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입헌주의의 성립과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의 특징

        김갑석(Gab-Seok Gim) 한국국가법학회 2023 국가법연구 Vol.19 No.2

        오늘날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이라고 부르는 헌법의 기원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라고 할 때, 그 기원은 입헌주의이다. 입헌주의는 시대적으로 근대에서 성립한 것이므로 이를 근대 입헌주의라고 한다.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오랜 기간 군주가 전제적인 통치권을 행사하는 시대에서 근대 입헌주의가 성립되면서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드디어 보장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근대 입헌주의는 오늘날 그 발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에서도 여전히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국가 내 최고법의 지위를 가지는 헌법은 국민의 측면에서의 권리의 보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권력분립을 통한 통치권의 자의적 행사를 제한하도록 규범화하고 있는데, 그 출발점은 근대 입헌주의적 헌법이라는 점에서 오늘날에 있어서도 여전히 그 규범적 의미가 있다. 오늘날 헌법에 의하여 기본권 보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나라를 흔히 헌법국가라고 하기 때문에 입헌주의와 헌법국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근대 입헌주의는 시간상으로 근대를 전제로 하는 것이지만, 근대에서 끝난 것이 아니고 오늘날의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에서도 여전히 그 규범내용이 살아 숨쉬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서 근대 입헌주의적 헌법의 성립을 살펴보고, 그 규범내용이 오늘날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에서 어떻게 변용,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은 입헌주의와 비교하여 첫째, 야경국가에서 사회국가로의 변화, 둘째, 국민주권주의의 실질화, 셋째, 자유권 보장에서 사회권 보장의 강화, 넷째, 형식적 법치주의에서 실질적 법치주의로의 전환, 다섯째, 헌법재판제도를 통한 헌법의 최고규범성의 확보 등을 담고 있다. 근대 입헌주의와 비교하여 물론 근대 입헌주의의 규범내용을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에서 여전히 유효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입헌주의의 규범내용이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에서도 여전히 핵심적인 내용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근대 입헌주의와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의 비교는 유의미성이 있다고 하겠다. Where to find the origin of constitution called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today, its origin is the constitutionalism. When looking back the history of mankind, the modern constitutionalism has still the significant meaning in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on which its development is based today in that the freedom and the rights of people started to be guaranteed as the modern constitutionalism was established in the era when monarch used to exercise tyrannical sovereignty for a long time. Today, the constitution holding the status of highest law in the country regulates to restrict the arbitrary exercise of sovereignty through separation of power as a mechanism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the people and realizing them, and it still has the regulatory meaning in these days in that the starting point is the modern constituionalism constitution. Because the country in which the basic rights are guaranteed by constitution is often called the constitutional state, the constitutionalism and the constitutional state are inseparable. Modern constitutionalism presupposes modernity in terms of time, but it did not end in modern times, and its normative contents are still alive in today's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This study reviews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onstitutionalism constitution from this view, and also examines how the normative contents are transformed and applied in Today’s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The results to compare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with constitutionalism show, first, change from a night view state to a social state, second, substantializ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third, strengthening social rights guaranteeing from guaranteeing freedom, fourth, transition from formal rule of law to practical rule of law, fifth, securing the highest norm of the constitution through the constitution trial system. In comparison with modern constitutionalism, the normative contents of modern constitutionalism still have the effective meaning in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but it is shown as a characteristic of the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Like this, because the normative contents of constitutionalism still function as a key content in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as well, it is said that the comparison of modern constitutionalism and Contemporary Social State Constitution is significant.

