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전정은,김정민,한예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3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 특성을 가진 초기 성인기를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60 young ad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regarding specific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 KCI등재

        아동기 학대경험과 단절/거절도식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한나,김사라형선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is paper addressed the impact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between child maltreatment experience and adult mental health, whether the effects would vary by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220 male and female graduate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by self-report measure, and finally analyzed 210 data.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by Macro Process of Hayes(2013).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and adult mental health was completely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was appeared that the higher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lower the positiv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s on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at is,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ir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sconnection/ rejection schemas through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on adult mental health. The higher level of both spiritual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got, the lower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on mental health through disconnection/rej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경험과 성인의 정신건강 사이에서 단절/거절도식의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에 의해 그 효과의 수준이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과 충청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원생 22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적으로 2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정신건강 사이의 관계에서 단절/거절도식의 완전매개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단절/거절도식 사이의 관계에서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높을수록 아동기 학대경험이 단절/거절도식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감소되는 다중가산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단절/거절도식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을 통한 단절/거절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높을수록 아동기 학대경험이 단절/거절도식을 통해 정신건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인애착과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안하얀,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is study explored groupings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dult attachment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We also examined groups differences in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507) indicated four separable groups of participants. The ‘insecure attachment-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group’ scored highest on attachment dimensions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anxiety attachment-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group’ showed high scores on attachment anxiety and abandonment/ instability schema. The ‘avoidance attachment-low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group’ exhibited high scores on attachment avoidance but a low level of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The ‘secure attachment-low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ttachment dimensions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were higher on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other groups, whereas the first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interpersonal problem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to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의 두 차원과 Young의 부적응 도식 중 단절 및 거절 영역의 하위 도식들을 조합했을 때 어떤 자연 발생적인 군집들이 형성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형성된 군집들이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0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네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은 성인애착과 단절 및 거절 영역의 도식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은 애착불안 수준은 높지만 애착회피 수준은 낮으며 단절 및 거절 영역 중 유기/불안정 도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피애착-저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은 애착불안의 수준은 낮지만 애착회피의 수준은 높으며, 유기/불안정 도식의 점수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과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안정애착-저단절거절도식 집단’은 성인애착과 단절 및 거절 영역의 도식 점수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우울과 불안 수준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과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이 가장 높고 안정애착-저단절거절도식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 자기체계 손상과 반응적 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윤정,김수임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raumatized self-system and reactive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Schematic Scale of Disconnection/Rejecti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Scale, the Traumatized Self-System Scale, and the Reactive Aggression Scale were conducted online for 335 college students. For data processing, SPSS 25 and Mplus 8.6 were us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onnection/rejection schem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raumatized self-system, and reactive aggression. Second, traumatized self-syst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reactive aggress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raumatized self-system and re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seq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과 반응적 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 도식 척도,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 반응적 공격성 척도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와 Mplus 8.6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은 경계선 성격특성, 자기체계 손상, 반응적 공격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은 유의하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반응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과 반응적 공격성이 순차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문연주자의 단절 및 거절도식이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진,최웅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effects of dis 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performance anxiety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Methods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256 copies were used for final statistical analysis by conducting surveys for 270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in the municipal choir members in Korea.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V3.5 Model 4. Results First,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anxiety ac cording to the type of performance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the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in solo was higher than in chorus. Second,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performance anxiety,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were all positive (+) correlations. Thir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using Process Macro V3.5 Model 4,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dis 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performance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n solo performance anxiety.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by analyzing the dis 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performance anxiet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anxiet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forma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ffects solo performance anxiety by mediating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과의 관계

