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일본의 朝鮮史만들기와 역사왜곡 실태분석

        김서은(Kim Seo Eun)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9 No.-

        本稿は日本の韓国史観の形成過程を時代的に調べて植民地朝鮮の歴史が歪曲されて教育された過程を分析した。明治以来実施された日本国学者の朝鮮の古代史の認識は基本的に韓半島は独立国ではなく、中国と日本の属国であったという他律性論に基づいている。このような傾向は歴史教科書の叙述でも一貫して書かれて、1920年最初に作られた朝鮮史の教科書から2000年代になる現代の扶桑社の歴史教科書まで一貫してその命脈を維持している。そして韓半島歴史の起源になる古朝鮮を認めないで、朝鮮は古代から日本の兄弟国だと説明する日鮮同祖論を提示している。 1869年から国家の正統性を確立するために歴史編纂事業を始めた日本は、朝鮮の侵略を正当化するために新しい植民史観である日鮮同祖論を作って古代史を再創造し、100余年も過ぎた今でも日本の教科書では歪曲された記録をそのまま教えている。本研究を通じて日本の韓国史歪曲がどれくらい徹底的で、計画的に進行されてきたのか知ることが出来るだろう。 In this article, we conduct a chronologic analysis of the process whereby the Japanese conception of the Korean History has been formed, exploring the process whereby they have taught about the history of the colonized Korea in a distorted manner. The Japanese scholars of ancient Korea at the time of Meiji era (and onwards) were exclusivism, their tenet being that the Korean peninsula does not host an independent country but belongs to China and Japan. This tendency has been consistently observed in history textbooks across the time, especially from the textbook of the Korean history published in 1920 to the contemporary textbook published by Fusosha Publishing in 2000s. These textbooks do not admit the existence of ancient Korea as an origi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dvocate the Japanese- Korean common-ancestor hypothesis that the two countries have been in a sister relationship since the ancient times. Japan, which had since 1869 initiated the work of compiling historical facts in order to validate the country, invented the aforementioned hypothesis for the purpose of validating their aggression of Korea, and, although more than 1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textbooks in Japan still describe this distorted record. The present article reveals the thoroughness of, and its planned nature of, Japan’s distortion of the Korean history.

      • KCI등재

        분단 역사에 대한 통합서사적 상상력과 통일교육

        박재인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1 No.-

        This research aims to heal the distorted memories and emot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Korea, focusing especially on the younger generation by. Examining their memories about the division history. Students responded by mentioning what they felt were the reasons for the division, as follow: (1)conflict between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after liberation (2)the North's invasion of the South on June 25, 1950, (3)interference from the major powers involved in the Cold War, (4)reversal of time from June 25, 1950, to 1951, (5)the ceasefire in July, 1953. However, the memories and causes they missed were the violence that arose from internal problems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also did not remember the conflicts between the youth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ause, for them, history of division was one of Kim Il Sung's revolutionary achievements. As a concrete action plan, I discuss an epic map of a story of integration based on the oral testimonies of war victims and a creative unification education plan. These are narratives of wives / avoidance / division of enemy. An integrated narrative of accusation / embracing / harmony is a branching education methodology that can systematically appreciate various stories about division and war history. Creative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n active experienc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I discussed the cas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an actual high school. 이 연구는 분단사에 대한 성찰적 기억의 재구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통일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단과 전쟁의 피해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분단사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현재 청소년들의 분단사 기억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의 기억은 ‘해방 후 좌우익 대립, 냉전시기 외부세력의 신탁통치 및 간섭, 1950년 북의 남침, UN군 개입(인천상륙작전), 중공군 개입(1.4후퇴), 1953년 휴전’에 해당하였다. 이는 분단과 전쟁의 책임을 타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의 기억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분단사 교육은 우리의 과오를 지우려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고, 반성적 사유를 시작으로 평화를 희구하고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도록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서 역사경험담 기반의 통합서사지도와 창작형 통일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부인/회피/적대의 분단서사 및 고발/포용/화합의 통합서사로 구성되는 통합서사지도는 분단과 전쟁 역사에 관한 다양한 스토리들을 체계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분단사 교육방법론이며, 창작형 통일교육은 분단사에 대한 자성적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적인 체험활동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통합서사지도를 활용한 콘텐츠 창작 교육활동을 예시로 들어 분단사에 대한 통합서사적 상상력이 실현되는 통일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제의 한국강점에 대한 일본 언론의 동향 -일본 잡지 『太陽』ㆍ『日本及日本人』ㆍ『中央公論』을 중심으로-

