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염토양과 폐기물의 법적 구별과 그 처리책임

        박종원(Park, Jong 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환경법과 정책 Vol.8 No.-

        Lately, in Taihan Electric Wire Site Case, the Supreme court held that “contaminated soil” should be clean-up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SECA”) and not come under the concept of the “waste” under the Wastes Control Act(“WCA”). At this time, I try to analyze the legal distinction between “contaminated soil” and “waste”, and the legal application to them. To put it concretely, I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the Taihan Electric Wire Site Case. Then, I analyze the definition of the “waste” and its disposal under the WCA, and the defini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and its clean-up. And, I show how to interpret relations between “contaminated soil” and “waste”, and apply laws to them. First, the “contaminated soil”, which should be clean-up under the SECA, is not “the soil damaging the health and property of people or the environment”, but “the soil whose level of contamination is found to exceed the worrisom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and which is contaminated by one or more of 21 contaminants.” Second, the soil comes under the “substance” and may come under the “waste” in some case. Furthermore, the soil which is not separated from lands, which have become no longer useful for human life, may be included in the “waste” and come under the WCA. Third, the Taihan Electric Wire Site Case does not address the mixture of the contaminated soil and wastes. It focus on the question: Is the soil whose level of contamination of the PCB exceed the worrisom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included in the “controlled wastes”, which means the commercial wastes specifically enumerated as harmful substances, and Does it come under the WCA. Where the contaminated soil and wastes are mixed, the authority should order the responsible party who has generated or treated such wastes to treat them under the standards for waste treatment in the WCA, and order the persons causing soil contamination to clean-up the contaminated soil under the clean-up standards in the SECA.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관련 주요 용어의 정의 및 재정립에 관한 고찰

        박용하 ( Yong Ha Park ),양재의 ( Jae E Y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환경정책연구 Vol.4 No.1

        토양오염에 관련된 토양환경보전법의 주요 용어인 토양, 토양오염, 토양오염부지, 정화에 대해 미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의 주요 법에서 나타난 용어와 비교 분석하였다. 토양오염에 관련된 주요 용어의 정의는 국가별로 내용과 수준이 다르다. 이는각국에서의 토양오염이 실태가 다르고 또한 사회적 문제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동일하지 않으며, 국가별로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토양오염의 위해성을 저감하기 위한 이들 국가들의 법과 사회의 발전 배경, 추구하는 토양환경보전정책의 목표와 접근방법이 같지 아니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나라의 실정과 외국의 관련법, 이들 법의 마련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토양환경보전법에서 다루는 토양의 정의는 신설되어야 할 것이고, 토양의 정의에는 토양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자연적인 지표층을 포함하고 지하수와 하수층을 제외하는 토양의 범위가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토양오염의 정의에는 위해성 평가의 개념(토양오염물질, 경로, 수용체), 토지 이용, 경제적 개념, 토양오염의 인정한계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토양오염의 발생주체에 따라 대상 부지의 토양오염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토양환경보전법 제2조 제1호는 대상 부지의 위해성에 의해서 토양오염여부가 결정되는 내용으로 변경해야 할 것이다. 토양오염부지의 정의는 1) 토양오염물질 등을 포함한 토양오염, 2) 위해성에 근거한 토양오염부지의 설정, 3) 토지 이용, 4) 토양오염부지 설정의 한계에 관한 개념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토양오염지역 정화의 정의에는 정화의 목표, 목적, 행위, 방법과 범위, 정화의 한계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금번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는 우리 나라 토양오염지역의 조사, 복원, 해제에 관한 법,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이다. In order to properly define the terms such as soil, soil contamination, soil contamination site and remediation, which are the key terms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SECA) in Korea, we analyzed the legal definitions of the similar key words in legislations of the developed western countries. The selected countries wer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Germany, and Denmark. The legal definitions of these keywords were very much diversified due to different levels of soil contamination, as well as different industrial, social, and legal backgrounds in each country. However, fair suggestions for definitions of the key terms in SECA were deriv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se countries. First and foremost, SECA should provide a definition of ‘soil’ which includes a concept of the natural soil layer produced from soil mineralization processes. Groundwater and sublayer of the groundwater would be excluded in the boundary of the soil with regards to the Groundwater Act of Korea. Definition of ‘soil contamination’ of SECA should include a concept of risk assessment(soil contaminants, pathway, and receptors), purpose of land use, and the acquired limitation levels of soil contaminants. Soil contamination activity either industrial or anthropogenic in SECA article2-1, could be substituted for a concept of soil risk assessment. Definition of ‘soil contamination site’ could derive from amalgamating the concepts of i) soil contamination in conjunction with contaminants, ii) risk assessment, iii) a concept of land use, and iv) knowing limitation of contamination site designation. Definition of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 should include the objective, intention, action, methodology and limit of the remediation. These suggested definitions would increase the efficacy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policies, which includes the survey of the potentially contaminated area, remediation, and removal of the site.

