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시품질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연화,손성규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2

        Research on disclosure quality has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quantity of disclosure or conducted assuming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isclosure quality and quantity of disclosure. In U.S., Association for Investment and Research(AIMR) has been used as an indicator for disclosure quality and many studies have used this variable as a proxy for disclosure level. However, none of the study has been seriously conducted to examine the overall disclosure quality in Korea. This study measures the disclosure quality in various ways,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disclosure quality have on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cost of capital. Proxies for disclosure quality used are (ⅰ) designation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ⅱ) existence of an error in the pre screen of proxy statement, (ⅲ) disclosure quality index invented by authors, and (ⅳ) disclosure quality rating by Korean Corporate Governance Center(CGS). In measuring the degree of information asymmetry, analyst forecast error and dispersion are used. Cost of capital is measured with OJ model and PEG model by Easton. Empirical results show evidence indicating that firms with high disclosure quality have lower analyst forecast error and lower cost of capital when the disclosure quality is measured with the error in the proxy statement and the disclosure level by authors. Therefore, information asymmetry and cost of capital can be reduced by a proper disclosure policy and practices. However,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and rating by CGS do not show an empirical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and the disclosure theory. Class action suit has been introduced recently and transparency of disclosure becomes a critical issue. This study contributes this line of research and practices. 공시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공시의 양을 연구대상으로 하거나 또는 공시품질과 공시의 양은 양(+)의 관련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국에는 AIMR(Association for Investment and Research)에서 발표한 기업별 공시평가 지표가 존재하였으므로 이를 공시품질의 대용치(proxy)로 사용하여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공시품질에 대한 측정치가 개발되지 않아 공시품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시품질을 측정하고 공시품질이 정보비대칭 및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공시품질의 대용치로 불성실공시 지적여부, 신속스크린에 의한 사업보고서 오류발견여부, 연구자에 의해 측정한 공시품질인덱스 및 기업지배구조개선센터에서 공표하는 지배구조평가등급 등을 사용하였다. 정보비대칭의 대용치로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오차 및 예측분산을 사용하였고, 자기자본비용의 추정을 위해 Gode와 Mohanram (2003)에 의해 수정보완된 OJ 모델 및 Easton(2004)의 PEG모델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신속스크린에 의한 사업보고서 오류발견여부, 연구자에 의해 측정한 공시품질인덱스를 통하여 공시품질을 측정할 경우, 공시품질이 높은 기업은 재무분석가 예측오차가 적고, 자기자본비용이 낮음을 보여 기업은 양질의 공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정보비대칭을 줄이고 자본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불성실공시 지적여부 및 기업지배구조평가등급을 공시품질의 대용치로 사용할 경우 공시이론 및 본 연구의 가설을 유의하게 지지하는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증권관련 집단소송제의 도입과 더불어 기업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는 현시점에 본 연구에서는 공시품질을 측정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공시연구와 실무에 공헌하고 있다.

      • KCI등재

        기업의 공시수준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김병희,노밝은 한국회계정책학회 2015 회계와 정책연구 Vol.20 No.5

