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학적 의사소통행위이론의 토대에 관한 연구

        박종균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5 기독교사회윤리 Vol.9 No.-

        A theological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at takes form and develops in conversational and in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social science and philosophical theory of action recognizes that the differentiation of validity claims delivers both important insights into the foundations of huma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 theological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as a interdisciplinary orientation in relation to the social science and philosophy. This study introduces the approach of a communicative theory of action, taking as its starting point the central concept of communicative action. I then explain the complementary concept to that of communicative action,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In this process an essential aim is to show both that and how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characterizes the barometer for a comprehensive concept of rationality that does not reduce reason to its cognitive-instrumental dimension, but elucidates it from the perspective of its constitutively communicative dimension. Furthermore, I deal with relation between ethics and discourse. This includes discussing the basic features of Habermas's and Karl-Otto Apel's moral-theoretical approach to discourse ethics. And then I explain Habermas's proposal for a consensus theory of truth. I think that the communicative theory of action is not an arbitrary, non-theological theory to which theology can relate following from three view-points. First, Helmunt Peukert has made clear and has systematically expounded both the fact that and the extent to which science requires for its grounding the return to communicative practice. Second, the communicative theory of action is dedicated to those problems of rationality,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modernity, on which contemporary theology is also working. Third, the communicative theory of action can be made theologically productive, and demonstrates in its theological appropriation that it is capable of approaching theological question.

      • KCI등재

        의사소통 합리성 함양과 사회과 교실수업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이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홍남기 ( Nam Ki H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3

        This study is aimed to set the rationale for social studies teaching through re-examining Habermas`s communicative theory, criticize the existing strategic teaching-learning action of social studies classroom by this rationale , and search for the alternative communicative action of social studies classroom. The existing purposes of social studies teaching are accepted and pursued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a classroom situation should be controled or disciplined. But communitive actions pursuing mutual understanding are necessarily oppressed by the classroom situation over which strategic actions prevail. Habermas`s communicative theory provide the rationale for this point. From the communicative theory, strategic actions are performed by the rational subjects who strive for truth or success. And the rationality which these rational subjects pursue is a instrumental rationality. But communicative actions are performed by inter-subjective agents who pursue mutual understanding. And the subjectless rationality pursued by these agents is the rationality depending on the illocutionary forces of languages. This communicative rationality is constructed when communicative agents perform reasonable persuasion and acceptance actions according to pragmatic presuppositions. Social studies classrooms are still managed under teacher`s intention and control even though the overall levels of student`s autonomic participation have been improved. But teacher`s strategic and perlocutionary actions which control class have some dangers. These dangers are that students are regarded as the instruments of a aim-achievement, reduce autonomic judgement and action gradually, and weaken high-order thinking or capacity. So, one of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vitalize communicative actions in classroom. But even if argumentary communicative methods advantage some students who has language capacity and provides reasonable grounds, those methods disadvantage other students who are immature or alienated culturally. Therefore, we need to accept communicative actions depending on empathetic talk or explanation as well as Habermas`s argumentary communicative actions. From these alternative communicative actions, classroom participants can perform open and inclusive communication observing pragmatic presuppositions.

