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의 필요성 ― 찰스 테일러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사회의 문화갈등과 관련하여

        이연희 ( Lee Yeon-he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찰스 테일러(C. Taylor)의 문화관에 기초해서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이행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테일러의 문화관을 고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테일러의 관점에서 동물적 본능을 넘어선 인간행위의 필요조건으로서 문화의 의의와 문화의 네 가지 특성(다원성, 외재성, 강제성, 일상성)을 밝힌다. 그리고 문화와 개인의 도덕적 삶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즉 테일러의 문화이해와 윤리사상을 바탕으로, 문화가 개인의 도덕적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논구한다. 둘째, 개인의 도덕성의 실현―도덕적 삶의 건전한 영위, 실천적 성장―에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먼저 검토된 내용을 토대로 도덕적 삶에서 문화연구가 요청된다는 점을 밝힌다. 이 과정에서 일종의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기술하는 한편, 그에 해당하는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개인들 사이의 가치갈등은 개인 간 문화적 편차와 문화적 차이에 따른 문화갈등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논구한 뒤, 문화연구는 그 어느 때 보다도 문화갈등의 상황에서 절실하게 요청 됨을 강조한다. 셋째, 오늘날 한국사회에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에 관한 인식과 실천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Ⅱ, Ⅲ장의 논의를 근거로 오늘날 한국사회에는 개인 수준에서 고려될 수 있는 문화적 편차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며, 그 결과 한국인들의 문화갈등 즉 가치갈등이 증폭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런 까닭에 오늘날 한국사회 전반에 개인 간 문화편차와 문화차이에 관한 인식의 확립과 함께, 도덕적 실천으로서 문화연구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at Cultural Studies is essential to the moral life, as Taylor implies, and to argue that this idea should be recognized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where is rapidly mo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aylor, the moral life is a life in which individual identifies and realizes one’s own originality (true desire) in lifetime. To do this require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rticulating hypergoods. Hypergoods mean strong values, what individual evaluates as the highest in quality. The orientation to such value represents an original content of individual (Self-identity). Now, all goods are derived from and justified in certain cultures. This is because the culture, the product of the language community, is ideal code (rule) that enables individual to give meaning to all things.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all languages originates from the culture and can be grasped based on the culture. The same is true of the moral meaning (the good). Thus, the cultur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oral life. In this context, by developing Taylor's view above, the following c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lead the moral life, ‘Cultural Studies’ is needed. Cultural Studies is in itself a kind of moral practice. Specifically, it means understanding and articulating the content of culture which is ideal code (or rule), by considering and reflecting the practice of individuals who internalize it. By doing so, we could find out the ground for the value evaluation. Cultural Studies could be urgently needed when there is cultural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value conflicts could be understood as cultural conflicts, considering that the culture is the locus in which goods originate.) The inter-individual deviation or difference leads to cultural conflicts. In general, these conflicts could lead to tension, anxiety, and confusion in the moral life.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uch conflicts, Cultural Studies are requir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eply understand and articulate cultures that is affecting each other's value evaluation. This could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And, as a result, each individual's moral life could become more mature. Today, in our Korean Society, however, cultur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that mean value conflicts are becoming amplified. Because we have emphasized only cultural homogeneity in a very wide range (e.g. a single ethnic culture, a single language (Hangul) culture, or Confucian culture), while overlooking cultural deviation or difference that could be considered on the individual level. But if these conflicts continue to be neglected and deepened, the moral life of modern koreans will be jeopardiz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we should first recognize the inter-individual cultural deviation or difference. And if we experience serious conflicts with values of others, we should strive to understand in depth cultures that is affecting each other’ values. By doing so, we will be able to lead our own moral life properly.