        Disclosure is being used as one of the most useful information in approaching company's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ncrease in the amount of disclosure, the information that investors can use will be increased. So, as the whol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nvestors can use climbs up higher, the investors can more effectively use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various corporations. As a result of this, the market environment will be improved better. Once again, the increase of disclosure means the increase of whole amount of information investors can effectively use, and by using those information, we can expect the expansion of the market efficiency.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study these disclosure's functions from financial accounting aspect. If there are relations between earnings and stock price that are caused by the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ovided in the market, we expect that higher disclosure frequency will cause increase of informativeness in accounting earings. On the other hand, if excessive disclosu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market, that high disclosure frequency might decrease informativeness in earnings. To verify this hypothesis, in this study, we will use disclosure frequency of various corporations as a substitution of corporate disclosure level and calculate disclosure proxies by various methods. We will find out if the disclosure's quantity influences earnings informativeness by verifying the relations between RET and disclosure frequency of corporations that have been listed in the stock market from the year 2003 to 2010. We believe this study can help verify market efficiency, first of all. For the second, this study can help check changes in current stock market which is being provided more and more information gradually. Finally, we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actical disclosure and research by diagnosing informativeness of earning information concerned with disclosure of capital market in Republic of Korea. 1999년 4월 전자공시시스템의 인터넷서비스 실시로 일부 투자자들에게만 국한되었던 공시정보가 모든 정보이용자들에게 공개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11월 공정공시제도의 시행 등으로 투자자들 간 차별없이 공시정보를 수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정부기관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공시제도를 개선․정비하는 이유는 기업공시가 시장참가자들이 요구하는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업공시의 효과와 관련하여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기업공시 자체와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공시수준에 따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공시수준을 주된 독립변수로 하고 12개월간의 누적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수익률-이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결과, 기업공시 자체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공시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보효과와 공시수준 간의 관계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대용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기업공시로 인해 자본시장 내 정보환경이 개선되어, 시장참가자들의 대표적인 공적정보인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공시제도가 도입되고 여러 공시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특정 공시만을 살펴본 선행연구와 달리 모든 공시를 포함한 공시수준이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힘으로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 KCI등재

        독일 정보공개법제의 발전과 주요 쟁점 - 특히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상 문제점의 해결과 입법적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의 도출을 중심으로 -