      • KCI등재

        오염토양정화기금의 도입과 설계

        김홍균 한국환경법학회 2019 環境法 硏究 Vol.41 No.1

        Often perceived as a burden to businesses and the government, establishing the Fund to clean up contaminated soil has long been considered a taboo. However, to ignore the need to create the fund completely in the face of worsening soil contamination isn't right. The establishment of the fund will, above all, enable effective response to past soil pollution and expensive cleanup costs. There has been a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cause of contamination is not found, or orders to cleanup the contaminated soil are not issued even when severe impairment had been verified. In most cases, it was because we could not identify those who were responsible due to the obscure nature of polluters, polluter’s financial problem and the absence of responsible parties. The cleanup project needs to be initiated urgently, and it will be a very long scheme. In order to support the project, a stable financial ground and flexible management of the fund is indispensable. The flexibility and stability of the Fund to clean up contaminated soil does not fall below the requirements that need to be fulfilled in order to justify the fund's establishment. That is so even compared to 67 other funds run by the government or the environment ministry. The primary resource of the Fund to clean up contaminated soil will be the charge. It is important that when we design the method of imposing charges, we try to induce prevention or abatement of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Those subject to charges must fit in the category of the polluter pays principle and must have high probability to soil contamination. In this respect, we must not leave out substances that cause soil contamination. Those who manufacture or import basic oil component that becomes the foundation of oil and chemical materials that are highly linked to soil contamination must also be considered potential targets of the levies. Facilities that cause soil contamination and installers of those facilities may also become alternative targets. It is time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the Fund to clean up contaminated soil given the growing needs and validity.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soil contamination with the help of the fund and no longer stumble in making positive actions to cleanup its lands. The fund does not only satisfy needs(for example, support by nation) which is required by law but also reduces the possibility of constitutional violation resulting from placing excessive responsibility on responsible parties. 그동안 기금의 설치는 사업자나 정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터부시 되어온 측면이 많다. 그러나 토양오염이 심화되고 사회문제화 될 가능성이 많은 상황에서 기금설치 문제를 외면해서는 곤란하다. 기금은 무엇보다도 높은 정화비용, 과거의 오염행위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심각한 토양오염이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원인자 불명, 무자력, 책임자의 부존재 등으로 정화책임자를 규명하지 못하거나 정화명령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게 확인되고 있다. 오염토양정화사업은 긴급한 사업 시행의 필요성이 높고,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금을 통한 재원의 안정적 확보와 긴급한 필요에 따른 신축적인 재정 운영이 필요하다. 오염토양정화기금은 현재 환경부 소관 기금뿐만 아니라 정부가 운용 중인 67개 다른 기금과 비교할 때에도 사안의 중대성과 긴급성으로 기금설치의 타당성 요건으로 들 수 있는 재원의 신축성과 안정성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기금 재원의 일차적 재원은 부담금이다. 부담금의 설계 시 토양오염의 예방이나 토양오염발생의 저감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부과 대상은 오염원인자 책임원칙에 부합하고, 토양오염 유발의 개연성이 높은 오염물질이나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양오염물질을 빠트려서는 안 될 것이다. 토양오염물질은 아니나 토양오염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유류 및 화학원료의 기초유분(基礎油分)을 제조・수입하는 자를 대상으로 부담금을 부과하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 보충적 재원으로는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자에게 납부금을 부담시키는 것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기금 설치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이 인정되는 상황에서 토양정화기금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시점이다. 그동안 재원부족의 이유로 국가가 토양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는데, 기금설치를 계기로 국가가 전면에 나서 주도적으로 토양정화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기금은 정화사업, 국가의 지원 등 당장 법에서 요구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책임자에게 과도한 책임을 떠넘김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헌 가능성을 차단・감소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토양환경보전법상 정화책임자의 범위와 책임의 한계

