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질 관리 개념 및 개선 방향 탐색

        황규호,김경자,온정덕,천윤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4

        The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has focused strictly on determining if and how schools have implemented national or local curricula as specified in curriculum documents. This approach reflects the perspective of quality control or inspection, which rarely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practices and how to achieve academic excellence for all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quality curriculum and developed a model for total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Results show that, first, quality curriculum means academic excellence for all students, and total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refers to a continuous effort for improvement. Second, a model was developed to show what total quality management looks like by revealing relationships among quality management elements and curriculum elements with the objective of realizing academic excellence for all. Third,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lso evaluated as a part of total quality management. Lastly,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ears to be aligned with this one, but it should be adjusted to reflect the cultural component. 우리나라에서 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주로 국가 또는 지역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지침을 학교가 지키는가에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질 관리의 초기개념인 검사(inspection) 혹은 질 통제에 가까우며 어떻게 개선하여야 모든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을 성취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 부문에서 질과 질 관리를 연구해 온 Sallis의 이론에 비추어 교육과정 질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의 의미를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찾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질은 모든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을 의미하며, 질 관리란 교육과정의 질을 강조하고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둘째, 이러한 개념에 비추어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 성취를 중심에 두고 관련된 교육과정 요소와 교육과정의 질 관리 요소의 관계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또한 질 관리 모형에서 제시하는 요소들에 대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한 질 관리 대상이라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개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리지향의 CIPP 평가모형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 현황 및 개선 방안

        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문서,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서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 및 시․도교육청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교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주로 학생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에서 관련 지침이 매우 개괄적이고 선언적 수준이어서 교육과정 질 관리의 실제적 기제로 작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에서도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에는 미흡하였고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도 대체로 형식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구성 요소, 주체(수준), 개발 및 적용 단계(절차) 3가지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개념화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안)으로 교육과정 주체별(국가, 지역, 학교 수준) 역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천 전략을 구체화하는 작업 이 요청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 and its present practice, and actual condition. The curriculum pantography and the subject curriculum were subjected to scrutiny by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urriculum pantography included various evalu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testing, school and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evalu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cluded evaluation that focuses on students. The practic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focused upon the role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nd actual condition analyses of national,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 yielded by analysis of the curriculum document and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here are needs to revitalize positive functions of existing methods and systematize the quality-management plan and clarify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system and devise a specific plan focusing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hase, and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rough this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Kwon, Dongtaik),이주영(Yi, Juyeong),이정표(Lee,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중심교육과정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결과 향상과 과정 만족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학교중심교육과정은 그 개발부터 실행과 산출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를 요구한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결과 차원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다. 학교교육에서의 ‘질 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성취와 만족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때 TQM은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질 향상과 만족’이라는 조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조직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한 계속적인 개선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TQM을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에 적용하는 문제는 그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으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를 줄 수 있다. TQM의 교육과정 이행의 ‘맥락성’, ‘지속적인 개선’,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지향성’ 등은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vailability of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a comprehensive plan on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management. It s meaning is given in terms of process satisfaction and result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us,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mands the quality management on the entire process from it s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output. But, until now,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ends to treat aspect of result.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reveals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want to be educated. Thus, The TQM in school organization first must consider student as educative recipient. And this demands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dedication, to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and the effort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etc. An application of TQM to the school-based curriculum has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Nevertheless, It offers a various implications about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TQM can operate as a philosophical base for context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ous improvement , orient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etc.

      • KCI우수등재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태 및 개선 방향

        이승미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To realize the bottom-up curriculum design,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has to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It is time that the results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give the import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 curriculum with the 20-years experience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improve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o do th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n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And this study argued about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ree questions; Are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ppropriate for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each level? Are the subject curriculum reflected in the valuation criteria? Ca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contribute to the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s a result, this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of the each level. 교육 현장의 실태와 요구를 바탕으로 한 교과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 특히 학교 교육과정 평가에 기반을 둔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가 체계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이 교육 현장에 도입된 지 20년이 흘렀다. 따라서 이제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학교의 여러 가지 행사나 업무 편성 뿐 아니라 학교 교육의 핵심에 해당하는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개선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쳐야 할 시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국가, 시·도, 학교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첫째, 국가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와 관련된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와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한 규정에 따라 국가, 시·도, 학교 수준의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평가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분석한 규정과 실태에 따라 각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각 수준의 자율성을 발휘하기에 적합한지, 학교 교육과정 평가 내용에 교과 교육과정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지, 학교 교육과정 평가 결과가 교과 교육과정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CMS 기반의 대학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 탐색

        박상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 교 육과정 혁신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및 전공 교육 질 관리의 핵심 요소를 도 출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4단계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구안하였고,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전공 교수 및 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연구 결과,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는 1단계 학부(과) 교 육과정 자체 진단, 2단계 교육과정 개선 계획 수립, 3단계 교육과정 개편, 4단계 교육과정 평가의 체계를 갖추고, 대학 내·외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질 관리를 강화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모형의 단계별로 산출되 는 다양한 교육과정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CMS)의 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MS 기반의 대학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atabase-based major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model in University. To this e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university curriculum innovation, problems in curriculum operation and key elements of major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a four-stage major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model was devised,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professors and education exper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ncludes a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the four steps major curriculum. The model consists of self-reflection, improvement, reorganization, and evaluation. It is a structure to review the results of each step through consult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It was constructed in a format that strengthens quality management through In addition, a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system (CMS)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to accumulate various curriculum information calculated at each stage of the model was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presented a plan for quality management of major curriculum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curriculum.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학교 교육의 질