        정남철 한국법제연구원 2022 법제연구 Vol.- No.62

        Korea’s Information Disclosure Act was enacted pioneering in East Asia and is developing dynamically. However, looking back on the reality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scope of the ‘information’ that is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 addition, it is true that there are not a few cases where the claimants’ requests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are inclusive, obscure or unclear,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object of disclosure. In this situation, comparison with foreign legislation can help a lot in solving the difficult problem at hand. Germany’s Freedom of Information Act was enacted on September 5, 2005, and was enacted relatively late among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However, today, in addition to the federal Freedom of Information Act, not only state’s Freedom of Information Acts have been enacted, but some states have also enacted so-called ‘Transparency Act’ to actively recognize information disclosure. In Germany, in particular, due to the ri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novation in digitalization, interest in information disclosure and data utiliz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increasing. In the Germany’s Federal Freedom of Information Act, the person obligated to disclose information also includes the person entrusted public affairs. This point is not clear in the Korea’s Information Disclosure Act, but in a situation where delegation or entrustment of public tasks to private person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 at least a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to persons entrusted public service, which are legal entities. The Germany’s Federal Freedom of Information Act divides the subject of exemption to disclosure of information into the protection of special public interest, protec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dministrative agencies,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otection of mental property and trade secrets. In Korea, there is also an issue as to whether it falls under the decision-making process or internal review process as a non-disclosure subject in practice. However, in Germany, drafts, preparations, advice, and advice for administrative decisions are regarded as exemption to disclosure of information. Although there is no “information disclosure council” in Germany, Relief of rights for refusal to disclose information rights remedies are sought through administrative appeals or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mandatory injunction (Verpflichtungsklage) for information nondisclosure. In addition, the Germany’s Freedom of Information Act has provisions on the ‘duty of publication’, and it requires that an information registration ledger be prepared and published.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in which special disclosure obligations are stipula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state. Lastly, in order to prevent misuse and abuse of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there is a provision to deny disclosure of information if it may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For instance, in cases where administrative expenses are too high compared to the applicant’s inter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or when it is difficult to perform administrative tasks normally due to a request for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r data, it is necessary to be introduced into Korea’s Information Disclosure Act with reference to these provisions. 한국의 정보공개법은 동아시아에서 선구적으로 제정되어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공개청구의 현실을 되돌아보면, 정보공개청구의 대상인 ‘정보’의 범위를 확정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청구인들의 정보공개청구가 포괄적이거나 모호하고 불명확한 경우가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공개대상의 해석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하는 것은 당면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독일의 정보공개법은 2005년 9월 5일에 제정되었고, 유럽연합의 회원국 중에서는 비교적 늦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연방 정보자유법 외에 주(州) 차원의 정보자유법이 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주에서는 소위 ‘투명성법’을 제정하여 정보공개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의 부상과 디지털화의 혁신 등으로 인해 정보의 공개와 공공부문의 데이터 활용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독일의 정보자유법에는 정보공개의 의무자에 공무수탁사인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에는 이러한 점이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사인에 대한 공적 과제의 위임 또는 위탁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적어도 사법상 법인인 공무수탁사인에 대하여도 정보공개청구를 할 수 있는 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독일의 연방 정보자유법은 비공개대상을 특별한 공익의 보호, 행정청의 결정과정의 보호, 개인정보의 보호, 정신적 재산 및 영업상 비밀의 보호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실무상 비공개대상으로 의사결정과정이나 내부검토과정 등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되고 있다. 다만, 독일에서는 행정청의 결정을 위한 초안이나 준비내용, 조언이나 자문 등을 비공개대상으로 보고 있다. 또한 독일에는 정보공개심의회가 없지만, 정보의 비공개결정에 대해서는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통해 권리구제를 하고 있다. 특히 정보비공개에 대해서는 의무이행소송을 활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독일의 정보자유법에는 ‘공표의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정보등록대장을 작성해서 공표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주(州)의 사정에 따라 특수한 공표의무를 규정한 사례도 있다. 그 밖에 정보공개청구의 오용과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행정비용을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는 정보공개를 거부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다. 정보공개에 대한 신청인의 이익에 비해 행정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거나, 방대한 정보나 자료 등을 청구하여 행정의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이러한 규정을 참고해서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회공시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김일중,이주성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s of inquired disclosure by the disclosure type, timing of disclosure and the firm's response patter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inquired disclosure has information effects. The sample of KSE and KOSDAQ firm was selected from inquired disclosure items which were reported on the DART system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from 2001 to 2006.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mean variation of stock return during the disclosure period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during the non-disclosure period. The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inquired disclosure on the whole possesses information content,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evidence that inquired disclosure is useful for investor decision making. However, the result of the median test, one of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did not support the usefulness of inquired information disclosure. This implies that there may be some items that are not useful to investors in the current inquired disclosure system required by the FS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finding these useless items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ntents of specific disclosure items. This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nquired disclosure system.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category in the inquired disclosure, the disclosure of material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s, and the disclosure in investment and financing relationship, cause significantly higher market response than any other categories in the inquired disclosure in both market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회공시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조회공시정보가 요구시점 및 답변시점, 답변시점에서의 답변별 유형에 따라 정보효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및 코스닥시장본부 전자공시시스템의 공시검색창을 이용하여 조회공시정보가 검색 가능한 기간을 표본기간으로 설정하여 조회공시의 전반적인 정보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회공시 정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조회공시 요구시점과 답변시점 및 답변시점에서의 세 가지 유형인 확정, 검토, 부인의 경우를 통해 풍문 등의 정보가 시장에 유포 시 각 시점별로 조회공시의 정보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조회공시 중에서 일부 개별적인 조회공시 항목들이 정보효과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조회공시 전체가 정보효과가 있다고 단정할 수 없어 수시공시항목에 의거하여 6개의 대분류로 구분하여 정보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상장법인 및 코스닥상장법인 모두 비공시기간의 주식수익률 분산 대비 공시기간의 주가수익률 분산이 평균값에서는 기대치인 “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중위수 검증에서는 유가증권상장법인의 경우에는 2개의 항목에서, 코스닥상장법인에서는 5개 항목에서 조회공시정보가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이는 정보유용성이 낮거나 전혀 없는 항목이 상당수 조회공시에 포함되어 있으나 일부 정보효과가 큰 항목으로 인해 평균적으로는 조회공시의 정보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ESG 또는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와 부실공시의 법적 통제 방안