      • KCI등재

        민주공화국에서의 시민교육 — 포퓰리즘에 대한 헌법이론적 측면에서의 검토를 중심으로 —

        박진완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2 世界憲法硏究 Vol.28 No.2

        Among several important constitutional principles, populist constitutionalism emphasizes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or popular sovereignty.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is not only an important ideology of democracy, but also an important ideology of populism.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in harmony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accepts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as an essential component, whereas the principle of absolute popular sovereignty pursued by populism seems to be incompatible with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This is where the incompatibility between populism and liberal constitutionalism begins. Although populism's critique of liberal constitutionalism provides a very important insight into structural problems in liberal democracy, populist constitutionalism ultimately leads to the completion of an authoritarian or dictatorial ruling system to maintain their permanent maintenance of political dominance. It poses a serious threat to democracy in that it seeks to justify it through constitutional amendment or constitutional enactment. As the legal-practical approach of populism, the instrumentalist approach holds that the legal values ​​pursued by populism are determined according to how effectively they are useful as a tool for environmental domination that well explains and predicts current social phenomena. This instrumentalist approach can be seen to contain elements of an opportunistic and seditious nature within it. Paradoxically, using the instrumentalist approach of the populists to overthrow the liberal-democratic constitutional system and to realize their political programs, the most used tool is also the constitution. Populists criticize the liberal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alism and the rule of law. Their critique is the constitutional control mechanism for political phenomena based on liberal constitutionalism. What they criticize is the control of politics through the rule of law,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limits for political domains through the law, that is, the pursuit of depoliticization through the law. Populists prefer the theoretical approach for critique of liberal constitutionalism and the arguments formed through it, and they share and spread their opinions on it through various media as well as various media. Despite these populists' criticisms of liberal constitutionalism and the rule of law,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populism must be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iberal constitutionalism they criticize.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ttempts to find a constitutional theory formed within the framework of a constitutional system in the rule of law, as a clue to solving problems related to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phenomena such as populism.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which has justice, legal stability, and proportionality as its ideological components, is a dynamic constitutional concept that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Therefore, in relation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the guarantee of the possibility of formation, the constitutional order is newly formed and developed dynamically in the form of populism 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modern rule of law, which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practice of law and the theory of law. What legal control standards can be established and suggested over the political realities that exist? Otherwise,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must be able to develop and develop a new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at seeks an appropriate and balanced point that can accommodate constitutional-developmental constitutional policies based on populism to some extent within the scope of the constitutional order. 포퓰리스트 헌법주의(populist constitutionalism)는 여러 가지 중요한 헌법원리들 중에서 유독 국민주권(popular sovereignty) 혹은 인민주권 원리를 강조한다. 국민주권의 원리는 민주주의의 중요한 이데올로기일 뿐만 아니라 포퓰리즘의 중요한 이념이 된다. 대의제 민주주의와 서로 조화된 국민주권의 원리는 법의 지배(rule of law)의 원리를 필수적 구성요소로 수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포퓰리즘이 추구하는 절대적 국민주권의 원리는 이 법의 지배의 원리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바로 여기에 포퓰리즘과 자유주의적 헌법주의의 상호양립불가능성이 시발점이 발생한다. 포퓰리즘의 자유주의적 헌법주의(liberal constitutionalism)에 대한 비판은 자유 민주주의적 헌법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아주 중요한 안목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포퓰리스트 헌법주의가 궁극적으로 자신들의 영구적 지배를 유지하기 위한 권위주의적 혹은 독재적 지배체제의 완성을 헌법개정이나 헌법제정을 통해서 정당화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포퓰리스트 헌법주의는 자유 민주주의체제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된다. 포퓰리즘의 법적-실제적 접근방법으로서 도구주의적 접근방법(instrumentalism approach)은 포퓰리즘이 추구하는 법적 가치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현재의 사회현상을 잘 설명하고 예측하는 환경지배의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가지는 지 여부에 따라서 확정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포퓰리즘의 도구주의적 접근방법은 그 내부 속에서 기회적이고 선동적 성격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설적으로 포퓰리스트들의 도구주의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자유민주주의적 헌법체제를 대체하고,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과 그 이념의 실행 프로그램을 집행하기 위하여 가장 잘 사용하는 도구 역시 헌법이다. 포퓰리스트들은 헌법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해와 법의 지배를 비판한다. 그들의 자유주의적헌법주의(liberal constitutionalism)에 대한 주된 비판의 대상은 정치권력과 이를 둘서싼 정치현상에 대한 헌법적 통제 메커니즘이다. 다시 말하면 그들이 비판하는 대상은 법의 지배를 통한 정치의 통제 즉 법을 통한 정치적 영역의 한계설정 즉 법의 지배를 통한 국가적 지배의 비정치화의 추구이다. 포퓰리스트들은 자유주의적 헌법주의의 비판을 위한 법이론적 논리를 발전시키기 위한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을 통해서 형성된 자유주의적 헌법주의에 대한 비판논거들은 선호하고, 이에 관한 의견들을 다양한 언론 뿐만 아니라 전달매체를 통해서 시민들 사이에 공유시키고 확산시킬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포퓰리스트들의 자유주의적 헌법주의나 법의 지배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포퓰리즘에 대한 헌법적 평가의 출발점은 그들이 비판하는 자유주의적 헌법주의의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만 한다고 판단된다. 현대적 대의제 민주주의의 위기상황과 관련하여 대의제 민주주의 결함을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한 포퓰리스트 헌법주의가 오히려 정치권력에 대한 권력통제적 기능을 하는 사법권의 독립을 무력화 시켜서 자신들의 권위주의적 지배를 영구화 시키기 위한 헌법제도의 개정으로 변질된다. 포퓰리스트 헌법주의가 헌법상의 권력통제 원리를 무력화시키는 수단으로 변질된다. 포퓰리즘과 같은 여러 가지 국내외적인 현실적 정치현상들과 관련되는 문제점들에 ...

