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신주원(Shin, Ju Won),박찬웅(Park, Chan Woong),이효신(Lee, Hyo Shi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서면 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이 포함된 행동기술훈련이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와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3명은 행동기술훈련을 통해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를 수행하는 방법을 훈련받았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기초선, 서면 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 유지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행동기술훈련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유지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명의 부모 중 2명의 부모는 피드백 단계를 통해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의 성취 기준을 충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에게 효과적인 훈련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behavioral skills training involving written teaching, modeling, role-play, and feedback for performance accuracy and maintenance of discrete-trial teaching(DTT) procedures to thre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rained to implement discrete-trial teaching thr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consisting baselin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feedback, and maintenance phas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ehavioral skills training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DTT and maintained. Two participated parents reached mastery levels of correct implementation at the feedback pha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uld be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행동기술훈련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신주원,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으로 구성된 행동기술훈련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수행 정확도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선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가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아동의 과제에 대한 정반응률 향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육 교사 3명을 대상으로 행동기술훈련을 통해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에 대한 훈련을 진행하였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기초선,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 유지 순으로 수행 정확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행동기술훈련을 통한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훈련은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개선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는 일정시간이 지나도 유지되었다. [결론] 행동기술훈련은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 향상과 수행 정확도 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행동기술훈련을 통한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훈련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과제 정반응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and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ccuracy and maintenance of discrete trial teaching(DT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In addition,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an improved accuracy of teaching performance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improved the positive response rate for special educational needs children. [Method] In this study,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underwent behavioral skills training to implement DTT.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across participants, consisting of a baselin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feedback, and maintenance phases. [Results] Discrete trial teaching training th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improved the accuracy of DTT performance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and their improved accuracy was maintained after a certain period. [Conclusion] Behavioral skills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teaching and maintaining the accuracy of performance of DT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In addition, DTT training thr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ask positive response rate among special educational needs children.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와 문자카드를 이용한 비연속개별시행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비교

        허은정,김은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video self-modeling and discrete trial teaching intervention using text cards o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boy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etween the ages of 5 and 7 years. This study used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ith initial baseline phase , final best-treatments phase and maintenance and the frequency of greeting, requesting, percentage of the responses were estimated through the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TT using text cards was effective to acquir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acquisition deficits and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video self-modeling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the children with performances deficits. Second, all subjects showed the maintenance effect of acquired skills after withdraw al of best effective intervention. Thir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during follow-up sessions. 이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와 문자카드를 이용한 비연속개별시행 중재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5세-7세 사이의 자폐성 장애 아동 6명이며 실험설계는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결함과 수행결함에 대한 두 중재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습득에 결함을 가진 대상아동들은 문자카드를 이용한 DTT 중재를 통해 더 빨리 기술을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에 결함이 있는 대상아동들은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에서 비교적 높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대상아동 모두 중재 종료 후에도 습득한 기술의 유지와 일반화를 보였다.

      • KCI등재

        독해와 듣기로 부분 통합된 대학 교양영어의 학습효과 분석

        김달중 ( Dal Joong Kim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4 현대영어영문학 Vol.58 No.2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learning effects of a partially-integrated two discrete skills, that is, reading and listening, English class in the university setting. The study surveyed 296 undergraduate students who take the English class. The survey contains five categories including 1) learn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 2) the intention of the continual learning English, 3) the individual self-efficacy, 4) satisfaction of contents of the English class, and 5) general English learning satisfaction. It turns out that the results of high scored TOEIC and/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learners correlates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well, presumably because of their high self-efficacy, an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ppear to feel that the college English class should be more practical because the learners also hope that authorized tests such as TOEIC and TOEFL should be prepared, and that speaking skill is the most wanted by the respondents. It is also found that the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partially-integrated reading and listening English class by marking over the average point, although the class covers two textbooks in three hours per week in a semester. It is however suggested that the full integration of the two subjects into the class be explored, rather than currently putting them togeth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lass taker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독립시행훈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김영희,백은희 한국행동분석학회 2022 행동분석․지원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용암법, 행동형성 및 행동연쇄 기법에 기반한 독립시행훈련(Discrete Trial Training, DTT) 방법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첫째로, 자폐성장애 유아에게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을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독립시행훈련 프로그램을 제작하였고, 둘째로, 제작된 중재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에게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실험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각각 ⑴ 기능 설명을 듣고 관련되는 물건 가리키기, ⑵ 모음 ‘아, 어, 오, 우, 이’ 모방하기, (3) 그림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설명하기 등의 표적행동이 선정되었고, 각각 용암법, 행동형성, 행동연쇄 기법에 기반한 DTT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중다기초선설계법의 변형인 중다-탐색설계법(the multiple-probe design)이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용암법, 행동형성 및 행동연쇄 기법에 기반한 독립시행훈련은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습득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교사 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를 이용한 비디오 자기 점검 절차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유아의 부모에 의해 실행되는 개별 시도 훈련법 수행에 미치는 영향