      • KCI등재

        의사소통과 실존적 상호소통 -하버마스와 야스퍼스의 소통 개념에 관하여

        박은미 ( Eun Mi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하버마스의 소통 개념에 입각해서는 하버마스 스스로 인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약적 행위의 과잉문제나 의사소통행위에서의 자기기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없다. 실존적 자각을 바탕으로 한 실존적 상호소통이라는 야스퍼스의 소통 개념에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한 쪽에서는 의사소통행위를 하고자 하는 데 다른 한쪽에서는 전략적 행위를 하면 의사소통행위를 하고자 했던 사람은 소외를 겪지만 하버마스 철학에서는 이러한 소외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나 의사소통행위가 필요한 국면에서 전략적 행위를 하는 문제를 교정하는 이론적 대안은 발견할 수 없다. 상대방은 전략적 의도를 가지든 말든 내가 전략적 의도를 가지고 있는가 가지고 있지 않는가를 치밀하게 검토하고 스스로를 비판해낼 수 있는 사람만이 외부 조건에 영향받지 않고 의사소통행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야스퍼스 철학에서 실존적 상호소통은 나 자신도 실존으로 되고 상대방도 실존으로 되도록 촉구하는 과정이다. 자신을 걸면서 성실하게 자신의 자기 존재와 상대방의 자기 존재를 향한 물음을 묻고 자기 자신에 대한 유보를 두지 않으면서 현존재적 이익관심에 경도되지 않고 자신을 전적으로 개방하면서 상대방의 개방을 촉구하는 것이 야스퍼스의 소통의 특징이다. 야스퍼스의 소통개념을 받아들이면 적어도 상대방이 전략적으로 행위하든 말든 나에게는 내가 의사소통적으로 존재해야 할 이유가 생긴다. 자기존재를 찾는다는 결단이 없이는, 자기존재를 찾을 때에 느끼는 충만감을 알지 못하고서는 현실적인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무의식적 작용에 입각한 언어의 기만적 사용이나 자기정당화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야스퍼스 식의 소통을 지향하지 않고서는 하버마스식의 소통도 가능해지지 않는다. We cannot overcome the problem of surplus of strategic action or the possibility of self-deception in communicative action in Habermas s philosophy. We can get a clue from a concept of existential communication which is based on existential awareness in Jaspers s philosophy. If one tries to do communicative action and if the other does strategic action, then the first will come to experience alienation. However, Habermas s philosophy doesn t have a solution of this problem and theoretical alternative about the problem that does strategic action in the area which communicative action is needed. Man as Existenz doesn t concern whether the opponent has a strategic intention, because it is important to him/her whether he/she get an attitude toward one s being Existenz. Only man as Existenz who can overcome one s strategic intention and criticize oneself can do communicative action without being affected from social situation. Existential communication is characterize with struggle with love in Jaspers s philosophy. Struggle with love is a process that appeals to oneself and other to be an Existenz. If we accept the concept of Existenz and communication, then we come to have a reason that should do communicative action without being affected from opponent s strategic intention. We cannot make an effort to overcome the problem of self-justification and the problem of deceptive using language without feeling self-fulfillment in a process of becoming Existenz. It is not impossible to make an effort toward a Habermas s communication without an effort toward Jaspers s existential communication.

      • KCI등재

        의사소통 행위와 담론 윤리의 텍스트 : 『남아있는 나날』 연구

        조비결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연구 Vol.63 No.2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Kazuo Ishiguro suggests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in his novel, The Remains of the Day based on the communicative action theory of Habermas. As Habermas clarifies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shiguro puts the emphasis on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with his narrative strategy through his main character. Stevens,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serves as the first narrator but a unreliable narrator. He becomes the best communicator only when telling his story of private sphere and history of public sphere to the readers outside the novel. In contrast, he does not become an effective communicator in the novel.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s to postulate that Ishiguro implies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in light of the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by Harbermas. He tries to embody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in the public sphere by employing history as a technical device in the protagonist’s narrative. In addition, through the mechanism of memory, he defines Stevens as unreliable narrator and cowardice with the fear of expressing his emotion in spite of dignified and professional butler. At the end of the novel, Stevens’ personality develops further from a unreliable narrator and poor communicator to an effective and caring communicator. In conclusion, The Remains of the Day offers a philosophical insight on life and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ethic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김연금,이규목 한국조경학회 2003 韓國造景學會誌 Vol.31 No.5

        With more and more people paying attention to substantial democracy, participatory democracy is presented as a practical strategy and an index of Korean democracy. In this social and political atmospher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is essential. Nonetheless, the true meaning of “participation” is not used properly because many people do not understand it correctly, The concept of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s “the action or attempt of ordinary members of society for affecting on the result of decision making.” Based on this concept, particip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conventional means and as a form of mobilization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st Most of the theories on public particip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are technical theori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planning and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be understood as a communicative action that aims to enable stakeholders to reach a consensus through communication. This study offers the framework of theory to understand and practice planning and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communicative action, after reviewing communicative action theory and communicative planning theory.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ve action theory should be accep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instrumental rationality -- the same way planning theory accepted this theory --and to join the culture of experts focusing on the artistic truth and the culture of life of the world. In addition, accepting communicative action theory enables the acquisition of the instrumental effect and social learning effect and the making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also suggested prerequisite for using the method. There should be change in the social institution and in individual action. In addition the method is composed of three steps: creating the atmosphere for communication; communicating, and; reaching a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Finally, rais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presented in this study requires the accumulation of know-how through trial and error.

