching class with a e-PBL model improved. Second, the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with the e-PBL class were very high. Third. this study also presents students’ opinions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and suggestions for implication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PBL programs of teaching professional subjec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교과목에 e-PBL을 적용한 수업모형으로 운영한 후 학습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육심리학 수업에 e-PBL을 적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강생 30명을 대상으로 수업전과 수업후의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S 학습동기, 학습성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e-PBL수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e-PBL 수업전보다 수업후에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S 학습동기의 대부분의 하위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PBL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인지된 학습성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PBL 수업에 대한 1)학습상황 분석, 2)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 3)교육내용 및 방법. 4) 성찰 및 활용(개선)방안의 요인에 대한 심층면담이수행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교직교과목에서 e-PBL 수업설계 및 운영에서 고려해야 하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여현숙(Hyun-suk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21세기 핵심역량은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크게 세 가지 영역, 자율적 행동, 도구활용,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학습방식은 전통적 강의중심, 교사중심의 수업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e-PBL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규명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핵심역량을 분석틀로 하여, ‘e-PBL’ 수업사례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로서 과연 e-PBL 수업방식이 21세기 핵심역량을 강 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방법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KCI등재 e-PBL 관련 논문 중, 47편의 e-PBL 수업사례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이들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효과를 앞서 분석한 핵심역량 3영역 16요소와 연결해보았 다. 그 결과, 첫쨰, e-PBL의 학습효과는 핵심역량 중 자율적 행동 역량(43.6%, 180편), 도구 활용 역량(28.3%, 117편),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28.1%, 116편)영역 순으로 비교적 골고루 모든 역량 함양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약간의 비율적 차이는 보였지만, 모든 대상학령에서, 그리고 사용된 매체에 상관없이 e-PBL 수업 효과는 핵심역량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e-PBL 수업방식은 21세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방법의 하나로서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are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with institutions; however, it may be summarized largely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utonomous behavior, tool uti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mpetences. The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such core competences, however,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lecture-oriented and teacher-led classes, hence, ‘e-PBL’ in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ased upon the analysis framework of core competences, reviewed learning effects of 47 “e-PBL” studies selected out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at the KCI during 2000 to 2013, and then analyzed how well the learning effects of the selected e-PBL studies have matched with each category and sub-element of the core competenc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e-PBL classes mostly have satisfied all the specific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the core competences. Second, despite a slightly different ratio, both k-12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e-PBL class, regardless of subject matters and used technologies, showed positive increase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core compet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e-PBL, the technology-enabled learner-centered pedagogy, may be seen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needs of fostering the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 KCI등재

        효율적인 e-PBL 교수학습을 위한 e-PAS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주길홍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4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양을 급속하게 증가시켜 지식기반사회로의 체제를 굳건히 만들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은 더 이상 학습자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의 적합한 수업모형인 문제중심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과 PBL(문제기반학습)을 결합시킨 수업모형인 온라인 기반의 e-PBL을 제안한다. 이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소양교육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e-PBL 수업모형, 수업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e-PBL을 지원하기 위한 e-PAS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만족도를 신장시켰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is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o information based society. Also, the amount of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increased quickly. Today, the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of simple knowledge is not supported to problem solving any more. Because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ICT is affected not only personal growth but also the right to live. Due to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teach and study using PBL(Problem Based Learning) in future. This paper proposes on-line based e-PBL which is combined e-learning with PBL. The e-PBL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traditional teaching-learnign method.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the e-PBL teaching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computer in elementary schools and inspected its effectiveness and validity. In addition, this paper built and utilized the e-PBL on-line learning support system including e-Mentoring which was defined as e-PAS system. It is effective for learners to improve the ability of self-leading, the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of studying.