      • KCI등재

        金融監督과 法治主義

        이서열(Lee Seo-Youl)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7 No.2

          This study starts with the author"s perception that the current integrated financial supervisory system of South Korea has been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pattern of governmental control over the financial market, which chronically damaged the efficiency of the country"s financial policies. With a review of the current system, the author examines constitutionalism behind financial policies and suggests a financial supervisory system which is fundamentally free from undue governmental control over the financial market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South Korea"s overall economic structure.<BR>  To be sure,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ism for various interests of economic participants cannot be exhaustively explained by the term of impartiality. Also, it is more than a truism that constitutionalism among different interests of financial market is very hard to grasp or reach, in reality. further, even after a "constitutionalism" concept is used for settling various problems which have been happened in financial market. In many cases, constitutionalism is contained more reasonable standards about allnless and worthless economic ideas (and political compromise) of democratically-elected policy-makers. Especially, the skeptic against the value of constitutionalism would insist that "Efficiency be more important than legal theory in the economic field": constitutionalism could be regarded just as a specific value/interest-oriented attitude to be revealed.<BR>  Despite all the conceptual fuss and skepticism, the constitutionalism"s control and check of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should be still guided by the main principle of market-regulation. And the authorities involved should apply the principle to their evaluation of current policies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s though it is tricky.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constitutionalism in field of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will be more attained when the authorities perform their discretion as much as the Constitution allows while aware that the constitutional economic order respects freedom of each economic participant and denies any exclusive governing power of one or a few.

      • KCI등재

        유교적 입헌주의와 한국의 헌정사

        함재학(Hahm Chaihark)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3

          한 나라의 헌정사를 논할 때 권력의 규율과 제약을 위한 제도와 규범 및 담론이 형성ㆍ전개되었던 구체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 시각이다. 이런 시각에 입각해 볼 때 유교가 국가이념으로서 모든 법과 정치의 기본을 형성했던 조선시대에도 입헌주의적 전통을 인정할 수 있고 이를 “유교적 입헌주의”라고 개념화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첫 번째 주장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헌정사에서 유교적 입헌주의의 의의를 찾기 위해서는 우선 입헌주의 개념 자체가 요구하는 역사적 인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두 번째 주장이다. 입헌주의는 혁명과 달라서 역사적 연속성을 전제하지 않고는 성립할 수 없는 이념이고, 이점은 전통시대인 조선의 유교적 입헌주의나 근대적 입헌주의를 추구하는 현재 대한민국에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유교적 입헌주의를 바라보면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교훈이 있다면 그것은 입헌주의가 성공하려면 입헌주의적 가치를 내면화한 시민이 전제되어야 함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일 것이다. 이것이 본 논문의 세 번째 주장이다. 즉 입헌주의가 필요로 하고 또 수반하는 정치사회화 과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면에서 유교적 입헌주의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말이다.   The purpose of paper is twofold. First, it seeks to show the plausibility of the idea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tradition of pre-modern Korea, especially the Chosun Dynasty (1392-1910). Here it is argued that while Confucianism was a long and multi-faceted tradition which included religious, metaphysical, and political teachings, and while its political teachings were sometimes used to support despotic rules, it is nevertheless useful and meaningful to discuss the idea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This is not only because constitutionalist ideas can be found in the Confucian tradition, but also because Confucian-inspired constitutionalist institutions and discourse actually existed and were practiced during the Chosun dynasty.<BR>  The second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suggest a couple of “lessons” that might be drawn from positing the idea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lessons which may be relevant for thinking about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from the modern perspective. One suggestion is that we should move away from a legal historiography that stresses ruptures and new beginnings in the nation"s past.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constitutionalism, it is argued that we must be able to draw from a historical storehouse of constitutionalist ideas and idioms, and that the very idea constitutionalism is premised on a self-governing people whose identity can only be grasped through a temporally extended dimension. The other suggested lesson to be taken from a proper understanding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is that we must at all times bear in mind that constitutionalism is essentially an educational or formative project. This requires a recognition that constitutionalism depends on the education of citizens with certain skills and competences, and that the experience of living under a consitutional system itself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citizens.

