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복합 학문으로서 스포츠철학의 가능성 탐색

        구강본,김상범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2

        Today, philosophy is considered as one of sub-areas under humanities. However, it might be a challenge to overcome the academic crisis of philosophy as well as humanities with its recent perception.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find a way that allows to escape this type of crisis for philosophy and humanities by extending its recognition syste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humanities. For sport philosophy, it might be valuable for philosophy and humanities to review their academic limit with a new interpretation for them which attempts to valu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s a convergen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academic issues in the area of philosophy,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humanities, and its possibility for convergency as an independent academic area.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convergency of sport philosophy as a study finding. First, there should be a logical interpretation for academic convergency in the area of sport philosophy. Second, there should be the extension of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port philosophy to accept the values of other academic areas. Third, human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major functions in humanities. Forth, a newly developed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nd interest for sport science should placed in the convergency process. Finally, sport philosophy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independent methodologies for academic convergency. 철학은 인문학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하지만 철학을 비롯한 학문적 지성사에서 철학은 단순히 인문학의 분과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철학과 인문학의 위기라는 현실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영역 간의 융·복합을 통해 학문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동안 규정화된 학문적 특성 때문에 스스로 범위를 제한한 것은 아닌지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포츠철학이 융·복합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인식아래 융·복합 학문으로서 스포츠철학의 문제와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인문학과 스포츠철학의 관계를 탐색하고 융·복합 학문으로서 스포츠철학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 첫째, 학문적 교류에 있어 주체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분명한 논리적 대상과 역할, 둘째, 경제, 사회, 과학 등 다양한 영역을 담을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의 확장, 셋째, 인간움직임의 인문학적 태도 핵심에 스포츠철학이 전제되어 있음을 인식, 넷째, 스포츠과학에 대한 철학적 관심과 필요성 부각, 다섯째, 다양한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스포츠철학의 위기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융·복합의 주체’라는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국어 능력의 융복합적 개념화 탐색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연구는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시도이다. 특히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 담론을 탐색하여 그 핵심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어 능력은 ‘사고, 소통, 문화’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학문 융복합의 논의를 바탕으로 융복합 교육의 중핵적 원리를 도출하면, 교과 혹은 비교과 현상의 ‘넘나듦’이다. 융복합 국어교육은 국어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 및 비교과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이에 국어 능력의 ‘사고, 소통, 문화’ 범주에서 ‘넘나듦’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사고’의 측면에서는 교육학의 융복합적 사고력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와 다른 현상을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소통’의 측면에서는 신문식성의 논의를 바탕으로 ‘확장된 언어로서 기호를 소통하는 문해력’을, ‘문화’의 측면에서는 언어문화의 담론을 바탕으로 ‘문화가 본질적으로 지닌 중층성을 실천하는 힘’을 설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onding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so this study would suggest core concepts for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searching mediation discourses of convergence. Korean language ability have a subordinate structure,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Based on convergence studies, a kernel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is “crossing” on subjects or activities.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oss between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ther subjects or activities. So, this “crossing” matters could be inquired in a category of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In terms of “thought”,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s” could be set on a basis of convergency thinking discourses in pedagogy. In an aspect of “communication”, “literacy of sign as an extended language” could be set on a basis of new-literacy discourses. And in a “culture” category, “power of practicing multi-layer taken in culture essentially” could be set on a basis of language-culture’s discourses about multi-layer.

      • KCI등재

        중소기업 IT 융합 역량강화 방안 연구

        김경일,Kim, Kyung-Ihl 중소기업융합학회 2014 융합정보논문지 Vol.4 No.3

        창조경제는 전체산업이 융합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융합은 기술 및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다차원적 결합을 의미한다. 첨단기술과 대규모자본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창의적인 컨셉과 융합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는 강점이 있으며 제조업 분야에서는 최근 들어 IT 기술과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제3차 제조업혁명이 확산되고 있으며, 생태계 내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동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간 국내에서의 융합은 주로 대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것이 사실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융합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구체적인 추진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가미된 융합은 중소기업에게 성공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융합 아이디어만 있으면 부가가치를 높이고 신사업을 창출함으로써 성공 가능하므로 단순히 기술 결합에 의한 기술제품의 개선이나 시장 확대가 아니라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부가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따라서 중소기업 융합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융합을 통한 중소기업 R&D 역량 강화 방안 둘째, 중소기업 융합성과의 보호 및 활용도 제고 셋째, 중소기업융합 인프라를 확충시킬 수 있는 과제가 우선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In Korea SMB's have concentrated on IT convergecy, but have no power to push the detailed policy on IT convergency. So it'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ocies and plans for it. It is most important to add a conventional ideas to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products or enlarge the markets. To develop the SMB's IT convergency, the first, a plan for consilidating R&D capacity of SMB. The second, To prepare the protection solutions of convergency performance and promote the utilization review. The third, to enlarge the SMB's convergency infra-structures.