        김연태 ( Yeon Tae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7

        2012. 8. 23. 헌법재판소는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에 따른 오염 원인자 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다. 구 토양환경보전법은 오염원인자의 범위를 직접 토양오염을 유발한 자와 더불어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ㆍ점유자ㆍ운영자 및 양수자까지 확장하여 이들에게 1차적인 무과실의 정화책임을 부과하고 있었다. 헌법 재판소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ㆍ점유자ㆍ운영자의 정화책임은 과중한 정화비용을 그 범위의 제한 없이 전부 부담하여야 한다는 점과 다른 면책사유 또는 책임 제한수단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재산권 및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또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양수자의 정화책임은 양수시기에 상관없이 무제한적으로 정화책임을 부과한다는 점에서 신뢰보호의 원칙을 침해한다고 보아, 오염원인자 조항에 대하여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에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위헌 요소를 제거함과 아울러 정화책임체계를 정비하고 과중한 정화책임 완화를 위하여 토양환경 보전법은 2014. 3. 24. 일부개정 되어 2015. 3. 25.부터 시행되었다. 종전의 오염원인자 조항 중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ㆍ점유자ㆍ운영자 및 양수자에 대한 면책범위를 확대하고 정화책임한계를 설정하며, 정화조치 명령의 우선순위를 도입하여 과중한 정화책임을 완화하였다. 이 글에서는 공법상 토양정화책임체계에 관한 종전 토양환경보전법상의 내용과 그 문제점 및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정된 토양환경보전법상 정화책임자의 범위와 책임의 한계에 관한 규정의 평가와 개선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On August 23, 2012,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clause regarding the ‘polluters’ according to the article 10-3 under the old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as unconformable to the constitution. Before the act was revised in 2014, it had ranged the scope of polluters widely from the direct polluters to the owners, possessors (occupiers), managers (operators) and transferees of 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control of soil contamination and imposed primary strict liabilities for purification on them.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laying such liabilities f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to the owners, possessors and managers of 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control of soil contamination infringes the equal rights and the property rights as they were bound to take the entire burden of the expenses of purification without any limits of liabilities and any other means to restrict the liabilities or any excuse for of exemptions was accepted. Another reason behind the ruling was that it violated the confidence protection principle due to its imposition of unlimited liabilities of purification to the soil-purchaser regardless of time of transfer.As a result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as partially amended on March 24, 2014 and was enforced on March 25, 2015 in order to alleviate the excessive burden and reorganize the system of liabilities for purifying facilities by removing the elements that were considered unconstitutional. It also mitigated the excessive burden of liabilities for purification by means of prioritizing orders of purification, resetting the limits of liabilities for purification as well as expanding the scope of exemptions for the owners, possessors, managers and transferees of 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control of soil contamination. This paper covers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as well as the content and the problems of the former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liabilities as part of the public law. It also seeks to evaluate and find possibilities of improvement in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scope as well as the limits of liabilities of the polluters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revised in 2014.

