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当前农村义务教育的现状与对策研究

        왕영락,이상엽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8 동방학 Vol.15 No.-

        The rural compulsory educat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tate's long-term stability and prosperity. As the 900 million rural populations, basic education relates to the future of the entire country, and has a pivotal role. The seriousness and difficulties of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areas recently caused great concern in the National People. If we really want to achieve the unification of the country urban and rural compulsory education, there is still a difficult way to go. Compulsory education in the past is not really completely free compulsory education for all. In 2005 Beijing and Suzhou City declare that: from 2006, will implement the true sense of the entire free compulsory education. This seems to be shown that all compulsory education freely in the country during the period of "11th Five-Year Plan" has been began, the rural compulsory education is about to enter a new historical period.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today,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olicy and implement on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explore the future of rural education development, it is undoubtedly an important and urgent task for the education workers. In this paper, a series of views and opinions were put forward, based on the spot inspection on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main problems of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areas as follows: there is a larger gap between the urban environment and rural compulsory edu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rural economy backwardness; teacher strength is weak, treatment of teachers is poor, th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be protected ; financial funding for compulsory education constraining, a serious shortage of funding for education; the curriculum of compulsory education lagged; more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and reading useless on a resurgence; and the emergence of some new problems due to social development process so on. There are reasons as follows: the economic backward of rural is the root cause of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areas; dislocation goal of education in rural areas, further studies education and education apart from agricultural occupied a dominant position; the reform of financial system and education system, resulting in the lack of funds for compulsory education in rural areas; Social, family, parents and other factors. There are solutions as follows: promoting rural economic development in rural compulsory education is the key; deepening the rural reform is a powerful impetu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system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resources in some cities servicing for rural; strengthen efforts to publicize and strengthen the main law enforcement status, the prevention of drop-out rates rise. 중국의 농촌의무교육은 국가의 장기적 안정성과 번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농촌인구가 9억명에 달함에 따라 기초교육은 나라 전체의 미래와 관련되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농촌지역 의무교육의 심각성과 어려움은 최근 전 국인들에게 지대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의무교육간의 통일을 기하는 데에는 아직도 의견이 엇갈린다. 과거에는 의무교육이 완벽하게 실시되지 않았으나, 2005년 베이징과 소주시에서 완전한 의무교육을 천명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의무교육이 실시되는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접어들었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농촌지역의 의무교육 정책의 실태와 문제점을 이해하고 농촌 의무교육의 미래를 탐색하는 것은 교육관련 종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 학교에서의 의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농촌지역에서 의무교육의 주요 문제점은 1)농촌지역의 경제적 낙후에 따른 도농간 의무교육 한경의 격차, 2)교사의 취약성과 대우 차이, 이로 인한 교육의 질 차이, 3)의무교육에 대한 재정투자의 문제점, 4)교육과정의 지체, 5) 학생들의 학습 격차 등등 사회주의 발전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기타 문제점 등을 분석한다. 이런 문제점들의 원인으로는 농촌의 경제적 낙후로 인한 의무교육의 근본적인 문제, 교육의 목표 부재, 재정 시스템과 교육시스템의 미흡으로 인한 투자 결핍 외에 국가, 부모, 기타 요인들을 들 수 있다.이의 해결책으로는 농촌의 경제개발이 급선무이고, 교육자원의 체계 재설정, 주요 법령 공표 및 제정 등등을 제시하기로 한다.