      • KCI등재

        융합형 국어교육의 창의·인성 교수학습 방향

        김규훈(Kim, Kyoo Hoon),김혜숙(Kim, Hye Souk)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연구는 미래 국어교육의 모습을 가늠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이다. 미래 국어교육의 모습 가운데 하나는 영역과 과목의 통합 뿐만 아니라 교과 간 결합을 중심에 둔 ‘융합형 국어교육’이다. 융합형 국어교육은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비)교과와 내용적 결합을 도모하고 이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국어교육의 새로운 명제이다. 이는 국어교육의 본질인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융복합의 테제를 국어교육으로 전이해야 함을 뜻한다. 텍스트의 경우, 국어교육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의 내용 요소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의 접점을 ‘빅 아이디어’라고 한다. 수용과 생산의 경우, 융복합에 따른 다양한 문제 이해와 이의 협력적 해결을 도모하는 방법적 기제가 요청된다. 이것이 바로 ‘창의·인성의 교수학습’이다. 이처럼 이 연구는 빅아이디어와 창의·인성 교수학습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융합형 국어교육의 소통 모형을 정립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s picture and inquiring a suitable teaching & learning ways. One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s picture is th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not only an integration with domains or subjects, but also a convergence with different courses. Th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new thesis that plans content"s convergence focused on Korean language subject with other subject or non-subject matters, and designs how to practice contents. It means to transfer the thesis of “convergence”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out passing over “text consuming and producing”, the ess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se of texts, many content"s elements are converging to tex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connection of converging is the “big idea”. And about consuming and producing, it needs understanding various problems and solving it cooperatively by phenomenon of the convergence. This methodic approach is the “creativity·character teaching & learning”. This study concentrate on making a communication model of th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excavating the big idea and the creativity·character teaching & learning.

      • KCI등재

        여가문화로서 스포츠와 관광의 융합

        최성훈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진행되었던 스포츠관광 연구를 고찰해보고 여가문화로서 융합적인 관점에서 스포츠관광 연구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와 관광이 각각의 독립적인 개념에서 융합적인 개념으로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융합적 스포츠관광 모형은 스포츠관광의 개념을 잘 전달하고 있다. 둘째, 여가문화로서 수정된 융합적 스포츠관광 모형은 기존의 스포츠관광 모형에 문화/예술 등이 추가된 모형으로서 스포츠관광과 관련된 여가문화와 여가행동, 여가산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스포츠관광 산업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셋째,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관광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 연구나 융합을 위한 학제 간 국내․국제 학술대회의 개최가 절실하고 세계적인 스포츠관광 연구의 흐름에 맞출 필요가 있으며 스포츠관광과 관련된 세계화, 민족주의와 정체성, 여가제약 및 여가협상전략, 진지한 여가, 도시재생, 지속가능성, 운동형스포츠관광 등의 연구 주제가 추천된다. 넷째, 융합적 관점으로 대학 및 대학원에서 스포츠관광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설과 함께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합한 스포츠관광 관련 강의계획서 및 강의교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여가문화로서 스포츠와 관광의 융합을 위해서 두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체육관광부는 스포츠관광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세계수준-국가수준-지역적인 수준에서 각 단계별로 스포츠와 관광, 문화/예술 관련 단체들의 융합을 이끌어 내야하고 국회, 예산, 법령, 발간, 현황, 실국자료 등에 융합의 내용이 실질적인 문서로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운동형스포츠관광 자원이나 행사를 알릴 수 있는 영문 학회지 창간이나 국제적인 운동형스포츠관광 컨퍼런스 유치 또는 개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in Sport Tourism Studies as leisure culture, and also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area in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there needs to be a conceptual shift in our thinking about this area with a new approach to the convergent concept of Sport Tourism, rather than considering each individual area separately. A convergent sport tourism model that is suggested in this study corresponds well with the notion of Sport Tourism. Secondly, as leisure culture is an expanded model of a modified convergent sport tourism which includes culture and art, researching on this area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leisure and its behaviour as well as leisure industry. Thirdly, we are desperately in need of more conferences and seminars prior to hosting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and we also keep up with the latest relevant studies in the same level of world standard. It also should be encouraged to research on the related subjects such as Globalization, Nationalism and Identity,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ies, Serious leisure, Urban Regeneration, Sustainability, and Active Sport Tourism. Finally, academic courses in Sport Tourism should be offered widely in universities for a degree and even a master’s degree. To make this happen, we need to design a new syllabus and develop the relevant textbook contents in a diverse perspective. My suggestions on this proposal are as follows. 1)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uld take the head in supporting the convergence of Sport and Tourism, and Culture and Arts to maximize the benefits of Sport Tourism on each level of world/nation/local. And also the articles of sport tourism for converge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Legislation, Publication, and Reports. 2)English Academic journals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our research on Active Sport Tourism to success in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by providing wider publicity of our events and functions to the world. It would be also helpful with either holding of a number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or event hosting.