      • KCI등재

        토양오염에 대한 민사상 불법행위책임 - 최근 판례(대법원 2021. 3. 11. 선고 2017다179 등)를 중심으로 -

        임대성 한국토지법학회 2022 土地法學 Vol.38 No.1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f 2017da179 on March 11, 2021(which is the target judgment) is the case in which the land that is adjacent to the source of soil contamination is contaminate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May 19, 2016, 2009da66549, and the adjoining land contamination decision confirmed that both own and adjacent land contamination were one of issued conflict of civil rights. The target judgment includes the cost equivalent to the cost of remediation that has not yet been expended in determining the damage that is the basis for claiming damages in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soil pollution torts. The Supreme Court (refer to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November 27, 2014, judgment of 2014da52612) was at least at that time not sure about whether it was possible to claim the cost of soil remediation as a method of removing the obstruction against ownership. It is customary to to claim the cost of soil remediation as a method of charge based on Compensation for damages. At the same time, punitive damages were discussed and some were adopted as a way to respond to illegal acts that are gradually becoming more intelligent in claims for damages based on illegal acts, including environmental pollution lawsuits. Under this background, the ne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scope of damage to be more realistic in claims for damages for torts is constantly being raised, even if it is not an objection to punitive damages. Accordingly,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the interpretation of soil pollution damage as a consultation cost for remediation costs in the target decision. In particular, in order for damages based on torts to be established, the victim's damage must be recognized. In other words, it is about purifica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pollution. The duty to clean up soil contamination is stipulated as a discretionary act of the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s. For example, if the scale of pollution is small among the procedures, verification of the purification process can be omitted. Satisfying purification and verification has always been a concern, so it was the soil pollution level survey and the method that recently became an issue related to soil pollution in Busan Citizens Park in 2021. Considering the case where an individual, not a corporation, proceeds with land pollution-related lawsuits, in land pollution lawsuits such as the target judgment, the scope of damages is not limited to the cost equivalent to the remediation cost or the remediation cost and business loss within the remediation perio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land, the difficulty of complete removal of soil pollution, and the need for confirmation and management after processing. In my opinion, the cost of not jet processe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of reducing the property value of the land, of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damag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ollution is necessary to be imposed an obligation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Also, I think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criteria for discretionary judgment of soil remediation verification. It is worthy to consider to constitute the consent of the victim, as a condition of exemption from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대법원 2021. 3. 11. 자 2017다179 판결(이하 대상판결)은 토양오염이 발생한 오염원 토지의 인접 토지가 오염된 사례이다. 지난 대법원 2016. 05. 19. 선고 2009다66549 전원합의체 판결과 당해 인접 토지오염 판결을 통해 토양오염 사례에서 자기 토지오염과 인접 토지오염이 모두 주목받는 민사적 권리충돌 사안임이 확인되었다. 대상판결은 토양오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서 손해배상의 청구 근거가 되는 손해를 판단함에 아직 지출되지 않은 정화 비용 상당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토양오염 사실을 소유권 방해로 보고 이에 따른 방해제거의 방법으로 토양정화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대법원(대법원 2014. 11. 27. 선고, 2014다52612 판결 참조)은 소극적이기에 정화비용을 손해배상으로 청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시에 환경오염소송을 비롯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에서 점차 지능화되는 불법행위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이 논의되고 일부 채택되기도 하였다. 이런 배경하에서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서 손해 범위의 산정이 좀 더 현실화되어야 할 필요성은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반대론이 아니더라도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상결정(2016년 대법원 판결을 포함)에서 토양오염 손해를 정화비용 상담비용으로 보는 해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손해 발생이 우선 인정이 되어야 하는데 현행 법제에서는 발생한 손해가 인정 안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규정이 있기에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즉 오염범위에 따른 정화 조치 대한 점이다. 토양오염에 대한 정화 의무는 환경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행정부의 재량행위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절차 가운데 오염 규모가 적은 경우 정화과정의 검증은 생략할 수 있게 되어있다(환경보전법 제15조의6, 동법 시행령 제11조의2). 만족할 만한 정화와 검증은 늘 관심사여서 최근 2021년 부산시 시민공원 토양오염 관련 이슈가 된 것도 토양오염도 조사 여부와 조사 방법이었다. 더불어 최근 불법행위 책임법이 토양에 대한 물리적 침해 결과에 대한 제재에서 경제적 손실(손해) 등의 비물질적 침해에 대한 제재 방법으로 확대되어 기능하는데 대상판결은 이러한 점에서 소극적이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법인이 아닌 개인이 토지오염 관련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까지 고려해보면 대상판결 같은 토지오염 소송에서는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화 비용 상당 비용, 또는 정화 비용과 정화 기간 내 영업손실로 판단하는 데 그치지 말고,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의 특수성, 토지오염 즉 토양오염의 온전한 제거의 어려움, 토양 오염제거 후 사후확인과 관리의 필요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본다. 아직 처리되지 않았지만, 필수적인 것으로 예상되는 오염된 토양의 정화 비용은 물론이고, 오염책임자에게 피해자 토지의 토지오염측정 의무를 부과하고 해당 비용을 토지의 자산가치 하락 비용과 함께 손해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토양정화 검증의 재량적 판단에 대한 기준에 대한 재검토 및 입법적 재정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오염토지의 소유자 등 피해자 측의 동의를 재량적 판단의 전제로 구성하는 것이 한 방법이라고 본다.

