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매체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미디어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연(MiYeon Choi),박성복(SungBok Park),이형석(HyungSeok Lee)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3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필수 역량이지만, 기존의 시니어 세대는 연령, 성별, 소득, 학력 등의 요인으로 인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낮아 디지털 소외나 사회 부적응의 문제 등이 지적되어왔다. 그러나 50~60대 베이비 부머 세대는 기존의 시니어 세대와 달리 디지털 기기 사용 능력과 미디어에 대한 이해 능력 및 수용적 관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50-60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인으로써 각 변인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멀티태스킹 요인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자기효능감 요인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멀티태스킹 관계, 멀티태스킹과 지속이용의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로써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 간 관계에서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었으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함으로써 학술적, 실무적 관점에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igital media literacy i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living in a modern society, but the existing senior generation has a low level of digital media literacy due to factors such as age, gender,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oblems such as digital alienation or social maladaptation have been pointed out. However, the baby boomers in their 50s and 60s differ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use digital devices, their ability to understand media, and their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tasking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ir 50s and 60s, and analyzed how self-efficacy affects each variable as a moderating variable. We wanted to do an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digital media literacy, the more positive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and the multitasking factor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self-efficacy factor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multitasking, multitasking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tas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verified,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did not app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by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media literac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interact socially through digital media.

      • 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양상 및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성인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채우정(Chae Woo Jeong),한용재(Han Yong Jae) 한국장애인재단 2022 장애의 재해석 Vol.2022 No.-

        디지털 미디어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생활 도구이다. 정보교류, 의사소통, 사회참여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가짜 뉴스, 디지털 소외계층 발생 등은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따른 대표적 부작용이며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가 된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은 다소 부족한 부분이 많다. 또한, 교육 대상을 학생, 노년층 등 특정 계층에 한정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격차가 심화가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양상을 파악하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환경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성인 지체장애인은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서 기기 활용의 편의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사용 목적은 정보 검색과 의사소통이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 파악되었다. 성인 지체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진행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호주, 영국, 핀란드 등 해외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선진국은 전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제정, 운영하고 있다. 선진 사례를 참고하되 우리나라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현황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는 것은 사회적 과제가 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모색방안이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Digital media is an important living tool in modern society. It is used as a very convenient tool in various field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owever, fake news and the occurrence of the digital underprivileged are representative sid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and are the reasons why digital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re emphasized. In Korea,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s somewhat insufficient. In addition, education targets are often limited to specific classes such as students and the elderly. In particula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o not have many educational opportunities unlike disabled students. As the use of digital media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increases,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mo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environment for adult retarded people by identifying the digital media usage patterns of adult retarded people and conducting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value the convenience of using devices in the use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ain purpose of use of digital media is inform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and that the preference for video content is high. This is a part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eveloped countries in foreign digital media education, such as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and Finland,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various and systematic curricula to foster digital media literacy for the entire nation. It is a social task to develop and operate customized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media use by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while referring to advanced cases. With this study, we hope that social interest in cultivating digital media literacy capabilities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be increased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can be continuously sought.

      • KCI등재후보

        디지털 담론이 매개하는 영화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라이프 인 어 데이>(2011)와 <지구에서의 하루>(2012)에 나타난 참여 메커니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현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0 No.20