      • KCI등재

        문화유사성과 군사충돌의 상호성에 관한 고찰

        김형민,유진석 21세기정치학회 202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34 No.2

        국가 간 군사충돌(militarized conflicts)의 원인에 관한 국제정치학의 논의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로 대표되는 지배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국력의 균형(balance of power), 군사동맹(militarized alliance) 체결 여부를 강조하는 현실주의, 민주주의 수준(democracy level)과 경제적 상호의존(economic interdependence)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논의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주의, 자유주의 논의와 함께, 문화요인(cultural factors)이 군사분쟁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전의 종결 이후, 군사분쟁 연구에서 문화 패러다임의 중요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이라는 헌팅턴(Huntington 1993, 1996)의 주장을 중심으로, 후쿠야마(Fukuyama 1989, 1992, 역사의 종언 “The End of History”), 뮐러(Müller 1998, 문명의 공존 “Das Zusammenleben der Kulturen”)를 비롯하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요인이 국가 간 군사적 긴장・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계량연구이며, 관련 주제의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으로 다음을 강조한다. 첫째, 문화요인이 군사분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함께 (선행연구 논의), 군사분쟁이 문화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한 상호인과성(simultaneity, two-way causation)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화요인 변수 측정을 위한 데이터와 측정방법의 다양화이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문명 권 변수를 포함하여, 인종유사성, 종교유사성, 언어유사성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문화요인이 군사분쟁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국가 간 군사분쟁의 발발은 문화 유사성을 저해하는 결과와 함께, 국가 간 문화 비유사성이 군사분쟁의 발발을 일으킨다는 (문명권 간 충돌현상) 헌팅턴의 문명충돌론의 주장이 계량적으로 검증되지 않음이 드러나고 있다.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onset of militarized conflicts has focused on the major paradigms of realism and liberalism, including the power balance and militarized alliance of realism (balance of power, alliance theories) and the democracy levels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of liberalism (democratic peace, liberal peace theories). However, growing interest has considered cultural factors for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conflicts. This study applies this cultural paradigm of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to studies of militarized conflicts. Specificall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cultural similarities on the onset of militarized conflicts and aims to contribute to existing related studies in two way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assessing the effect of cultural factors on militarized conflicts (one-way caus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by focusing on the simultaneous caus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wo-way causation); second, unlike previous work on using the civilizations categories (Huntington 1993, 1996; and others) as the data and variable measurements for cultural aspects, this study uses Huntington and others’ civilizations data and measurement to examine cultural factors as well as other data and measurements of ethnic, religious, and linguistic similariti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not only do cultural similarities positively affect the onset of militarized conflicts, but the onset of conflicts also negatively affect cultural similarities among states, thereby demonstrating simultaneous causations between the two aspects.

      • KCI등재

        비자발적 이주와 주민갈등 - 문화충격(culture clash) 관점에서의 탐색적 사례연구 -

        허준영 ( Joon-young Hur ),문지은 ( Jieun Moon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2