      • KCI등재

        소급적 토양정화책임의 위헌문제

        김성배(Kim, Sung Bae)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환경법과 정책 Vol.8 No.-

        Thousands of sites have been contaminated by previous industrial use, often associated with traditional processess which are no longer used. These sites may present a hazard to the general environment, but there is a growing need to clean up. There are urgent and potential harm to human and ecosystem because of soil contamina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cover the soil contamination. There was growing environmental concern of soil contamination so that Korean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SECA) was enacted in 1995. SECA modeled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CERCLA) of U.S. which was urgently enacted to cope with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Love cannel. There were not many SECA cases in Korea compare to U.S. Recently, however, consitutional challenge against retroactive liability of SECA was filed in Constitutional Court. Generally interpreted, national assembly intended SECA to apply retroactively as like CERCLA. In US, retroactive application of CERCLA’s liability provisions facilitates the cleanup of hazardous active, inactive and abandoned waste sites, and although CERCLA is not expressly defined as retroactive, it may reach pre-enactment conduct. Even without an express statement on retroactivity, courts interpreting CERCLA consistently find that a combination of the statute’s purpose, structure and legislative history are sufficient evidence of congressional intent to overcome the traditional judicial presumption against retroactivity. This article outline CERCLA liability and Constitutional challenges and describes the traditional argument of retroactive legislation in part Ⅰ and Ⅱ. Part Ⅲ analyse Supreme Court case which deal with retroactive liability of Coal Act. Part Ⅳ compares Coal Act and CERCLA.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 that retroactive liability of SECA is within the constitutional limit due to features of soil contamination, Korean soil contamination history, result of balancing test, intent of legislation, importance of environment, urgent need of soil clean-up and lesson from various cases of US.

      • KCI등재

        2014년 개정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른 토양정화책임조항에 대한 평가와 전망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1

        지난 2012년 8월 23일, 헌법재판소는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에 따른 오염원인자조항에 대하여 2건의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불과 얼마 전인 지난 3월 24일,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위헌성 제거를 위하여 「토양환경보전법」이 일부 개정되었고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글은 2014년 개정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른 토양정화책임조항을 분석함으로써 그 해석론을 제시하는 한편, 종전에 지적되고 있던 위헌성을 제대로 해소하고 있는 것인지, 혹은 오히려 당초의 입법목적을 훼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른 정화책임조항과 관련하여 위헌 논란이 제기되고 있음에 비추어 향후 어떠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를 전망하고 있다. 개정법에 따른 토양정화책임조항에 대한 검토 결과, 개정법은 헌법재판소가 예시적으로 열거하고 있는 여러 대안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을 인식하고 이에 터 잡아 어느 정도 양자 간의 균형점을 찾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개정법이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 유무의 판단시점을 「토양환경보전법」의 시행일인 1996년 1월6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화책임을 면제하고 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리고 개정법은 복수의 정화책임자의 선택에 관한 사항을 대통령령으로 위임하고 있는데, 연대책임이 아닌 보충책임으로 규정하는 방식은 「토양환경보전법」의 입법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결코 채용되어서는 아니 된다. 한편, 토양오염에 전혀 기여하지 아니한 과거의 소유자에 대해서까지 정화책임을 지울 수 있는 여지를 열어두고 있는 부분, “정화책임의 제한”이 아니라 임의적인 “정화비용의 지원”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부분 등도 앞으로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이제 하나의 문제가 일단락되었을 뿐이다. 금번 2건의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직접 다루어진 쟁점과 그에 따른 이번의 법률 개정 이외에도, 개정법이 하위법령으로 위임하고 있는 중요사항, 그리고 토양정화책임체계에 관하여 우리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는 엄청나게 쌓여 있다. 부디 입법자가 현명한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앞으로의 하위법령 입안과정, 그리고 또 다른 위헌논란에 대응하기 위한 입법형성과정을 눈여겨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ontested provision of the Polluter Clause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SECA) was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violating equal protection principle, confidence protection principle and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in order to remove unconstitutional elements from the SECA, it was amended on March 24, 2014.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liability for clean up contaminated land under the amended SECA. First, it mad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civil liability for damages and clean-up liability under public law. Second, it replaced the term “Polluters” with the term “Parties liable for clean-up”. Third, it defined the second type of Polluter as the owner, occupiers or operators, not at the time of ordering to take cleaning-up measures, but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soil contamination. Fourth, it exempted person who purchased the contaminated land before January 5, 1996 from the liability. Also it enabled the competent authority to limit the liability of the person who purchased the contaminated land between that point and 31 December 2001. Fifth, it established the right to seek contribution from any other Polluter, set criteria of the exercise of discretionary authority to select one or more from Polluters, and provided financial aid to cover part of costs of cleaning up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burdens, in special cases. It seems to me that lawmakers gave some consideration for the SECA`s purpose of ensuring the quick and proper clean-up of contaminated soil and removing hazard or injury to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as well as its constitutionality. But, many issues, including the base point of confidence protection, legal priority ranking among responsible parties, and so on, remain controversial.