      • KCI등재

        비대면 e-PBL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박정아(Park, Junga)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최근 비대면 원격 교육에 대한 활용은 그 범위를 넓혀 가고 있고 온라인 교육이 COVID-19시대 뉴노멀로 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문제 중심학습으로 알려진 기존의 PBL 수업에서 나아가 전면 온라인 학습환경의 e-PBL 교수법을 실내디자인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문제 제시를 통한 해결 방법을 디자인적 제안으로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e-PBL 적용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실내디자인과 디자인 스튜디오 과목 특성에 맞게 설계하여 실질적인 활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e-PBL을 적용하였다. 이는 비대면 원격교육이 하나의 수업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향후 더 발전가능성을 한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실내디자인과 2학년 학생이며, 상업공간디자인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과목으로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최종 발표를 통해 평가 후 학기를 마무리한다. e-PBL을 통한 디자인 프로젝트 수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스튜디오 수업 방식에 비해 학습자의 능력별 편차를 극복하여 부담감을 덜어주며, 현실적으로 구현되는 실무적인 상황과 교수자가 제시하는 디자인 문제중심으로 과제가 진행됨으로써 학습자들이 보다 능동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디자인 툴 활용에 대한 e-PBL에 대한 적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의 만족도가 커졌으며, e-PBL 과제 수행계획서 작성을 통한 문제해결은 이론수업과 실기수업 모두에게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PBL을 위해 기본적으로 소규모 팀 기반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플랫폼 및 온라인 제작 도구의 다양성, 온라인 학습에서의 협력 합승 및 상호작용 촉진 등의 노하우 등 행정적, 환경적 지원이 되어 학생과 교수자의 동기를 부여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e-PBL 활용이 디자인 스튜디오 교과목에서 온라인 원격교육의 주요한 교수학습방법임을 제시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use of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has been expanding, and in order for online education to become a new normal in the COVID-19 era, this study attempted to draw a solution through presentation of problems by applying e-PBL teaching in indoor design classes. e-PBL was applied so that it c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design and design studio subjects and made practical use. This aims to recognize that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is establishing itself as a teaching method and to supplement further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second-year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and students form a team to conduct projects and complete the semester after the final 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e design project class through e-PBL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existing studio teaching method, learners showed a more active attitude by overcoming the deviation by learner s ability to ease the burden and focusing on practical situations that are realized in reality and design problems presented by instructors. Second, the longer the adaptation time to e-PBL for the use of design tools,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nd problem-solving through the preparation of e-PBL task performance plans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la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motivate students and instructors with administrative and environmental support such as diversity of platform and online production tools, and know-how such as promoting cooperation and interaction in online learning so that small team-based activities can be activated. Through this stud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at the use of e-PBL is a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online remote education in design studio subjects.

      • KCI등재

        지식창출형 e-PBL 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구안- 해군 e-PBL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

        박수홍,홍진용,우차섭,김두규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4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장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군대에서도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상이 요구되고 있어 해군 교육에서도 PBL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을 위한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크게 3단계를 거친다. 첫째, PBL, e-PBL, 지식창출, 지식생태계 등을 키워드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하였다. 내용 전문가들로부터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국내․외 논문 및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을 추천받아 본 연구와 관련해서 인용도가 높은 문헌과 최근 연구를 수행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선정 ․ 분석하여 지식창출형 e-PBL지원시스템의 핵심가치와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1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교수설계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아 수정함으로써 지식창출형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의 최종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 첫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e-PBL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업무 노하우를 축적 할 수 있다. 둘째, 개인간 또는 집단간 지식 공유를 통해 지식이 선순환됨으로써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고, 학습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시너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해군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 PBL을 적용하고 있는 교수자들에게 지식 Base를 구축하는 PBL적용의 새로운 가치를 가지게 한다. A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s emphasized and the environment of battlefields is changing, the military also demands competent people equipped with creativity, cooperativ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in this situation it is required to apply PBL to education in the navy. The present study went through three stages in order to develop a prototype to implement a naval e PBL support system for knowledge creation. First, databases i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Assembly Library, etc. were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PBL, e‐PBL,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ecosystem. In addition, we selected and analyzed frequently quoted literature and recent research reports related to this study among domestic and foreign theses, books, research papers, etc. recommended by specialists in contents, and derived the key values of a knowledge‐creation‐type e-PBL support system and design strategies. Second, we developed a primary prototype based on the contents of analysis and, revising it according to teaching design specialists’ opinions, we proposed the final prototype of knowledge‐creation‐type naval e‐PBL support system and it has values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creation‐type naval e‐PBL support system provides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apply e‐PBL and helps them improve their creativity, cooperativ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accumulate know‐how of services. Second, it improves work efficiency by circulating knowledge through sharing among individuals or groups, and produces synergy that promot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earning. Third, the knowledge‐creation‐type naval e-PBL support system enables teachers who apply PBL to school education to find new applications of PBL in constructing knowledge bases.

