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정보보안 솔루션기업의 역량모델링 사례연구

        조수민(Jo, Su Min),조형기(Cho, Hyung Gi)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4

        인터넷정보보안 산업은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만한 발전을 통해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체계적인 인적자원 육성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정보보안 산업 내 A기업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기업이 업계 10위권의 중견급 중소기업이고 체계적인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가 어려웠던 상황임을 감안한다면 금번 역량모델링 사례연구는 의미 있다고 하겠다. A기업 역량모델링(competency modeling) 4단계 프로세스는 역량구조 정립, 역량기초자료확보, 잠정역량 추출, 추출역량 검증절차를 거쳤다. 첫째, A기업의 역량구조는 공통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으로 정립하였고, 둘째, 역량 기초자료는 문헌과 자료연구 및 맥버(Mcber) 역량사전을 활용하였으며, 셋째, 정립된 역량군은 고성과자 인터뷰와 워크샵으로 잠정역량(ad-hoc competency)을 도출하였고, 넷째, 도출된 잠정역량은 타당성 제고를 위해 내용전문가들이 환류(feedback)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같은 절차를 통해 A기업 공통역량은 ‘조직헌신성’과 ‘성취지향성’을 도출하였고, 리더십역량은 ‘개념적사고, 자신감, 성취지 향성, 육성력, 팀리더십, 관계구축력’의 6가지 역량을 추출하였다. 직무역량은 15개 직무군에 대하여 65개의 역량이 도출되어 정의되었다. 본 사례연구는 인터넷정보보안 산업의 특징인 전문성, 국가방위산업, 미래지향성의 특징을 반영함과 동시에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역량모델링의 보편성과 현실성, 모델의 실행가능성을 극대화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A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적ㆍ물적자원의 한계와 도입초기로 인한 경험부족 등은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성공을 판단하기에 시기상조라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역량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전사적 조직시스템 차원에서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일관성있게 추진하려는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etencies for a professional roles and competitiv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For this purpose, competencies of the target company were defined by using the competency modeling. The process of building a competency model was applied through the method of using a resource panel, and 4 steps of procedure was designed. Each step are as follows. First, to get a top frame of the competency modeling, three areas of competencies ; core competency,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competency were established as a competency structure. Second, to extract the basic data about the competencies, literature study was carried out and 5 competency groups were structured. Third, to derive the competencies under 5 competency groups,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SMEs' interview and workshop.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derived results, SMEs and staffs went through the steps which reviewed and got feedback the competenci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dure, core competency for all employees of target company was identified as「Organizational Commitment」and「Achievement Orientation」based on core value and talents. For leadership competency, the three keywords like induction of team member's capability, lead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is defined as a key role of team leader, and 「Conceptual Thinking」,「Self-Confidence」,「Achievement Orientation」,「Developing Others」,「Team Leadership」, and 「Relationship Building」were able to extract by assigning the generic competency model. For Job competency about 15 job groups, 18 attitudes and 65 knowledges and skills were derived and defined.

      • KCI등재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

        박종옥(JongOk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을 통해 교수역량을 정의하고, 교수역량의 상위 및 하위영역의 구성요소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먼저 교수역량 모델링 관련 선행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21년 1~3월)하였으며, 이어서 3~5월에 육군 군사학교 우수교관(21명)과의 초점집단면담, 행동사건면담 등 심층 면담 분석과 교육전문가 델파이 조사(14명)를 통해 교수역량 정의 및 구성요소에 대해 도출하였다. 또한 역량모델링 검증을 위해 6~8월에 우수·보통 교관들에게 설문지로 예비조사(100명)를 진행하였으며 잠정 구성된 교수역량 구성요소에 대해 통계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으로 4개의 역량군(기본역량, 수업역량, 조직역량, 디지털역량), 11개의 상위역량(교육자로서의 태도 및 자세, 관계형성 등), 27개의 하위역량(교관으로서의 책임감, 솔선수범 등), 100개의 행동지표가 선정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군사학교 교수역량은 군 교육훈련 현장에서 교관이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수역량을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이에 기초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군사학교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Purpos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eaching competence was established by model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in the Army, and the composition of upper and lower areas was developed. In addi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through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First, prior research data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anuary to March 21),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cellent military school instructors (21) and behavioral event interviews (14 stu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competency modeling, a preliminary survey (100 students) was conducted on excellent and ordinary instructors from June to August as a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ly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and confirmed for the tentatively constructed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Results By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teaching competence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was selected for four competencies (basic competence, te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petence, digital competence), 11 higher competence (teacher attitude and posture, relationship formation, etc.), 27 lower competence (teacher responsibility, initiative, etc.) and 100 action indica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showed a high confidence of more than .80. Conclusions It is valuable as the first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study for all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it has been expanded from lecture competency-oriented studie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o find organizational and digital competen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fessor s competency diagnosis tool after a full-scale survey of instructors,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through effect analysis by implementing follow-up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교양 교과목 질 관리를 위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S-CEA) 적용가능성 탐색

