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 KCI등재

        문화복지 부문 복권기금이 지원한 전통나눔사업의 의미와 평가

        한만주 ( Man Ju Han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9 No.-

        Since 2004, a variety of cultural programs for the arts and literature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through the use funding collected from the profits of the national lottery. The Lottery-funded Grants for the Arts and Cultural Welfare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ottery Tickets and Lottery Fund Act`` by the Lottery Commission at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s one of the funded programs, the Community Outreach Program through Traditional Culture was carried out over 2004 to 2011 for the public benefit as the Flexible Benefit Plan or Cafeteria Benefit Plan that focused on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t was presented and designed for neglected social groups such as economically under privileged social groups, senior citizens, multicultural citizens, and people living in remote areas. The primary goal was to promote cultural awareness and enjoyment through the arts. Not only did the community outreach program benefit these selected audiences, it also was of great benefit to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as well as it brought them out of isolation and into the public view. The program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from the public for successfully attaining the goals reflecting the government polici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the neglected social groups as well as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awakening the artistic creativity of the artists, arts community and cultural organizations. However, the presenters of the program from a number of quasi-government agencies have been questioning the ``character of public interest`` defined by the Lottery Commission who tend to focus on external results rather tha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itself. In response to the reaction of the policies of the Lottery Commission, the presenters have been raising important issues that urge both rethinking and revision of the program. It also strives to maintain the original goal of improving the lives of marginalized and neglected socials groups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the current polic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and examines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cultural policies on the Lottery-funded Grants for the arts and cultural welfare. The article further explores the reevaluation of the true ``character of public interest,`` its concept, and how to enhance the system of governance through the Community Outreach Program via the cultural programming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lthough the Community Outreach Program, which lasted for eight years,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in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the program`s audience members, the Community Outreach Program for neglected social groups is still under criticism due to shortcomings in actu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rts for the public. In other words a series of efforts have been made for acquiring the public aspects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a public enterprise which was made possible by the Lottery-funded Grants for the Arts and Cultural Welfare. This is meaningful, on the one hand, in considering the facets of understanding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an area of cultural welfare. On the other hand, there still remains the question of targeting only the neglected social groups through programs such as the Flexible Benefit Plan, as opposed to being more inclusive with the general population in the area of general public welfare.

      • KCI등재

        치매예방 문화예술 - ‘실버프랜드 말벗아리’ 프로그램 현장적용 및 효과성 연구

        함수경 ( Ham Su-kyung ),김영연 ( Kim Young-youn ) 한국무용교육학회 202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2 No.1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practical setting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ful for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near future. An integrated cultural arts program named Silver Friends Malbot(companion) Ari was developed as a community service project and applied to the field for the elderly people for dementia prevention.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response were positive and possibility in terms of the program as sustainable social cultural welfare program.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arts healing for dementia prevention can present positive effects on dementia prevention with the utilization of programs based on artistic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practice of cultural welfare helping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s will ultimately be helpful to development into cultural democracy. Second, the on-site application of Silver Friends Malbot(companion) Ari, a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based on integrated arts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vitalizing social and artistic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people and expanding participants’ social networks.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interchanges among the Dementia Reassurance Centers, cultural infrastructures, and the program development human resources worked as the important keys in the process of expeditious program facilit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values of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as a cultural arts education.

      •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 활용방안

        권경임(Kwon, Kyung Yim)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로 인해 계층간 지역간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재가 심화되고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키며 문화적 취약계층을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지의 문화화 내지 문화의 복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가 물질적으로 균등한 배분에 기초한 복지사업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복지문화는 진정한 자아실현을 목표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여가 및 관광이 활성화되고 있고 근로자만이 아니라 복지대상자에게도 복지관광이 시행되어 그성과가 입증되고 있는데, 템플스테이를 복지관광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 이를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복지문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복지문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정상화(Normalization), 인클루젼(Inclusion,당사자 참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복지의 문화화 및 문화의 복지화, 복지의 교육과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템플스테이의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서 템플스테이 유형을 복지관광 프로그램과 정신문화복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복지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정신문화복지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is Paper is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rastic change of society has brought about material affluence along with the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region and class of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at caused the dehumanization trend of society which put more value on material than humanity i.e human value. So we are urgently need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restores humanity and upgrad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degenerated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have to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weak in order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every class of the society. So far the welfare policy has put the emphasi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material. However, the future welfare policy should b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rue self which upgrad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In that respect, templestay can be applied as a good, mental welfare program which overcomes the alienated humanity and restores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true self. After establishment of five-working day a week, the vitalization of leasure and sightseeing has been popular in Korea. So the favorable outcome of the welfare sightseeing has been proved not only for workers but for the welfare recip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k a plan to apply templestay that considered to be a newly established cultural phenomenon as a welfare and culture program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defined the concept of welfare culture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normalization, inclusion, empowerment, quality of life, enculturation of welfare, welfare-centered culture,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recent study of templestay mostly centered on religious and sightseeing aspect. However, I reviewed templestay in terms of welfare culture. Further more, I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gram of templestay as two patterns of welfare culture. One is sightseeing welfare program and the other is spiritu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templestay program will broaden the horizon of welfare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spiritual welfare culture by the application of templestay.