        안홍익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연구 Vol.64 No.3

        The momentum behind the discussion on the mandatory disclosure or legal regulation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information is increasing. Ensuring the reliability of disclosed information in ESG disclosure (or sustainability disclosure) calls for measures to control inadequate disclosure. This study meticulously examined the current regulatory landscape and legal principles governing ESG-related information disclosure, with a focus on anticipating the future shape of institutionalized ESG disclosure. The investigation delved into various existing laws govern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information disclosure. The comprehensive analysis also encompassed the regul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pital Market Act”) concerning corporate disclosures. This exploration revealed the potential for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in response to inadequate disclosure, as well as regulatory control through the investigative authority of administrative agencies. Moreover, the study highlighted the possibility of seeking civil damages compensation for affected parties in instances of inadequate ESG disclosure. The incorporation of ESG disclosure within the scope of the Capital Market Act has raised significant issues. The study discussed the proposal to adapt the double materiality into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materiality of ESG disclosure topics. Furthermore, the need for provisions enabling various stakeholders to seek compensation for damages incurred due to inadequate ESG disclosure and mandating the third-party assurance for ESG disclosure were also emphasized.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concerns about the ongoing process of ESG disclosure legislation, with a primary focus on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Capital Market Act. Specific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on the fundamental value of ESG, which centers on fostering corporate sustainability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ligning diverse interests related to the corporation, especially with stakeholders.

      • KCI우수등재

        K-IFRS 공시품질과 재무분석가 이익예측분산도

        배성호(주저자),정석우(교신저자),오광욱(공동저자) 한국경영학회 2012 經營學硏究 Vol.41 No.4

        After adopting K-IFRS in Korea, there are concerns about disclosure quality under K-IFRS because K-IFRS allows more discretion than K-GAAP. Therefore it would be interesting empirical question to examine how the disclosure quality under K-IFRS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ffects the properties of analysts` forecasts using the very first disclosure information after the adoption of K-IFRS. We measure the disclosure quality under K-IFRS as the number of disclosure items for the first quarter of 2011 under K-IFRS and analysts` forecasts property as change in forecast divergence, calculated as the ratio of forecasts dispersion before and after the first quarter of 2011. Previous literature points out that the measurement of quality of disclosure is difficult and various indexes of disclosure quality are used (Lang and Lundholm 1993; Botosan 1997; Heflin et al. 2005). We use the amount of financial disclosure for the first quarter of 2011 under K-IFRS to proxy disclosure quality following Botosan (1997).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persion of analysts` forecasts for firms with less amount of disclosure increases after disclosure of financial accounting information than that for firms with more amount of disclosure. Second, the dispersion of analysts` forecasts increases after the announcement of financial statements when the disclosure quality of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is lower than that of income statement. Third, the dispersion of analysts` forecasts increases for firms with lower disclosure quality financial information than nonfinancial information. We also perform sensitivity tests to check the robustness of our results by substituting operating income forecasts as net income forecasts, and forecasts divergence as forecast accuracy and still get consistent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1) the lower disclosure quality increases uncertainty about firms` future performance among analysts, (2) the effect of disclosure under K-IFRS on analysts` behavior may differ depending on the quality of disclosure, and (3) the adoption of K-IFRS may increase the complexity of analysts` forecast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sclosure items. The results of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the early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ffect of adoption of K-IFRS on information environment of Korean capital market.