        김혜경,김경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seeks out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to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e applied the S-CEA model to the courses, which is one of the course-embedded assessment models, developed by Sun Moon University. S-CEA model consists of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We carried out this study with 3 research themes: the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eaching competency.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students’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mproved for 3 semester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and professors’ cognition of teaching competency. This study proposed the way how to make a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and further suggested the way how to analyze the course achievement level and make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nstructional design is made so that students engage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 competencies for the course. The learning outcome is evaluated with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as the students-centered educational model. In this study,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s applied to course level. It is necessary tha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curriculum level of general education and analyze the learning outcome achieved in the curriculum. That is,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designed for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도 역량기반 교육과정 접근이 확산되고 추세에서,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역량기반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모델로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과목 학습성과기반 목표 설정’, ‘교과목 평가 설계’, ‘교과목 성과분석’의 3 단계로 구성되는데, 교과목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역량을 수업목표와 평가기준에 연계하는 역량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 핵심 활동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 적용을 통해 첫째, 수강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둘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핵심역량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교수역량 대한 인식이 변화 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수강학생들은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3개 학기 동안 평균 0.13점 향상되었으며, 둘째, 핵심역량의 수행수준에 대하여, 교수자와 수강학생들의 인식에도 각각 평균 0.19점, 2.1점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역량기반교과목에서 교수역량(또는 수업운영의 효과성)에 대해, 교수자와 수강생들은 3개 모든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양 교과목을 위한 역량기반 교수설계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질 개선할 수 있는 교과기반평가에 연계되기 때문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즉,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학습성과로서 역량을 성취하도록 하는 역량개발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중심의 교수설계와 더불어 교과목 질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 수준에서 교과기반평가방법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교양대학 차원에서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학습성과를 분석하는 교과기반평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요컨대,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통해 교양교육이 의도로 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학습자들이 교과목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 나아가 교양 교육과정을 질 개선하는 역량기반 교육모델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주인중,김덕기,정종태,김호현,최선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3

        Under the global economic competition, company competitiveness depends on creating high performance through effective human development. It is also a tendency to analyze organization members'competencies and outcomes, develop competency model, and apply the model to develop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 in each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etency model,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companies for the use of competency diagnosis of members, is being utilized. For this purpose, survey items were created by expert council and advisory committee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Korean corporations.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companies, regardless of size and type, develop their own model by referring to outside models, or use models developed by consulting company lead.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companies to develop model appropriate for the peculiarity of each company. Second, while the main reason to introduce competency model was to reinforce workers' competency, models developed have not widely utilized in HRM overall. There is a need to overcome a limit of utilization of models. Third, Majority responded that they, regardless of size and type, upgraded models or did not upgrade at all due to change of work environment. There is also a need to systematize follow-up care of the models. This is a primary research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company so that it can be used as springboard to study in-depth inside condition of Korean company using competency model and condition of particular positions of company members. 글로벌 경제 전쟁 하에서 각 기업의 경쟁력은 효율적 인재개발에 의한 고성과 창출에 있다. 이에 최근 규모가 있는 선진화된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기반한 구성원의 역량과 성과를 분석하고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기업 내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에 적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역량진단을 위해 국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역량모델에 대한 활용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의 개발 및 활용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협의회, 자문위원회를 통해 설문 항목을 구성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주로 외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자체개발하거나, 외부컨설팅사의 부분적인 주도하에 개발된 역량모델을 사용하고 있어 기업특성에 맞는 역량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시급하였다. 둘째는 역량모델 도입계기의 주요 이유가 근로자 역량강화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을 인적자원관리 전 분야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역량모델 활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셋째는 기업의 역량모델 사후관리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이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다수의 기업이 업무환경 변화로 인하여 역량모델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또는 개발된 역량 모델을 아예 업그레이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역량모델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실태에 대한 초기연구인 만큼,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내부 상황이나 조직 구성원의 특정 직급에 따른 심층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비서 역량모델링

