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생성형 AI 사용 경험과 수업 활용에 대한 관심도 분석-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유지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의 등장은 교육분야에 큰 도전이 되고 있는 가운데, 생성형 AI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과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육자들이 지닌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생성형 AI에 사용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 관심기반수용모델(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적용하여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A대학 소속 교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양한 계열의 교수자 100명의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자 대부분은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으나, 교육적 활용경험은 높지 않았다. 잘못된 정보나 편향된 정보 제공, 학습윤리문제 야기, 사용자의 활용역량 미흡등에 대한 우려를 보고하였으며, 다음 학기에 수업 적용 의도는 6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관심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교수자의 관심도는 비사용자 유형에 해당하였고, 단계 중 결과(consequence) 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았다. 셋째, ANOVA로 교수자의 계열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생성형 AI 사용 경험 수준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다음 학기 수업 적용 의도 수준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이미 수업에 적용 중인 교수자들은 결과, 협력, 대안 단계에서 관심이 높게 나타나 다른 집단과 다른 관심도 양상을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서 생성형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rise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poses challenges for the education sector. To explore strategies for addressing generative AI issues and identifying educational applications, it is essential for us to understand the concerns and attitudes of educators, who are the key implementers in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concerns of university professors regarding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by utiliz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Data was collected from 100 professors representing various disciplines at University A in Gyeonggi-do. The majority of respondents had some experience with generative AI, but its educational utilization was limited. Concerns included the provision of incorrect or biased information, ethical issues, and users' lack of ability to use generative AI. However, 61% of responde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apply generative AI in their courses in the upcoming semester. Concern levels aligned with the non-user profile, with lower concerns in the consequence st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levels based on the professors' disciplines, bu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in their classes. Professors who had already used generative AI in their classes showed higher concerns regarding the consequence, collaboration, and refocusing stag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in hig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최민지,박미정,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4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he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perception about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middle school HE teachers over the whole country except Jeju Island through mail or e-mail by systematic random sampling. 118 data collected from the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statistically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 t-test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most HE teachers were in stages of the personal concern (86.56) and the informational concern(85.42) about HE career education. Second, the highest number of teachers was in level of refinement(33.1%) use. Third, teachers recognized important goal of HE career education as ‘understanding of diverse careers and formating of positive values and attitude about work’. Also they had generally conducted HE career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eenager’ chapter of a first-year middle school. However they had struggled with difficulty such as lack of data, time, and expertise in conducting HE care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upport such as development, supplies, and training opportunities of care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자신의 실행수준은 다소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CBAM을 활용한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인식조사

        배진희,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진단하여 학교현장에서의 내실 있는 과정중심 평가 실행에 필요한 알맞은 지원책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CBAM을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정중심평가가 결과중심평가에 비해 학생을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가정과교사들이 과정의 교육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더 유익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피드백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실행 시기에 관해서는 혼란을 보였으나, 과정중심평가에 서의 피드백의 의미와 활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관심도는 4단계(결과적 관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함으로써 개인의 전문성과 학생의 학습에 어떠한 결과나 나타날지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실행도 측면에서 대다수의 가정과교사들은 이미 한 학기 이상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정중심평가를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거나, 실행에 관심을 두지 않는 교사는 보이지 않았으며, 미실행 중일지라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있는 1수준(입문) 상태이거나, 과정중심 평가 실시 시기를 계획하는 등 실행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2수준(준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Stages of Concern (SoC), and Levels of Use (LoU)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mong Home Economics (HE) teachers to determine the necessary support for its implementation in schools. Data were gathered from a survey administered to H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viewed process-based assessment favorably, valuing its multifaceted evaluation approach over result-based assessment. The feedback from process-based assessments was seen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for both educators and students. While some teachers expressed uncertainty about the optimal timing of implementation, they generally demonstrated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feedback concept within the assessment process. HE teachers were predominantly concerned with their own professional expertise and the learning outcomes of their students. The majority of HE teachers have utilized process-based assessments for at least one semester. None deemed it irrelevant to their practice or showed disinterest in its adoption. Those who had yet to implement it were either in the first(introduction) or the second(preparation) stages.

