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권동우,배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Digital Literacy’ refers to a capability to evaluate and judge reliability of diverse information distributed through digital networks, and to change this to knowledge that is necessary to individuals by sorting out, selecting, editing, and process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gital media apparatus and platforms, this digital literacy is being more highlighted. But the use of digital medial among writing learners is still at its primary stage to check and transf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result, the failure in invigo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a very true sense is making it impossible to extend independent writing. The introduction and the cultivation of ‘writing ethics’ that this paper focuses on, can be a drive to extend writing, since it facilitates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itself.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writing ethics and its effect on digital literacy writing, rather than putting essential emphasis on it in a primary sense. When it comes to using digital literacy as a previous step of writing, writing ethics is part of the solution for a critical mind on how to boost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expression, which are fundamental issues in writing. Writing ethics education and learning enhance discernment of digital information, naturally leads to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writing, and invigorates digital literacy again. Ultimately, a virtuous circle is formed in this way.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서 유통되는 다양한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ㆍ판단하고 이를 취사・선택・편집・가공하여 자기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최신 디지털 미디어 기기와 플랫폼의 다변화로 인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양상은 정보와 지식을 확인하고 옮겨오는 일차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활성화에 이르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체적 글쓰기라는 확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주목하는 ‘쓰기 윤리’의 도입과 의식의 함양은 그 자체로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글쓰기의 확장으로 이끄는 하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쓰기 윤리에 대해 일차적인 의미의 당위적 강조가 아닌 그것이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에서 불러일으키는 매개적 역할과 효과에 대해 주목하였다. 즉 디지털 리터러시를 글쓰기의 전(前) 단계로 활용함에 있어, 어떻게 그것을 글쓰기에서 요구하는 본질적 문제인 창조적 사고와 주체적 표현으로 유도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의 한 방편에 쓰기 윤리가 자리한다. 쓰기 윤리 교육과 학습은 디지털 정보에 대한 분별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고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글쓰기를 이끌어내며, 이는 다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낸다.

      • KCI등재

        융합교과목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 개발에 관한 사례분석 및 효과

        고윤정,김신정,임세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As it enters into a hyper connected society, we are requesting a new technological convergence. Also, these days are a convergent society based on IoT, AI in earnest. We need to build up ‘digital literacy’, that is the ability to critically watch digital information to choice the correct and right information in the flood of information in these days. This paper is for sharing our research process and conclusion about the convergence subject for cultivating a digital literacy. The subject “Comprehension of digital literacy” is made for fostering students who to be great talents can be critical, integrating, problem-solving, creative. This subject was managed by three professors who are consist of a humanities major, a social science major, an engineering major. For this, Three teachers shared AI knowledge based on expert knowledges per major, and based on this, this subject was developed for cultivating students who get a critical comprehension about digital information and a creative solve-problems with digital tools. This subject consists of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student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and main concept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second part, students have recognized ethical manner and ethical mind as digital literacy. Next, they have learned various tools of digital and could use those tools. Lastly, students have fulfilled a critical project with digital tools. The survey at the end of this class shows positive effects of our subject to students getting abilities in many domains: solving problem, thinking integrated, creating knowledge, digital ethics, team teaching, self-efficacy. This integrating subject is judged that cultivating student of various major to get basic knowledge of digital literacy by changing of existing cognition and this is can be leading case jumping over academic boundary. 현재 초연결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융합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사회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개인이 정보의 주체가되어 정보를 정확히 읽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정보를 주체적으로 통합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있는 능력 즉,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출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학문 간 벽을 허물고 비판적, 통합적,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미래인재를 양성하기위한 융합교양교과목인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의 개발과 그 효과를 공유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녔다. 교과목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는 인문학, 사회과학, 공학 전공교수들이 팀티칭으로 운영하였으며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하여 각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디지털정보를 비판적이며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더 나아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해결하는 능력을 배양시키고자 개발되었다. 또한 이 과목은 대면강의와 비대면강의가 함께 이루어지는블렌디드 학습이며,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을 병행하는 융합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크게 다음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관련 개념을정리한다. 둘째, 초연결사회에서 필수적인 디지털 윤리 및 책임의식을 고찰하고, 셋째, 디지털 도구를활용하는 실습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제작한다. 수업평가를 위해 설문항목을 개발하였고, 웹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능력, 통합적 사고능력, 지식창출능력, 디지털 윤리의식, 팀티칭효과, 자기효능감 측면에서 5점 척도에서모두 3점을 넘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융합교과목은 전공에 관계없이디지털 리터러시에 기초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학생들의 인식을 전환하여 통합적이며 혁신적인 이론및 실무능력을 갖추게 하는 한편으로 학문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5G 정보환경 정보전문가를 위한 윤리 리터러시 교육과정 모형연구