      • KCI등재

        立憲主義の思想と展開 - アジアと日本 -

        戸波江二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4

        The general features of constitutionalism of each Asian countries include 1) an inseparable relation of the development of constitutionalism with the progress of democratization, 2) an important role of the consitutional revision in the progress of constitutionalism, and 3) the inadequate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ism in terms of its penetration into politics. On the contrary, the development of constitutionalism in Japan started with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of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ism was not settled down, but rather the opinions on the Constitution of Japan have been splitted, remaining in confrontation between constitutional protection and constitutional revision. This is the Japan-specific progress of constitutionalism in the development of constitutionalism in Asia. A key issue of the progress of Japanese constitutionalism in the postwar period is the revision of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Paragraph 1 of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stipulates renunciation of war, stating “Aspiring sincerely to an international peace based on justice and order, the Japanese people forever renounce war as a sovereign right of the nation and the threat or use of force as means of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Subsequently, Paragraph 2 stipulates ‘non-maintenance of war potential’ and ‘denial of the right of belligerency’, stat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preceding paragraph, land, sea, and air forces, as well as other war potential, will never be maintained. The right of belligerency of the state will not be recognized.” In this article, the non-maintenance of war potential is legally important because it prohibits the maintenance of armed fores, and therefore, it seems to be against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elf-Defense Forces (SDF). Without the revision of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the Government of Japan has explain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DF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ight of self-defense through the so-called “constitutional revision through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argues that Japan has a right of self-defense to protect the country against imminent and unlawful invasion, and that this right cannot be taken away by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It also says that the minimum strength necessary for self-defense is not prohibited by the Constitution, and that this minimum strength does not fall under the scope of “war potential” of which maintenance is prohibited in Article 9. After the Gulf War in 1990s, Japan dispatched its SDF abroad in the name of international contribution. In addition, Abe’s second government approved the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re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ndeed, the constitutionalism in Japan is in a serious crisis. アジアの諸国の立憲主義の一般的特徴としては、①立憲主義の発展が民主化の進展と不可分の関係にあったこと、②立憲主義の進展において憲法改正が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こと、③立憲主義が実際の政治への浸透度の点でまだ十分に実現されているとはいえないことを挙げよう。その一方、日本の立憲主義の発展は、第2次世界大戦後の日本国憲法の制定から始まるが、立憲主義の思想が強固に根付いたというわけではなく、むしろ、日本国憲法に対する評価の分裂が長く尾を引き、護憲-改憲の対立として現在までなお続いている。それがアジアの立憲主義の過程での特殊日本的な立憲主義の展開というものである。 戦後日本的な立憲主義の展開において最大の争点になったのは、日本国憲法第9条の改正をめぐる問題である。憲法9条は、1項で、「日本国民は、正義と秩序を基調とする国際平和を誠実に希求し、国権の発動たる戦争と、武力による威嚇又は武力の行使は、国際紛争を解決する手段としては、永久にこれを放棄する」と定め、「戦争の放棄」を宣言するとともに、2項で「前項の目的を達するため、陸海空軍その他の戦力は、これを保持しない。国の交戦権は、これを認めない」と定め、「戦力の不保持」と「交戦権の否認」を規定している。この規定のうちで法的に重要なのは、「戦力の不保持」であり、それは軍隊をもつことを禁じているため、自衛隊の合憲性と正面からぶつかるようにみえるからである。 日本政府は、憲法第9条を改正せずにいわゆる「解釈改憲」という方法で自衛権の解釈によって自衛隊を合憲性を説明してきた。つまり、国家は急迫不正の侵害に対して自国を守るための自衛権をもっており、憲法第9条によっても放棄されてい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そして、自衛権を行使するうえで必要最小限度の実力をもつことは憲法も禁じてはおらず、そのような「自衛のための必要最小限度の実力」は憲法9条で保持を禁じられた「戦力」には該当しない、というものである。さらに、1990年代の湾岸戦争以後には「国際貢献」という名で自衛隊の海外派遣をし、また第2次安部政権下では政府の憲法解釈の変更によって集団的自衛権まで容認している。まさに、日本において立憲主義は重大な危機に見舞われていると言えよう。