      • KCI등재

        STEAM 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CBAM의 관심 단계, 실행 수준, 실행 행태를 중심으로

        박현주 ( Park Hyunju ),심재호 ( Sim Jaeho ),권혁수 ( Kwon Hyuk-su ),김영민 ( Kim Youngm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 단계, 실행 수준, 실행 행태에서의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관심중심 실행모형(CBAM)이었다. 연구 대상은 2017학년도의 창의융합교육 선도학교, STEAM 교사연구회, 학교내 무한상상실에서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 총 290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은 STEAM 교육에 대한 지각 단계 수준의 관심은 감소한 반면, 정보, 개인, 운영, 결과, 협동, 강화 단계의 관심은 모두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더 깊어졌음을 나타낸다. 둘째, STEAM 교육 활동 후, STEAM 교육의 비적용, 입문, 준비, 일상화 등의 수준을 보이는 교사 수는 감소하였고 정교화와 통합의 수준을 보이는 교사 수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 수준이 높아졌음을 나타낸다. 셋째, 교육 활동 전과 후, 창의융합선도학교 교사들의 지각 단계의 관심은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STEAM 교사연구회 교사들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볼 때 창의융합선도학교에서 STEAM 교육의 실행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 문제를 해소할 방안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사들의 STEAM의 실행 행태의 경우, 평가 영역을 제외한 교과, 시간, 수업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볼 때 STEAM 교육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STEAM 교육을 적용하는 교과가 다양화될 수 있도록 여러 교과에 적합한 STEAM 수업 전략과 모형 개발, STEAM 교육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증거의 축적과 제시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tage of concerns,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in STEAM leading group teachers before and after STEAM using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CBAM). A total of 290 teachers in K-12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data was analyzed for 71 teachers who answered all of the questions in the pre- and post- investigation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EAM leading group teachers have shown a tendency to reduce the awareness concern in STEAM education and to increase interest in informational, personal, management, consequence, collaboration and refocusing phases. Second, STEAM leading group participation teachers showe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achers who show a level of nonuse, orientation, preparation, and routine use of STEAM education after STEAM education activities, and an increase in number of refinement and integration. The overall STEAM leading group teachers responded to the relevant surv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efore and after STEAM education, but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TEAM research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pth the factors that impede the execution of STEAM education in the lead school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Third, there has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STEAM education in the lead school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after STEAM education for each type of innovation configuration of STEAM implementation except for the area of assess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variety of STEAM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For example, STEAM teaching strategies and models should be developed for various subjects so that subjects that apply STEAM education can be diversified, and accumulation and presentation of various evidence on the effect of STEAM education are required to diversify the subjects that apply STEAM education.

      • KCI등재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초중등 교사의 관심 분석

        강운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George 등(2013)이 제안한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을 밝히고, 성별, 연령, 학교급,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연수 경험 등의 변인이 관심 단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현직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집방법 중의 하나인 임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수준에 관한 집단 자료 해석을 통해 비사용자의 프로파일과 유사하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운영 관심 단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관심수준에 관한 최고점 분석을 통해 무관심 단계(단계0)의 비율이 80%를 차지하며, 결과 관심 단계에 있는 교사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근무경력, 근무 학교급 변인을 비롯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교내 연수 경험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관심 단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범교과 학습주제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함의와 연구 한계 및 미래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ages of concerns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mong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 total of 291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adaptation of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teachers.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aggregat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results and developing a profile that provided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tage of the individuals in a group. Mean scores were converted to percentiles and plott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George et al. (2013). Findings indicated that 80% of the teachers in this sample focused on the unconcerned stage of the CBAM model in relation to ESD and the respondents had little concerns about management. Secondly,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school level, and training experience in schoo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cerns about ESD. The paper includes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1)

        차민경 ( Min Kyung Cha ),김민경 ( Min Kyeong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analyze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s support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at which levels and how actual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also how they adopt it. In addition, the researcher l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eeking proper supporting strategies for helping elementary teachers implement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eaching activitie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concern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 KCI등재