        본 연구는 세종신도시 건설로 인해 비자발적 동기로 이주하게 된 공무원과 부양가족 등 이주민과 토박이 원주민간의 주민갈등의 쟁점을 살펴보고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 집단의 상이한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말미암아 마치 문화충돌처럼 발생하는 갈등의 기저를 파악해 내기 위해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FGI)가 활용되었다. 갈등의 쟁점은 정치(대표구성), 경제(예산배분), 사회(지역사업), 문화(상호인식) 등 4가지 영역으로, 각 영역의 쟁점은 Moore의 갈등주기분석모델과 Mayer의 정체성 기반수요 논의를 결합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제확산경로의 차이로 인한 사실관계의 왜곡(사실관계 갈등), 예산 등 한정된 자원의 불균형 배분 및 집행(이해관계 갈등), 정부계획의 번복, 힘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불합리한 제도적·구조적 시스템 생성(구조적 갈등), 관계형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불신, 오해, 편견의 발생(관계상의 갈등), 문화 등 가치관 차이로 인한 지역공동체 응집력의 차이(가치관 갈등), 사회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정체성 형성의 차이(정체성 갈등)가 주민 간 갈등의 기저에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종시 주민 간 갈등은 가치관과 정체성 갈등이 도드라지면서 사실관계나 구조 갈등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나 정서 등이 이질적인 집단들의 가치관과 정체성 문제로 인한 갈등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causes and key issues of conflict between immigration officials and long-lived residents in Sejong New town. Migration begun with involuntary motivations under government policy, it also caused a cultural clash between newcomers and long-term residents with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key issues arising from each area were diagnosed by using the conflict analytic framework, which was combined with Moore`s the circle of conflict model, with Mayer`s identity-based dema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and then derived from the issues of conflict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politics (representative composition), economy (budget allocation), society (local business), and culture (mutual awareness). Based on the key conflicting issues of each of these categories, we attempted to draw up the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Moore`s model and Mayer`s identity-based demand. The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There was a deep-rooted discrepancy in the agenda diffusion path, resulting in the distortion of the fact relationship (conflict in fact), unbalanced distribution and enforcement of limited resources such as a budget (conflict in interest). Also, there was a reversal of government plans, building an irration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system, due to imbalance of power (conflict in structure), differences in local community cohesion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values, or identity etc., (conflict in identity) at the base of the conflict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deal with the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of Sejong New town, and emphasize the management of conflicts, concerning values and identity issues in heterogeneous groups. These conflicts eventually may effect another factual or structural conflict.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고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진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s and daughters-in-laws in multi-cultural family. Unlike other studies, which usually a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t the micro level, this study focuses on the more broader level of the family syst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orean mother-in-laws and foreigner daughter-in-law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regions of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is included 310 daughter-in-laws and 157 mothers-in-laws.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conflict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In order to complement quantitative methods, qual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5 foreigner daughter-in-laws and 7 korean mother-in-laws. The daughter-in-law's culture adaptation attitude index is higrher than the mother-in-law's. The daughter-in-law's conflict were affected by her country of origin and multi-culture acceptance attitude, her relationship to her in laws. The mother-in-law's conflict were affected by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and multi-culture acceptance attitude, relation of her and his to the in laws. But patriarchal consciousness doesn’t affected Conflicts between Mother- in-laws and Daughter-in-laws in Multi-cultural Family In conclusion, different factors affected the conflict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reduce conflict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should be an understanding of the immigrant women's culture and their famil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programs that create multiculturalism atmosphere and re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role system is recommended. Along with customized study methods, there needs to be a more variety of subjects from various ethnic backgrounds. Finally,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as not customized to the Korean culture, rather it was done through the utilization of foreign study methods. For further study, the measurement should be customized to fit the Korean culture.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고부갈등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시・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며느리와 한국인 시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은 결혼이주여성인 며느리의 출신국가로 나타났다. 출신국가가 중국인 경우 베트남과 필리핀인 경우보다 갈등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인 며느리(3.55)의 문화적응태도가 시어머니(3.2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며느리는 다문화수용태도에서, 시어머니는 다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교육태도에서 고부갈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적응태도에 있어서는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상이한 영역에서 고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주의 의식은 다문화가족 고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다문화가족의 고부 각자는 상이한 요인이 갈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고부관계 향상을 위해 고부각자의 상호문화이해와 문화적응력 강화를 위한 인식개선 및 교육이 요구된다.