        It is being said that anybody can make a movie today. The rhetoric of media democratization often goes 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market share by digital media devices around the world. And we have this image of ‘people’ where they have become much more powerful and smarter than yesterday‘s audiences of the mass communication system. But is it true that the expanded access to digit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nnels of audiovisual media enhance the democratic potential of these media? This paper takes a critical look at the claims of the dominant narrative of digital technology regarding the filmmaking environment for the so-called “lay people.”Looking back the history of cinema, we find that the arrival of every new filmmaking machinery brought with it an endlessly renewed promises of enhanced access and user empowerment that seldom really does follow. This means that its history has also been a history of these failed promises, showing how the radical potentials of these devices that could have (according to the rhetoric of media democracy attached to them) revolutionized the filmmaking opportunities for everybody’s sake, were sutured into the rules of dominant media formations. The historical perspective provides that digital technologies’ rhetoric of media democratization is not new but has a deep root, asking us to realize its repetition of unfulfilled dreaming. Thus, what is important is the context in which these discourses arise against the background of ever- increasing phenomenon of media concentration. Why are there so many digital devices that encourage us not only to consume but also to produce?In spite of the general technological determinism found in both utopian and dystopian discourses of the digital, the desire for equal participation in media that they foreground has a positive implication for driving new filmmaking practice. Life in a Day(2011) and One Day on Earth(2012) are two among the many that experiment themselves with participatory filmmaking practice based on digital network. (Media) Particip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abused terms in the digital age. However, when its meaning refers not to an autonomous contribution or commitment of the self, but the presence of equal power rel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it becomes a critical site to reflect on the way participation is organized and/or limited in the filmmaking process. This paper compares the participation mechanisms of these two global media projects in order to think about their different cultural imagina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democra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ritical look at the framework of cinematic democracy in the context of abundant digital devices that are surrounding us today. Digital technology is not a neutral means by which we can enhance or jeopardies democracy depending on how we use it, but a set of cultural frameworks to think about and illuminate a new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democracy. The paper is also an attempt to find an appropriate way to approach amateur filmmaking, which has been marginalized for so long, but suddenly finding itself being foregrounded by the digital discourse. 누구나 의지만 있으면 영화를 만들고 보여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들 한다. 이러한 수사학은 종종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들이 보여주는 놀라운 속도의 전 세계적 시장 점유율과 함께 제시되곤 한다. 그리고 일방향적 소통구조로 특징지어지는 아날로그 대중매체 시대의 영화 관객이나 TV 시청자와는 달리, 훨씬 더 강력하고 현명해진 대중이라는 이미지로 이어진다. 그러나 영상 제작 수단의 대중화와, 디지털 네트워크란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의 등장이 정말로 영상 매체의 민주적 가능성을 실현시켜주고 있는가? 본고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일반인들의 영화 제작 및 배포에 관한 진입 장벽을 제거하고 따라서 영화 매체를 민주화시킨다는 오늘날의 지배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영상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조건들의 변화 속에서 특히 ‘일반인’들의 영상/영화 제작 문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회적 담론들의 작동 방식과 그 한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화사(史)를 돌아보면 새로운 영상 매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제작 수단의 민주화와 수용자들의 권한 강화에 대한 유토피아적 기대들이 반복하여 등장한다. 이 과정은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저렴하면서도 혁신적인 방법으로서, 가장 민주적인 미디어 제작 실천이 될 수도 있었던 새로운 영상 매체의 해방적 잠재력이 지배적 미디어 구조 속으로 계속해서 봉합돼온 역사이기도 하다. 지배적 미디어 구성체는 다양한 사회, 경제, 미학, 이데올로기적 규범화(normalization)를 통해 경쟁자들의 미디어를 통제하려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시각은 오늘날의 디지털 기기들이 구사하는 민주주의의 수사학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되풀이되어 온 것이며, 이미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했으나 무산된 꿈꾸기의 반복임을 깨닫게 해준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 도입 이후 미디어의 상업화와 소유 집중화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일반인들에 의한 영상 제작 문화가 전경화 되는 맥락에 대한 분석이다. 왜 이토록 많은 디지털 기기들이 넘쳐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이미지를 단순히 ‘소비’할 뿐 아니라 직접 ‘생산’도 하도록 장려되고 있는가?그럼에도 불구하고 낙관론이든 비관론이든 디지털 담론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기술 결정주의적 시각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전경화 하는 평등한 미디어 참여에 대한 열망은 새로운 영화 제작 방식에 대한 실험을 추동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함의를 지닌다. 디지털 네트워크에 기반 한 참여적 제작 방식을 영화의 주요 컨셉으로 내거는 두 가지 글로벌 미디어 프로젝트, <라이프 인 어 데이>(2011)와 <지구에서의 하루>(2012) 등은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오면서 ‘(미디어) 참여’라는 단어는 가장 널리 남용되는 단어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참여’가 단순히 자발적 기여나 헌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결정 과정에서 관련 주체들의 평등한 권력 관계의 위치에 관한 문제라고 할 때, 영화 제작 과정에서 참여가 조직되고 제약되는 방식은 영화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살펴보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 두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 나타나는 참여의 메커니즘을 비교하면서 이들이 각각 영화를 통한 민주 ...