      • 청소년 교육복지 다각화 및 활성화 방안

        김재원(Kim, Jae-won) 한국복지경영학회 2021 복지경영학연구 Vol.10 No.-

        청소년에 대한 교육복지의 논의가 다양하게 언급되고 그에 대한 시급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또한, 고령화와 저출산의 문제가 우리 사회에서 무엇보다 긴급하고도 가장 중요한 해결해야 할 당면 문제이다. 사회복지는 이들에게 교육복지를 통해서 미래 사회의 훌륭한 사회일꾼을 육성해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에게 교육을 받는 복지에서 성인으로 성장해서 자기들을 키운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베풀고 나눌 수 있는 사회복지의 질적 발전을 도모해 간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틀을 새롭게 구축해 가는 것이 교육복지 실천현장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사회복지체제에서 저소득층을 계층사다리를 통한 교육복지를 통한 교육하는 성과와 정상적 학업 생활 성취도모와 특기적성교육을 통해서 본인의 잠재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정의 추가 교육을 받게 됨으로써 사회에 대한 소외감 열둥감을 해소하고 동료 학생들과 같은 수준의 교육을 통한 학엽 향상 효과와 자신감 긍지심을 고취할 수 있는 순기능에 따라서 미래 사회가 부담해야 할 사회복지비용을 큰 폭으로 절감해서 사회복지예산 부담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더불어 함께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할 것 이라고 제언하는 바입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교육복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법적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사를 양성하고 그에 합당한 교재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체계적인 집행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겠다. 현행 지역아동센터, 방과후학교, 드림스타트, 위스타트 등 아동교육복지관련 제도를 통폐합해서 관리부서의 체계 일원화와 예산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관리 부서의 체계 일원화 할 필요가 있다. 교육복지 중앙부처 중복 관여는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듯이 청소년교육은 교육부에서 복지보건보지부에서 분리해서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예산 사용에 있어서도 중복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된다면 청소년교육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이 확대되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복지 프로그램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과 학습 위주 수업으로 편중되지 않고 음악, 미술, 체육 예체능에 다양하게 확대되어서 프로그램이 유지되어서 재능이 있고 잠재능력이 있는 청소년들이 본인이 원하고 잘할 수 있는 분야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이탈되는 사항에 대해서 사회가 나서서 도와주고 보호해야 할 것이다. 장단기 보호를 통해서 편안하게 안락하게 어렵고 힘든 시간을 극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연예인이 되고 싶어 하는 청소년이 조리사, 제빵사 등에 관심을 갖게 되어서 선호하는 직업꾼이 되고 흥미를 갖고 지원율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사항이라고 여겨진다. 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이 사회 전 분야에서 자기가 좋아하고 선호하는 전문가로 성장해서 훌륭한 사회인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진정한 청소년 교육복지 다각화 및 활성화의 정답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We are living in an era in which the discussion of educational welfare for youth is mentioned in various ways and the urgent demand for it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the problems of aging and low fertility are the most urgent and most important issues to be solved in our society. Social welfare can be seen as nurturing excellent social workers in the future society through educational welfare for them, and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where they can serve, give, and share for the society in which they were raised by growing up as adults in welfare receiving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promoting. Our society has come to know that building a new basic framework for social welfare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al welfare practices, and the achievements and skills of educating the low-income class through educational welfare through the hierarchical ladder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achievement of normal academic life, and special skill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one s potential through aptitude education, and by receiving a certain amount of additional education, it relieves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inferiority to society, and through education at the same level as fellow stud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inspire self-confidence and pride.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 welfare cost burden to be borne by the future society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burden can be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net function available, and it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creating a society where people can live well together. It seems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provide continuous and stable financial support for educational welfare revitalization measures.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should be promoted by nurturing teacher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ctively developing appropriat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ystem of management departments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budget use by integrating and abolishing child education and welfare-related systems such as local children s centers, after-school schools, Dream Start, and We Start. As revealed in the survey on the overlapping involvement of the central ministries of education and welfare, I think it is efficient to systematically operate youth education separately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elfare and Health. In terms of budget use, if duplicate projects are not carried out and are used efficiently, the youth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 program can be expanded and used Because of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ogram, the program is not concentrated on subject learning, but rather expanded to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nd the program is maintained. Soil can be prepared for growth. Society will have to step in to help and protect youths from school or home. We need a space where we can overcome difficult and difficult times comfortably and comfortably through short- and long-term protection. It is considered a positive thing that teenagers who want to become celebrities become interested in cooks and bakers, become their preferred profession, and the application rate increases. It is believed that our society s support for young people to grow into their favorite and preferred experts in all fields of society so that they can become good members of society will be the correct answer to the diversification and revitalization of youth educational welfare.