        관심기반 채택모형(CBAM)에 기반한 초등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1

        Coding educ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find what kind of concern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oftwar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have on the coding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4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coding education based on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In the research, the stage of concerns in cod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characteristics most similar to nonuser profiles. Male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coding education than female teachers, showed more concerns in exploring alternative aspects of coding education and the interests of teacher groups.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training have higher concerns in coding education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s of training,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influences on students and the cooperation with coworker teachers. The lower the coding ability and coding preference, the less concerned in coding education, the uncertainty, and the less concerns in the influences of coding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uncertainty of the coding educ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sess, the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to guide what they should prepare, and have to clarify what they can offer to teacher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coding education should been expanded and it is necessary to be widely known to teachers. and coding education training curriculum must be made that includes sufficient methods and informations for coding education management. Training course for improving teachers’ coding ability should be expand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ective use of teachers love and be good at coding. 코딩교육은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가 코딩교육에 대해 어떤 관심도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 연구는 CBAM에 기반하여 초등교사 419명을 대상으로 코딩교육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는 비사용자의 프로파일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남자 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코딩교육의 관심도가 더 높았고, 코딩교육의 대안적 측면과 교사집단의 이익을 모색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코딩교육 관심도가 높았고,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동료 교사와의 협력에 더 관심이 많았다. 코딩역량과 코딩선호도가 낮을수록 코딩교육에 무관심하고, 불확실해 하며, 코딩교육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이 갖고 있는 코딩교육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안내해야 하고, 교육당국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해야 한다. 코딩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 널리 알려질 필요가 있고, 코딩교육 운영 방법과 정보가 충분히 포함된 코딩교육 연수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한다. 코딩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가 확대되어야 하고, 코딩을 좋아하고 잘하는 교사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학기술부 u-러닝 연구학교’ 교원의 관심도 분석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통해 본 사례 연구

        이경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교육과학기술부의 u-러닝 연구학교는 교육정보화 사업 중 가장 앞선 부분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을 어떻게 수용하고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u-러닝 연구학교인 ‘희망’초등학교(가칭)와 ‘소망’중학교(가칭) 교원의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에 근거하여 관심단계 설문지(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를 사용했으며 개방형 질문과 비형식적 인터뷰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희망초는 변화의 초기에 나타나는 관심단계 분포도를 보였다. 둘째, 소망중은 변화의 중기와 후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초과 소망중의 이러한 차이는 희망초가 올해 새로운 연구 과제를 시도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두학교 모두 교원의 직위, 연구학교 관련 업무, 교육경력에 따라 다양한 관심단계 분포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변화가 진전될수록 ‘정보’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나, 두 학교 모두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러닝에 대한 ‘정보’ 측면의 관심은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학교는 u-러닝 연구학교 운영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연구학교 3년차를 맞이한 시점의 학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CBAM이 교육 현장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확산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initiated u-learning pilot schools approximately five years ago. These projects entailed a great deal of planning and investment from everyone involved. The teachers at these schools were faced with significant challenges of teaching students to use the new technological cyber-home learning system. Using the interest-based adoption model (CBAM) of chan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ests of teacher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u-learning at pilot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high information stage concerns were prevalent at two pilot schools, even though it had been 3 years since the project was initiated. Fu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rns of teachers acros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ask which was assigned to them.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that a sustained and targeted professional development addressing the different interests of teachers are needed in order to fully integrate u-learning in theses schools.

      • KCI등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기반한 A 대학 교수들의 PBL에 대한 관심도 분석