      • KCI등재

        Digital OOH Media의연구 프로세스 알고리즘 모형에 관한 연구- 속성비교이론에 따른 소비자 태도연구를 중심으로

        안희진,오영재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6

        오늘날의 미디어 산업은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있어 복잡한 다층적 구조를 띠고 있으며 그 영역 또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미디어 산업이 디지털화를 이룩하면서 정보를 담아내는 양은 무한히 증가되고 있고, 네트워크의 유비쿼터스화는 미디어 채널에 있어서의 설치 제약을 무의미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각 미디어의 영역은 서로 침범되어 그 경계가 무너지게 됨으로써 현재의 미디어 범람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뉴미디어 개발 및 크로스 미디어 운영계획 등의 연구에 대한 하나의 확고한 ‘연구 도구(Tool Kit)’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광고 매체로서의 Digital OOH Media에 대한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Digital OOH Media에 대한 일련의 연구 프로세스를 알고리즘화 하여 그 연구 모형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알고리즘 모형 설계에 있어서는 피시바인(Feshbein)의 ‘다속성 태도모델’과 티버스키와 카네만(Tversky and Khaneman)의 ‘속성비교이론’의 일부 개념을 계승하여 연구모델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프로세스 알고리즘 모형은 Digital OOH Media의 개발초기인 ‘기획단계’와 설치, 운영 중인 ‘운영단계’ 두 시점 모두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Digital OOH Media의 연구를 위한 확고한 연구 프로세스 모형이 부재한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해당 미디어의 연구 프로세스 알고리즘 모형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재의 Digital OOH Media의 발전방향에 대한 유용한 ‘연구 도구(Tool Kit)'로 사용되기를 희망한다. The current media industry has a complicated multi-layered structure, and its range is being extended continuously. As the media industry creates digitalization, the capacity for information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the ubiquitization of networks has made it meaningless to constrain additional media channels. Accordingly, they ranges of each type of media interrupt each other, leading to a flood of media today.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rm tool kit for new media development as well as operation plans for integrated media.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an earlier work on Digital OOH Media as advertisement media, involving the creation of an algorithm as a series of the research on Digital OOH Media and the design of a research model. With the design of this algorithm-based model in this study, I establish the study model using certain concepts originating from the multi-attribute attitude model by Fishbein and attribute comparison theory by Tversky and Kahneman. In the designed model, both a planning step, representing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he algorithms associated with Digital OOH Media, and an operation step, are used. As a concrete research process model with which to study Digital OOH Media is unavailable at this point, this study suggests a more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direction by establishing the research process for the algorithm-based model for corresponding media. It is hoped that such a study will serve as useful tool kit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OOH Media.

      • KCI등재

        뉴미디어디자인으로의 제품키트를 활용한 디지털마케팅에 관한 연구 - 매체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오지연 ( Oh Ji Yeon ),김영배 ( Kim Young Ba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IT 기술의 발전으로 4차산업혁명에 의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시대로 일컬어지며 레거시미디어에서 뉴미디어라는 큰 변화의 연속성에 놓여있다. 뉴미디어로 인한 디지털매체 활용은 스토리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공감하며, 소비자들과 함께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의해 수없이 쏟아지는 지속적인 제품생산으로 인한 기업마케팅 전략 외에 인간 삶의 방식, 소비자 욕구 등 많은것들에 영향을 미치며 다변화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마케팅에서 뉴미디어로의 디자인마케팅에 대한 도구로써, 제품키트를 사례로 하여 디지털매체로의 다양한 매체철학자들의 관점을 풀어 해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화된 디자인마케팅으로의 확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 시대와 다가오는 시대의 디지털마케팅으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뉴미디어디자인으로의 변화와 종류를 이론화하고, 제품키트로의 과거와 현재의 사례를 통한 매체변화를 확인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매체철학자들의 디지털매체에 대한 의미를 제품키트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마케팅의 디자인마케팅 본질을 이해하며, 매개역할의 중요성과 이를 활용한 매체 몰입으로 소비자들의 구매욕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확인해 볼 수 있겠다. 기업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기술발전에 의한 속도와 확산, 공유가 디지털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각하며 디자인마케팅으로의 매체활용을 이끌어가는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is referred to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era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in the continuity of great changes from legacy media to new media. The use of digital media due to new media is shared by various people through stories, an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s becoming comm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is phenomenon is diversifying and influencing many things such as human lifestyles and consumer needs in addition to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caused by continuous product production poured out countless times. Therefore, this study is a tool for design marketing that uses digital media in existing marketing, and aims to interpret various media philosophers' perspectives on digital media using product kits as an example.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pread to digitized design marketing, it is intended to be helpful as digital marketing in the current and upcoming era. For this study, the changes and types to new media design are theorized, and media changes through past and current cases into product kits are confirmed. By substituting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by media philosophers in product kit cases, the research method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design marketing of digital marketing and how important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is through media immersion. Companies recognize that speed, spread, and sharing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being carried out through digital media through this study, and hope that it will help lead the use of media for design marketing.