      • KCI등재

        세계입헌주의 논의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성립 여부 및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배정훈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2 世界憲法硏究 Vol.28 No.3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discussions on “Global Constitutionalism”,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modern constitutionalism, have emerged. Proponents of Global Constitutionalism argue that the specific principles of modern constitutionalism, such as guaranteeing human rights, separation of powers, the rule of law, democracy, and judicial review in the transnational human rights regime, can have global implications.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against this argument based on the notions of the homogenous nation state, legal positivism, legal pluralism, etc. If, however,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onstitutionalism grounded in constitutional pluralism, while responding to temporal and spatial particularities, the discussion on Global Constitutionalism should be valid and useful in explaining the chang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transnational law in the twenty-first century.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work is needed to realize the contents of Global Constitutionalism, but it is difficult to regard Global Constitutionalism as a completely unrealistic concept. 과학기술의 혁신에 따른 세계화 현상의 가속화와 냉전질서의 해체 이후로, 단일국가 내부 구성원의 자유와 권리 보장을 위한 규범으로 등장했던 근대적 의미의 헌법과 관련하여 새로이 인식의 지평을 넓히려는 시도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이른바 ‘세계입헌주의(Global Constitutionalism)’에 관한 논의가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논자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세계입헌주의 논의의 성립 가능성을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큰 틀에서 인권보장을 중심으로 한 근대 입헌주의의 원칙이 전(全)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긍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간적・공간적 현실 영역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다원주의적 가치를 보장하는 내용으로 입헌주의가 확대되어 성립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면, 세계 공동체에 승인된 일종의 메타규범으로서의 세계입헌주의의 성립 가능성을 전적으로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후반 이후의 전세계 차원의 발전으로 인해 주관적 인간의지의 범위가 한 국가 단위를 넘어 확대되고 있음에도, 인간의지를 제어하는 객관적 규범으로서의 입헌주의의 본질은 지속적으로 유효할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입헌주의 개념을 긍정할 경우, 그 주요 구성요소로서 초국가적 인권보장체제를 통한 인권 개념의 적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한다는 차원에서의 인권보장,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증진하고 의사결정주체의 책임성을 고양한다는 의미로 적극적으로 해석된 권력분립, 전(全)세계적 차원에서의 제반 권력의 자의적 행사를 방지하는 이념적 근거로서의 법치주의, 이들 구성요소들을 구체화하는 데 요청되는 원리로서의 민주주의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절차 내지는 수단으로서의 독립된 기관에 의한 사법심사를 생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해당 논의가 아직 본격화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시점에서, 그 내용을 현실화하는 데에는 보다 많은 이론적・실무적 축적이 요청될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참여정부의 법치주의

        金炯盛(Kim Hyung-Sung) 한국공법학회 2007 공법연구 Vol.36 No.1

        법치주의란 법에 의한 지배를 통해서 국가권력을 통제하고 국민의 실질적 자유와 권리를 실현 시키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법치국가의 원리는 국가통치원리 내지는 국가 구조원리로서 작용하면서 모든 국가권력의 행사를 통제한다. 예로부터 정부의 정책결정이나 집행이 규범에 부합하는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적지 않았으며, 참여정부의 경우 제헌 이후 어느 정부에서도 경험하지 못했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규범에 대한 도전이 시도되었다.  법치에 대한 도전은 그것이 법적으로 허용되는 것인지 또 그것에 대해서 어떤 제재가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와는 별개로 법치주의를 헌법국가의 기본원리로 삼고 있는 현행 헌법질서 하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우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규범의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서 과연 법치주의가 지향하는 정의의 노선과 얼마나 일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올바로 판단할수 있는 구체적 기준과 제도가 어떻게 잘 갖추어져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법치주의의 공백으로 인한 국민들의 혼란과 무질서를 어떤 방식으로 정돈할 수 있을지, 나아가서 법치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 것인지 등에 대한 처방과 대안이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논문은 참여정부의 정책결정이나 집행이 법치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떻게 평가 될 수 있는 가에 대한 나름의 판단을 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한다. 먼저 법치주의의 일반적 개념과 내용을 설명하면서 실증주의적 법 개념에 기초한 ‘형식적 법치주의’와자연법론 내지는 비실증주의적 법 개념에 기초한 ‘실질적 법치주의’를 논한다. 또한 법치의 관점에서 본 참여정부의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을 진단하기 위해 참여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던 정책이나 특징적 사건을 진단한다.  결론에서는 참여정부의 법치주의를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나누어서 평가하고, 참여정부 내내 논란의 한 축이 되어 왔던 법 내용의 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숙고를 요청한다. 즉 내용상의 타당성문제가 달리 평가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분명한 실정법위반이 완전히 치유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사회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가치질서의 형성과 그에 상응하는 새로운 법체계의 정립과 입법정책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The goal of Constitutionalism is to control the government power and secure the freedom and right of people by the rule of law. Based on this goal, the doctrine of Constitutionalism has been controlling the exercise of all national powers operating as the principle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or government structure. From the past, there have been tremendous numbers of disputes about whether policy decisions or executions are in accord with norms or no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attempted the challenge against norms at various fields, which no government had ever tried like thi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Challenge against Constitutionalism raises various kinds of issue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system which adopts Constitution as a basic principle discussing separately from disputes about whether challenge against Constitutionalism is legally admitted and which punishment would be admissible for the challenge. Now, it is time to properly arrange the people"s confusion and disorder from the absence of Constitutionalism, and to find the prescription and alternative to retrieve the trust of people for Constitutionalism. Accordingly, I assess the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from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t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ism and further analyse their meanings.  First of all, I explore "formal law-governed principal" and "substantial law-governed principle" while explaining the general concept and substance of Constitutionalism. Additionally, I analyse important businesses and significant case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order to diagnose the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t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ism. At the conclusion, I assess Constitutionalism a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with two different viewpoints, which are positive and negative, and I request that we should deliberate whether the substance of law has been adequate, which the Participate Government have been argued. Finally I argue that we should make new value system and legal structure, and find a new meaning and development for the legislative policy following new trend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헌법국가란 무엇인가 - 독일적 개념의 연원과 한국적 수용가능성 -

