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유아의 기본적 생활 자립능력 및 운동 습관에 대한 차이

        정영미,채진영,심미경 한국발육발달학회 2024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sic self-reliance abilities and physical activity habit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self-reliance skills and physical activity habits of children in both countries. It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guide the formation of basic living self-reliance skil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0 children aged 4, 5, and 6 years old attending three kindergartens in Korea and Japan, and their physique measurements, basic living self-reliance skills,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were surveyed. First, Korean infants stayed in kindergarten slightly longer than Japanese infants, and Japanese infants secured more sufficient sleep time than Korean infants. In terms of infant physique, the average height in Korea was 7 cm higher and the average weight was 4.5 kg higher in Korea than in Japan. In the Kauf Index, most cases in Korea were grade 3 (15-18): normal, while Japan was grade 2 (13-15): mildly underweight.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in infants' basic living independence abilities, sleeping habits were somewhat more stable in Japan than in Korea, and independence in eating habits was also higher in Japan than in Korea. Korea's ability to become self-sufficient in toilet habits was higher than that in Japa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bility to become self-sufficient in hygiene/cleanliness habits. In terms of self-reliance in the habit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clothes, Japa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Korea. Third, in terms of children's physical activity habits and participation types, both Korea and Japan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In 'voluntary exercise participation', Japan was participating more actively than Korea, and in 'physical activity', Japan was moving their bodies sufficiently. In terms of 'number of friends when participating in play', in Korea, there was a tendency to play with a large group of 2-3 or more children, while in Japan, although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there were many children who played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In terms of 'play places', Korea played both indoors and outdoors, while Japan had more outdoor pla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habits and basic lifestyle habits, children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every day had higher self-reliance abilities than children who did not.

      • KCI등재

        한일 중소기업 DX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cooper’s 다차원 정책분석모델을 통한 비교분석 연구 -

        송정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7 No.-

        Associety'sdigitalizationprogresses,companies'abilitytoutilizedigitaltechnology has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competitiveness. However, in the case of SME that are difficult to invest their budgets in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 is slower than that of large companies, which causes management deterioration of SMEs in the mid to long term. According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efforts to promote DX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DX support policies for SME in Korea and Japan using Cooper's four dimensional model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t the Normative dimension, it was common that the Korea Japan SME digital transformation support policy was introduced to improve SME’s productivity and strengthe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idening digital gap between SME and larg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goals such as job expansion and industrial accident reduction were pursued at the same time, and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wide range of support policies such as management support and cybersecurity were established. At the Structur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supports SME digital facility investment, but in Korea, a level check and consulting budget were set up separately, and in Japan, support for purchasing peripherals such as computers and tablet PCs was made. At the Constitutive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central government led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took place, but in Korea, several government ministries were involved, and in Japan, a single ministry was involved. Another difference was that Korea's relatively emphasize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At the Technical dimension, both countries have prepared indicators to evaluat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 On the other hand, in Korea, government agencie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jects, but in Japan, there was a difference that companies were encouraged to judge the degre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mselves. 사회의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기업의 디지털기술 활용 역량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에 예산을 투입하기 어려 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이 더디고, 이는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경 영악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세계 각국은 중소기업의 DX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ooper’s 다차원정책분석모델을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중소기업 DX 지 원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규범적 차 원의 경우, 한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정책은 중소기업 대기업 간 디지털 격차 심화를 배경으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은 공통 적이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일자리 확대, 산업재해 감소 등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였고, 일 본의 경우 경영지원, 사이버 보안 등 폭넓은 지원정책을 수립하였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구 조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설비투자를 보조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 국의 경우 수준확인, 컨설팅 예산을 따로 편성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주변기기 구매 지원까지 이루어졌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구성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 앙정부 주도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국의 경우 여러 정 부부처가 관여하였고, 일본의 경우 단일 부처가 관여하였다는 점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또 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한국이 상대적으로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도 차 이점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차원의 경우 양국 모두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는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정부기관이 지원사업의 성 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일본은 기업 자체적으로 디지털 전환 정도를 판단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 한ㆍ일간의 초등학교 수학과 새교육과정 비교연구