      • KCI등재

        의사소통행위의 합리적 시각에 따른 공공미술 기획 연구 중국 광동 페이미술관에서 전개한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소만,한창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2 애니메이션연구 Vol.18 No.4

        In recent years, public art projects for communicative action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aiming to enhance the cultural vitality of urban and rural residents in China. These projects, which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Chinese cities, not only build platforms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ut also arouse their enthusiasm for artistic creation. Among them, the public art projects planned by Fei Arts in Guangdong, China produces some influence in the society, so it is worth an in-depth study, which can provide references for the theoretical supplement and development of public art. In this study, under the guidance of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e author analyzed four public art projects planned by Fei Art Museum from 2018 to 202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ationality of communicative actions.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our public art projects were plann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ve action. The successful projects followed the principle of communicative action rationality in their planning. Their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local natural environments are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reality, and the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histories and moral codes is relatively accurate. The artistic proposition, production of materials and creation methods of the projects conform to the objective truth, and the communicative actions among participants are subjective and sincere. Among them, consistency with the objective reality of the objective world is the principal evaluation index.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an reveal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ve actions in solving local problems and enhancing the vitality of local culture. The author hopes that thi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planning of public art projects, so as to improve the positive role of public art in communicative actions and realize its social value.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도시와 농촌 거주민의 문화 활력을 높이기 위해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미술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중국 각 도시에서 계속 보급되고 있으며, 이를통해 주민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플랫폼 구축뿐만 아니라 주민이 예술 창작에 참여한 능동성을 유발하였다. 그중 중국 광동성(廣東省)의 페이미술관(Fei Arts)이 기획한 공공미술 프로그램은 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지녀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이는 공공미술의 이론 보충과 실천 발전에 일정한 참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에 따라 의사소통행위의 합리성 시각으로 페이미술관이 2018∼2020년 기획한 4개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4 가지 공공미술 프로그램은 의사소통행위를 목적으로 기획한 것이며, 그중 성공을 거둔 프로그램은 기획에서 의사소통의 합리성 원칙을 준수했다는 발견하였고, 그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의 자연환경에 대한 조사가 객관적진실에 부합하고, 현지의 인문 역사와 도덕 규범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 정확하며, 프로그램의 예술 주제와 제작재료 그리고 창작 방식이 객관적 진실에 부합하고, 참여 주체 간 의사소통에 주관적 성실이 나타났다. 특히, 객관 세계의 객관적 진실성에 대한 준수는 가장 중요한 평가 지표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의사소통행위의지방 문제 해결과 지방 문화 활력 제고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향후 공공미술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이를 참고해 공공미술의 의사소통 역할을 높이고, 사회적 가치를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마을공동체 회의에서 주민의 의사소통행위 분석