      • KCI등재

        토양환경보전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과제와 토양환경평가

        채영근(Chae Young-Geun) 한국비교공법학회 2008 공법학연구 Vol.9 No.1

        토양환경보전법은 애초 토양환경의 관리와 보전을 위한 규제를 주된 내용으로 하였으나 2001년과 2005년에 큰 폭의 개정을 거치며 오염원인자에 의한 오염토양의 복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토양정화사업이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그 원인은 근본적으로 법령상 제도가 미비한 데 있다. 현행 법령은 오염지역을 적극적으로 조사ㆍ발견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결여하고 있으며 토양정화를 위해 필요한 예산 및 정부의 책무규정들이 미비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오염조사가 보다 개별적이고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조직과 예산이 마련되어야 한다. 신고의무 위반에 대한 처벌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일정한 오염지역의 경우 토양오염조사 결과를 시민에 공개하고 정화절차에 시민감시를 제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 그리고 군을 비롯한 정부기관에 의한 토양오염의 경우에 지방자치단체의 통제와 감시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환경부가 행정권을 발동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수많은 유해물질들이 새로이 소개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토양오염물질의 종류를 확대해야 한다. 최근 폐쇄된 공장부지에서 심각한 토양오염이 발견되어 개발사업에 차질을 빚는 사례가 빈번하고 오염원인자인 토지 매도인의 매수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이 거듭 나오고 있어 앞으로 오염 우려가 있는 토지의 양수도에 있어서 토양환경평가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정확한 토양환경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기술력과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는가의 문제와 부실한 토양환경평가의 결과 나타나게 될 문제를 누가 책임질 것인가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 숙제라고 하겠다. Korean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as been implemented over a decade. Nevertheless, the number of sites which were remediated according to the statute is limited. To make the statute be more effective, various reforms must be adopted. The central government has not shown much interest in detecting and investigating contaminated sites. There is neither a financial nor personnel resources for the job. The regulatory power belongs to local governments which do not contain either expertise or financial resources. At now, there is shortage of government effort in implementing the statute in terms of executing the cleanup. The more resources should be alloted for the effort to implement the law. The citizen participation should be more encouraged by law. Currently there is duty to report any soil contamination incident except certain relevant officials of regulated industries. Even for these officials the duty is not mandatory. There is no punishment for failure to do so. Thus the law need to adopt mandatory responsibility to report certain contamination incident.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and cleanup of serious soil contamination, the citizen participation must be guarantee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d the plan of cleanup of certain contamination should be revealed to the public by law. Recently various old factory sites are being closed and sold for development. Many old factory sites were found to be heavily contaminated. Legal dispute over the responsibility to cleanup erupted between seller and purchaser of those sites. In many cases where the environmental due diligence was not undertaken during negotiation, the sellers were found responsible for the cleanup cost and the damages in result. Even though environmental due diligence was adopted within the law the practice was not often used. However, recent court decisions, hopefully, may lead real estate transactions to environmental due diligence. However, there is always possibility for any environmental consulting firm can make mistake in judging the possibility and estimating the extent of contamination at underground world. At this point, the consequence of mistake by any consulting firm is not for sure to whom and how it will be allocated.