      • KCI등재

        주요국 의무교육제도 비교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김민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Compulsory Education and free education system are to guarantee the equal opportunity that is right to be educated in modern public education system. Compulsory education is the obligation to guarantee the right of the people to education. Free education is sit in order to solve the financial limitations of the country. Korea has nine years of compulsory education plan is complete and has been implementing some of the principles of free education. Comparing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of major countries, most countries have 9 years of compulsory education system, but the scope of free education is different, and the support for kindergarten, high school level and low income class is increasing. Through these results, we clarified the implications of the clarification of the national compulsory education goal, the willingness to secure financial support, and the expansion of the gratis scope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compulsory education and gratitude in Korea. 현대 공교육체제에서 의무성(義務性)과 무상성(無償性)은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체제로 인정받고 있다. 의무성은 국가가 국민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책무라고 한다면, 무상성이란 교육을 받는 학생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교육활동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무료로 하는 교육의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국가의 재정적 한계를 반영하여 순차적으로 시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7개 주요국가의 의무무상교육 체제 구축 현황을 의무 무상교육기간, 교육비 부담 주체 및 재원확보 방식, 무상교육 지원 범위로 세부 내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국 의무교육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대부분 국가에서는 9년 정도의 의무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나 무상의 범위는 모두 다르게 나타났고, 유치원, 고등학교 단계 및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의무교육 및 무상성의 범위 확대 등을 위하여 국가의 의무교육 목표 명확화, 재정확보 의지 및 무상범위 확대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초등의무교육제 형성 연구

        오성철 ( Oh Seongcheol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한국의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에서 핵심 주제는 그것의 실현 과정에서 요구되는 재정적 조건이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확보되었는가, 그리고 의무교육제 실현 과정에서 단지 취학률의 상승과 같은 표면적인 지표 외에도 취학의 질 및 내실과 관련하여 어떤 조건 하에서 초등교육의 의무제가 실현되었는가, 보다 근본적으로 한국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의 역사사회적 특질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다. 한국의 경우, 1948년의 헌법과 1949년의 교육법에 의거해 법제화된 초등의무교육제는 1950년대 의무교육완성6개년계획 시행으로 인해 취학률 면에서 거의 완전취학을 달성하였으나, ‘무상교육’의 원칙을 실현할 수 없었고, 비정상적인 초과밀학급 상황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196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심지어 베이비부머가 초등학교로 쇄도하기 시작하는 1960년대에 이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박정희 정권은 다시금 의무교육제 실현을 위한 정책을 수행해 나가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의 경제개발계획과 결합된 의무교육내실화 정책으로 상황은 점차 개선되어 나갔지만, 의무교육 실현의 재정부담을 학부모들이 담당하는 이른바 ‘유상제’ 의무교육의 현실은 지속되었다. 한국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의 주된 특질은 그것이 아동의 학습권이라는 사회보장적 측면보다는 국가의 인력양성 측면이 우선되었고, 유상제로 진행되었으며, 교육의 질보다는 양적 확대에 치중하여 진행되었다는 점 등이다. 유상제 초등 의무교육제의 형성은 이후 ‘유상제’중등교육의 팽창으로 대표되는 한국적인 교육팽창의 특질을 만들어내는 역사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This paper is historical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mportant questions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ly, how and by whom the financial conditions needed for the accomplishment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were secured? Secondary, how were the internal stabilities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this question, the qualities of the enrollment in primary schools such as a figures of pupil per class or the attendance rate or drop out rate are crucial. Finally, what were the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n regards to these quest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in South Korea system was accomplished under the principle of non-free education. Korean people paid enormous amounts of financial expenses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primary education. 2. The major principle inherent in the policies of compulsory education was rather oriented toward the human-resources development than the guaranteeing social welfare of children. 3. During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compulsory education, the principle of quantitative expansion of opportunities was taken precedence over the qualitative improvements of educational conditions in primary education. In South Korea,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t preferential emphasis of educational policies to the speedy elevation of enrollment rate of primary schools during the periods from 1950s to 1970s. But more important aspect in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of South Korea is that the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could 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enormous efforts of Korea peoples from below.