        이석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7

        우리 헌법재판소는 헌정주의와 관련하여, ‘입헌주의’, ‘입헌민주국가’, ‘입헌민주헌법’, ‘입헌주의적 헌법’, ‘입헌적 민주주의’, ‘민주적인 헌법국가’, ‘반입헌주의’, ‘반법치주의’라는 표현을 사용한 바가 있다. 그러나 그 내용적 요소를 명시적으로 제시한 예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헌법적 논증, 특히 ‘헌법재판소’에서의 설시에서 위와 같은 표현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헌정주의에 대한 독일적 개념 전통인 ‘헌법국가’라는 개념을 참고하고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고 판단된다. 독일적 연원을 가지는 헌법국가 개념에 관한 논의는 영미적 전통의 헌정주의에 대한 논의보다 더 많은 점에서 ‘기술적’이라기보다는 ‘규범적인’ 면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것은 ‘있어야 할 것’에 관한 연역적, 도그마틱적 논의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 논증을 주된 임무로 하는 헌법재판기관에서 활용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이러한 개념을 실제 주요 결정문들의 논증에서도 활용하여 왔다. 특히 이러한 헌법국가라는 개념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면서도 그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위배여부가 문제되는 정당해산, 탄핵 등의 사건에 있어서 하나의 ‘규범적 개념’이자 도구로서 사회에서의 헌법적 논쟁에서나, 헌법재판소 등 헌법기관에서의 유권해석적 논증에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과 적실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우리 헌법의 해석에 있어서는 유의할 점은, ‘사회국가원리’나 ‘연방주의’ 등 독일 기본법 제79조에 기반해서만 이해될 수 있는 ‘헌법국가’의 내용 요소는, 개정불가사항이 명문상 존재하지 않는 우리 헌법 해석상의 ‘헌법국가(헌정주의)’ 개념의 내용으로 바로 연결되기는 어렵다는 것이라고 하겠다. In its decis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ereinafter ‘CCK’) has used the following words with regard to constitutionalism: 'constitutionalism',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 'constitutional democratic constitution', 'constitutional constitution', 'constitutional democracy',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nti-constitutionalism' ‘anti-rule-of-law’ and so on.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 example of explicitly presenting the content element yet. In using the above wordings in the constitutional discussions and arguments in Korea, especially in the CCK,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ncept of ‘Verfassungsstaat (constitutional state)’, the German concept tradition of constitutionalism. The discourses on the concept of the ‘Verfassungsstaat’ in Germany have focused more on 'normative' rather than 'prescriptive' in more respects than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alism in the Anglo-American tradition. In other words, they have based on deductive and dogmatic aspects. More importantl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hereinafter ‘FCCG’) itself has used this concept in the reasoning of a number of important decisions. Especially, the concept of the ‘Verfassungssta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freiheitliche demokratische Grundordnung’ (free and democratic basic-order) and the former includes the latter. Therefore, in the jurisdictions of CCK, especially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impeachment, in which the violation of 'free democratic basic order' matters, there is the necessity and adequacy that the concept of Verfassungsstaat should be used as a common conceptual tool, in the constitutional discussion and debate in society or in arguments in constitu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CCK.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ne should not unquestioningly adopt all the content elements of the German concept. Because some content elements of the German concept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the sentences of Article 79 of the German Basic Law, such as 'Social State (Sozialstaat)' and 'Federalism'.