        김보경,박상옥 한국NGO학회 2023 NGO연구 Vol.18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Maeul community meetings as a type of public sphere in the life-world. Therefore, an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communicative ac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ilding at Maeul community meetings. Based o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communicative action is performed in terms of subject, behavior, and reason, and what are the foundations and limitations that enable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meeting case of Dreamlight Happiness Mom, one of the Maeul communities in Daeje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subjectification of communication based on positive mutual recognition and autonomy, second, behavioral coordination through common understanding and voluntary consent, and third, community rationa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t the Maeul community meeting was the process of sharing the life-world, relational time, horizontal mediator of behavioral coordin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eul community as a voluntary association of the villag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communicative action, the identification of opinions and identity, and other practical problems were found to be limit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ducational approach to the possibility and scalability of Maeul community meetings as a public sphere to defend the life-worl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action and social capital, thir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and limitation, fourth, the need to design a public sphere for the 'sharing' process, and fifth, the role of a mediator to help communication. Accordingly, as a way to revitalize the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it is necessary to link it with various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at supports communicative action of residents at Maeul community meetings. 본 연구는 생활세계를 방어하는 공론장의 한 유형으로 마을공동체 회의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주목하여, 공동체회의에서 나타나는 주민들의 의사소통행위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토대로 주체, 행위, 이성의 측면에서 의사소통행위가 어떻게 이뤄지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대전시 마을공동체 중 하나인 ‘꿈빛행복맘’ 사례를 중심으로 공동체회의에서 주민들의 의사소통행위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긍정적인 상호인정과 자율성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주체화, 둘째, 공동의 이해와 자발적 동의로 이루는 행위조정, 셋째, 공동체적 합리성과 타당성 검증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소통행위의 바탕에는 생활세계를 공유하는 과정과 관계적 시간, 행위조정의 수평적 매개자 역할, 마을의 자발적인 결사체로서 마을공동체라는 특성이 작용하였다. 반면, 실천과 의사소통행위의 관계성, 의견과 정체성의 동일화, 그 외 경제활동 및 육아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공동체회의에서 의사소통행위를 이루는데 제한적인 부분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을공동체에서 주민의 의사소통행위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제안하였다. 첫째, 생활세계를 방어하는 공론장으로서 마을공동체 회의의 발전 가능성과 확장성, 둘째, 의사소통행위와 사회적자본의 관계성, 셋째, 기반과 한계의 상호연관성, 넷째, ‘공유’과정에 대한 공론장의 구조적인 설계 필요성, 다섯째, 의사소통행위를 돕는 매개자 역할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다. 이에 풀뿌리 영역의 의사소통적 힘을 기르고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주민들의 민주적 의사소통행위 역량을 지원하는 다양한 민주시민교육과의 실천적이고 학문적인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인식하는 주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

        이희준,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objectives of Housing cont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by three systems of action an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have taught the class. The 303 teachers from 183 middle schools replied the mail questionnaire during September, 2003.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The 21 objectives for each system of a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extbooks, teachers guides, and other related references.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system of action was the highest, respectively followed by the ones related to technical and emancipatory systems of action. Indoor Environment & Equipment was more likely to be important than Maintenance & Repairs as the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system of action, while Usage of Living Space was less likely to be important than the other two sub-units.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was somewhat differ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The older are the more important the objectives related to technical system of action. Female, Home Economics teachers, who learned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n others objectives related to communicative and emancipatory systems of action to be important. This research showed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the objectives of Housing contents were not the same among respondents and generally supported the previous results from other contents of Home Economics. 이 연구의 목적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에 따라 개발한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 영역 목표에 대해 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각 목표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중요도 인식에 대한 자료는 전국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무선 표집을 통해 183개교에서 303부를 우편 설문지법으로 2003년 9월 1일~30일까지 한 달 동안 수집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는 9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8종에 실린 주생활 단원의 목표에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교육과정 가이드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시한 주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기준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각 내용요소별 세 행동체계 목표는 생활공간의 활용 단원 11개 요소, 실내 환경의 조절 단원 7개 요소,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단원 3개 요소 등 총 21개 내용 요소에 대해 각각 세 행동체계 목표, 총 63개 목표를 개발하였다.기술가정과 교사들은 세 행동체계에 따라 진술한 목표 가운데 해석적 행동체계로 진술된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은 기술적 행동체계, 해방적 행동체계 순이었다. 주생활 영역 전체에서는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가 가장 중요하지만 중단원별로 보면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는 세 중단원별로 중요도가 비슷한 반면, 해석적 행동체계 목표는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 보다는 실내 환경과 설비 중단원에서 더 중요하고, 생활공간의 활용 중단원은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다른 두 중단원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세부 목표의 중요도는 기술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말한다'를 , 해석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생활쓰레기가 사회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한다를 , 해방적 행동체계 중에서는좋은 환경 만들기 운동을 통하여 친환경적 가치관을 형성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가정과 교사들은 사회적 목표와 현실에 직면한 실천적 문제로 구성된 목표들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세 행동체계별 주생활 영역 목표 중요도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많거나 교직경력이 긴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기술적 행동체계 목표들을 중요시하였으며, 여성 교사, 가정 전공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석적, 해방적 행동목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정교육 철학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해방적 행동체계 목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천 비판적인 가정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과정에 기술적, 해석적,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들을 고루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들뢰즈 관점에서 본 하버마스 화용론의 한계