      • KCI등재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토양정화책임조항 입법론

        박종원(Park, Jong-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환경법과 정책 Vol.10 No.-

        지난 2012년 8월 23일, 헌법재판소는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현행법 제10조의4)에 따른 오염원인자조항에 대하여 2건의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 글에서는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지적하고 있는 위헌성을 제거하기 위한 토양정화책임조항 입법론을 전개하면서, 입법론에 기여하는범위에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평가 및 현행 토양정화책임법제에 대한 해석론을 겸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가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점유자?운영자 또는 양수인에게 정화책임을 지우는 것 자체가 헌법 위반이라는 것이 아니라, 이들 책임을 완화하거나 면제하는 등의 일정한 미세조정이 필요함을 까닭으로 위헌성을 지적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헌법위반 상태를 제거하면서도 ?토양환경보전법?의 당초 입법취지가 최대한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평등원칙, 신뢰보호원칙, 과잉금지원칙 위반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분석하고 각각의 쟁점별로 입법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평등원칙 위반과 관련하여, 제2호의 책임과 제3호의 책임의 성격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전제하고 있는 헌법재판소 다수의견을 경찰책임론에서의 상태책임 법리에 비추어 비판적인 시각에서 평가하고, 해석상의 혼란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입법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신뢰보호원칙 위 반과 관련해서는, 토양오염에 관한 입법연혁을 고찰함으로써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의 유무, 손상되는 신뢰이익의 정도나 크기 등을 가늠하고, 그에 입각하여 1970년대 이후의 특정 시점 이전, 그 시점 이후로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그리고 2002년 1월 1일 이후 양수의 경우로 구분하여 그 책임을 면제하거나 제한하는 방안을 입법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과잉금지원칙 위반과 관련해서는, 연대책임과 오염원인자 간의 구상관계, 복수 오염원인자 간의 선택, 책임 면제 또는 제한을 통한 책임 완화 등에 관하여 차례로 검토한 후, 구상권에 관한 법적 근거 마련, 복수 원인자 간의 선택에 관한 선택재량의 행사기준 마련 혹은 우선순위의 설정, 과도한 책임 부담 완화를 위한 책임 제한 또는 국가의 비용지원 등의 입법대안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공법상 책임과 사법상 책임의 준별, 오염원인자 용어의 전환, 정화책임자의 범위 등에 관한 조항과 정화조치명령에 관한 조항의 관계 설정, 토양환경평가 실시 및 그 결과의 신뢰를 통한 선의?무과실 추정, 정화책임을 면제받은 소유자의 횡재 가능성 배제 등에 관해서도 일정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ontested provision of the Polluter Clause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SECA) was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violating equal protection principle, confidence protection principle and proportionality principl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and show legislative improvements involving liability for cleaning up contaminated land. Why did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 the Polluter Clause was unconstitutional? It was not because it provided that owner, operator or purchaser was included in “Polluter”, but because it put “Polluter” unexpected or excessive liability. In looking for ways to amend the SECA, lawmakers should give due consideration for the SECA’s purpose of ensuring the quick and proper clean-up of contaminated soil and removing hazard or injury to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as well as its constitutionality. Based on these aspects, this study presents some concrete ways to amend the SECA, removing unconstitutional elements from the SECA. First, the second type of Polluter should be clearly defined as the owner, occupiers or operators, not at the time of ordering to take cleaning-up measures, but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soil contamination. Second, person who purchased the contaminated land before the specific point in the 1970s, should be exempted from the liability. And person who purchased the contaminated land between that point and 31 December 2001, should be subject to the limitation of liabi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ight to seek contribution from any other Polluter, set criteria of the exercise of discretionary authority to select one or more from Polluters, and provide some ways to reduce excessive burdens, including the limitation of liability or financial aid to cover part of costs of cleaning up, in special cases.

      • KCI등재

        폐기물관리와 토양환경보전에 관한 현행법의 규율현황 및 문제점

        정훈 ( Hoon Jeong ) 한국환경법학회 2012 環境法 硏究 Vol.34 No.3

        Wastes finally return to soil, whether disposal(incineration, landfill, recycling or any way) or dumping or whatever, and then it is the cause of soil contamination. In that sense, waste and soil are closely connected. Korean law on waste and soil, however, is divided into ``Waste Control Act`` and ``Soil Evironment Conservation Act`` each. The difficult problems of this legislation is as follows. For exemple, there would be problems, such as when a dumping waste(or contaminated soil) on soil causes soil contamination, what kind of administrative measure must be issued; Order to Take Actions for Disposing of Wastes under Waste Control Act or Order to Tak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oil Contamination under Soil E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this connection,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contaminated soil is not waste. To solve these problems, both law on waste and soil are revised for soil evironment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