      • KCI등재

        자율공시수준과 주가붕괴위험

        신영직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4

        The goal of corporate disclosures is to mitigate possible problems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by delivering information owned by a company to the market. However, it is possible that voluntary disclosures are used to hide or decorate bad news in the firms, rather than as a means to achieve the goal of corporate disclosures, since they are implemented by not legal or regulations but managers' own decisions. Until 2000, corporate disclosure in Korea was mainly in the form of public disclosure under laws or regulations. Then, after March 2000, as problems of information asymmetry emerged in the capital market, Korea government allowed a company to voluntarily disclose important information. In April 2006, the government enacted an amended law which reduced mandatory disclosure items and instead, expanded voluntary disclosure items in timely disclosure. Likewise, as the importance of voluntary disclosure increases, Korea researchers have actively studied numerous issues related to voluntary disclosure. However,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mixed. Based primarily upon the above allegation and current mixed evid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stock price crash risk,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voluntary disclosur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stock price crash risk suggesting that the voluntary disclosure can be used as an opportunistic tool of managers unlike the origin purpose of corporate disclosure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stock price crash risk varies depending on the accounting choice of individual firms. This test is to investigate whether managers' tendency to select accounting methods for delivering financial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decision making of voluntary disclos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 of accounting choices in the process of matching principle; accelerated vs delayed recognition of expen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stock price crash risk is significantly reduced in firms with accelerated recognition of expenses, whil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irms that delay recognizing expenses. The results imply that accounting information can be a useful tool to identify managers' intention reflected in voluntary disclosures. Prior studies argue that managers' behavior to hoard bad news in their company is a main trigger of stock price crash. This suggests that it may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s and stock price crash risk because voluntary disclosures are done by managers' own discretions that include either their opportunism (intention to hide or decorate bad news) or their due diligence (intention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Nevertheless, up to date, little study shows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Therefore, revisiting the effect of voluntary disclosures through stock price crash risk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especiall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previous studies report mixed evidences on the effect of voluntary disclosures. 기업공시는 기업이 보유한 사적정보를 시장에 전달하여 경영자와 투자자 간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것에 그 본연의 목적이 있다. 하지만, 자율공시는 법률이나 규정에 근거한 사항들이 아닌 경영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자율공시가 공시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기 보다는 기업 내 나쁜 뉴스를 숨기거나 포장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율공시수준과 주가붕괴위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자율공시에 담겨진 경영자의 의도를 식별하는 데 회계정보가 유용한 지를 검토하고자,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비용을 지연 인식하는 기업과 가속 인식하는 기업 간 자율공시수준과 주가붕괴위험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율공시수준과 주가붕괴위험 간에는 평균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간의 양(+)의 관계는 비용지연인식 기업에서는 더욱 두드러지는 반면, 비용가속인식 기업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자율공시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의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한편, 자율공시에 포함된 경영자의 의도를 파악함에 있어 회계정보가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행연구는 주가붕괴의 요인으로 경영자가 기업 내 존재하는 나쁜 뉴스나 악재에 대한 정보를 시장에 즉시 전달하지 않고 보류하거나 지연시키고자 하는 행위를 지목한다. 이에 유추해보면, 주가붕괴위험과 자율공시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자율공시에 담겨진 경영자의 의도를 식별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율공시에 담겨진 경영자의 정보전달 의도가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목적인지 혹은 기업정보를 포장하기위한 것인지에 따라 직접적으로 주가붕괴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둘 간의 관계를 검토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국내 선행연구들에 의하여 일관되지 않는 결과가 보고되는 자율공시의 효과를 주가붕괴위험의 틀에서 재검증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공헌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불성실공시와 이익의 질, 정보비대칭 및 자본시장평가