        하태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5 No.1

        한국은 수학과에 있어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수학교육의 기본 틀을 바꾸었다. 그리고 수학 운영 시수를 감축하고 이에 따른 학습 내용을 줄이거나 조정하였다. 일본은 주 5일제 수업3)의 전면 실시에 따라 수학과의 운영 시수가 줄어들게 되었고, 수학과 운영 시수의 8할 정도로도 표준적인 수업4)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내용을 엄선하여 여유 있는 가운데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대단히 중요시하여 수학적 활동을 통한 학생의 주체적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에 비해 약 80% 정도의 시간으로 더 많은 학습량을 더 빨리 학습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학생이 한국의 학생에 비해 더 여유를 가지고 학습을 하며 교육과정의 운영도 더욱 융통성을 가질 수 있음을 뜻한다. 그리고 일본이 수와 계산 영역에 있어서 한국의 학생보다 1년 늦게 학습하면서 또 반복학습을 강조하여 수의 개념과 계산 원리의 이해와 계산 기능을 수학과의 기초ㆍ기본으로서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은 도형의 개념과 도형감각 기르기를 강화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about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al aspect of Korean curriculum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Korea's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at of Japan's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will start in m2 through researching various literatur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s that Korea has organized a teaming program that tended to individual differences, and focused on student-center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the other hand, Japan reduced learning contents a lot by running 5-schooldays a week so that 80% of teaching time can be spent to help the students master mathematical contents of the textbook. This leaves 20% of teaching time to be used for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power as a foundation of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Korea's teaching time spent for elementary mathematics is about 80% of Japan's, which is also less than that of other country's. Less time in teaming mathematics will lead to decrease in teaming abil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teaching time in mathematics. Korea's revision of curriculum is about 5 years which is often compared to that of Japan's 10 years. Frequent revising is good in that it reflects the social demand, but it can cause much confusion and problems in accepting and applying its program in a real classroom setting, which is why it needs to be looked at again. The direction, objective and assesment of revision fits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trends and essentials of mathematics. Japan puts its emphasis on learning through repetition and Korea puts its emphasis 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Regarding assesment, both Korea and Japan is looking for ways to find various assessing ways which will focus on mathematical process rather than the mathematical results, and also will put emphasis on criterion-directed assesment to measure goal achievements. However Japan emphasize on using report cards of assesment to help mathematics learning.

      • KCI등재

        양택풍수 현대화를 위한 한.중.일 삼국의 비보풍수 비교 연구 Ⅱ -한국과 일본의 비보풍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최성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7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0

        This study investigated measures to modernistically utilize Bibo Feng Shui (裨補風水: Feng Shui to Remedy Topographical Defects), which is a technique to analyze weak elements and excessive elements in living environments. That is,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utilization of Bibo Feng Shui in three countrie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measures to utilize Bibo Feng Shui in modern urban environments. The Bibo Feng Shui utilized in the living environments in South Korea and that utilized in the living environments Japan were comparatively studied.. In the study, the Nijo Castle in Japan and Suwon Hwaseong Fortress in South Korea, where the function of defense and the function of a palace coexi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Bibo Feng Shui utilized in the Itsukushima Shinto Shrine in Japan, and that utilized in Buseoksa(temple) in Yeongju, South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ses mentioned above, a plan to utilize the circumstance theory and the exposure theory as road and entry analysis techniques and the theory of Saku Teiki(作庭記) in Japan as a landscaping technique was presented.