      • KCI등재

        북한 의무교육제도의 전개와 12년제 의무교육제도 추진에 대한 연구

        김지수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교육사회학연구 Vol.23 No.3

        DPRK Supreme People’s Assembly legislated for executing 12-year compulsory education on September 25, 2012. North Korea has executed 11-year compulsory education in the 1970s, so new raw has more meaning than just extending for another year. North Korea's new leader, Kim Jeong-Eun has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enhancing secondary education to cultivate people with ability required by the Knowledge Economy System. So the plan of executing 12-year compulsory education includes the innovation of curricular and education metho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 recruiting of excellent teachers. Kim Jeong-Eun regime has a plan to normalize school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executing 12-year compulsory education. This plan depends on North Korean people’s support and cooperation, and the condition of North Korean economy to support the innovation of education. Since 1945, North Korea has developed the movement of extending school and the expansion of compulsory education. Most of them were progressed by North Korean people’s support and cooperation. The plan of executing 12-year compulsory education also needs North Korean people’s support and cooperation. The success of Kim Jeong-Eun’s educational policy required by the knowledge economy era depends on improving the unequal public education and involving North Korean people’s educational fever. 북한 최고인민회의는 2012년 9월 25일에 12년제 의무교육 추진에 대한 법령을 제정하였다. 1970년대부터 11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던 북한이 12년제 의무교육 법령을 제정한 것은 단순히 의무교육 기간을 1년 더 연장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북한의 김정은 정권은 과거 북한에서 의무교육제를 확대할 때 벌였던 ‘전인민적 운동’방식을 활용하여 북한의 학교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식경제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중등일반교육을 개선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12년제의무교육의 추진 계획에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개혁, 교육 시설 및 환경 개선, 우수 교원 충원 등의 교육개혁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김정은이 북한의 최고집권자로 등장한 후 개최된 최초의 최고인민회의에서 교육개혁을 위한 의무교육제 법령을 제정한 것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계승자로서 의무교육제 확대의 전통에 자신의 업적을 더함으로써 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북한 주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김정은 정권의 계획은 12년제 의무교육의 실시와 교육개혁이 북한 주민들의 지지와 협력 속에서 ‘전인민적 운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북한의 경제 상황이 이런 교육개혁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가에 성패가 달려있다. 북한이 해방 이후 전개해온 학교증설 운동과 의무교육제 확대 사업은 기술의무교육제의 추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북한 주민들의 지지와 협력 속에서 ‘전인민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2년제 의무교육 추진과 함께 진행되는 교육개혁이 북한 주민들의 지지와 협력을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는 2000년대 들어 심화된 북한 학교교육에서의 불평등이 얼마나 개선될 수 있는지 하는 문제와 지식경제시대를 대비한 김정은 정권의 교육개혁의 내용이 북한 주민들의 교육열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 KCI등재후보

        의무교육에 대한 국가과제의 수행과 그 수단 선택의 한계 -학교용지확보 및 학교용지부담금을 중심으로-

        김진곤 ( Jin Go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硏究 Vol.23 No.4

        인간 공동체 내에서 교육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교육은 문화전승과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하고, 오늘날 민주국가에서 민주시민의 기본양식 을 배우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국가는 교육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으며,일정한 범위의 교육에 대하여 의무교육으로 제도화한다. 헌법 제31조도 교육을 받을 권리, 교육의 의무 및 의무교육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의무교육에 대한 국가의 과제는 기본권 적 측면과 의무적 측면이 대칭적으로 규범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국가의 기본적 과제와 책임에 대한 선언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이러한 방식으로 헌법에 규범적으로 선언한 이면에는 자녀의 보호자에게 취학시킬 의무뿐만 아니라 국가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대한 인적 및 물적 기반을 형성하여야 할 책임이 도출되므로 무상원칙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의무교육에 대한 국가의 과제는 당연히 국가의 일반 재정배분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며, 모든 국민의 의무실현을 위하여 특정 집단에게 추가부담을 가하여서는 안 된다. 국민이 반대급부의 전제조건 없이 납부한 조세로부터 조달되어야 하며, 특별부담금 등의 형태로 차별적 부담을 지우는 것은 헌법상 재산권 및 평등권 등을 침해하는 것이다.하지만 국가가 일정한 토지개발이나 주택개발을 시행하는 사업자 등에게 학교용지를 의무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은 일정한 한계 내에서 이루어진 다면, 재산권이나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는 적어도 의무교육의 범위 내에서는 조세를 통한 재정조달의 방법을 사용할 것이지, 특별부담금과 같은 특정 집단에게 추가적 부담을 지우는 수단을 활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왜냐하면 입법자가 스스로 헌법상 예산총계주의 나 예산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약화시키는 경우 국가의 재정질서를 교란시 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용지부담금제도에 대하여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Education is one of the basic essentials in human societies. Education contributes to pass down the cultural legacy and to integrate the society. It is also the learning process of basic standard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current democratic states. Therefore, a state has a great concern for education and institutionalizes a certain scope of education as compulsory education.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the obligation to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Because the aspects of fundamental rights and obligations are mixed up in a state`s task of compulsory education, the declaration of basic tasks and duties of a state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compulsory education is normatively declared in the Constitution, it is certain that the Constitution imposes a duty on parents to put their children in school and, at the same time, on the state to actively develop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education. Regarding these contexts, this is obvious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free.Budget for free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general budget allocation. It is not allowed to impose an additional burden on certain groups in order to fulfill the duty for all citizens. In other words, budget for free education should be covered by (general) tax without precondition of a benefit in return. It is a violation of (constitutional) equal right and property right to lay discriminating burden as a form of Sonderabgabe.On the other hand, it is allowed for a state to impose business operators,developing land and housing complex, on providing school site only if it is laid in a certain limits. As it is mentioned above, compulsory education budget should be covered by public finance from tax. A state should avoid a way to lay extra burden on a certain groups. This is because it may disturb financial order of a state by weakening the democratic control over budget or comprehensiveness of budget. Therefore, a legislative improvement in school site fee system is needed.