        하지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cognition about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demonstrated in the Magazine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These Magazines are representing Japanes Press in maiji period. Especially these Magazines are all-around magazines. They asked more powerful control to korean resistsnces against Japan & Japanese and insist immediate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lso, these Magazines claimed that the ‘legitimacy’, ‘Justification’, even though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force is ‘Inevitabile’. It was based on contempt for Korea & Koreans. And these Magazines distorted Korean History, especially the ancient history, and asserted that the Korea & Korean have no experience of Independence in history. 1905년 일본은 러일 전쟁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전후 악화된 재정 상태와 국제관계를 고려하여 급진적인 한국 병합책에 신중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적어도 협약이라는 형식을 갖춤으로써 합법적으로 한국을 병합했다는 모양새를 갖추어 강제 병합의 원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놓고, 자연스런 병탄의 결실을 맺도록 하는 일이었다. 또한 일본 국내의 일간지 및 종합계간지 등 언론을 총동원하고, 한국 내 민족 언론을 통제함으로써 일본의 한국 병합이 합법적이고 더 나아가 시혜적이라는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 것, 한국의 과거사를 왜곡하여 이미 고대부터 한국이 일본의 속국 내지 영향력 내에 있었음을 주장하고 유포하는 것, 한국민을 자립할 수 없는 노예적 속성을 가진 미숙아로 왜곡하는 것 등 강제 병합을 합법화시키기 위한 추상적인 역사, 문화적 식민화가 전개되었다. 이 문화적 식민화의 장은 일본의 언론계에서 활동하던 문필가, 신문기자와 역사 및 각 분야의 전문 학자를 동원하여 개인저술의 역사서, 신문 및 잡지 기고문, 소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 중에서도 그 파급 효과가 가장 컸던 것은 메이지明治시기 일본의 대중적 여론을 주도해 나간 일본의 대표적 일간지들과 종합잡지, 한국 내 일본인 언론 등이었다. 이 같은 문화적 식민화를 주도한 대표적 일본 내 종합잡지가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등이다. 물론 한국 내 일본인 잡지 『朝鮮』 역시 같은 역할을 담당하였었다. 본 고찰에서는 일본 내 종합잡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3개의 잡지 가운데 『太陽』이 가장 한국관계 기사를 많이 실고 있다. 그러나 이 3개 잡지의 기고자들이 같은 인물인 경우가 많아 그 논조가 매우 비슷하다. 이들 잡지의 기고문들은 주로 일본 내에서 대표적인 학자, 기업가, 정치가의 글들로 이들의 글은 그대로 식민정책 입안에 적극 반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자체가 식민정책을 입안하고, 실행에 옮긴 장본인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등의 대한식민정책 및 병합론에 대한 분석은 당시 일본 제국주의의 병합론과 일치한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일본 내 가장 유력했던 계간지들로서 민간인들에 대한 파급효과 역시 컸다. 이들 잡지들은 이토 히로부미의 통감정치가 즉각적 병합을 하지 않고, 한국을 보호국화 하려 한다고 비난하였고, 병합의 시기 및 방법에 있어서도 직접적인 즉각 병합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 병합을 전후하여 병합의 정당성과 합법성, 필연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국의 역사가 고대부터 이미 일본의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한국은 독립한 적이 없는 나라라고 왜곡하였다. 더 나아가 민족성에 대한 폄하를 지속적으로 게재하여 일본의 한국 병합은 오히려 한국민을 근대 국가로 이끄는 특혜였다고 까지 주장하고 있다. 병합 이후에는 구체적인 식민통치 방식으로 동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은 표면적인 동화를 내건 실질적인 차별의 식민통치책이었다. 일본의 종합잡지들은 이러한 논지 전개면에서 투고자 및 인터뷰 주체가 동일인인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잡지들의 논조 자체도 한국병합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책적 선전의 성격을 띠어 대동소이하게 모두 한국병합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중등 “역사”ㆍ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론