      • KCI등재

        학령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운영 실태와 방법 및 요구

        박주리,정진숙,김두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학령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방법, 운영을 방해하는 요인, 그리고 지원 요구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특수학교(급) 교사 48명과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92명의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과 비교해 특수학교(급)에서 운영한 문화예술교육은 음악과 미술 프로그램 편중 현상이 매우 두드러졌다. 둘째, 특수학교(급) 교사와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모두 이용인 요구조사를 근거로 프로그램을 자체 기획했고, 기관 이용인을 대상으로 내부 홍보하여 학습자를 모집했으며,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을 고려하여 강사를 섭외했고, 평가 결과를 주로 내부 보고 자료로 활용했다. 하지만 특수학교(급) 교사는 기관의경영방침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한 반면, 장애인복지관 담당자는 기관 이용인의 요구가 있어서프로그램을 운영했고, 특수학교(급) 교사는 학생의 장애 정도나 유형을 고려하여 참여자를 모집한 반면, 장애인복지관 담당자는 학습자의 참여 의지와 욕구를 고려하여 참여자를 모집하는 등 항목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수학교(급) 교사와 장애인복지관 담당자 모두 강사 모집이나 프로그램 운영 지원 부족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향후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해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문화예술 강사 관련 정보 제공, 강사의 장애 이해 및 장애인식 개선 연수 제공, 학습자의 프로그램참여 비용 지원과 미참여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 홍보를 강하게 요구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operation statues and ways to run culture and art ed ucational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panning teenage students to adults, factors hindering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s, and support requests.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survey response sheets collected from 48 teachers in special schools or classes and 92 workers handling cul ture and art education at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Key findings found in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it was markedly seen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run by spe cial schools or classes were more heavily focused on music and arts programs in comparison with those provided by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both groups of participants de signed their own programs based on investigations requested by users, invited learners by informing programs to center users, hired instructors based on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operating programs, and used evaluation results as internal reporting data. One difference is that teachers launched pro grams with an aim to carry out management guidances issued by centers, while welfare center workers ran programs as center users made requests. Another difference is that teachers attracted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degree of type of disability students have, while workers selected participants ac cording to learner’s will to join and desire. The difference was noted according to categories. Third, both groups are experiencing challenges in opera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al programs due to lack of assistance for hiring instructore or running programs. In this respect, they strongly demanded fund ing support for educational programs, providing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 instructore, offering training sessions for helping instructors to understand and know disabilities, funding support to help learners to make available programs, and make programs widely known to non-participating learners.

      • KCI등재후보

        노인 복합무용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율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05 무용예술학연구 Vol.15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stress the need of dance programs for the elderly people which can be a good physical activity and an art - cultural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n an aging society The study also shows data on a satisfaction survey of a composite dance program. A composite dance program had been performed by male and female elderly people and they participated in ?a good health program? held in ?S? Welfare center for total 12 weeks. The composite dance program consisted of four parts - dance stretch, dance sports, folk dance and Korean dance. The data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atisfaction degrees at organizations and contents of the composite dance program were collected and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m. The findings are followed: First, the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dance sports most, dance stretch the second, Korean ethnic dance the third and folk dance the fourth. They wanted to take the dance sports and Korean ethnic dance program again in the next term. Second, regarding the class hour, program difficulties, satisfactions in the whole program organizations and content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ex. Third,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females from male as to their interests and satisfactions with dance sports and interests, difficulties and satisfactions of folk dance. In the upcoming aged society, the study on the elderly people?s dance program has a critical meaning to improve healthy life and sound leisure activities. To activate these kinds of dance programs, it?s needed to develop various curriculum and foster professional dance instructors.