      • KCI등재

        의무교육에 관한 헌법적 고찰

        정재황(Jae-Hwang JEONG)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3

        본 연구는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효성 있게 하는 의무교육에 대한 헌법이론연구와 판례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의무교육에 관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의무교육의 기능이나 성격,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무상원칙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인데 그동안 헌법이론적인 고찰이 생각보다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황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의무교육과 그 무상원칙에 대해 헌법이론적이면서도 헌법판례분석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헌법이론적인 연구에서는 의무교육의 범위를 고찰함에 있어서 헌법규정해석의 관점을 재정리하고 무상성의 성격이나 그 범위 인정에서의 논의 시각의 정립 등을 시도하여 의무교육제도와 그 무상성원칙의 이론의 틀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의무교육의 무상원칙에 관해서는 그 경비의 부담주체가 국가만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해당되는데 이에 관한 판례를 살펴보고 특히 파장이 컸던 학교용지부담금결정을 분석하였다. 학교용지부담금에 관해서는 수분양자에 대한 부과가 위헌이라는 결정과 개발사업자에 대한 부과가 합헌이라는 결정이 있었는데 그 논증의 일관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실질적인 문제로서 의무교육의 무상원칙이 적용되는 범위가 수업료의 면제 수준을 넘어서 어느 정도까지 인정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에 헌법재판소는 학교급식에 관한 결정에서 무상의 범위 인정 기준을 제시한바 있고 학교운영비에 관한 위헌결정 등 중요한 결정례들을 보여준 바 있다. 이러한 판례들을 분석하여 비평하고 앞으로 의무교육에서의 무상의 범위가 어떠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인지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경우에 헌법에 의무교육 무상원칙이 규정되어 있는바 무상의 공교육 보장을 헌법규정을 두고 있는 프랑스의 예가 대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 참고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review Korean compulsory education which has contributed to guarantee of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by analyzing constitutional theories as well as constitutional cases. 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compulsory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discuss about the function, characteristics and gratuitous principles, there have not been many constitutional research on these issues. This study tried to reanalyze the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on the Clauses of Constitution on compulsory education, the nature of gratuitous princip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range of coverage. By this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n gratuitous principles and compulsory education.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definition of compulsory education designated by law besides primary education. As the gratuitous principle for compulsory education, not only central government but also local government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al budget, I discussed the responsibility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cases on the share of expenses for school sites. There have been inconsistent arguments on related cases. Consitutional Court found “Imposing School Site Acquisition Charge on Real Estate Development Company Case” consitutional, while it found ‘Imposing School Site Acquisition Charge on purchasers of housing units from the developer’ unconstitutional. I reviewed to what extent the coverage of gratuitous principle for compulsory education beyond exemption of tuition fees can be recognized. Constitutional Court presented the criteria on the coverage of the gratuitous principle of education recently and made important decisions on school operating expenses.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n these cases, this study suggested how the gratuitous principle for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대안교육을 받을 권리에 대한 헌법적 검토 : 홈스쿨링을 중심으로