        서인원(Seo, In-w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8 No.-

        2015년 11월 3일, 박근혜 정부가 중등 역사와 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고시하였다. 2015년 10월 12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는 내용의 "중ㆍ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ㆍ검ㆍ인정 구분(안)"을 행정 예고하였으며, 11월 5일의 확정 고시 기일을 기다리지도 않고 2일이나 빨리 발표한 것이다. 진보ㆍ보수 이념과는 상관없이 여론은 반대쪽으로 확연히 기울어졌지만, ‘청소년들을 위해서’라는 명분을 내세워 국정화를 단행하였다. 교육부가 현행 고등 한국사 교과서에서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는 내용들을 ‘사실 오류ㆍ편향성 수정’, ‘다양성의 확보’, ‘질 관리 체계 구축’, ‘헌법 가치 수호’ 등의 왜곡되고 편향적인 방향으로 몰고 가고 있는 것이다. 역사는 결코 하나의 시각으로만 기술할 수는 없다. 붕당 정치로 정쟁이 무척 심했던 조선 시대의 〈조선왕조실록〉 저술 과정을 보아도 알 수 있다. 남인이 작성한 〈현종실록〉을 마땅치 않게 생각한 서인은 경신환국으로 다시 권력을 잡고 〈현종개수실록〉을 썼다. 그러나 정쟁이 심했던 이 시기에도 서인들은 후대가 참고하고 판단하라고 원래의 〈현종실록〉은 파기하지 않았다. 결국 “역사”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학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공학적인 차원에서 결정된 잘못된 사례이다. 비록 현재에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실시되고는 있지만, 앞으로의 역사교육은 다양한 가치관과 창의력이 개발되는 방향으로 전환될 것임을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November 3, 2015, Park Geun-hye government confirme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which 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It was 2 days earlier than the official day which was clearly stated on the previous notice of Oct 12, which was issued by Woo-yeo Hwang, the minister of education. Although the major public opinion was opposed to the new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regardless of political stance, it has been enforced ‘for the sake of our students.’ The mistry of education is arguing that current textbooks are biased, proposing ‘modification of factual errors and bias’, ‘more diversity’, ‘establish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conservation of constitutional values’, etc. History cannot be recorded by only one view, which seems obvious if you look through the process that “Choseon Wangjo Sillok” was written. Since Seo-in(one of parties in Choseon politic) was not in favor of the way “Hyeon-jong silok” written by Nam-in, the opposite party, they rewrite “Hyeon-jong gae-su silok” after they took the power back through Gyeong-sin Hwan-guk. However, Those days when political power game was far more severe, than these days, Seo-in didn’ t abandon “Hyeon-jong silok,” the original record. After all,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debate is not the academic issue, Rather, it’s quite the problem of political manipulation. Despite the fact that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is confirmed to be implemented, there’s no need to doubt that further history education have to be changed to the way diverse values and creativities can be developed.

      • KCI등재

        논문(論文) : 중국유머에 나타난 한국인 풍자의 양태(1) -유머의 번역과 분류를 중심으로

        이근석 ( Keun Suk Lee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Humor is incessantly created and enjoyed in society and contains rich elements which can be researched from various levels and aspects such as society, culture, literature, language, etc.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made in the academia. Chinese Studies or Sinology is not an exception and research on humor made by sinologists mostly features socio-cultural or linguistic approaches to buzzwords, coinage, and slang reflecting contemporary Chinese social atmosphere. I assume that it is due to inherent nature and features of humor including uncertainty of author and text, realtity, popularity, short-liveness, vulgarness, etc. This writing is designed to present a new way of approach to the hitherto unresearched humor within the frame of Chinese Studies. However, it is not feasible to organize contemporary Chinese humors in an easily accessible manner given its immensity. Thus, I confine to Chinese humors relevant to Korea and grapple with following issues:Firstly, I collect and translate humors relevant to Koreans. Secondly, I classify and review the collected humors. Lastly, I touch upon various issue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n them and a new way of approach to them.

      • KCI등재

        중국유머에 나타난 한국인 풍자의 양태(1) ― 유머의 번역과 분류를 중심으로

        이근석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Humor is incessantly created and enjoyed in society and contains rich elements which can be researched from various levels and aspects such as society, culture, literature, language, etc.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made in the academia. Chinese Studies or Sinology is not an exception and research on humor made by sinologists mostly features socio-cultural or linguistic approaches to buzzwords, coinage, and slang reflecting contemporary Chinese social atmosphere. I assume that it is due to inherent nature and features of humor including uncertainty of author and text, realtity, popularity, short-liveness, vulgarness, etc. This writing is designed to present a new way of approach to the hitherto unresearched humor within the frame of Chinese Studies. However, it is not feasible to organize contemporary Chinese humors in an easily accessible manner given its immensity. Thus, I confine to Chinese humors relevant to Korea and grapple with following issues:Firstly, I collect and translate humors relevant to Koreans. Secondly, I classify and review the collected humors. Lastly, I touch upon various issue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n them and a new way of approach to them.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 전후 일본의 역사 교육 -상황, 교육과정, 교과서-