        황규호 ( Gyu Ho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in Korean context. First, I review four approaches to the concepts of the quality in education―the output model, input model, process model, and absence of problems model―, and then examine how each model conceptualizes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I argue that we require a systemic approach, which views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verse curricular elements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classroom changes as a whole system, i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s to ensure improvement in educational quality. We also need to systematize research agenda for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curriculum revision, and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to control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개발 연구

        오방실,권영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3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major programs in 4-year universitie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two times Delphi tests with expert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cludes four areas: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support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A total of four areas and 25 indicators were derived, and all indicators showed an average score of 4.0(appropriate) or higher, and the minimum CVR value of .64 or higher to ensure content validity. This study shows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for university officials who consider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major program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ny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편한 전공 교육과정의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개발·도출하고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ystematic Approach 기법을 기반으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는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지원, 교육과정 성과 및 개선까지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11개의 세부항목, 총 25개의 지표를 도출하였다. 모든 지표는 CVR 최솟값(.59)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많은 국내외 학과 및 전공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중국 전문대학 질 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딩치우진(Qiu-Jin Di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중국 전문대학 질 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주로 문제는 교과목 구성의 문제, 교수 학습의 문제,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방안으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개발,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개발, 질 관리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런 개발 방향이 백워드 설계에 기반 질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실용적이고 효과적이다.또 이런 연구 결과가 향후 중국 전문대학 인재 양성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quality management in Chinese college based on backward design. To achieve this purpose, a new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was proposed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Chinese college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ain problems of the college curriculum are the problem of subject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curriculum evalu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bas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quality management were proposed as a solution. In conclusion, this development direction is practical and effective in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quality manage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alent training of college in China.

      • 특수교육 교과서의 변천과정 고찰과 발전방안 연구

        신서영(Seoyoung Shin)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 고시를 2022 앞두고 특수교육 교과서의 발전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이후, 교과용도서의 변천 과정을 내용적 기준, 외형적 기준, 제도적 기준, 예산적 기준, 질 관리 기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장애영역별로 개발되다가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장애영역이 통합되고 감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위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지적장애 및 정서장애 학생들을 위한 기본교육과정으로 나뉘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개발된 것은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시기부터였으며, 지속적으로 국정발행제를 유지하면서 점차 책수를 늘이고 자료 유형을 다양화하였으며 예산을 증액해왔다. 또 질 관리 체제 면에서 개발단계의 질 관리에 비해 사용단계의 질 관리 참여자가 소수로 제한되어 현장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이에 특수교육 교과용도서는 국정단일종으로 개발되는 교육과정 자료로서의 위상이 높은만큼 현장의 요구, 시장의 실태를 반영한 예산 확보로 자료의 질 담보와 자료 유형 및 수준의 다양화를 통해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과 교과서의 사용자들이 사용 단계에서 접근하기 쉽고 평가하기 용이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의 요구가 차기 개발에서 주요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발전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development task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head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notic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ocess of changing textbooks was divided into content standards, external standards, institutional standards, budget standards, and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d been developed for each disability area, and the disability area was integrated from the 7th curriculum period. From those time, it began to be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basic n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nsory a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emotional disabilities. Textbooks were developed in earnest from the 2008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state-issued system, the number of books has been increased, the data types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budget has been increas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quality management in the use stage was weaker than quality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stage.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re a single national textbook and have a high status as curriculum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fiel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rket so that customized curriculum can be provided through data quality security and diversification of data types and leve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is easy for users of textbooks to access and evaluate at the stage of use. Such a policy could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in the next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준거 개발 연구

        강지혜,손복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평가 준거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교양교육 질 관리를 위한 평가영역 및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도구는 교육과정 평가인증 및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교육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수정된 델파이 조사(N=10)와 교양교육과정 질 관리를 담당하는실무자(N=7)와의 간담회를 통하여 타당성 검증 및 연구결과의 실현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단편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닌교육과정 개발, 지원, 운영, 성과 및 개선 등 교양 교육과정의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교양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수정된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여 총 7개의 세부항목과 17개의 평가기준을 도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CVI)와 평가자간 일치도(IRA) 결과는 0.80 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된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대학 차원에서 교양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to manag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the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were first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evaluation tool obtained feasibility of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research results through two revised Delphi surveys (N=10). as well as through meetings with practitioners(N=7) in charge of quality management of the liberal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atic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ntir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 development, support, operation, performance and improvement, rather than fragment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Second, this study applied modified Delphi techniques to manage the quality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derive a total of seven sub-items and 17 evaluation criteria. Also, the content feasibility (CVI) and inter-evaluator agreement(IRA) results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with a validity score above 0.8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niversity presented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