        홍성민(Hong, Sung Min),우세라(Woo, Se Ra),조현정(Cho, Hyun Jung)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수정하여 활용하여 체계화된 비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로 첫째, 비서의 공통역량을 도출하고 둘째, 비서의 공통 역량 외에 유형별 전문비서(기업, 공공기관, 법률, 의료, 회계, 교회)로서 갖춰야 하는 역량을 추가로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진행된 절차는 첫째,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역량모델의 초안을 작성하였고 둘째, 현직 비서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역량구조와 행동지표를 설계하였고, 마지막으로 해당 분야의 현직비서 13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검증된 역량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기초직무역량, 직무전문역량 2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초직무역량 18개와, 직무전문역량으로 기업비서 3개, 공공기관 비서 6개, 법률비서 3개, 의료비서 3개, 회계비서 3개, 교회비서 2개의 역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역량은 행동기준평정척도법(BARS) 방법을 활용하여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상, 중, 하 수준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행동지표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38개의 역량과 114개의 행동지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방법을 차용하여 좀 더 체계화된 비서 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비서 역량모델은 현재 조직의 비서 인적자원관리나 비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비서의 창의적인 역량을 개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competency model to evaluate competency levels of secretaries by using the modified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of Dubois(1993).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deriving common competency of secretaries; 2) suggesting additional competencies that professional secretaries by type (public institutions, private enterprises, law, medical treatment, accounting, church) should have besides common competency of secretaries. Three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o perform this study.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fted a competency framework and defined each competency cluster. Second,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or five incumbent secretaries to present a more advanced competency framework and behavioral indicators. Finally, we conducted a survey for 13 incumbent secretaries to derive a final and verified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two competency frameworks of fundamental competency and job specific competency were derived as upper units. In detail, we presented 18 fundamental competencies. As job specific competency, 3 competencies of corporate secretaries, 6 competencies of public agency secretaries, 3 competencies of legal secretaries, 3 competencies of medical secretaries, 2 competencies of church secretaries and 3 competencies of accounting secretaries were additionally presented. In addition, behavioral indicators were identified by three levels based on BARS(behaviorally-anchored rating scale). As a result of the findings, 38 competencies and 114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derived.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presenting a more systematic secretary competency model by using the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specific secretary competency guideline,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in companies. It can be used to recruit, deploy and evaluate secretar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can als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secretary"s creative competency in the future. Each secretary can use the competency guidelines presented in the study to measure and develop their competencies.

      • KCI등재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황재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 of W College of Dentistry. For this, this study made progress of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procedure in three stages. The preparation stages of the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by performing an analysis about the awareness investigation of the members, and the development stages were progressed through the competency level and behavioral index, etc.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n expert for the evaluation stage. As a result, content validity index was high with CVI of .91 and a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with the 4 key competencies, which are the common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y linked with job competency, the major competenc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by the fact that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case developed through this procedure provided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the competency of W College of Dentistry is planned to also be applied.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 KCI등재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 42서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사례연구

        권상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4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7 No.1

        IT 개발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데 비해 이들의 역량을 향상하는 데 기업 및 공공기관의 노력과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42서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IT 개발자 교육기관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의 역량모델 개선에 초점, IT 개발자의 소프트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역량모델링 수립은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문헌 분석, 외부 전문가 인터뷰, 패널 토의 워크샵, 내부 경영진 검토 등을 거쳐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분석적 사고, 변화관리, 계획수립 및 구조화라는 5대 역량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행동 지표를 도출하였다. 행동 지표는 IT 개발자의 눈높이에 맞게 학습-적용-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 맞춰 3단계로 역량의 레벨을 확정하였다. 역량을 통해 IT 개발자의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동 지표는 BARS 척도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실천적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연구에서 더 많은 역량모델링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역량 관련 연구의 초석을 쌓는 데 공헌하였다. While the interest in IT programmer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and support from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ency model of Innovation Academy, which runs the 42 Seoul program,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IT programmers, and conducts an in-depth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ency model that can enhance the soft skills of IT programm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ternal experts, panel discussion workshops, and internal management review, five competencies were selected: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alytical thinking, change management, and planning and structuring, and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rived to develop each competency. The behavioral indicators are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IT programmers, and the competency levels are organized in three stages to match the process of learning, application, and performance. The behavioral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BARS scale so that IT programmers' learning and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competency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contributions to stimulate more attention in establishing competency modeling for IT programmer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directions on competency modeling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domain.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이승형(Seung-hyeong Lee),백은주(Eun-Ju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의 대표적인 교육성과지표인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예측하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 대상은 부산권 소재 D대학교 재학생의 지난 3년간(2019년~2021년)의 핵심역량진단조사(D-CODA) 결과 패널 데이터이며, 핵심역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예측모형인 다중선형회귀분석(LR), 랜덤포레스트(RF), 서포트벡터머신(SVM)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각 핵심역량의 최적 예측 모형은 다음과 같다. 전문성역량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으며 인성역량은 SVM(서포트 백터머신)으로, 창의역량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다. 도전역량과 글로컬역량은 SVM(서포트 백터머신)모형이, 소통역량은 LR(다중선형회귀분석)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머신러닝 학습을 통한 각 핵심역량 예측에 영향력이 높은 역량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역량 예측에는 전문성역량이, 인성역량 예측이 있어서는 인성역량과 소통역량이 함께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역량을 예측하는데 창의역량지표와 전문성역량지표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역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 창의성 뿐만 아니라 전문성 역량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전역량에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인 것은 도전역량지표로 나타났으며. 글로컬역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 글로컬역량지표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소통역량을 예측하는데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친 것은 소통역량지표와 인성역량지표로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핵심역량 지표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 분석에서 최적의 예측모형은 가장 오차가 적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2022년 핵심역량지표 예측에서 전문성, 인성, 창의성, 도전 역량은 2021년 대비 향상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글로컬 및 소통역량은 2021년도와 같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예측된 역량의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핵심역량 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분석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예측하고 분별하는 데 유용함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차원에서의 주기적인 핵심역량 지표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과 및 비교과 과정에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redicting the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nel data of the D-CODA result panel data for the past 3 years (2019-2021) of D-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Busan area were analyzed. Machine learning prediction models such a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LR), random forest (RF),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were used to predict core competencies. Result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for each core competency is as follows. Professional competency was shown in the RF (random forest) model, personality competency in SVM (support vector machine), creative competency in the RF (random forest) model, challenge competency and glocal (global and local) competency in the SVM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LR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Second, in the analysis of 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competency con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both personality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o that of personality competency. Third, in the model analysis to predict the overall core competency index, the optimal predictive model was found to be the RF (random forest) model which showed the least error. Fourth, in the prediction of key competency indicators in 2022, it is predicted that expertise, personality, creativity, and challenging competency will improve.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nalysis using accumulated core competency data and machine learning is useful in predicting and discriminating the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eriodic core competency index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and provides the basis for designing a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웹 2.0 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 개발