        김희정(Kim Hee Jung),최규환(Choe Kyu Hwa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20 世界憲法硏究 Vol.26 No.3

        2020년 발표된 2019학년도 통계조사에 의하면 학업을 중단한 초・중・고교 학생은 5만 명 이상에 달한다. 현재 공교육이 제공하고 있는 제도교육을 거부하는 많은 부모와 학생들이 있으며, 그 거부의 이유는 다양하다. 그런데 현재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경우와 아예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제도권 교육에서 빠져나간 아동과 청소년을 수용하는 교육 형태는 대안학교와 홈스쿨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학령기 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이 학교 교육에 엄격히 국한된 의무교육과 결합되어 있어 아동과 학부모가 학교교육 외 다른 교육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크게 제한된다. 이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던 중, 2020년 12월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대안학교를 선택하는 사람들에 대한 취학의무는 유예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은 홈스쿨링에 대해서는 여전히 그 선택의 길을 열지 않고 있어, 홈스쿨링은 현행법상 여전히 금지된다. 헌법이 규정하는 의무교육제도가 모든 국민이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균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균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본래적 목적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현재의 여러 현실적 상황이 과연 헌법 제31조 제2항으로부터 취학의무의 누수 없는 강제를 해석해 내도록 하는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헌법상 의무교육제도는 아동과 청소년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의무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은 아동과 청소년이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을 뿐, 교육의 장소와 방법이 ‘학교’여야만 할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학교’라는 제도적 교육의 형태가 경우에 따라 그 자체만으로도 어떤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고통이 될 수 있고, 어떤 부모에게는 교육적 가치관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될 수도 있다. 헌법상 의무교육의 핵심은 제도 교육을 강제하여 개별적 교육을 금지하는 아니라, 모든 국민이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양한 교육체계를 정비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무교육을 학교교육으로 제한하는 논거들의 헌법적 정당성을 살펴보았고, 취학의무의 강제만이 적합하고 최소침해적인 수단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학의무만을 강제함으로써 홈스쿨링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부모의 자녀교육권과 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 침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According to the 2019 statistical survey released in 2020, more than 50,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stopped studying. There are many parents and students who reject uniform institutional education, and the magnitude of this rejection is considerable. The forms of alternative education accept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left institutional educ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alternative schools and homeschooling. However, realiza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of school-age children is combined with compulsory education. Legislators are institutionalizing compulsory education under Article 31 (2) of the Constitution. However, due to the compulsory statutes of this obligation to attend school, options other than school education are restricted to children and parents, and homeschooling is also completely prohibited under the current laws. In December 2020, as the ``Act on Altern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obligation to attend school for those who choose alternative schools could be suspended. However, this law still does not open the way for homeschooling. Since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dopted in the Constitution is an institutional device to realize the right to education of children who are subject to compulsory education, the essence of compulsory education must be whether the child is receiving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ere is no compelling reason that the method and place of education must be school . What is rather important here is that the state prepares and maintains various educational systems so that such a level of education can actually be achieved.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nstitutional tasks set by Article 31,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have been reasonably carried out simply by enforcing the uniform coercion of school attendance obligations. In this paper, the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the arguments for restricting compulsory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was examined, and whether the compulsory enrollment of school attendance was an appropriate and minimally invasive mean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total prohibition of homeschooling by enforcing the obligation to attend school was a violation of the parent s right to educate children and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논문 : 일본의 의무교육비 국고부담제 개혁과 시사점