      • Comparative Study on Themes of Research Papers on the Research Trends of Parks and Green Spaces in Japan and Korea

        Naoko Fujita,Chong Soo-Jin,Yoichi Kumagai,Akio Shimomura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4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 Vol.2 No.-

        The objective of our research wa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focusing on studies conducted on parks and green spaces undertaken in Japan and Korea. We also aim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onsider the key features of the researches o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We compared the recent trends of Japanese institute with Korean observed in the theme of research papers adopt title of them. The research period spanned approximately twenty years, from 1980 to 2003. We employed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search system to research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to select the journals that included articles with the key words [park(s)] or [green space(s)] in their title. We chronologically arranged the journals for each country,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journals and classification categories. We then conducted a comparative examination among the two countries. We also contributed information on the circumstances behind the formulation or amendment of some policies and laws and we checked the results against the research trend. Among the selected journals, the number of papers was the highest by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But the reason for increase of the number of papers on green spaces in Japanese journals was not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but by the City Planning Institute and the Architecture Institute. In Japan, the papers on parks categorized under historical study were the highest among all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in Korean journals, papers on parks categorized under historical study were few. A similar trend was recognized in papers on green spaces. Every society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function and effect. However, some exact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by category classification. In Japan, the percentage of function and effect papers on parks was less than those on green spaces. In Korea, both percentages for these groups were high. The category of system and policy accounted for $17\%$ of the papers on green spaces in Korea. This result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papers on green spaces and parks in Japan and parks in Korea. Recently, the number of papers focusing on large-scale green space system has decreased in Japan. The trend in the study of parks and green spaces on a regional scale or at an individual level will be closely monitored. Systems and modeling studies have been focusing in Korea.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the citizens was peculiar to each country.

      • 연구논문 : 한국과 일본의 문화재 보호정책 비교연구: 문화재 보호법 및 관리방식을 중심으로

        김영규 ( Young Kyoo Kim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 (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09 한국지역혁신논집 Vol.4 No.2

        본 연구는 문화재 보호정책의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이다. 세부적으로 문화재 보호법, 제도 그리고 관리방식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한국의 문화재 보호정책에 있어 개선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일본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유사한 아시아의 동북아권에 속해있으며 역사 적으로 오랜 기간 불교의 영향을 함께 받으며 민족적으로도 유사한 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문화재 보호정책이 잘되고 있는 일본국가와의 비교연구는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연구 분석의 결과로는 첫째, 문화재 보호법에서는 일본의 문화재 보호법을 차용하여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고 시대에 따라 그에 따른 개정을 거쳐 왔기에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 다만 일본은 1975년에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하여 都·道·府·縣의 교육위원회에 비상근으로 문화재 지정위원을 두도록 법제화 되어 있다. 둘째, 문화재 관리방식에 있어서 일본의 경우 문부과학성 산하에 외청으로 문화청을 두고 문화재 보호의 업무를 주축으로 하는 문화청과 그 산하에 동경 국립박물관등을 독립행정법인으로 하여 총괄 관리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경우는 문화재 업무를 주축으로 하는 문화재청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외청으로 있으며 국립박물관등온 문화체육관광부의 내부 소속기관으로 별도로 관리하여 문화재 업무에 있어 이원화가 되고 있다. 셋째, 중앙정부 예산 부분에 있어 일본과 한국 모두 오랜 역사 속에서 효율적인 보존관리에 예산이 투입된다. 일본의 경우 2009년도 기준 중앙정부 예산은 1.017억 엔이며, 한국의 경우에는 4. 