      • KCI우수등재

        디지털로 매개된 패션 소비 경험에 관한 탐색 : 패셔니스트가 되고 싶은 20대를 중심으로

        이동후,이설희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6

        패션은 물질적이면서 비물질적이고,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이며, 행위 양식이나 몸의 구체적 실천이라는 복합적 성격을 갖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복합적 성격을 가진 패션이 현재의 미디어 감각과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를 주목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으로 재구성되고 있는 패션시스템을 ‘디지털 매개 패션시스템(digitally mediated fashion system)’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패션과 소비자의 관계가 일상적 패션 소비 경험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패셔니스트가 되고자 하는 20대와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이들의 경험은 디지털 패션 미디어 이용, 패션시스템의 체화, 이러한 시스템에 내재된 패션 관련 산업적 질서 및 상징적 가치 체계에 관한 해석이 별개의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상호연결되어 패션-미디어-신체가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기만의 패션 정보 환경을 구성하고, 탈장소화하고 가속화하는 패션 실천을 경험하고 있다. 이들은 대량 소비라는 일상적 실천과정을 거쳐 이미지 중심의 탈육적이고 가상화된 패션 감각을 물리적 신체에 체화해 갔다. 또한 자신의 패션 감각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공유하면서 물질적이면서도 가상적인 패션 감각의 형성 동학에 기꺼이 참여하고 있다. 인터뷰참여자들의 패션-미디어-신체는 기존 패션시스템의 질서와 가치체계를 받아들이면서도 미시적 차원의 행위성을 만들어 가는 해석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셀 수 없는 이미지들, 패션 공간의 탈장소화, 패션 순환의 주기 및 소비 시간의 가속화 등은 소비자가 자신의 소비 행위에 대한 성찰이나 거리두기를 점점 더 어렵게 하고 있다. 개인이 이러한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자기 나름의 가치를 만들려고 하지만, 패션시스템의 작동 방식이나 질서의 밖을 상상하기 어려운 미디어 환경의 체화과정에서 개인의 행위성은 모순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다. 이들이 노력, 시간, 돈을 들어야 하는 소비 과정에 부담을 느끼면서도 기꺼이 동참하면서, 기존 패션시스템의 질서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The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media platforms has significantly shaped how people interact with fashion. Social media, influencers, and user-generated content have become primary sources of fashion information, significantly increasing online purchases of clothing and fashion-related products, particularly among the youth. Despite the evident influence of digital media on fashion consumption culture, research delving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s and everyday consumer practices within this realm remains minimal. This study addresses the existing gap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everyday fashion within a digitally evolving fashion system. This fashion system goes beyond the industry itself, encompassing a complex network involving the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ashion. It includes a wide array of participants, from designers and entrepreneurs to marketers, retailers, and consumers. In the digital media context,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fashion system as a 'digitally mediated fashion system.' This system is characterized by a network of relationships where different elements of the fashion industry are interlinked through digital media. The notion of mediation emphasizes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media, individuals, and the fashion world, focusing on the mutual construction process among these elements. To explore qualitatively the interactions between digital media, the fashion system, and daily fashion practices, as well as their cultural implication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ashion-interested young adults. These individuals, aspiring to be 'fashionists' - those who recognize and adapt to fashion trends and have a personal fashion sense - provide insights into how they fulfill their fashion desires in daily life. The study examines various relational dynamics within the digitally mediated fashion system, including the role of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background relationship), the utilization of platforms as fashion media (otherness relationship), the formation of a 'fashion-media-body' identity (embodied relationship), and the meaning-making process (interpretation relationship). The findings reveal that engagement with digital fashion media, embodiment of the digitally mediated fashion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its industrial and symbolic values are interconnected processes that shape a complex 'fashion-media-body' dynamic. Participants curate their fashion environments, leading to transformed and accelerated fashion practices, integrating an image-focused, virtual fashion sense with their physical existence. This process involves actively crafting both material and virtual fashion identities through the creation and sharing of fashion imagery. The 'fashion-media-body' phenomenon exhibits a dual nature: it conforms to the norms and values of the existing fashion system, yet also allows for individual agency. However, the plethora of images, the abstract nature of digital fashion spaces, and the rapid pace of fashion cycles pose challenges for critical reflection and detachment from consumption habits. While participants actively engage in fashion practices, often requiring significant time, effort, and money, this engagement typically reinforces and perpetuates the established fashion order. This study highlights the complexities of navigating the digitally mediated fashion system, underscoring the inherent contradictions and limited agency within the prevailing fashion paradigm.