      • KCI등재

        무력충돌시 문화재 파괴 행위에 대한 국제형사책임의 과제

        권남희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3

        1990년대 이후 ‘적의 공동체에 대한 파괴(destruction of enemy communities)’의 수단으로 상징적 가치를 지닌 문화재가 고의적인 공격의 목표가 되는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해 왔다. 특히 구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에서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을 자행한 책임자를 기소하기 위해 설치된 ICTY는 구유고슬라비아 전쟁시 민족의 정체성 말살을 위하여 문화재에 대한 고의적인 공격과 파괴가 이루어진 대표적인 사례를 다루고 있다. 이 글에서는 ICTY에서 다루어진 전쟁범죄 중에서 문화재 파괴 행위에 관한 사례를 통하여 국제법상의 무력충돌시의 문화재 보호에 관한 규범이 어떠한 함의와 한계를 내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첫째, ICTY 재판부가 문화재에 대한 파괴행위를 인류의 문화유산에 대한 공격이라고 판단한 만큼 문화재의 고의적 파괴는 특히 국제사회가 보호해야 할 가치에 대한 중대한 위반 행위임은 분명하다. 국제형사재판소에서 문화재의 파괴행위에 대한 개인의 형사책임의 추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무력충돌시의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있어 매우 큰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재가 지니는 역사적 가치에 대한 파괴행위가 인간의 존엄성과 인류 공통의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군사적 목적을 위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공격을 자행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 현재의 규범상황에서 실질적으로 문화유산의 충분한 보호를 보장하기는 지극히 어렵다 하겠다. 둘째, 군사목표주의는 적의 전력에 대한 포격을 군사목표에만 한정시키는 것으로 적의 전력의 중심에 대한 집중공격이라는 군사적 필요성과 비전투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는 인도적 고려를 바탕으로 국제법 상 확립된 관습국제법이다. 그러나 무엇을 군사목표로 삼을 것인지는 전투 및 작전이 수행되는 상황에 따라 항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이를 구별하는 기준을 특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비례성의 원칙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문화재 보호의 관점에서 군사적 필요성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ICTY는 군사적 필요성이 민용물에 대한 공격을 정당화할 때 조차도 문화재에 대한 파괴행위가 민간인의 심리적 상황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군사적 우월성과의 균형을 잃을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이처럼 군사적 필요성의 인정여부에 있어서 일반적인 민용물보다 보호의 필요성이 높은 문화재의 경우 더욱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중용도로 사용되는 목표가 군사목표물로 간주되더라도, 민간인이 비례원칙에 어긋난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공격행위에 대한 비례성 평가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문화재 파괴행위는 국제사회 전체의 공통의 가치에 대한 위협으로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며 국제법상의 보호도 전시의 실제 상황에 비추어 이에 상응한 법정책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군 지휘관들은 문화재에 대한 공격이 가져오는 결과를 피할 수 없는 부수적인 피해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전쟁범죄 행위로서의 행위의 중대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군사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the 1990s, situations in which culturally significant heritage sites serve as symbolic targets for intentional attacks,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enemy communities,' have frequently occurred.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ICTY), established to prosecute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within the former Yugoslav territories, addresses prominent cases of intentional attacks and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y during the armed conflict, specifically targeting the annihilation of ethnic ident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international legal norm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during armed conflicts, focusing on the Dubrovnik Old Town shelling incident, a representative case of cultural property destruction prosecuted by the ICTY. Firstly, the intentional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is undeniably a significant violation of value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protect. The pursuit of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for the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signifies a substantial advancement in international efforts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during armed conflicts. The negative impact of the intentional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y on human dignity and universal human values is undeniable. However, ensuring effectiv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current normative context, where attacks on cultural property for military purposes may be justified, remains challenging. Secondly, military necessity, rooted i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limits attacks on enemy forces to military objectives, focusing on the centralization of enemy forces, balancing the military necessity of concentrated attacks on enemy forces with humanitarian considerations to protect civilian objects. However, determining what qualifies as a military objective can be challenging, as i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of combat and operations. Regardless of wheth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cable, evaluating the military necessi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s crucial. ICTY recognizes that even when military necessity justifies attacks on civilian objects, the intentional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ivilians and may upset the balance with military superiority. Thus, careful consideration is necessary when assessing the military necessity in cases where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with a higher need for protection than general civilian objects, is involved. Moreover, even if a target has dual-use, being considered a military objective, evaluating proportionality in the attack is essential to prevent harm to civilian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onclusion, the intentional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should be treated as a threat to the common val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cessitating appropriate legal and policy responses in line with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armed coflict. Military commanders should not only view attacks on cultural heritage as inevitable collateral damage but also recognize the gravity of such acts as war crimes and consider them strategically within military operations.

      • KCI등재

        A Research on Inter-cultural Conflicts in Russia : A Case Study of Korean Companies Extending to Russia

        Yoo Eui 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11 No.1

        In this research, a case-focused research was made to collect and analyse inter-cultural conflict cases of the Koreans in Russia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former two stages. While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s were focusing on forming a fundamental basis for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method, this third phase is purposed to collect actual cases and to apply them in inter-cultural management. In this third research, as a priority research task, it''s purpose was to collect and analyse actual conflict cases of Korean companies which were arouse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to present our own new inter-cultural management methods for Russian culture. In this final report, the concept of conflict,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inter-national culture was investigat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III, the background of Russian culture''s formation and cultural code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speciality of Russian culture. In Chapter Ⅳ, conflict cases of Korean companies who have entered Russian markets suffer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re collected and examined and recent changes of Russia and its business culture are investigated. In the last chapter, successful cases of Korean companies are introduced and inter-cultural management method is presented to understand, accept and apply Russian culture in future relations.