        황은동(Eun-Dong Hwang),정윤민(Yun-Min Jung),김수연(Soo-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2

        현재 상당수 기업에서 인력육성 및 관리 분야에 활용하는 직무역량모델은 현장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된 직무역량 모델이 실제 활용에 구체적이지 못해 업무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국 기업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현황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체계 개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 400인 이상 기업의 43.5% 정도가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했으며,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한 기업 중 31.7%는 만들어진 역량이 상세하지 못해 직무역량을 기반으로한 교육체계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웹 2.0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한 직무역량모델과 대부분 기업의 직무역량을 개발하는 방식인 전문가 중심의 개발된 직무역량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웹 2.0 방식의 개발한 직무역량모델에 대해 역량명의 정확성, 수용성 그리고 역량기술서의 유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환경에 맞는 구체적인 역량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Many companies in Korea have developed job competency models and are utilizing them for the purpose of training and management of employees. However many of them are unable to be utilized efficiently through their own job competency model because the company failed to reflect what happens in the real work place in the model or the model itself is not concrete enough to be applied practically. Thu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mpanies which had developed their own job competency model were investigated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model were developed. By result of the survey, about 43.5% of the company, which has more than 400 employees, have developed job competency models and 31.7% of them haven’t been able to develop training system based upon the model due to the lack of concreteness of their model. To overcome this contradiction, we developed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where each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 themselves develop job competency as opposed to an expert oriented develop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is superior to any another modeling in an accuracy of competency, an acceptance of competency, and an usefulness of competency description.

      • KCI등재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장은규,김정호,정연철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ey competency model of Vessel Traffic Services(VTS) operators as a preliminary step to develop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demystified competency modeling method was used. First,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ar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a successful VTS operators to perform their dut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the job analysi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VTS operator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ng and Lighthouse Authorities (IALA) recommend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etency model presented in the NCS and IALA recommendations lack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ompetency of the operators. Also,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untries was found to be inadequate to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ency requirements of VTS operators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of experts based on NCS and IALA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competency requirements analysis, a new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Next, the competency model was defined as a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adequacy of competency definition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rough a delphi survey and a questionnaire on the provisional competence model. The competency model of the VTS oper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the assessment of the competency level of the VTS operator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will be able to quickly reflect the needs of competences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training to improve the various expertise of VTS operators, such as newly, supervisors and refresher train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competency model will help strengthen the capacity of VTS organization. 본 연구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방법론으로 단축형 역량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해상교통관제사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동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해상관제 국가기술직무표준(NCS)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권고서에 제시되어있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분석 및 분류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상관제 NCS와 IALA의 권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역량모델은 관제사의 역량에 대한 세부 분석과 개별 국가의 환경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관제조직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반영한 관제사의 역량 수준에 대한 평가와 교육필요도를 반영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관제 NCS와 IALA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 요구도를 분석하고, 역량요구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역량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역량모델을 잠재적 역량모델로 정의하고, 잠재적 역량모델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역량정의와 행동지표의 적합도를 평정하여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역량모델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역량에 대한 요구를 빠르게 반영하여 교육할 수 있게 되므로 신임해상교통관제사 또는 선임해상교통관제사 및 보수교육 등 다양한 해상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시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동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은 해상교통관제 조직의 역량강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