      • KCI등재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최종혁(Choi Jong-Hyug),이연(Lee Yun),유영주(Yu Young-Ju),안태숙(Ahn Tae-S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1

        본 연구는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인터뷰를 토대로 기노시다(木下康仁)에 의해 창안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프로그램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다양한 문화향유기회의 제공을 통해 이들의 잠재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켜줌으로써 주체적 변화를 통한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문화복지프로그램은 다양한 창작체험기회 제공, 과정중심의 비정형적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참여자의 주체화, 공동체활동 등의 접근전략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창의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공동체적 연대의식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사회적 취약계층은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서적 충족감을 느끼고 가족 및 대인관계의 향상, 긍정적 자아상 확립, 역량강화, 공동체활동참여 등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선별주의적 사회복지프로그램에 문화를 접목시킨 보편적 사회복지프로그램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for the possibility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nterview records focused on the culture welfare practitioners apply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worked out by Kinosi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unctionated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weaks by enhancing latent faculties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of them through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ulture fru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promoted creative competence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and strengthened the sense of solidarity of the participants by using the approaching strategies of offer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reational experience, atypical operating programs centered on the process, establishing of the participants' subjecthood, and communal activities. That is, it was proved that actually the social weaks experienced the change of life with feeling emotional satisfaction, promoting family and human relationship, establishing positive identity, empowerment, participating communal activities, and so on,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rom these results we can know that if we provide the programs mixing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traditionally reinforced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by stigma, the social exclusion about them can be dissolved.

      • KCI등재

        江原道 自然休養林 프로그램의 方向 摸索

        李龍揆,崔晶棋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4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0 No.-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자연휴양림의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휴양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03년 현재 강원도는 19개소의 자연휴양림(국유림 11개소, 공유림 4개소, 사유림 4개소)을 조성·운영하고 있으며, 현행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산악자전거, 산악 마라톤, 산악스키, 숲속 음악회, 숲교실 등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자연휴양림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을 위해서 문화·복지·교육 프로그램을 축으로 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 프로그램으로는 「전통가옥체험 프로그램」, 「오지체험 프로그램」, 「산촌 특산물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으며, 복지 프로그램은 「노인복지프로그램」과 「장애인 복지 프로그램」을,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숲속의 지구촌 교류」프로그램 조성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휴향수요가 대폭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광 강원도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자연휴양림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new perspective of forest, recreation program in Gangwon-do. Gangwon-do has now 19 forest recreation sites (national forest : 11, public forest : 4, private forest ; 4) where forest interpretation, mountain bike, mountain marathon, mountain ski, forest music concert, various forest class are held. In order to develop the new programs for forest recreation program in Gangwon-do, study considered culture program, welfare program and education program. For culture program, the experience program in traditional house, the experience in the back region and the experience in special product of mountain village were suggested. For welfare programs, the welfare programs for the old and the handicapped were shown. For education program, forest global village program and personality program were devised.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5 day-work per week, the population for recreation are expected to strongly increase, so Gangwon-do representing the image of tour province should improve continuous concern and various developing programs for forest recreation.

      • KCI등재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을 중심으로

        황해영,오정미,김진선,정경희,김영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가족센터 기관운영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에 대해 탐색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센터 기관운영자 1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개방형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한 후,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센터 기관운영자들의 기관사용자를 위한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네 가지 영역, 12개 하위 영역, 51개범주가 도출되었다. 프로그램의 필요성 부분에서 네 가지 영역인 인권교육, 문화교육, 상호문화 소통, 복지영역에서모두 80%이상 필요한 프로그램이라고 응답하였다. 그중에서 상호문화 소통영역에서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필요한영역이라고 반응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권교육 영역에서는 기관운영자와 기관사용자 모두에게 다문화 인권교육의 의무화 실시와 인권 감수성 교육의 필요성, 문화교육 영역에서는 공통의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상호문화 소통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상호 협력을 통한 상호문화 실천의 장을 구상하는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복지영역 프로그램에서는 개개의 프로그램보다 공유 영역을 찾아 확대하는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need for intercultural practice programs and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family center operators. A total of 113 family center operators were surveyed using an open, semi-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M). The demand for an intercultural practice program for institutional users was derived from 51 categories in 12 sub-areas in four areas among family center operators. In terms of program necessity, more than 80% responded that the program was necessary in all four areas: human rights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welfare.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 area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in the area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mandatory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education for both institutional operators and users. Seco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create common values. Third, a venue for intercultural practice through mutual cooperation should be designed. Finally, regarding welfare programs,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at seeks and expands shared areas rather than individual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