544억 원으로 차이가 있다. 넷째, 일본의 경우 모든 행정단위의 기관에서 문화재 담당공무원이 있는 반면에 한국에서는 문화재의 지근거리에 있는 행정단위인 읍·면·동에는 문화재 관련 담당 공무원이 부재하다는 점이 매우 다르다. 국보1호 숭례문의 전소에도 불구하고 제도변화나 정책변화가 없는 한국으 로서는 또 다른 문화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문화의 시대에 걸맞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polic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main purpose is to draw improvement measures for Korean cultural assets protection polic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relevant laws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both countries. Korea and Japan have shared a lot in common in terms of their geographical location and Buddhist cultural tradition. Japan`s case seems to give us a meaningful guideline for searching improvement measures in that it already established a well-rounded system of cultural assets protection policy long before. This study found major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First, the legal system of both countries resembles each other in that Korea adopted most Japan`s laws in its initial enactment. But Japan legislated an act in 1975 to nominate a professional member of cultural assets in each local government unit. Second. in terms of administrative system, Japan established a unified system of cultural assets protection while Korea kept a separated system between cultural assets protection policy and management. Third, Japan allocates more budgets in cultural assets protection policy. Finally, Japan places cultural assets officials in every unit of local government while Korea does not have any relevant officials in prime level of local administration, where most cultural assets are loca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more elaborate legislation, more budgetary inputs, and more public personnels for cultural assets protection be reinforced in Kore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한성(Han-Sung Kim),정혜진(Hye-Jin Chung),이원규(Won-Gyu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개선과 정착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2007 개정 정보 교육과정’, 일본의 ‘2008 고등학교학습지도요령 정보편’ 등을 주된 분석 문헌으로 사용하여, 양국의 정보 교육 발전 과정과 함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양국의 정보 교육과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보교육 발전 과정에 있어서, 양국 모두 초기의 컴퓨터 활용중심 교육에서 컴퓨터과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으로 전환하였으나, 한국의 정보교육은 교과교육의 선택적 운영과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활용하는 등 보조 교과로서의 분산된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은 고등학교 정보교과를 통해 관련 내용을 필수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정보교육의 목적을 세분화하여 두 개의 과목으로 구성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비교를 통해 일본 정보교육의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중심의 접근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다각적인 내용 구성,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 제시 등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인 측면과 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일본의 정보 교육과정은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에 비하여 실효성과 계통성면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체제나 구성, 내용 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개선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Korea’s Informatics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in Korea and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8 in Japan were compar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two countr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are as following: Firstly, in the development process, both countries change the curriculum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Science education. But Korea concentrates on assisted subject by optional course of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and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curriculum, while Japan focuses on mandatory subjects through the secondary education and has two subjects that are designed with the learner’s level and needs in high school. Secondly, in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Korea values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while Japan values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various approaches on problem solving, and Information ethics. Accordingly, This study is worth of giving several implication for solving some problems of Korea Informatics curriculum.