        유사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1

        Ethical Issues increase when people engage in smart technological systems such as 5G, IoT, Cloud computing services and AI applications. Range of this research is comparison of various literacy concepts and its ethical issues in considering of 5G features and UX. 86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hich have been published within the recent 5 years (2017-2022), relating the research subject,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wo results show that various literacies can be grouped into four areas and that some of common issues among those areas as well as unique issues of each area are identifi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Ethics-Literacy is presented and the model of ethics-literacy curriculum supporting ethical behavior of 5G information professionals is develop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5G 신기술에 가장 민감한 세대의 윤리 행태를 권장하는 일환으로 미래 정보전문가를 희망하는 주체를 위한 윤리 리터러시(Ethics-Literacy) 교육과정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의 핵심 주제인 5G 특성, 리터러시, 윤리 쟁점, 6C 역량기반 교육, 이용자 경험 등을 주제어로 최근 5년 이내(2022-2017) 출간된 국내외 학술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내용분석으로 최종 8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 연구가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것은 첫째, 기존의 리터러시는 5G 환경에 대응된 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둘째, 분석된 윤리 쟁점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에서 보이는 공통 쟁점과 각 리터러시 영역별 특수 쟁점으로 비교 구분되었다. 분석된 결과와 4차 산업혁명 교육방식으로 제시된 6C 역량기반 교육을 바탕으로 대학 차원의 5G 정보환경 정보전문가를 위한 윤리 리터러시 교육과정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Digital Literacy - A Solution to Digital Divide and Violence

        ( Luo Yang ),( Seo Eun Sook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resulted in numerous opportunities as well as challenges. In Korea, adolescents are confronted with major ethical issues such as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arising from bias and discrimination, and it is vital to reflect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digital literacy and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adolescents. Therefor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causes of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of adolescents, this study proposes to implant five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include embracing cultural diversity, respecting others, living harmoniously, reflecting on bias and discrimination, becoming digital-multicultural citizens into digital literacy, and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olescents.

      • KCI등재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터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승기,박다빈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4 창의정보문화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디지털 소양과 모든 교원의 디지털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국가의 여러 정책들이 시행됨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수·학습’, ‘디지털 평가’, ‘디지털 윤리 및 시민성’, ‘디지털 전문성 개발’ 5가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세부내용을 구성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조사 결과 전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타당성을 지녔다. 본 연구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초등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에서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수·학습’영역은 필수이다. 본 프로그램의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해 추후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facing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following the enactment of various national policies aimed at enhancing digital literacy and professionalism among all teachers, as emphasiz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 program has been designed to enhance digital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program is structured into five areas: 'Understanding Digital', 'Digital Teaching & Learning', 'Digital Assessment', 'Digital Ethics and Citizen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Digital'. The content of program was formulated in detail, and its statistical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expert validity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First, that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ithin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teachers, the areas of 'Understanding Digital' and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are essential.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program in the field.

      •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강정묵(姜正?),송효진(宋孝眞),김현성(金鉉城)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3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담고 있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토대로 진단도구를 개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기술(22), 활용(11), 마인드(9)영역의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제나 소통과 관련한 마인드나 기술적 이용능력에서 다소 낮은 리터러시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통해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를 위한 정보화교육이나 정책지원 사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진단도구를 제시하고 이의 개발과정에서 객관적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tained in the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and to develop a self-diagnostic tool. Through this tool,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diagnostic tool of digital literacy is composed of Technology(22), Application(11) and Mind(9) areas with a total of 42 indic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is generally high, but they show comparatively low literacy level in Mind area, specifically the indica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nd revised diagnostic too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r policy study for mitigating digital divid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agnostic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smart socie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should continue to be verified scientifically.