        고전 ( Jeon Ko ) 대한교육법학회 2006 敎育 法學 硏究 Vol.18 No.1

        이 논문은 2005년 10월 26일 중앙교육심의회의 「새 시대의 의무교육을 창조한다」 답신에 표방된 의무교육 국고부담제도의 개혁 방안을 검토한 것이다. 지방분권의 기치아래 국가와 지방간의 관계 및 역할의 재정립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발표된 이 개혁안은 지방교부세 방식을 일괄적으로 재검토하는 `삼위일체 개혁`과 지방 6단체가 제안한 `지방안`을 반영하는 관점에서 제안된 것이다. 답신은 의무교육비 국고부담제를 `교육의 질 향상` `재원확보의 확실성 및 예견 가능성` `지방의 자유도 확대`등의 관점에서 개혁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답신의 요지는 의무교육비 국고부담금이나 공립학교 시설정비비 부담금에 대한 국가 재원 담보를 기반으로 지방의 재량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총액 재량제를 내실화 하는 한편, 의무교육표준법 개정을 통한 지방교육의 특수성 반영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교원 인사권 이양 및 국고부담제 재검토 측면에서 논의하였는 바, 현재 한국에서 제기되고 있는 교원봉급 부담 주체 논란과 교원 신분의 지방직화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Redesigning System of state-subsidized funding for compulsory education in Japan and suggest the instruction to Korea. The Central Council for Education has issued a report titled 「Redesigning Compulsory Education for a New Era」(2005.10.26) the product of deliberations conducted in keeping with an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ies concluded in November 2004. Reform of Japan`s compulsory education system will be implemented henceforth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ations in this report. The Key points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1. Approach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compulsory education as an element of national strategy. 2. Implement reforms that decentralize authority and provide greater discretion and latitude to municipalities and schools (such as by transferring authority over personnel and class composition to municipalities). 3. Maintain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the basic infrastructure of compulsory education. including courses of study. teacher training. and guaranteed funding. and for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utcomes including the assessment of academic ability. 4. Maintain Japan`s system of state-subsidized funding for compulsory education through national and local burden sharing while further expanding local discretion. Strategy 1 is to guarantee education quality by setting clear goals and examining outcomes(Clarifying the mission of compulsory education and improving content). Strategy 2 is to develop unshakeable trust in Japan teachers improving. Strategy 3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giving local authorities and schools more autonomy and encouraging them to innovate(reforming at the school and school-board level). and Strategy 4 is to creating optimum conditions for education. Conclusions of the Central Council for Education are as follows. 1. Even if compulsory education funding were shifted to general-revenue funding. this would not increase local educational autonomy (e.g. flexibility with regard to class composition) as the six organizations suggest(it would only increase the freedom to cut education spending). 2. The kind of education that the six organizations propose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autonomy of municipalities and schools (as recommended in this report). 3. Treating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 salaries differently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 salaries by shifting the former only to general-revenue funding has no rational basis and is inappropriate. At the chapter V, I criticized the Redesigning System of state-subsidized funding for compulsory education in Japan and suggest the instruction to Korea at five points of view.

      • KCI등재후보

        의무교육제도에 관한 헌법사상사적 고찰

        안주열(Ahn Ju Yeol) 한국국가법학회 2016 국가법연구 Vol.12 No.2

        오늘날 의무교육과 관련하여, ‘종교’, ‘부모의 교육관’, ‘자녀의 특성’ 등을 이유로 의무교육기관 이외의 장소에서 자녀를 교육하고자 하는 시도가 적지 않게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 교육관계법상 취학강제규정이 있어서 의무교육을 받지 않을 경우 법률위반으로 처벌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법률상 취학강제규정은 헌법상 보장되는 아동의 학습권, 부모의 교육권 침해문제와 헌법 제31조 제2항의 ‘교육을 받게 할 의무’ 규정에 관한 위헌가능성 문제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우리 헌법은 제31조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제1항)를 보장하고 있고, 의무교육제도(제2항, 제3항)는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질화하기 위한 규정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분석방법으로, 헌법사상사적 기준에 입각하여 우리의 의무교육제도가 종래 ‘절대주의적 의무교육제도’, ‘복지주의에 입각한 의무교육제도’, ‘인권사상에 근거한 의무교육제도’라는 3가지 타입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고찰하고, 헌법 제31조 제2항에 규정된 ‘교육을 받게 할 의무’가 과연 취학강제를 의미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These days, Several attempts that parents desire to educate their children at places except compulsory educational institution have been done by reason of ‘religion’, ‘parents’ view of education’, ‘children’s special character’ ect. in relation to compulsory schooling. It’s the problem that not to receive compulsory education cannot but infringe the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provision on the law of education. by the way, the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provision on the law of education raises a question to violate children’s right to learn and parents’ right to education on constitution.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provision on the law of education violate the provision §31② on the constitution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compulsory schooling system of Korea is related to what type among ‘the absolutistic compulsory schooling system’, ‘the compulsory schooling system based on welfarism’, ‘the compulsory schooling system based on human rights’, and what the meaning of ‘the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of §31② on the constitution is indeed.