        조유경(曺綏境),이지연(李之連)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단절 및 거절도식 및 심리적 부적응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 대학생 341명이었고 자료처리는 정서적 외상, 단절 및 거절도식, 심리적 부적응, 역기능적 분노표현간의 상관분석을 하고, 이들 변인들의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단절 및 거절도식에 영향을 주고 단절 및 거절도식이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주어 다시 심리적 부적응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적합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인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단절 및 거절도식과 심리적 부적응을 다룸으로써, 분노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향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hich greatly influences other serious emotional maladjus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a total of 341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Incheon and Seoul metropolitan city. From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processed with a statistic program, the study calculated a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level of each scale,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hildhood emotional trauma,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inally,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pproach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del that childhood emotional trauma influence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then influenc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finally influenced th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partly mediating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patients to overcome their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counselors must consider their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 well as their childhood emotional trauma.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불안정성이 경계선 성격 성향에 미치는 영향: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김승수,원성두,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불안정성이 경계선 성격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66명의 대학생들(남자 163명, 여자 203명)이 정서적 학대, 정서적 불안정성(ALS-SF), 단절 및 거절 도식(YSQ-SF), 경계선 성격 성향(PAI-BOR)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학대는 경계선 성격 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단절 및 거절 도식을 매개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불안정성도 경계선 성격 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단절 및 거절 도식을 매개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 및 기질적 요인과 경계선 성격 성향 사이의 관계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경계선 성격 성향의 발달과정을 이해함과 동시에 도식양식(schema mode)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혼여성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 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의 조절효과

        김률아,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dentifying whether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u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f married women can influence marriage satisfaction and examining and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will differ owing to commitmen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Methods For this aim, survey targeted 366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s and statistical analysis of 300 surveys through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commi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influences marital satisfacti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commit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it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us,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by looking into the interacting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married women wit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can differ according to commitment level. In that sen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empirical data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unsatisfactory marriage life. Lastly, the implications in counseling, education regarding maladaptive schema and commitment were discussed and this study's limitation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초기부적응도식 중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본인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조절변인인 헌신에 의하여 달라질 것이라는 예상 하에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366명에게 설문지를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300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 헌신, 결혼만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단절 및 거절 도식은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여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떨어졌다. 헌신의 경우도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살펴본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고 낮음에따라 헌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은 사람의 높은 헌신은 단절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낮은 사람의 높은 헌신수준 보다 결혼만족도를 떨어뜨린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단절 및 거절 도식을 가진 기혼여성의 결혼만족과 헌신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부적응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여기서 헌신의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도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생활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부적응도식과 헌신에 대해 상담, 교육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외로움의 관계: 거절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이주희,김영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414 university students from nationwid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e result of individual mediating effect among factors showed that all the paths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had the mediating effect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lonel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were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necessity of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observing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ema, anxiety of rejection, difficultie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fear of intimac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 loneli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절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지역의 대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절민감성을 거쳐 정서표현양가성과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하여 외로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절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외로움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의 탐색과 거절에 대한 불안, 정서표현에 대한 어려움,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 개입전략의 필요성을 경험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년 기혼남녀의 단절 및 거절의 도식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최인선,배희분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marital relations and middle-aged couples’ marital intimac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their marital intimacy, self acception,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acception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of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rital intimacy. For this purpose, based on an online survey which is conducted on 510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aged in Seoul, Gyeonggi, and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ale, marital intimacy scale, self acception scale,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were used,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 The first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marital intimacy, self acception,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that self accep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marital intimacy, and that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The second results show that self acception reveal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marital intimacy, that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does not reveal any medi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through self acception leading to marital intimacy. It means that the schema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is the cause to lower the level of marital intimacy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 acception and clear awareness of one’s emo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ccepting one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marital intimacy, and clearly recognizing self-affe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marital intimacy, but was involved in marital intimacy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elf accep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entioned. 본 연구는 중년 기혼남녀의 단절 및 거절의 도식, 부부친밀감,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의 도식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수도권 지역의 중년 기혼남녀 51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단절 및 거절의 도식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수용 척도, 정서인식명 확성 척도를 사용하여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주요 변인들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의 도식은 부 부친밀감,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수용은 부부친밀감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인식명확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절 및 거절의 도식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효 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인식명확성이 자기수용을 거쳐 순차적으로 부부친밀감에 이르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 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