        장석진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1

        기업의 잘못된 공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자본시장의 혼란을 억제하기 위해 불성실공시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불성실공시제도의 효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기업 지정여부와 부과된 당해벌점 및 누적벌점을 통해 불성실공시라는 요인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한 불성실공시가 이익의 질과 정보비대칭, 자본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경영자가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하려는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공시정보를 제공한다면 해당 기업은 불성실공시기업으로 지정될 것이다. 또한 불성실공시기업의 회계정보에도 경영자의 불순한 의도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불성실공시는 이익의 질을 훼손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불성실공시기업으로 지정된다는 것은 경영자가 자본시장에 제공하는 공시정보를 왜곡하거나 은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성실공시는 기업과 자본시장 참여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을 직접적으로 심화시킬 것이다. 또한 정보비대칭 완화에 회계정보가 수행하는 역할을 고려할 때 불성실공시로 인해 훼손된 이익의 질이 정보비대칭을 간접적으로 심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즉, 불성실공시는 정보비대칭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자본시장은 불성실공시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불성실공시로 인해 훼손된 이익의 질과 정보비대칭의 심화가 간접적으로 자본시장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불성실공시가 자본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영향과 이익의 질 및 정보비대칭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 모두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종합해보면 불성실공시제도의 효익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불성실공시의 직접 및 간접적인 모든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불성실공시가 이익의 질과 정보비대칭, 자본시장평가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영향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불성실공시는 이익의 질을 훼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성실공시로 인해 자본시장 참여자들과 기업 간의 정보비대칭이 심화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이 불성실공시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불성실공시는 이익의 질 훼손을 통해 정보비대칭을 간접적으로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성실공시는 이익의 질 훼손과 정보비대칭의 심화를 거쳐 자본시장평가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불성실공시가 자본시장평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보다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자본시장은 불성실공시보다 불성실공시로 인해 훼손된 이익의 질과 정보비대칭 심화를 더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불성실공시제도의 효익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과 감독기관, 자본시장 참여자 등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불성실공시가 자본시장평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이익의 질과 정보비대칭을 통해 자본시장평가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 ...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as a measure to suppress the turmoil in the capit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being implemented in Korea. In concrete, this research measures the unfaithful disclosure factor through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the present and accumulated penalty points. A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on earnings quality, information asymmetry, and capital market evaluation. If the management provides disclosure information to interfere with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of the capital market participants, the company will be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Al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ccoun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impure intention of management. Therefore unfaithful disclosure is expected to impair the earnings quality. To be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means distorting or concealing disclosure information that management provides to the capital market. Therefore unfaithful disclosure directly deepen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y and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lso considering the role that accounting information plays in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earnings quality damaged by unfaithful disclosure indirectly deepens information asymmetry. In other words, unfaithful disclosure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information asymmetry. Capital market will evaluate negativity unfaithful disclosure itself. In addition, unfaithful disclosure indirectly affect capital market evaluation through lowering earnings quality and deepening information asymmetry. In order to accurately analyse the effects of unfaithful disclosure on capital market 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both the direct and the indirect effect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unfaithful disclosure.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whether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arnings quality,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capital market evaluatio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unfaithful disclosure lowers earnings quality and deepens information asymmetry. And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capital market have a propensity to underestimate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Also the result means that lowering earnings quality and deepening information asymmetry, rather than direct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attribute the undervaluation for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This research makes several contributions. First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ich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companies, regulators, and capital market participants. Secondl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 direct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this research differentiates in that analyze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 KCI등재

        영국의 Disclosure 제도 및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목성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2