      • KCI등재후보

        북한 기술의무교육제 실시 과정에 관한 연구-급진적 사회주의 교육개혁의 좌절과 변형

        김지수 ( Ji Soo Kim ) 북한연구학회 2006 北韓硏究學會報 Vol.10 No.1

        북한은 한국전쟁 후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산업인력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술의무교육제를 추진하였다. 1958년부터 추진된 기술의무교육제는 종합기술교육의 도입을 위해 교육과 생산노동을 결합하려는 개혁안이었는데, 중학교 졸업생들이 의무적으로 진학해야하는 기술학교의 수업시간 중 50%를 생산노동에 할애할 정도로 생산노동 교육이 강조되었다. 기술의무교육은 그 추진 과정에서 북한의 실정에 맞지 않는 측면들이 드러나면서 대폭적인 수정이 가해질 수밖에 없었는데, 그 이유로는 첫째, 당시 북한의 경제적 상황에서 최신의 생산실습시설을 기술학교에 설치하는 것이 여의치 않았다는 것이고, 둘째는 고급중학교를 폐지하고 모든 학생들을 기술학교에 진학하게 했던 것은 북한 주민들의 의사에 반하는 것이었다는 점이었다. 셋째 요인은 기술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생산노동 활동과 교육활동을 적절히 결합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맑스주의 교육이론의 중핵인 종합기술교육의 실시라는 기치를 내걸고 추진되었던 기술의무교육제는 당시 북한의 경제적 상황과 학교현장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측면들이 드러나면서 결국 수정을 거쳐 처음의 계획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밖에 없었다. 중등학교에서의 기술교육은 직업기술교육이 아니라 기초기술교육으로 성격이 바뀌어 실시되었고, 이후 북한의 보통교육체제에서는 기초기술교육을 중심으로 교육과 생산노동의 결합이 이루어져 왔다.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went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y had to execute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rapid growth of The industrial man power.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was promoted in 1958 radically.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abolished High Middle School. And such radical Reformation lead all the students in High Middle School to Technology School and The students were to learn occupational technology skill more concretely.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was operated across the board in 1967 and at the Time according to North Korean formal document it was said to be successful But looking at the actual situation you can see that it was not such a successful Operation. Promoting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was not suitable policy Considering North Korean situation at the time and great amendment was needed Because of few reasons. First reason is that building a producing training facility was a problem considering North Korean economy at the Time and for this reason promoting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had to face Obstacle. Second reason is that High Middle School which was basic Latter term Middle School was abolished and all the students were to attend Technology School caused by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but such policy was Against the intentions of North Korean people. Third reason is that in the process of importing producing labor activity As education course they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achinery and this situation caused problem such as mixing producing labor activity And education activity in order. Core of the Polytechnical Education which is the Marx`s Education theory, Resembling such theory promoting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was not suitable For North Korean economy and school situation at the time which lead to few Stages of amendment and as of result the policy was to be promoted differently From its original. In other words, in 1967 they abolished Technology School which Was imported in 1959 and re-built basic latter term Middle School which was Named High School. And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under Compulsory Technical Education had to change its characteristics from occupational technology education to basic technolog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