      • KCI등재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제도는 수렴하고 있는가?

        정창률(Jung, Chang Lyul),권혁창(Kwon, Hyeok Ch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2

        본 연구는 서구 국가들이 최근의 연금개혁을 통해서 전통적인 베버리지형 연금체제와 비스마르크형 연금체제 구분에서 벗어나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 측면에서 유사해지고 있는지를 영국, 독일, 스웨덴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다. 지난 20여 년간의 연금개혁을 통해서 베버리지형과 비스마르크형 연금체제의 격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급여의 적절성 기준으로 세 국가의 연금제도가 수렴하고 있는 경향이 발견된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의 경우에는 세 국가의 공적연금 지출 수준이 수렴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10여 년 전의 추계에 비해서 향후 지출 수준의 차이는 크게 줄어들었으며, 각 국의 인구고령화 정도의 차이를 고려하는 경우 재정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수렴 경향이 발견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연금 논의에서도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에 대한 소모적 논쟁 대신, 선진국에서 수렴하고 있는 지출과 소득대체율 범위에서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 사이의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pension systems of the western countries which was traditionally classified into the Beveridgean and Bismarckian pension regime will converge after recent pension reforms in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dequacy perspective by comparing between UK, Germany and Sweden. As a result of pension reforms for the last 20 years, the gap between the Beveridgean and Bismarckian pension regime will be likely to decrease and, in particular, the tendency to convergency in adequacy is found. Even though it is not jumped to a conclusion that public pension expenditure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s likely to converge, the tendency to convergency in financial sustainability is also found if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aging between countries is considered.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greement between the range of pension expenditure and replacement ratio that western countries suggest in pension debate in Korea, instead of hitherto useless controversy between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dequacy.

      • KCI등재

        인터넷 계량제(Internet Metering)가 저작권법상 창작활동 및 정보문화에 미치는 영향

        배대헌 한국지식재산학회 2009 産業財産權 Vol.- No.29

        Internet Metering is one of service models in which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ISP) such as KT, SK Broadband in Korea, and AT&T, Time Warner Cable, CamCast in America tracks bandwidth use and charges high traffic customers accordingly. In June 2008, Time Warner Cable began testing Internet Metering in Beaumont, Texas. To illustrate a typical example of this, a customer selects a service package with a flat rate up to a specified limit and then pays additional fees beyond the limit. For approaching to this Metering, ISP veils the raising fee rather than advancing service quality for customers. Due to the fact that the paying system bases on the quantity of Internet traffic, a customer would be willing to reduce the time and traffic to internet access, and then web-based content provider would try to upload contents without giving heavy traffic to a customer under a broadband cap. Internet Metering could influence on the authorship of copyrighted works and the information culture on cyberspace. Under this circumstance ISP has become a gatekeeper of the internet to make decision whether to open door and appreciate the information society. It means that the free access to the internet conducts the social and cultural advance via the digital convergency. The ‘free’ comes without a burden rather than being gratuitous. Internet Metering may be the burden to a customer, and a content provider, but for putting the appropriate policy with respect to free access to the internet. It needs legislation, if necessary.

      • KCI등재

        16개 광역시도별 제조업 부문에 대한 절대적 및 조건부 수렴가설 검증 및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박추환 ( Chu Hwan Park ),신광하 ( Kwang Ha Shin ) 국제지역학회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대한민국 16개 광역시도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09년의 제조업 10개년도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총생산(GRDP)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여 지역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절대적 및 조건부 수렴여부 및 제조업 생산성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절대적 수렴 및 조건부 수렴가설 모두 귀무가설(H0)를 기각함에 따라 수렴가설이 성립하고 있으며, 전국의 제조업 생산성은 수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렴속도를 살펴보면 절대적 수렴모형에서 수렴속도는 연간 4.4%가 나왔고, 조건부 수렴에서는 연간 0.73%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제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종속변수를 1인당 부가가치로 이용했을 때, 인적자본 변수와 제조업 입지계수변수가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1인당 정부지출 변수가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변수의 경우 지식 재산권변수만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총요소생산성의 경우 1인당 정부지출과 1인당 고정자본형성변수가 정(+)의 관계로 유의하였으며, 연구개발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absolute and conditional convergency hypothesis and the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2000 to 2009 with 16 provinces and metro-cities by using panel analysis. In terms of convergency hypothesis test, the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convergency hypothesis, the absolute vs. conditional hypothesis, reject the null hypothesis(H0) implying the labor productivity of the 16 province and metro-cities converged to the steady state equilibrium. Also, the speed of the absolute and conditional convergency for the 16 province and metro-cities are average 4.4% and 0.7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show that human capital and manufacturing location coefficient affect to the value- added per capita significantly, but government expenditure per capita doesn`t affect to the value- added per capita. As for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overnment expenditure per capita and fixed capital per capita are important factor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doesn`t. Hence the government has to revise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o develop reg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vulnerable regions. Also, it requires more study regarding income disparities and productivity.