        LEEPARK HYESUK,김현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1

        Effects of video self-monitoring using ‘Teacher Performance Rate Accuracy Scale(TPRA)’ on accuracy and fluency of parent-delivered discrete trial training(DTT)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EIBI) program of a public children’s hospital in the Seoul city. Thre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receiving the EIBI service participated in the study. A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During the baselines, a behavioral skill training package was implemented in which lectur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coaching, role-playing, and feedback were provided to the parent during DTT session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parents were required to watch their performance video scoring their own performance with TPRA forms. Percent of trials which were delivered without errors and rate of delivery of correct trials were measured using TPRA, and overall performance during DTT were evaluated using ‘Performance Checklist’ throughout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video self-monitoring using TPRA for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parents’ performance during DTT with their children with ASD. The improved instruction performance of parents were maintained during follow-up sessions. 이 연구는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개별 시도 훈련법을 위한 부모교육 참여자의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조기집중 행동적 중재 프로그램에 등록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가진 세 명의 부모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자녀들이 중재를 받고 있는 치료실내에서 부모들이 치료사 역할을 분담하는 자연적 임상 과정에서 실시되었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행동적 기술 훈련(behavioral skill training)이 실시되었고 중재 단계에서는 행동적 기술 훈련과 함께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이루어 졌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가 사용되었다. 전 실험 단계에 걸쳐 교사 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Teacher Performance Rate Accuracy Scale)를 이용하여 개별 시도 훈련법의 정확도와 능숙도를, 그리고 교수수행점검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교수의 질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아동의 학습을 반영한 주별 준거도달 수가 측정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행동적 기술 훈련만 적용했을 때보다 교수의 정확도와 능숙도, 교수의 전반적인 질, 그리고 아동의 학습 수행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행동기술훈련이 자폐 지원 전문가의 개별 시도교수 수행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정지은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선, 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으로 이루어진 행동기술훈련이 자폐지원 전문가의 개별시도교수 수행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함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1년 이상 3년 이하의 경력으로 선정된 자폐 지원 전문가(QASP-S) 3명이다. 각 단계의 훈련 후 개별 시도교수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에게 제공했을 때 과제 수행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전문가의 개별 시도교수 수행 및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수행을 확인하였다. 전문가의 수행 정확도는 교수 단계에서 한 차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피드백 과정에서 정확도가 두드러지게 높아졌다. 기초선, 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 유지 단계의 연구 절차에서 전문가의 수행정확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아동들의 과제 수행률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행동기술훈련의 절차가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증거 기반의 실제로 인정받으며 조기 중재에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되는 응용행동분석의 행동기술훈련이 전문가의 수행 정확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행동기술훈련은 아동들의 수행률을 높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훈련 방법은 전문가의 질적 성장 방안이 되며 향후 행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제작 및 활용에 기초적인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ehavior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baseline,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and feedback, on the individualized teaching performance of autism support professionals, specifically employing discrete trial teaching (DTT), and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The participants included three autism support professionals (QASP-S) with experience ranging from one to three years. The effects of providing individualized teaching to children with ASD after each phase of training on task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individualized teaching and children's performance was assessed. The accuracy of professionals' performance increased steadily across the phases, with a noticeable increase in accuracy during the feedback phase. As the accuracy of professionals' performance increased throughout the phases of baseline,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feedback, and maintenance, the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improved.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ocedural aspects of behavior skills training, specifically DTT, an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based behavior skills training, which is expected to be recognized as evidence-based and effective for early intervention. Behavior skills training also effectively improved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The training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offer avenues for qualitative growth of professional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future behavior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