      •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 간 관계 : 한-일 비교연구

        이유미(Lee, You Me),김선정(Kim, S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 유아교사 240명, 일본 유아교사 24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검증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방해요인, 실행 수준의 한-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일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인식, 실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과 실행 간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 간 차이점의 확인,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이 바깥놀이 실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 및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이 실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맥락의 유사성과 연구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fy the intrinsic variables to activate the execution of outdoor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5 Japa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memories of outdoor play, obstacles and operat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and operatio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hood outdoor play memories, perceptions, and oper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hood teachers and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on outdoor play and awareness of outdoor play are key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in the social contex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 일본에서의 한국 사회복지 연구동향과 과제

        김성원(Kim Sung-w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8

        최근 일본 사회복지 연구자들 사이에서 한국 사회복지에 대한 전례 없는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IMF위기 이후 한국 복지정책의 급격한 변화, 일본의 장기적 경기침체와 복지정책의 정체(停滯), 동아시아 복지국가에 대한 관심 증대 등 국내외적 요인들이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현상인데, 실제로 일본의 주요 학회와 학술지 그리고 연구소에서 공식적ㆍ비공식적 한일 연구자 교류와 함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줄지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일본 사회복지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봄으로서 일본에서의 한국 사회복지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양국사회복지학계의 보다 활발한 연구교류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전까지 일본에서 한국 사회복지에 대한 연구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과거의 연구성과들을 살펴보면 몇몇의 예외를 제외하고서는 아동, 노인, 장애인 복지 등 개별적인 분야에 대한 ‘제도소개’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으로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사회복지 연구에 비해 그 수 또한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최근 한일 사회 복지 연구자들 사이의 연구교류와 이를 통한 다수의 연구논문과 보고서에서 보이는 한국사회복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같은 점에서 과거의 그것과 구별 된다. 첫째, 과거 각 분야별로 개별 정책의 단순한 소개에 머물러 왔던 연구가 제도의 발전과정 혹은 현황과 문제점 등이 역사사회학적 혹은 정치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는 점 둘째, 한국인 연구자 혹은 한글 독해가 가능한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다수의 연구 성과의 등장으로 한국 사회 복지에 대한 다양한 측면으로부터의 접근과 분석이 전해지고, 또 이에 대한 토론의 장이 빈번하게 마련되면서 한국사회복지에 대한 일본 연구자들의 견해도 그만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 셋째, 이로 인해 기존유럽 중심의 복지국가 연구를 비판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보다 분석적인 시각이 마련되면서 동아시아복지국가연구가 심도 깊게 진행되기 시작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몇 가지 점에서 최근연구동향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우선, 최근의 연구가 과거 개별 정책에 대한 ‘제도소개’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논의의 수준이 한 차원 진전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개별국가=한국’에 대한 또 하나의 소개에 치중되고 있어 상호비교의 시점이 미흡하며, 본격적인 한일비교연구로의 발전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한국의 특수성만을 강조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기존 복지 국가 연구에서 한국과 일본이 동일유형으로 다루어졌던 것에 대한 반동으로 일본과의 차이가 주요한 논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에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지만, 보다 발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일본과의 차이를 끌어내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적 경험의 보편성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경험을 복지국가공통의 분석틀 안에 넣을 수 있게 될 것이 고, 비로소 최근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아시아복지모델 연구에 대한 하나의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the unprecedented interest in Korean social policy among Japanese social policy researchers is rising. This is the situation as the result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mbined with such as the sudden changes of Korean welfare policy, long term economic slump and the stagnation of the welfare policy of Japan and increase of the concern about East Asian welfare states and in fact, Japanese major academic societies and magazines as well as research institutes are bringing with various study outcomes. Through reviewing the movement and problems of Korean social policy studies which recently has been actively proceeded in Japan, this paper tri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related to Korean social policy studies in Japan, and also to help more active study exchanges of both country's social policy. There were a few of studies about Korean social policy in Japan. But most of them were based on ‘institution introduction’ to individual fields such as children, the aged and the disabled, and in spite of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adjacency, that was only a small number comparing to the social policy studies about the West. But the latest studies shown in many of reports through the study exchanges among Korean-Japan social policy research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by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study which had remained as a simple introduction to individual field in the past, developed till discus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social policy in a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situation. Second, with the appearance of the various study outcomes, the argument on Korea social policy prospered and various views also appeared. Third, by this, it comes to have the critical view about welfare state studies based on Europe, and East Asian welfare state studies in advancing more actively. Along with these positive aspect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the latest studies in a few points. First of all, even though the latest study has been upgraded one step by deviating from the ‘institution introduction’, it remains in another introduction for ‘a nation=Korea’, and the viewpoints of comparative study of Korea-Japan is insufficient. And In order to conquer this point, only the particularity of Korean experience should not be emphasized. Although it is important to deriv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find the university of Korean experience. Through this, the Korean and Japanese experiences can be put into a common analytical frame of the welfare countries and at last the study for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which in recent has been discussed a lot can be accomplished.

      •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물리교과서의 비교연구

        조용국,조태현,임숙주 경기대학교 1996 論文集 Vol.38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s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comparative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textbooks in Korea are consisted of two parts; physics I and Ⅱ chapters, while the textbooks in Japan are only one book with four chapters. The chapter of 'Force and Motion' is dominant in contents of the textbooks in Korea, while 'Electromagnetism' occupies the most part in Japan. For the textbooks in Korea the chapter of 'Modem physics' is 24.6% of all contents in the number of experiments, but the experiments are not shown in 'Modern Physics' for the Japanese textbooks. The number of photographs per page in Japan is slightly more than in Korea, but the number of figure, graph, table, problem, and experiments per page in Korea prevail the ones of Japan. In analyzing the physics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comparodively, the Korean textbooks give much emphasis on 'Force and Motion' basis of physics, and on 'Modern physics', applied physics, while Japan has had a film basis of developing the electronic industry by emphasizing 'Electromagnetism' and 'Force and Motion' in their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