      • KCI등재

        e-Book을 활용한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의 학습경로 탐색: 프로세스 분석을 적용하여

        이성혜,한정윤,최경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learner's participation level in e-book based online PBL environment. For this, online activity data from 1,34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book-based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s run for six weeks at K universit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ransitions, e-book access, and online achievements were analyzed among each group for the ‘high-level,’ ‘medium-level,’ and ‘low-level’ participation groups derived from our previous study.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s between e-books were found; in all transition path of each PBL learning module, the high-level participation group moved the most, whereas the low-level participation moved the least. Also, the average number of access to e-books was highest at the high-level participation group and lowest at the low-level participation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all three groups showed a common pattern of sequential learning of the e-books presented in each PBL module, onlin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high, medium, and low-level participation groups. As such, this study has a research implication in that it analyzes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in depth in the context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interprets their learning patterns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초․중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e-book기반 온라인 PBL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수준에 따른 학습과정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6주 동안 운영된 e-book기반의 온라인 문제기반학습(PBL) 프로그램에 참여한 1,341명의 초․중학생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학습참여 집단에 대해 각 집단 간 학습경로별 이동 횟수, e-book 접속수,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집단 간 학습경로별 이동 횟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BL 학습 모듈 내의 모든 학습경로에서 고수준 학습참여형 집단의 이동 횟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수준, 저수준 학습참여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e-book에 대한 평균 접속수도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세 집단 모두 각 PBL 모듈에 제시된 e-book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공통적인 패턴이 나타나긴 했으나, 전반적인 학습참여도의 차이와 함께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집단 순으로 온라인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초, 중학생 문제기반학습의 맥락에서 프로세스 분석 접근을 활용하여 PBL에서의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학업성취도와 연관 지어 해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권혁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정하림,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e-pbl on the unit of 'My Environmental-friendly Lif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6th grad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in the study and collected resear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Second, in comparing the subordinate areas of environmental litaracy,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n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ehavioral area between two groups.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 6학년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실험반에, 전통적 수업을 통제반에 적용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e-PBL 수업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더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환경 소양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행동적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ICT활용 문제중심학습(e-PBL)이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신장에 미치는 효과: 농어촌 소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김영애 ( Young Ae Kim ),박한숙 ( Han Sook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2 No.2

        구성주의는 1980년대 이후 객관주의 인식론에 대한 대안적 인식론으로, 객관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이론들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한 학습이론이다. 이런 구성주의 학습의 원리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교수 방법들 중 하나가 PBL(Problem Based Learning)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원 수강을 하기 어렵고 가정에서 학습조력을 받을 수 없는 농촌소재 소인수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ICT 활용 문제 중심학습(e-PBL)이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3학년 8명, 4학년 9명으로 모두 17명이었으며 실험설계는 단일집단 전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e-PBL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PBL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켰다. 둘째, e-PBL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다. 셋째, e-PBL 수업은 학생들의 과제 해결력과 발표력, 보고서 작성 능력을 향상시켜주며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improving achievements and abilities of problem-solving of students in small classes of farming communities. The tools of test were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diagnose tests and the achievement tests and questionnaires. The effects of improving problem-solving was tested by the before-after-surveys, observing and interviewing diar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s using the e-PBL improve students` ability of problem solving. e-PBL was the effective approaches to enhance students` abilities of task-solving, presentation and problem-Solving through collect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of information and for creating new information. Teachers have to make the practical and ill-structured problems and puzzlers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solving. Second, the instructions using the e-PBL enhance students` achievement, The e-PBL was more effective approaches than teacher-centered instructions, because students could enjoy the accomplishment and have the self-confidence in studying and take part in the learning process. Teachers try to guide and encourage students to study in right directions. Third, the instructions using the e-PBL improve students` abilities of task-solving, presentation and making reports, The e-PBL was also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students` achievements. Teachers have to observe the students to study in right directions and should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ies when they make the presentation with various and amusing methods, Teachers should teach the use of computers for making the reports as well.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학습에서 e-PBL지원시스템 적용 효과분석

        손임덕,손건태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4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form to build the problem solving skill and the self-critical thinking that helps the leaner to solve the ill-structured and the authentic problem throu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he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 e-PBL support system which combines the PBL and the web system. For this study, two groups, e-PBL class(treatment group) and traditional learning class(control group), are considered among the sixth 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Two groups are examin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bilities with the same prior test and the same posterior test.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e-PBL, the analysis of covariance is applied to academic achievemen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parately. The e-PBL support system leads to better result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ome items i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an those of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문제기반학습(PBL)은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들이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문제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형태이다. 본 논문은 PBL이 웹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e-PBL지원시스템을 개발하고 교육현장에서 적용하여 학업성취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이다. 초등학교 6학년 2개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e-PBL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한 처리집단과 일제식 강의방법으로 수업한 통제집단을 편성하여 학습의 사전·사후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동기 검사를 수행하여 표준점수를 구한 후 사전성취도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e-PBL지원시스템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동기 중 몇 항목에서 일제식 강의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