        와타나베 소스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at time, most of Japanese representative scholars displayed the tone of argument welcom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Japan’s rule of Korea,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marks, that is, Siratori Gurakichi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the ancient Korea and commented that it was not a historical fact, and Dakegoshi Yosaburo comment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ould make the burden too heavy for Japan, and furthermore, Ishikawa Dakuboku and Gotoku Shusui criticiz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attacking the Japanese imperial policy of aggression. But Japanese history education after 1910 was performed to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a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academ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s and the result of historical study should not destroy national morality. Therefore Kita Sadakichi who denied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led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stating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At that time, the part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 was covered in connection with its relations only with Japan or China. The education of Oriental history was only about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was not taught. In the course of foreign history, the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were taught, however, Korea was not included in Eastern countries. Book one of Japanese histor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as taught in the fifth-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that the Japanese Empress, Jingukogo conquered Shilla (an ancient Korean kingdom) and Shilla pledged obedience to Japan were described with a story describing situation. Book two for the 6th-grade class published in September, 1910 describ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done by the Korean Emperor’s sovereignty transfer. “New short Japanese history (1908)” by Minegishi Yonezo and “Textbook of oriental history (1907)” by Guwabara Jichuzo were the most used for a secondary school. And these books described that Geumgwangaya kingdom brought a tribute to Japan, and Baekje was subject to Japan, and Goguryeo brought a tribute to Japan, too. There were no textbooks describing critically the myth of “Japanese history - Nihonshoki” and “Ancient Japanese history - Kojiki”, and regard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expatiating on a protocol on annexation. This was a great power’s nationalism appearing in history education during a nation-state formative period and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historical view of nationalism with Japanese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 가운데에는 한국병합이 고대일본의 한국지배에서 기원한 ‘쾌거’라고 환영하는 논조가 대부분이었지만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다는 설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고 비판한 논조(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한국병합이 일본에게 큰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구하는 견해(다케고시 요사부로), 이에 한 발 더 나아가서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공격하는 시선에서 한국병합을 비판한 이시카와 다쿠보쿠, 고토쿠 슈스이 등의 주장도 보였다. 그러나 1910년 이후 역사교육은 역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는 달리 국체의 관점에서 봐야하고 역사연구의 결과가 국민도덕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부정한 기타 사다키치가 오히려 고대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명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은 일본과의 관계이거나 중국과의 관계에서만 다뤄졌다. 『동양사』 교육은 오로지 중국사에 국한되었으며 조선사는 교수되지 않았다. 외국역사 교육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방제국과 서구제국으로 나뉘어 교수되었는데 조선은 「동방제국」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909년 9월 발행된 『심상초등학교 일본역사』 제1권은 심상초등학교 5학년에서 교수되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여 신라가 복종을 맹세했다는 내용이 상황을 묘사한 창작이 덧붙여져서 서술되었다. 1910년 9월 발행된 2권(6학년용)에는 한국병합이 한국황제가 통치권을 양도하여 이뤄졌다고 적었다.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네기시 요네조의 『신편일본약사』(1908), 동양사는 구와바라 지츠조의 『동양사교과서』(1907)인데 임나가 조공을 바쳤고 백제가 복속했고 고구려도 조공을 바쳤다고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교과서에서 조선 고대 관련 기술은 「일본서기」, 「고사기」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것은 없고 한국병합에 대해서는 「병합에 관한 조서」를 부연하는 기술이었다. 이는 국민국가 형성기와 제국주의 시대의 역사교육에 공통되는 大國 내셔널리즘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황국사관이었다.

      • KCI등재

        일제의 우민화 교육과 역사교과서 -<제1차 조선교육령>시기 조선총독부 편찬 보통학교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제홍,김순전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6 日本語敎育 Vol.0 No.78

        This study begins from the fact that Japanese history education had the purpose of assimilating the Korean into Japanese, educating the Korean with a favorable history for Japanese, and distorting history 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Residency General long way before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Therefore, to find out how Japan educated history for Chosun children in the primary school,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of the textbook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rom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to that of < 1Cha the Chosun Education Law >. Japan had deliberately taught Chosun children Japanese history via Susinseo , Korean reader(Korean Language) , Japanese reader from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I also assured that Korean history was timidly described in a non independent manner. Even though Geography textbook and History textbook were excluded from the curriculum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other subjects were focused on a negative view of Chosun in reality as expressing the justification of that Korea must be colonized by Japan.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Japan intentionally educated Chosun Children with distorted history for the purpose of assimilation of Chosun children via various textbooks for primary schools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rom the beginning of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후보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의 필요성: 임진왜란에 대한 역사교과서의 오류와 진실을 바탕으로

        박희봉,장경석 국회입법조사처 2014 입법과 정책 Vol.6 No.1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하에 대한 갈등이 일제의 역사 왜곡과 이의 영향을 떨쳐버리지 못한 역사교과서의 기술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조선과 일본이 크게 충돌하였던 임진왜란에 대한 역사 왜곡의 해결로부터 갈등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아직도 일제의 역사 왜곡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판단되는 중·고등학교에서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는 8종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와 6종의 고등학교 한국사에 수록되어 있는 임진왜란에 대한 기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잰왜란에 대한 역사적 기술이 잘못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한국사가 일제에 의해 얼마나 심각하게 왜곡되었는지를 방증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역사 바로 세우기'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해 정책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8 high school and 6 middle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on Imjin War.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ontexts of the all textbooks have terrible errors. This means that Korean history was distorted by Japanese historians during Japanese Occupation from 1910 to 1945. This intentional distortion of Korean history must be corrected. Therefore, this paper discuss hyw the ‘setting Korean history right’ policy is necessary and how policy might be carry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