      • KCI등재

        한국 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공동체와 음식문화 갈등

        박선미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This researcher has figured that the conflict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within their Korean family community for food culture is formed in power relationships between races, generations, or spouse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analyzed how marriage migrant women accept Korean food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on their own adapting themselves within the conflict. Married migrant women refuse to eat Korean food in the early stages of migration but adapt to Korean food culture gradually by eating Korean food for survival after the resistance. Meanwhile, longing for their Vietnamese home food, they attempt to mix Korean and Vietnamese food and devise fusion food. In the process, however, conflicts arise with Korean family members, and they exert their cultural power surrounding food, for instance, asking for Korean food exclusively or rejecting, excluding and discriminating Vietnamese food. This cultural power over food appears not just between races but between generations or spouses, too. First of all, the conflict of food culture and power over food arise between Korean parents-in-law and marriage migrant women. There exist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s who value breakfast and Vietnamese who stress lunch. Until the couple is separated from the parents, the parents-in-law force their daughter-in-law, the marriage migrant woman, to join in breakfast and expect them to prepare the meal themselves. Despite the situation that Koreans tend to eat breakfast less often gradually, the parents-in-law’s generation still applies their values of food culture. Next, power over food culture is formed between spouses, too. Compared to parents-in-law, husbands tend to understand and consider marriage migrant women more in their everyday lives, but about food, they are unwilling to adapt to Vietnamese food and exclude it. But unlike the parents’ generation, they sometimes eat rice noodles, jjajo, or Vietnamese rolls if Vietnamese spices with strong taste and flavor are not included. As seen above, the conflict of food culture within the Korean community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stems from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thnic groups, but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seem distinctive, too. The conflict over Korean food culture with Korean parents-in-law and husbands is noticeable. But within the microscopic cultural power of parents-in-law, the older generation, the coercion, discrimination, rejection, or exclusion of food culture is shown more clearly. Accordingly,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are coming up with alternatives to maintain the identities of the two ethnic food cultures both through selective hybridity to distinguish food ingredients, meal dates, or meal places within the identities of the two ethnic food cultures.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temporary society,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and conflicts still exist in the field of everyday culture. In particular, women from countries that are less developed than Korea lik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tend to be easily exposed to cultural conflict or power within the Korean family community; therefore, in the area of folklore, more microscopic and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will have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이 연구에서는 한국 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가족공동체 내에서 겪는 음식문화 갈등을 민족 간, 세대 간, 부부 간의 권력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했다. 구체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음식 수용 과정과 갈등 속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주체적으로 대안을 마련해 가는지를 분석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 초기 한국 음식에 대한 거부와 저항 이후 생존을 위해 한국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한국 음식문화에 순차적으로 적응하였다. 한편, 고향인 베트남 음식에 대한 그리움으로 한국 음식과 베트남 음식의 혼종을 시도하고 퓨전음식을 고안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한국 가족 구성원들과 갈등이 나타나고 한국인 가족들로부터 한국 음식의 강요, 베트남 음식의 거부와 배제, 차별 등 음식을 둘러싼 문화권력이 작용하였다. 이러한 음식에 관한 문화권력은 민족 간의 차이를 넘어 세대 간, 부부 간에서도 나타났다. 우선, 한국 시부모와 결혼이주여성 간의 음식문화의 갈등과 권력이 작용하였다. 아침 식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인과 점심 식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베트남 사람 사이의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혼이주여성 부부가 분가하기 전까지 시부모는 며느리인 결혼이주여성이 아침 식사에 참여하도록 강조하고 식사 준비도 직접 해 주기를 기대하였다. 이는 한국인의 아침식사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시부모 세대의 음식문화의 가치관이 여전히 적용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부부 간에도 음식문화 권력이 형성되었다. 시부모에 비해 남편은 일상생활 속에서 결혼이주여성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측면이 크지만 음식에 있어서는 베트남 음식에 적응하지 않고 배제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부모 세대와 달리 맛과 향이 강한 베트남 향신료를 제외한 베트남 음식을 먹기도 한다. 이러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가족공동체 내 음식문화의 갈등은 두 민족 문화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세대 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 음식문화를 둘러싼 갈등에는 한국 시부모와 남편으로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보다 기성세대인 시부모로부터 미시적 문화권력 속에서 음식문화에 대한 강요, 차별, 거부, 배제 등의 모습을 강하게 보인다. 이에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두 민족 음식문화의 정체성 사이에서 식재료, 식사일과 식사장소 등을 구분하는 선택적 혼종성을 통해 두 민족 음식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대안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문화 영역에서는 다양한 문화 차이와 갈등이 공존한 채 살아가고 있다. 특히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처럼 한국 경제보다 저성장한 국가의 여성일수록 한국 가족공동체 내에서 겪는 문화 갈등과 권력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민속학에서는 보다 미시적이고 비교문화 관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이질적인 문화의 충돌과 공존―영화<컬러풀 웨딩즈>와 <나의 그리스식 웨딩> 연구