      • KCI등재

        STMPE단계에 기초한 놀이지원 모형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정보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창숙,김은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young children’s play using the STMPE steps and analyze how such a model affects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ability and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30 4-year-old young children (15 in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comparative group) who attended G kindergarten were random sampled to support play based on the STMPE step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y support based on STMPE step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digital literacy ability and information ethic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n the recording of play, 20 play topics of infants were extracted in the play support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racted play and examining the process of infant's play,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s play consists of eight stages: manifestation, search, ideation, create, share, reflection, and ext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a play support model was devised to support digital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s for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of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STMPE단계를 활용하여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고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정보윤리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 유치원에 재원하 고 있는 만 4세 유아 30(실험집단 15, 비교집단 15)명을 무선표집하여 STMPE단계에 기초하여 놀이를 지원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STMPE단계에 기초한 놀이지원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정보윤리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된 놀 이 장면을 분석하여 유아의 놀이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놀이는 발현, 탐색, 의 견나누기, 구체화, 만들기, 공유하기, 성찰하기, 확장하기 등 8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디지털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놀이지원 단계를 제안하였으며 유 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디지털윤리-리터러시, 다문화수용성, 세계시민의식이 문화적역량에 미치는 영향

        제남주,박미라,윤지원 한국산업융합학회 2024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7 No.1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digital ethics-literac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of medical students’ on cultural competen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medical students of J city of Province of G, collecting data from first of October to 15th of October 2023.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consist of 178 questions which were 9 questions of general properties, 70 questions of digital ethics-literacy, 35 question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3qus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33 questions of cultural compet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digital ethics-literacy was 2.67±0.85(out of 5), the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3.62±1.08(out of 6), the score of global citizenship was 3.72±0.75(out of 5), and the score of cultural competency was 3.49±0.71(out of 5).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The global citizenship was the factor affecting significantly on cultural competency. The power of explication was 20.8%. The education for accepting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and offering opportunity of domestic and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so that global citizenship could be improved. There is also a need of development of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digital media education which can perform medical service for various multicultural recipient on the medical site not an one-shot instiiled displine.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에서 인공지능 윤리교육 방안 탐색 연구

        신현화,신태수,신현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학교와 수업 연구 Vol.7 No.1

        Undeniab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come a part of modern life, because its use offers convenience and benefits. However, it faces various problems with several issues that require solutions. Children are no exception to this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values and norms specific to children who are facing the age of AI.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actual situation of ethics in relation to AI and th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and dilemmas associated with such ethic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everal methods for effectively teaching AI ethic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for AI ethics as part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thesis consists of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ethics in relation to AI and presents the goals and contents of and methods for teaching for AI ethics.

      • KCI등재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와 도덕과 교육

        임상수 ( Lim Sangs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5

        미디어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거쳐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이 국제적 공식 용어로 정착되고 있다. 미디어 정보리터러시(MIL) 교육을 위해서는 기술, 비판, 창조, 윤리라는 4대 영역의 역량을 고르게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미디어를 활용하는 기술이나 미디어 환경 그 자체에 대한 교육 보다는 미디어 발전과 융합에 따른 참여적 문화를 교육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 이것이 곧 새로운 MIL의 재개념화다. 보호주의적 관점을 넘어서 책임있는 정보 사용자인 동시에 적극적인 정보 생산자를 길러내야 한다. 개인의 역량강화를 강조하는 MIL 교육의 완성형은 공적인 사안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신중하고 책임있는 태도를 갖춘 도덕적인 디지털 시민성을 교육하는 일로 수렴될 수 있다. Through media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media information literacy’(MIL) education is being established as an international official term. For MI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mpetencies in the major four areas of technology, criticism, creativity, and ethics in a balanced way. It is more necessary to educate the participatory cultu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media than to educate the technology to access and utilize media or to educate the media environment itself. This is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new MIL. We need to go beyond paternalistic perspectives and cultivate people who use media and information responsibly while actively producing them. The completion of MIL education emphasizing individual empowerment can be converged with education on moral digital citizenship with a careful and responsible attitude while taking an active interest in and participating in public affa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