        이정은(Jeong Eun L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관심중심수용모형을 개념적 틀로 선정하고 PBL이 대학 교수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PBL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관심단계 설문지를 활용하여 A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t-test, ANOVA, Χ2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 대학 교수들은 PBL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으나 PBL 도입에 따른 업무 변화나 도입 효과에는 관심이 미치지 못한 초보적인 사용자의 인식패턴을 보였다. PBL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으나 교수법과 관련한 동료교수들과의 협력에는 관심도가 낮았고, 대안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다. 또한 혁신에 저항을 의미하는 꼬리 올리기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PBL의 세부 운영 절차나 효과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서 PBL의 직접 운영에 대한 관심 단계까지 혁신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PBL 이외의 대안적인 교수법에 관심이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PBL에 대한 관심 단계는 교육경력, 전공계열, 관심단계 유형, PBL 적용 경험에 따라 상대적 강도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 PBL이 도입된 지 15년이 되었지만, 약 40%가량의 교수들만 PBL을 능숙하게 사용하고, 나머지는 초보적인 사용자나 비사용자에 머물러 있었다. 따라서 PBL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는 PBL의 변형 적용이나 대안적 교수방법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초보적 사용자에게는 PBL 운영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 PBL 비사용자에게는 PBL의 특성, 효과, 실천에 요구되는 사항을 안내하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PBL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교육경력, 전공계열, 관심단계 유형, PBL 적용 경험에 따라 관심의 상대적 강도에 차이가 존재하였으므로 교수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길 제안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I analyzed how PBL was being accepted by university professor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spread of PBL based on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 Method: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argeting professors of A university using the Stage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and t-test, ANOVA, and X2 were conducted. Results: The Level of Concerns of professors of A university showed inexperienced user recognition pattern, which has a general awareness of PBL. However, they did not have any interest in task changes or the effects of PBL introduction. Although the interest in PBL was high, their interest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professor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was low, but the interest in alternatives was high. Furthermore, a tailing up phenomenon was observed and there was resistance to innovation. This meant that they could not accept innovation up to the stage of interest in direct operation of PBL and took a interest in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other than PBL due to the low interest in detailed operation procedures or effects of PBL.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est in PBL differed in relative intensity ccording to educational experience, major, type of interest level, and PBL application experience. Conclusion: It has been 15 years since PBL was introduced, but only about 40% of professors used PBL proficiently, and the rest still remained novice users or non-users. Therefore, customized support is needed according to the Stage of Concern profile: 1) the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variations of PBL or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ovided to the professors who are proficient in using PBL, 2) the specific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for PBL operation is needed to novice users, 3) the customized support to guide the characteristics, effects, and requirements of PBL should be provided to nonuser.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customized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 should be provided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ntensity of interest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major, type of interest level, and PBL application experience.

      • KCI등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 분석

        사현주(Sa, Hyun-Ju),김은주(Kim, Eun-J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하여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단계를 조사하여, 이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와 의견을 알아보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 안착과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무선표집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CBAM의 관심 단계 설문지 및 자유응답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가운에 면담에 동의한 6명을 대상으로 화상희의, 이메일, 면담 등의 방법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 자유 응답,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단계 및 First-Second Peak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지각적>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대안적> 협력적> 결과적 단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지각적, 정보적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러나 꼬리 상향(Tail-Up)을 보이고 있어 대안탐색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S 분석에서 지각적-정보적(0-1)의 교사와 지각적-운영적(0-3)의 유형에 많은 교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지각적-정보적(0-1)의 교사의 경우 단순히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향인데 반하여, 지각적-운영적(0-3)의 범주에 속하는 교사의 경우 STEAM 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두 경우 모두 결과적 단계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아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교사들의 관심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 단계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대다수가 지각적, 정보적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만, 대안탐색의 의지를 갖고 있다. 이에 STEAM 교육에 대하여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하며, 메타버스, 블렌디드 러닝과 같은 새로운 교육의 흐름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제시해주어야 한다. 둘째, 교육 정책의 실행 여부의 결정에 있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교사들이 STEAM 교육을 실행하고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STEAM이 수업과 관련 없는 업무를 가중시키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이에 여러 가지 대안이 필요하며 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STEAM 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여태까지 지속되어 온 여러 가지 지원책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는 STEAM 교육의 본질적 필요성과 가치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 STEAM 교육과 기존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 교실에서의 실행 중심의 연수 방식, 연수와 연계한 실천 교사에 대한 개별 예산 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bout STEAM on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 to know their needs and opinions about STEAM and to find out how to make STEAM rooted and promoted in school. Method: 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of CBAM including free answers for 1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s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 about STEAM and their First-Second Peaks were analyzed with the data. Resul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 ranked Unconcerned> Informational> Personal> Management> Consequence> Collaboration > Refocusing and most of them stayed at the stages of Unconcerned and Information. But Tail- up showed their attitude to try to find out better ways for STEAM. In F-S analysis,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ayed at the Unconcerned- Information(0-1) stages and Unconcerned-Management(0-3) stages. The Unconcerned-Information(0-1) stages teachers needed more information about STEAM but Unconcerned-Management(0-3) stages teachers tended to have more or less negative attitudes for STEAM. And most of teachers ranked the lowest at the stage of Consequence. Conclusion: Firs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yed at the stages of Unconcerned and Information but Tail-up showed their attitudes to find out better ways for STEAM. Second, STEAM policy should be practiced on basis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concent not by adding another work irrelevant to teaching and focusing on the effect on students. Third, newly made and improved supporting ways are needed, such as providing enough information on why STEAM is needed, what are values of STEAM, how STEAM can be involved in 2015 curriculum, and practice-center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 budget support for individual teacher not schools or research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