      • KCI등재

        마샬 맥루한의 매체미학에 기반한 디지털댄스의 확장적 기능

        김미진,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sive function of digital dance, a new form of dance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being carried out in diverse forms based on the theory of Marshall McLuhan emphasizing the meaning of media. In the modern society where new cultural environment is being created with appearance of new media, aesthetic explo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arts and mass society has important meaning. Inheriting such media theory, McLuhan emphasizes the meaning of media and tries to grant the meaning of media by focusing on the attributes of tools creat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He pays attention to communication of media art.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seen in existing arts, a means of digital media art is proposed to encour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ator and audience. Digital dance connected with digital technology is showing rapid development. The extensive function of digital dance based on the media theory of McLuhan is as follows. First, digital dance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art and allows for globalization of the entire world as a single space through extension of temporal and spatial concept. Second, digital dance has an open communication structur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possessed by traditional artworks. Third, digital dance has overcome bodily limitations through combination of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nd extension of expression. In addition, digital dance is not a simple bodily extension but has characteristics of a new genre using the essence of media. There are a number of digital dance to the audience's accessibility increase the audience and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and the body's ability to increase in terms of pure dance form of transformation away from a negative perspective about the new dance art as a genre based on popularity can stretch as an art medium. Therefore, media aesthetical perspective of McLuhan enables a new discussion and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digital dance as a differentiated media art. 이 연구는 매체의 의미를 강조한 마샬 맥루한의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새로운 무용형태인 디지털댄스의 확장적 기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문화환경이 형성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예술, 대중사회의 관계에 대한 미학적 탐색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대한 연구영역이 매체미학이다. 맥루한은 매체, 그리고 기술의 발전이 낳은 도구의 속성에 주목하여 매체자체의 의미부여에 힘썼으며, 매체예술의 소통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기존 예술에서 볼 수 있던 관객과의 소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매체예술의 수단을 제시하며 창작자와 관객의 소통을 유도하고 있다. 이 연구의 핵심인 맥루한의 매체이론에 기반 한 디지털댄스의 확장적 기능을 보면, 첫째, 디지털댄스는 시공간 개념의 확장을 통해서 공연예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세계를 하나의 공간으로 만드는 지구촌화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디지털댄스는 전통 예술작품이 지닌 관객과의 소통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열린 의사소통구조를 지니고 있다. 셋째, 디지털댄스는 신체의 한계성을 디지털 매체, 테크놀로지의 결합을 통해서 극복하고, 표현의 확장을 이루었다. 또한 단순히 신체적 확장을 넘어 매체본질을 활용한 새로운 장르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디지털댄스는 다수 관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객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신체능력을 확장시킨다는 측면에서 순수 무용형태의 변형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무용예술장르로서 대중성을 기반 한 매체예술로서 발돋움 할 수 있다. 이를 바라보는 맥루한의 매체미학적 관점은 디지털댄스의 새로운 논의를 가능하게 하며, 차별화 된 매체예술로서의 발전을 가져오는 근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매혹 : 동시대 매혹의 시네마