        신영헌 이주사학회 2022 Homo Migrans Vol.27 No.-

        Serial Bad Weddings and My Big Fat Greek Wedding are comedy movies which show various conflicts and events that take place while a man and a woman from different cultures are going out with each other and getting married. Both movies depict a variety of cultural conflicts that often occur when heterogeneous cultu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ow those conflicts might be resolved. In the case of Serial Bad Weddings, the racial prejudice of the Verneuil couple,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daughters marrying spouses from other cultures, is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Racial and religious differences are the main causes of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ir sons-in-law. However,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during the marriage process of their youngest daughter Laure, they eventually overcome their racial and cultural prejudices and have a changed view of multicultural marriage. In the case of My Big Fat Greek Wedding, Gus's extreme Greek supremacy is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However, his daughter Toula overcomes his opposition and finally succeeds in a happy multicultural marriage with Ian Miller, a white American youth. While the two films depict conflict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common, they show somewhat different approaches in the way they deal with these conflicts. In the case of My Big Fat Greek Wedding, most conflicts are resolved by means of one-sided understandings and concessions of a family. The scene where Ian converts to Greek Orthodox Christianity and is baptized best illustrates this poi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erial Bad Weddings, major conflicts are settled through mutual understandings and concessions between the two families. For example, the two patriarchs of both families, Claude and André, come to find that they have much in common while they are conversing and discussing various matters over the wedding ceremony at hand. They understand and accept each other more and more, and finally reslove their conflic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Serial Bad Weddings shows a healthier way of solving problems concerning cultural diversity than My Big Fat Greek Wedding. 영화 <컬러풀 웨딩즈>와 <나의 그리스식 웨딩>은 이질적 문화 출신의 남녀가 만나서 결혼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갈등과 이의 해소라는 공통의 주제를 다룬 코미디 영화들이다. 두 영화는 이질적인 문화들이 만날 때 발생하는 전형적인 오해와 갈등을 소개하고 이를 해소해가는 과정을 유쾌하게 그린다. <컬러풀 웨딩즈>의 경우 딸들이 타문화권 출신의 배우자들과 결혼하는 것을 못마땅해 하는 베르누이 부부의 인종적 편견이 갈등의 주된 요인이다. 인종적 차이와 종교적 차이가 그들이 느끼는 거부감의 주된 원인이다. 그러나 막내딸 로라의 결혼 과정에서 겪는 일련의 경험을 통해 베르누이 부부는 자신들의 인종적, 문화적 편견을 극복하고 다문화 결혼에 대한 변화된 시선을 갖게 된다. <나의 그리스식 웨딩>의 경우 거스가 지닌 지독할 정도의 그리스 중심주의가 갈등의 주된 원인이다. 하지만 그의 딸 툴라는 아버지의 완고한 반대를 극복하고 마침내 백인 미국 청년인 이안과의 행복한 다문화 결혼에 성공한다. 두 영화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을 공통적으로 그리면서도, 이러한 갈등을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다소 상이한 접근법을 보여준다. <나의 그리스식 웨딩>의 경우 서로 다른 문화적, 종교적 차이로 인한 갈등의 해소가 한 쪽의 일방적인 이해와 양보로 이뤄진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장면은 청교도인 이안이 그리스정교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는 장면이다. 반면 <컬러풀 웨딩즈>의 경우 양측의 상호이해와 양보를 통해서 갈등이 해소된다. 특히 두 집안의 가부장들인 클로드와 앙드레가 서로의 다름보다는 공통점을 더 많이 발견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방식으로 갈등이 해소된다. 이 점에서 <컬러풀 웨딩즈>가 <나의 그리스식 웨딩>보다 좀 더 건강한 방식의 문제 해결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韓-伊 이문화 갈등의 유형에 대한 분석 - 이탈리아 중·남부지역의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