      • KCI등재

        군민공치와 입헌군주제헌법 : 비교헌정사적 연구

        송석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1

        개화기에 서구 헌정질서 중 입헌군주제가 군민공치의 제도로서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입헌군주제헌법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니므로 이 연구에서는 프랑스, 벨기에, 독일, 일본의 입헌군주제헌법을 분석하면서 유형화를 시도하여 입헌군주제헌법을 국민주권형과 군주주권형으로 구별하였다. 군주주권형 입헌군주제는 군주제원리에 기초하는 것으로 프랑스 1814년헌장, 바이에른 1818년헌법, 독일헌법 및 헌법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일본 메이지헌법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프로이센 1850년헌법은 해석론에 의해 군주주권형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입헌군주제헌법은 어떠한 유형이든 군주와 의회가 경쟁하는 이원적 구조를 지니므로 군주제원리의 유무가 결정적인 요소인지의 여부는 논란의 대상이 된다. 군주주권형 입헌군주제의 전통에서는 강한 행정관료제도에 비해 시민사회와 의회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이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was known as the most desirable political form among competing western constitutional order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Since the constitutions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take various forms, this paper, after analyzing a series of constitutions from constitutional monarchies -France, Belgium, German states and Japan- , classifies them into two types: the popular sovereignty type and the monarchial sovereignty type. The monarchial sovereignty type is based on the monarchial principle. The French Charter of 1814, the Bavarian Constitution of 1818 and the Meiji Constitution of Japan (1889) which was strongly influenced by German constitutions and their conservative constitutional theories, belong to this type. According to the conservative interpretation, the Prussian Constitution of 1850 was categorized to this group. In any case, since all constitutions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have a structure of competition between the monarch and the parliament, it remains controversial whether the monarchial principle can be a decisive factor.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 of the monarchial sovereignty type has come to b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 strong executive bureaucracy. As a result, it is associated with a comparatively weak civil society and parliament. Efforts need to be expended to overcome the potential problems arising from this traditional structure.