        2019년 7월 9일부터 시행되는 특허법에서는 고의적인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 침해에 대해 3배까지 증액배상을 인정하고, 증액배상액 결정에 있어서 고의 또는 손해 발생의 우려를 인식한 정도, 침해행위 로 인하여 침해한 자가 얻은 경제적 이익, 침해행위를 한 자의 재산 상태 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3배까지의 증액배상제 도가 제대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법원에 ‘고의적인지’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는 사실 및 증거, 각각의 고려요소에 해당하는 사실 및 증거가 주장․제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특허법에 도입되 어 있는 자료제출명령제도, in camera 제도, 비밀유지명령제도 등을 활용할 수 있겠지만 한계가 있다. 현행 증거수집 및 조사절차의 한계로 인해, 미국의 Discovery 제도 를 도입하자는 논의도 있지만 과다한 소송비용과 소송지연 등의 부 작용으로 인해 전면적으로 국내에 도입하는 것에는 회의적이다. 이 러한 측면에서, 영국의 Disclosure 제도에 대한 검토는 의미가 크다. 영국은 영미법계 증거개시 제도가 발생된 곳이지만 1999년 Woolf 개 혁과 최근의 Disclosure 시범제도를 거치면서 미국의 Discovery 제도 보다는 제한적인 ‘Disclosure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영미법계 증거개시 제도의 국내 도입에 따른 시사점 을 얻고자, 영국의 Disclosure 제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동안 시행되어 온 일반적인 영국의 Disclosure 제도, 최근의 Disclosure 시범 제도, 특허소송에서의 Disclosure, 신속심사 및 유연심사제도하에서의 Disclosure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 결과, 적정 · 공평과 동시에 신속 · 경제를 이상으로 삼 고 있는 국내 민사소송절차, 특히 특허침해소송절차에 영미법계의 증거개시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으로는, 적정하고 공평한 소송을 위해, 당사자 등의 증거보전의무, 당 사자의 자료목록 개시의무, 당사자의 자료제출의무, 위반 시의 조치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신속하고 경제적인 소 송을 위해 자료개시 중심의 증거개시, 특권 등에 기초한 자료개시 범 위의 제한, 자료개시절차의 생략 등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이다. 앞으로 이러한 시사점과 다른 국가의 제도에 대한 추가적 검토를 바탕으로 국내 특허침해소송 현실에 부합하는 한국형 증거개시 내지 자료개시 제도를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revised Korean Patent Law, which took effect from September 9, 2019, courts in patent infringement cases may increase the damages up to three times the amount found or assessed in courts’ consideration of an infringer’s profits and the financial status of an infringer etc.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this enhanced damages system, claimants should be able to proffer evidence that substantiates an infringer’s intention and other considerations. However, the evidence collection system in patent law such as a court order for the production of materials has its limits. The limits of the evidence collection system in the Korean civil procedure results in the discussion about the partial introduction of the US discovery system into the Korean civil procedure. Still, many scholars worry about its problems: excessive litigation cost and delay. In relation to this, a study on the disclosure system in the UK is very meaningful in that the UK, the birthplace of the common law discovery system, operates a limited discovery system(the disclosre system) after experiencing the Woolf reform and through the recent disclosure pilot scheme. This thesis h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overall UK disclosure system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rom it: the disclosure system in general, the disclosure pilot scheme, disclosure in patent litigation, and disclosure under the shorter and flexible trials schem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thesis finds that the duty of parties or legal representatives to take reasonable steps to preserve documents in their control, the duty of parties to disclose the list of documents, the duty of parties to produce a copy of documents, and sanctions need to be reinforced in Korean patent infringement cases for just and fair litigation.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disclosure of “documents”, the limitation of the scope in disclosing documents based on privileges and trade secrets, and the omission of disclosu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speedy and low cost litigation. On the basis of these implications and the further study on the advantages of the US discovery system and evidence collection systems of other countries, we are required to design our own system in view of our practice in patent litigation.

      • KCI등재

        Voluntary Disclosure of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 -Implications of Revisions to Korean Accounting Standards-

        김미옥,정형록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4

        Korea Accounting Standard Board announced new amendment of changing in disclosure regulation in order to protect firm’s operating strategy. The new amendment includes the disclosure policy about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which still voluntarily disclose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even though the mandatory regulations about reporting detail information have been relaxed. As the starting point when the regulation would be acted is uncertain, we consider different starting point of voluntary disclosure, and set several definition of voluntary disclosure. We fi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disclosure firms. The voluntary disclosure firms are younger, small size, lower performance than non-voluntary disclosure firms. The market which voluntary disclosure firms belong to is less competitive than the market which non-voluntary disclosure firms belong to. Also the ratio of sales cost in voluntary disclosure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non-voluntary disclosure firms. This paper contributes in the accounting research in that it is the first paper of researching voluntary disclosure about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firm’s characteristics between disclosure firms and non-disclosure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