        김정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2

        This paper aims to set up a research base for getting rid of crosscultural problem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ultural problems and their typ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For this, I did research survey to Korean and Italian in Italy, 2006 summer. In conclusion of survey, types of crosscultural conflict from two nationals mainly divide lifestyle crosscultural conflict and professional one. The former covers some aspects of cultural fact for Korean who lives long or short in Italy, the latter, indirect crosscultural conflict, is found in young people in Korean families especially took birth in the local. They usually confused their identity in the middle of family and local society. Professional crosscultural conflict, on the other side, includes a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n and Italian employees in the situation of closing international relation. In this case, Korean employees manage and control to Italian employe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competent language skill and broadly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In reality, a result from cultural conflict between workers in company appears in the interest rates of company. 이 글의 목적은 이탈리아인과 한국인이 경험하는 문화적 갈등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문화갈등 해소를 위한 방안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인은 지난 2006년 이탈리아 현지에서 양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양 국민 문화갈등의 유형은 크게 라이프스타일 문화갈등과 프로페셔널 문화갈등으로 구분된다. 전자를 구성하는 직접적인 문화갈등이 이탈리아 현지에 장·단기로 거주하는 한국인이 현지생활을 통해 겪게 되는 갈등의 문화적 단면을 포괄한다면 간접적인 문화갈등은 한국인 가정의 나이어린 자녀들, 특히 현지에서 출생한 자녀들이 부모와 이탈리아 사회의 중간에서 경험하는 문화복합주의적인 갈등을 말한다. 특히 후자의 간접적인 문화갈등은 최근 이탈리아에 장기체류하는 한국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프로페셔널 문화갈등은 국제관계가 긴밀해지는 상황에서 이탈리아의 지사에 파견되는 한국인 직원과 현지직원들 간의 문화적인 갈등을 포괄한다. 이 경우 한국인 직원은 상사의 입장에서 현지 이탈리아 직원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현지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능숙한 언어가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며, 직장문화의 상이함에서 빚어지는 갈등의 결과는 주로 기업의 수익률 또는 영업실적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 KCI등재

        공공갈등의 원인과 이해관계 분석 : 문화재관람료 징수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장현주(Hyun-Joo Chang)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3

        본 연구는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이후 주요 국립공원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화재관람료 징수를 둘러싼 정부, 조계종, 시민단체간 갈등 사례에 대하여 주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토대로 갈등의 발생 및 전개과정, 이해관계자간 갈등의 주요 쟁점 및 갈등 원인분석을 통해 갈등의 해결과 유사 갈등사례의 예방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재관람료는 국립공원입장료와의 합동징수구조 및 징수관련 법규정의 포괄성으로 인해 갈등의 잠복 상태에 있다가,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이후 사찰과 국민간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사회적 이슈로 발전하자 정부의 개입과 함께 정부, 시민단체, 조계종간 갈등으로 확대되었다. 주요 이해관계자간 제도개선협의회를 통해 주요 쟁점별로 합의형성을 시도하였지만, 현재 정부와 조계종간 입장차이로 인해 갈등이 정체되고 있다. 갈등주기분석과 갈등지도를 통한 주요 이해관계, 쟁점과 이를 통한 원인 분석을 통해 문화재관람료 징수 갈등의 구조적 원인으로서 합동징수구조로 인한 문화재관람료 제도 자체에 대한 낮은 인식과 사전홍보체계의 미흡, 본질적 원인으로서 문화재보호법의 문화재관람료 징수 관련 규정의 모호함, 환경적 원인으로서 배제된 이해관계자와의 형평성 훼손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해관계자간 갈등의 쟁점과 원인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제도와 연계한 이해관계자간 갈등구조 인식의 공유, 적극적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홍보의 통합적 접근, 법적 근거의 구체화와 명확화, 갈등의 범위와 성격 재정립, 이해관계자간 신뢰구축, 단계적 접근방법 도입이 갈등 해소와 향후 유사 갈등 예방을 위한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conflict and preventing similar conflicts through analyses of conflict occurrence, issues in dispute among stakeholders, and its causes based on interviews with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 and civic interest group involved in the conflict on collection of viewing fees for cultural properties in national park area. It has been in latent phase due to the joint collection with an entrance fee for national park and the comprehensiveness of rule. After the abolition of the entrance fee in 2007, it has occurred as a conflict between the buddhism and citizens, and expanded to a conflict among government, civic interest group, and the buddhism with the involvement of government to solve such a social issue. Meanwhile,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 through activities in council among the stakeholders, but it is still unresolv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primary interests. TIlls study reveals primary causes of the conflict through analyses interests, issues in dispute among stakeholders, and its causes based on conflict life-cycle analysis and conflict mapping: in structural aspect, low recognition of viewing fees for cultural properties due to the joint collection; in essential aspect, ambiguous rule regarding the collection of viewing fees in cultural properties prevention act; and, in environmental aspect, demage on equity with excluded parties. Through the analyses of issues in dispute and causes, it reports the importance of share of recognition toward conflict structure among stakeholders, comprehensive approach to public relations, clear expression of the rule, triangulation of scope of conflict, building mutual trust, and incremental approach to the resolution for resolving the conflict and preventing analogic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