      • KCI등재후보

        예술분야의 연계전공과 창의적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융합뮤지컬의 대본과 작곡 그리고 공연을 중심으로

        박이제(Lee-je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이 글은 예술분야의 연계전공과 창의적 융합교육의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이는 융합뮤지컬 창작의 주체인 대본과 작곡을 중심으로 한 연계전공의 효율적인 극대화를 위한 지도방안의 제시이며, 나아가 융합뮤지컬의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창의적 융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패러다임을 활용한 공연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한 융합뮤지컬의 제목은 “나의 꿈! 나의 사랑!”이며, 이는 총 2학기에 완성한 후, 그 이듬해에 라이브로 공연하는 것이다. 총 27곡(서곡과 간주곡 포함)으로 구성된 제1-2막의 스토리텔링과 자세한 내용은 본론에서 설명하게 될 것이다. 이에 앞서 중요한 과정을 소개하자면, 약 120분의 공연시간 중 제1학기의 1-15차시까지는 제1막의 대본과 작곡을 모두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융합뮤지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1학기의 1-7차시와 9-15차시의 강의시간에는 컴퓨터사보 프로그램을 활용한 미디연주 및 라이브 연주를 통해 창의적 융합뮤지컬이 갖추어야 할 대본과 작곡, 악기편성과 가수편성, 대중성-예술성-작품완성도-무대조명-첨단무대기술-영상 등에 대한 활용방안이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본 연구에서는 융합뮤지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융합과목 즉, “융합뮤지컬의 이해와 창작Ⅰ-Ⅱ” 강의시간에 동영상 감상 또는 라이브 연주 후에 각각의 악보를 보면서 거시적이며 미시적인 분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다각적인 창작사고가 함양되어 과거-현재-미래의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종합예술로서의 융합뮤지컬이 탄생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와 결합방법에 대한 분석적인 이해를 통해 의미 있는 작품으로 탄생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창의적 융합교육의 발전에 하나의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융합뮤지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interdisciplinary programs in arts sector and creative convergency education. This thesis suggests teaching plans to maximize efficiency of interdisciplinary programs focused on script and composition as the creative subject of Fusion-Musical. Furthermore, it not only maximizes an effect on creative convergency education by completing Fusion-Musical but also makes profits through performance utilizing the global paradigm. The title of Fusion-Musical, which is realizing the purpose mentioned above, is “My Dream! My Love!” It will be completed throughout the two semesters, then it will be performed by live performance next year. Storytelling of Act I-II which is consisting of twenty seven songs including prelude and intermezzo and more specific contents will be explained in the body. Prior to this, to introduce the crucial curriculum, script and composition of Act I where running time is approximately 2-hours has completed from 1st class to 15th class. Moreover, midi performance using computer-based notation program and live performance will be used to enhance the quality of Fusion-Musical in 1st to 7th class and 9th to 15th class during first semester. Utilizing methods also will be presented as the factors for creative Fusion-Musical; script, composition, instrumentation, performers, popularity -artistry-completion of works- stage lighting- advanced stage technology - images. In this thesis which is including those contents, convergency class to raise the quality of Fusion-Musical is named “Understanding and Creating Fusion-Musical I-II” and class offers analysis of the scores wi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approach after watching video clip material or live performance. Through theses procedures, it improves multilateral creative thinking ability, so enables to originate Fusion-Musical as the total art work which transfers in time such as past-present-future as well as space. Also, it creates meaningful work through analytical understanding about creative idea and combination method. Finally, this thesis builds the base of development on creative convergency education, futhermore, this thesis finds out a meaning that offers an improvement in Fusion-Musical at home and abroad.

      • 完全豫測 一般均衡模型에서 均衡點의 受斂速度에 관한 分析

        박동철 진주산업대학교 1997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4

        This study focuses on Speed of Convergency in a Sample Perfact Foresight Model that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issues in dynamic analysisto analysis these issues,we calibrate the Model using appropriate variables,driving the intertemporal conditions that are satisfied on the optimal path chosen by a central planner.next, we find how much fast the consumption and the capital converge to the steady sta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peed of convergence at the stead state depends on the paramaters. it is thus given by f" (K), f (K), δ,σ,θ,ικ,α, an increasing function of f" (K), f' (K),and of σ,and a decresing function of θ , δ. the higher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the more willing people are to accept low consumption early on in exchange for higher consumption later and the faster capital accumulates and the economy converges to the stead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