        최영송(Choi Young-song)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하버마스는 ‘소통’보다 ‘행위’에 방점을 두는 소통적 행위이론을 내세워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이 가진 불확실성을 개선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소통적 ‘행위’를 커뮤니케이션의 기초 단위로 설정하고, 소통적 화용론을 주창하여 참 여자들이 어떻게 이해와 합의에 도달하는지를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행위-중심의 커뮤니케이션론으로 주체-중심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그가 내세운 상호주체성, 이상적 담화상황, 소통적 행위의 우위성 등이 기존의 주체-중심적인 정보전달 모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는커녕 그 이데올로기를 극대화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하버마스의 소통적 화용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들뢰즈의 언표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차이의 철학에 기초한 들뢰즈의 화용론 입장에서 보면, 하버마스의 소통적 화용론은 보편적 진리에 기초한 인간중심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로 인해 하버마스는 오늘날 소셜미디어가 매개하는 ‘주체 없는 소통’, ‘비소통의 소통’을 포착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현대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직면하여, 하버마스의 소통적 화용론은 들뢰즈의 언표적 화용론을 통해 극복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Habermas has been evaluated to improve the uncertainty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models by establishing the communicative action theory that puts emphasis on ‘action’ rather than ‘communication’. Setting up the communicative ‘action’ as the basic unit of communication, he advocated communicative pragmatics and showed how the participants reach understanding and consensus. But still it is skeptical about if it has completely overcome the subject-centered limits with his actcentered theory of communication. Because it is doubtful that his intersubjectivity, ideal speech condition and the superiority of communicative action are keeping up and maximizing the existing ideologies of subject-centered theory of information-transferring metaphor.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roblems of Habermas’s communicative pragmatics with the perspective of Deleuze’s enunciative pragmatics. Accoding to Deleuze’s pragmatics based on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Habermas’s communicative pragmatics shows extremely the limitations of anthropologic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Universality. In this reason, Habermas exposed some limitations of capturing ‘communication without subject’ and ‘commu nication of non-communication’ which were mediated by social media. Consequently, confronting with new communication phenomenon, this essay, I want to propose Habermas’s communicative pragmatics have to be complemented and completed through Deleuze’s enunciative pragmatics.

      • KCI등재

        액션러닝을 적용한 비서실무 수업운영 및 교육효과

        김미영(Kim, Mi-Young)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실천중심교육에서 주목받고 있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 교수법을 비서학과의 고급비서실무론이라는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교육효과를 확인하고 대학교육에서 액션러닝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2015년도 2학기 A대학교에서 개설한 ‘고급비서실무론’ 교과목 수강생 66명을 대상으로 2개의 실제문제를 통해 액션러닝을 적용하였으며, 수업 중 교수와의 피드백 및 지도를 통해 교수자는 러닝코치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제시된 실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팀 활동을 하였으며, 팀 활동이 끝난 후 팀별 발표와 함께 보고서, 발표자료 및 팀별 활동일지를 제출하였고 개인별로 성찰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양적연구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의 액션러닝 교육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사전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분석결과 학습자들은 액션러닝을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성찰보고서를 통한 질적연구에서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개인차원에서는 책임감, 사고력, 성취감 등에서의 교육효과가 나타났다. 사회차원에서는 팀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팀협력활동에서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습차원에서는 학습방법과 관련하여 문제해결방법 및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문제해결과정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학습차원의 학습효과 측면에서는 주도적 학습능력, 팀과제 수행능력, 실무능력 등에서 발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션러닝은 비서학에서 학습자들의 실무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이 확인되었으며, 실무 및 실천이 강조되는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교육목표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pplied Action Learning with classroom instruction to the secretari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e 66 students enrolled in an Office Management course Action Learning was implemented with the two action learning tasks(problem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on-learning, pre and post validations were performed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 Pre-post analysis of the learners confirmed that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action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reflective journals was also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ducation on such areas as responsibility, ability to think, sense of accomplishment, etc. at the personal level. At the social level, the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team activities and team collaboration activities. At the learning level, with regard to the learning methods, the problem-solving methods and skills were improved. Also, the importance of feedback from the professor(learning coach)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was confirmed. In learning effects at the learning level, the team task performance, practical skills, etc, were improved. Action Learning was confirmed to be a very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practical skills of learners in Secretari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