      • KCI등재

        세계입헌주의와 인권보장체계

        정재황 헌법재판연구원 2022 헌법재판연구 Vol.9 No.2

        Although the current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remains inadequat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develop global constitutionalism and also establish a Universal Human Rights Charter as well as a World Human Rights Court, which are an institutional guarantee of global constitutionalism. While the substance of a constitution and political system may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constitutions contain certain universal valu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human rights guarantees, democracy, liberalism, the separation of powers, welfarism, and pacifism are accepted as common values. We can see the history of recovering to and developing into natural rights after the emergence of the Nazis in Germany that had a view of human rights as positive rights and after massive human rights abuses during World War II. Human rights are natural rights as innate rights that all humans ‘should have’ and a universal value of humanity, which is not limited but expanded. The Constitution of Korea provides in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10 that “[i]t shall be the duty of the State to confirm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and inviolable human rights of individuals,” thus confirming the innate nature and inviolability of fundamental rights, thereby recognizing it as natural rights.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no violation of essential aspects, thereby making clear its position that fundamental rights are natural rights. Universal values can be found in the values of each country. Theories and human-centered thinking about respect for humanity and the innate rights of humans developed early on as Asian human rights values, with examples including the Buddhist idea of self-compassion (“On heaven and earth, I alone am honored”) and the Confucian idea that people are the foundation of the polity. Human-centric values arose early in Korea as well, an example from the founding mythology of Dangun being love of humanity, a vision of humans in harmony with nature, and the concept of rule for the people. The Enlightenment Period at the cusp of modernity also saw the rise of revolutionary ideology that recognized humanism as an important value, such as the Innaecheon (人乃天, ‘divinity within humans’) doctrine of Donghak. The Korean Declaration of 1919 in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 rule also expresses the spirit of human dignity and humanitarianism. Since this idea of human dignity and human respect can be a universal constitutional value of the human community that will be widely accepted worldwide, we should develop the possibility of global constitutionalism that is a driving force for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 system of human rights guarantees are required. 1. The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constitutional norms can be achieved by systemization. Fundamental rights norms are expanded thanks to the fine web(net) woven by systemization (this is also connected to the derivation of fundamental rights), and the guarantees are further elaborated. 2. The Universal Expansion of Human Rights Values 3. The Expansion of Fundamental Rights Norms 4. The Proactive Interpretation and Operation (Enforcement) of Human Rights Norms 5. Guaranteeing fundamental rights of aliens(Accordingly, global constitutionalism and human rights guarantees can be strengthened. In the draft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2014 National Assembly Consultation Committee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it is proposed that most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granting individual fundamental rights to “citizens” be amended to read “persons.” 6. The Proactive Role of Statutes in Restrictions on Fundamental Rights 7. The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the institutions guaranteeing human rights (Constitutional Court, Supreme Court and etc.) are important. So far, efforts have been made to exp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guarantees in Europe and the United Nations, and Korea has also tried to contribute t... 이 연구는 인권의 현황이 열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지만 그렇더라도 세계입헌주의 발전, 그것의 보장체계 구축인 세계인권헌장 제정, 세계인권재판소 창설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헌법의 내용이나 정치체제가 나라마다 차이가 있을지라도 헌법은 보편가치를 담게 된다. 바로 인권보장원칙, 민주주의, 자유주의, 권력분립원칙, 복지주의, 평화주의 등의 헌법적 가치는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인권을 실정권으로 본 독일의 나치스의 등장, 2차대전의 인권유린을 겪고 자연권으로 복구하여 자연권으로서 발달하는 역사를 볼 수 있다. 인권은 폐쇄적인 것이 아니고 확대되는, ‘있어야 할’ 인간의 천부의 권리로서 자연권이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이다. 한국 현행헌법도 제10조 후문이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라고 하여 (천부)인권성, 불가침성을 인정하고, 자연권으로 보므로 이를 ‘확인’한다고 하고 제37조 제2항이 본질적 내용 침해 금지를 규정하는 등 인권을 자연권으로 보는 입장을분명히 하고 있다. 개별 국가별 가치에서 보편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동양적 인권가치로 인간중심・존중, 인간의 고유한 권리를 인정하는 이론 내지 사상이 일찍이 발달해 왔다. 불교의 자애사상(‘천상천하 유아독존’), 유가(儒家)의 민본사상(民本思想)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인간중심적 가치관이 일찍이 나타났고 단군신화에 나타난 “인간애, 자연친화적 인간상, 위민사상이 그러하다. 근대 개화기에 동학(東學)에서 나타난 인내천(人乃天) 사상 등 인본주의(人本主義) 사상도 전개되었다. 1919년 일제에 항거하여 나온기미독립선언서에도 인간존엄, 인도주의 정신이 표명되어 있다. 이러한 인간의 존엄, 인간존중사상이 동서양을 막론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질 인류공동체적 보편적 헌법가치가 될 수 있으므로 공동체의통합, 발전을 가져오는 동력이 되고 세계입헌주의의 가능성을 발전시켜야 한다. 인권보장의 체계의 개선・발전이 다음과 같이 요구된다. 첫째, 체계화를 통한 헌법규범의 확대와 치밀성 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체계화로 이루어진, 씨줄, 날줄이 촘촘한 그물망(net)으로 기본권규범이 보다 확대되고(이는 기본권의파생과 연관된다) 그 보장이 좀더 치밀해진다는 것이다. 둘째, 인권가치의 보편성 확산, 셋째, 기본권규범의 확대, 넷째, 인권규범의 적극적 해석과 운용(집행), 다섯째, 외국인에 대한 기본권보장(이로써 세계의입헌주의와 인권보장이 더 강화된다. 한국은 2014년 국회의 헌법개정자문 위원회의 개정안에서는 현재각 개별 기본권들에서 ‘국민은’이라고 규정된 헌법조문들을 대부분 ‘사람은’으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 바있다), 여섯째, 기본권제한에서의 법률의 적극적 임무수행, 마지막으로, 인권실천 역할자(헌법재판소, 대법원 등)의 조직의 독립성,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다. 그동안 유럽지역, 국제연합 등에서의 국제적 인권보장확대 노력이 있었고 한국에서도 세계헌법대회(WCCL of IACL)를 개최하는 등 인권보장에 기여하려고 하였다. 미래를 향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데 오늘날 인공지능(AI) 시대, 팬데믹 상황에서 이미 변곡점을 맞이하였다. 그럼에도 한국에서는 젊은 헌법학자들의 교류 국제세미나인 GYIP 등을 개최하는 등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노력을 하고 있고 이 노력이필요하다. 그리고 세계적 보편적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