        정민아(Jeong Min Ah) 한국영화학회 2007 영화연구 Vol.0 No.31

        The digital media became to a general tool for a human life after twenty first century. The digital image culture-such as film, TV, game, mobile phone, simulation apparatus and so on- makes us privatize images. We possess images, and feel, experience and think images with the sense of touch and hearing beyond seeing images as well. At this moment, the virtual reality and the real are interfacing, connecting and working mutually. Therefore, th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bo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perception become t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reality of our daily life surrounded by digital-beings. We ask an ontological question about ourselves in the age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appeared newly. Living in the digital age, we cannot help doubting about digitized information. We don't try to distinguish the originality of the real filled in digital-beings in the world. instead, an important sense is not the problem of an object and originality but the problem of the visible/invisible or the plausible/implausible. The old Cartesian cogito has taken on a double, and thereby doubly puzzling formulation: I am being seen, therefore I am. or I see, therefore I am being deceived Digital-beings do not demand forcibly the supposition that the things you're seeing are true. Also, digital images are at a distance from aesthetics of the truth. I examine how films change in the age of the digital media when the virtual reality and the real interface mutual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body, and between media and perception. According to McLuhan's thesis-media are messages, characteristics and ways of reception of images are changed by modification of the media. So, I demonstrate the meanings of the media image culture with media aesthetics, theory about perception through the media. Besides, to understand aesthetic functions and extension of new experiences through digital films, I investigate early cinema's practices in the side of media archeology, which it follows the belief that the future cinema is in the past, and the theory that the new media are extension of the old media,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word of interactivity.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 연구 :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천아진 ( Chun Ajin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Background and Purpose) With rapidly-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and the collapse of regional limitation of information delivery, smart spaces, where various technologies are integrated with media, have appeared. Continuing this trend, smart exhibition spaces with integrated types of digital media have also been observed in exhibition halls, which have further developed as communication spaces utilizing online and offline rather than simply delivering products and corporate information unilaterally. Therefore, it seems that corporate exhibition halls will integrate digital media more positively into space as a strategy for space marketing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centering on space marketing. (Method) This study considers theories on digital media, corporate exhibition halls, and space marketing. Moreover, it draw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utilizing digital media and based on this, analyzes spatial,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Based on the three elements drawn, it draws keywords on each element and for detailed study, and selects cases for analysis focusing on the corporate exhibition halls which were reopened or renewed in the recent five years centering 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The result indicate that spatial elements were most marked, followed by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In case of spatial elements, corporations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experimental exhibitions where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spaces where symbolism is distinct. This induces relationship form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visitors. In case of functional elements, digital media planning was utilized the most in every exhibition hall, and the functional space where media were integrated with technologies was produced, which encourage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spectatorship more actively. Finally, in case of social elements, every corporation made cultural attempt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events through its own exhibition hall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forming a social relationship with visitors and corporate exhibition hall played a role as a cultural space for general audience beyond its promotional purpose.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digital media utilized as a means for space market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already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and would also be further utilized in the future. Therefore, corporations need to think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differentiation plans utilizing digital media more actively, and the experience from view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from the visitor’s perspective is helpful in forming a positive image about corporations. This will also be used as a central element in space marke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광고 매체로서의 Digital OOH Media에 대한 연구 - 수용자 커뮤니케이션에서 형성되는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안희진,오영재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Digital OOH Media의 수용자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자하는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의 OOH Media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Digital OOH Media의 역할 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게다가 설치장소에 따른 제약이 거의 없기 때문에 광고, 안내, 해당구간의 정보 등 디스플레이 매체로서 정보전달이 가능한 곳에는 탄력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현재의 OOH Media는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정보전달 방식에서 Digital OOH Media의 디지털적인 정보전달 방식으로 변화해 가는 과도기 시점에 있다. 때문에 향후 Digital OOH Media의 효율적인 운용과 발전을 위해서는 이를 접하는 수용자들이 해당 매체에 대해 1차적으로 어떠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현재의 문제 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 을 둔다. 본 연구는 2013년 수용자 매체 및 콘텐츠의 1차원적 태도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번 연구 에서는 Digital OOH Media에 대하여 광고매체로서 수용자들이 느끼는 1차적 태도가 어떻게 형성 되는 지에 대하여 면밀히 분석하여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Digital OOH Media의 사례를 바탕으로 카테고리 를 분류하여 매체를 접해본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와 동일한 설문문항으로 조사 진행하였다. 이 러한 일련의 분석연구들을 통해 발견된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은 Digital OOH Media와 스마트 폰에서 제공되고 있는 광고 콘텐츠의 유형적 차별화가 아직까지는 전무하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추가적 으로 OOH Media의 장점이 부각된 인터랙티브성 콘텐츠 개발과 아울러 차별화된 매체 콘텐츠 기획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curiosity about how the consumer attitudes regarding the current digital OOH media were formed. With the digitalization of the existing OOH media, the role of this type of media has also been gradually expanded. Because there are few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places, can be flexibly applied to places wher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hrough display media, with advertising, guidance, and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section(s). The current OOH media is in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xisting analogue communication method to the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method of digital OOH media. Therefor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OOH media of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current problems and to seek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after initially identifying what attitudes toward the relevant media are formed by consumers who encounter the media,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follow-up study to research which originally focused on one-dimensional consumer attitudes toward media and related content in 2013,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closely how the primary attitudes of consumers toward digital OOH media as advertising media are formed. By classifying categories based on the case of digital OOH media, a survey targeting consumers who experience these types of media was used,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naire from the previous study.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found through these analytic studies are that there remain no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dvertising content between digital OOH media and smartphones. In follow-up studies, the goals will be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contents showing the benefits of OOH media and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for differentiated media content planning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